KR102291004B1 - 적재함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적재함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004B1
KR102291004B1 KR1020200073126A KR20200073126A KR102291004B1 KR 102291004 B1 KR102291004 B1 KR 102291004B1 KR 1020200073126 A KR1020200073126 A KR 1020200073126A KR 20200073126 A KR20200073126 A KR 20200073126A KR 102291004 B1 KR102291004 B1 KR 102291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mber
cover unit
loading
do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근
Original Assignee
이철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근 filed Critical 이철근
Priority to KR1020200073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8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comprising adjustabl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기재의 적재함은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간을 포함하고, 상측이 개구되는 제1 몸체 부재; 상기 제1 몸체 부재의 일측에 설치되고, 물건을 승하차시킬 수 있도록 개폐되는 도어 부재; 상기 제1 몸체 부재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몸체 부재에 대해 승강되는 제2 몸체 부재; 상기 제1 몸체 부재와 상기 제2 몸체 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제2 몸체 부재가 상기 제1 몸체 부재에 대해 승강될 수 있게 하는 승강 유닛; 및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몸체 부재에서 상기 도어 부재가 위치된 부분과 상기 제2 몸체 부재 사이의 공간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몸체 부재가 상기 제1 몸체 부재에 대해 승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 부재와 상기 제2 몸체 부재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는 커버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재함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Cargo box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적재함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건을 적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적재함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탑차는 적재된 화물을 외부 기후 조건의 변화에 관계없이 안전하게 운반 및 하역할 수 있도록 측면이나 후면에 개폐 도어가 설치된 직사각형의 적재함이 구비된 소형 또는 중대형의 화물운반차량 등을 의미한다.
종래의 탑차는 적재함의 크기가 생산단계부터 한정되어 출고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택배 업무에 사용되는 탑차의 특성상 지상고가 높기 때문에 차고가 낮게 만들어진 주차장의 출입이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차의 높이가 보통 2.4m이상이다. 따라서 빌라나 아파트의 주차장의 경우 진입로의 차고가 2.0m 내지 2.3m 높이로 되어 있으면, 물건을 상하 또는 하차하기 위하여 불법 주차를 해야 한다.
그리고, 최근에 건축된 아파트의 경우, 아이들의 안전 사고 문제, 화재 시 긴급 자동차 출동, 이사의 전입 및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지상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는 아파트 입구에 탑차를 정차시키고, 별도의 카트를 사용하여 아파트 동마다 이동하면서 택배 업무를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20-018650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차고가 낮은 공간으로 진입이 가능할 수 있는 적재함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적재함은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간을 포함하고, 상측이 개구되는 제1 몸체 부재; 상기 제1 몸체 부재의 일측에 설치되고, 물건을 승하차시킬 수 있도록 개폐되는 도어 부재; 상기 제1 몸체 부재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몸체 부재에 대해 승강되는 제2 몸체 부재; 상기 제1 몸체 부재와 상기 제2 몸체 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제2 몸체 부재가 상기 제1 몸체 부재에 대해 승강될 수 있게 하는 승강 유닛; 및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몸체 부재에서 상기 도어 부재가 위치된 부분과 상기 제2 몸체 부재 사이의 공간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몸체 부재가 상기 제1 몸체 부재에 대해 승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 부재와 상기 제2 몸체 부재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는 커버 유닛;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커버 유닛은, 외력에 의해 전체 길이가 가변되도록 주름지게 이루어지고, 일단은 상기 제1 몸체 부재에서 상기 도어 부재의 상단과 인접한 부분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 몸체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몸체 부재의 승강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는 주름 부재; 및 상기 주름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름 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상기 주름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게 위치되는 뼈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유닛은,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면(surface)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은 상기 제1 몸체 부재에서 상기 도어 부재의 상단과 인접한 부분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 몸체 부재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몸체 부재의 승강에 따라 펼쳐지거나 권취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제2 몸체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몸체 부재가 상기 제1 몸체 부재에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커버 부재가 권취되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몸체 부재에서 상기 커버 유닛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일부분이 절곡되게 형성된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몸체 부재에서 상기 커버 유닛의 양측 각각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커버 유닛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몸체 부재의 동작을 무선 방식으로 제어하는 원격 조정 부재; 상기 제1 몸체 부재의 최상단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 부재보다 물건이 높게 적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적재 높이 감지 부재; 및 상기 제2 몸체 부재가 상기 원격 조정 부재로부터 동작 신호를 전송받아서 하강하는 상태에서, 물건이 상기 제1 몸체 부재보다 높게 적재되어 있는 경우, 적재된 물건의 최상단까지 상기 제2 몸체 부재를 하강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은 제2 몸체 부재, 승강 유닛 및 커버 유닛을 포함한다. 차량이 차고가 낮은 공간에 진입해야 하는 경우, 제2 몸체 부재가 하강되게 하여 차량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재함이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 전기 차량이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 진입하여 충전기로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전기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전기 화물차 구입 수요를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차 사용으로 인하여 아파트 내부의 환경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적재함의 높이를 낮추어서 지상이 아닌 지하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카트를 사용하여 물건(M)들을 이동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지상으로 출입할 수 없는 아파트에서 배송 업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이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적재함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차량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적재함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제2 몸체 부재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커버 유닛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제2 몸체 부재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과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100)은 제1 몸체 부재(110), 도어 부재(130), 제2 몸체 부재(120), 승강 유닛(140) 및 커버 유닛(150)을 포함한다.
제1 몸체 부재(110)는 물건(M)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간을 포함하고, 상측이 개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100)이 차량(1000)에 설치되는 경우, 제1 몸체 부재(110)는 차량(1000)의 뒷부분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1 몸체 부재(110)는 일례로 상측이 개구된 육면체일 수 있다. 여기서 차량(1000)은 일례로 적재함(100)을 탑재할 수 있는 트럭일 수 있다.
도어 부재(130)는 상기 제1 몸체 부재(110)의 일측에 설치되고, 물건(M)을 승하차시킬 수 있도록 개폐된다. 도어 부재(130)는 제1 몸체 부재(110)의 뒷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 부재(130)는 두 개의 도어를 포함할 수 있고, 두 개의 도어는 제1 몸체 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몸체 부재(120)는 상기 제1 몸체 부재(110)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몸체 부재(110)에 대해 승강된다. 제2 몸체 부재(120)의 형상은 일례로 제1 몸체 부재(110)의 양측면과 전면을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몸체 부재(110)의 전면은 차량(1000)의 운전석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
제2 몸체 부재(120)에서 제1 몸체 부재(110)의 후면과 대응되는 부분은 개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 부재(130)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제2 몸체 부재(12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승강 유닛(140)은 상기 제1 몸체 부재(110)와 상기 제2 몸체 부재(120)를 연결한다. 승강 유닛(140)은 상기 제2 몸체 부재(120)가 상기 제1 몸체 부재(110)에 대해 승강될 수 있게 한다. 승강 유닛(140)은 일례로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 랙과 피니언 기어 및 웜과 웜기어 등 대상물을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할 수 있다.
제2 몸체 부재(120)와 제1 몸체 부재(110) 모두 육면체인 경우, 승강 유닛(140)은 제1 몸체 부재(110)의 내부의 4개의 모서리 각각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 유닛(140)은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 버튼을 사용하여 조작하여 동작되면서 제2 몸체 부재(12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승강 유닛(140)은 별도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승강 유닛(140)은 차량(10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커버 유닛(150)은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몸체 부재(110)에서 상기 도어 부재(130)가 위치된 부분과 상기 제2 몸체 부재(120) 사이의 공간에 결합된다. 커버 유닛(150)은 상기 제2 몸체 부재(120)가 상기 제1 몸체 부재(110)에 대해 승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 부재(130)와 상기 제2 몸체 부재(120) 사이의 공간을 폐쇄한다.
이러한 커버 유닛(150)은 제2 몸체 부재(120)의 승강시 제1 몸체 부재(110)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공간을 폐쇄하여 외부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제1 몸체 부재(110)의 내부에 적재된 물건(M)들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커버 유닛(150)은 일례로 판 형상이면서 주름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유닛(150)의 일단은 상기 제1 몸체 부재(110)에서 상기 도어 부재(130)의 상단과 인접한 부분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 몸체 부재(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유닛(150)은 상기 제2 몸체 부재(120)의 승강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커버 유닛(150)은 일례로, 뼈대 부재(151)와 주름 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주름 부재(152)는 외력에 의해 전체 길이가 가변되도록 주름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주름 부재(152)의 일단은 상기 제1 몸체 부재(110)에서 상기 도어 부재(130)의 상단과 인접한 부분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 몸체 부재(120)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몸체 부재(120)의 승강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다. 이러한 주름 부재(152)의 소재는 일례로 합성수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뼈대 부재(151)는 상기 주름 부재(152)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름 부재(152)를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 뼈대 부재(151)는 상기 주름 부재(1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뼈대 부재(151)는 일례로 금속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커버 유닛(150)은 제2 몸체 부재(120)가 제1 몸체 부재(110)에 대해 최대로 멀어지면, 주름 부재(152)를 구성하는 여러 개의 주름이 펼쳐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2 몸체 부재(120)가 제1 몸체 부재(110)쪽으로 가까워지면, 주름 부재(152)가 접힐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브라켓(111)이 상기 제1 몸체 부재(110)에서 상기 커버 유닛(150)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111)은 일부분이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111)의 형상은 수직 단면이 알파벳 'L'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레일(121)이 상기 제2 몸체 부재(120)에서 상기 커버 유닛(150)의 양측 각각과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레일(121)은 상기 커버 유닛(15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일(121)은 두 개일 수 있고, 두 개의 레일(121)은 제2 몸체 부재(120)에서 커버 유닛(150)이 설치되는 부분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커버 유닛(150)에 포함된 뼈대 부재(151)들의 양단은 레일(121)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뼈대 부재(151)들은 레일(121)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 유닛(150)은 제2 몸체 부재(120)가 제1 몸체 부재(110)에 대해 최대로 멀어지면, 복수의 뼈대 부재(151)가 레일(121)을 따라서 이동되면서, 여러 개의 주름이 펼쳐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2 몸체 부재(120)가 제1 몸체 부재(110)쪽으로 가까워지면, 복수의 뼈대 부재(151)가 레일(121)을 따라서 이동되면서, 여러 개의 주름이 접힐 수 있다.
여기서, 제2 몸체 부재(120)가 제1 몸체 부재(110)에 대해 최대로 멀어지면 커버 유닛(150)의 주름 부재(152)는 최대한 팽팽하게 펼쳐져서 주름 부재(152)와 레일(121)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커버 유닛(150)에 포함된 뼈대 부재(151)들 중 가장 위에 위치된 뼈대 부재(151)는 레일(121)에 고정되고, 가장 아래에 위치된 뼈대 부재(151)는 브라켓(111)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일(121)은 제2 몸체 부재(120)가 하강함에 따라 일부가 브라켓(150)의 하방으로 내려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 유닛(250)은 변형예로 커버 부재(252) 및 회전 부재(25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부재(252)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면(surface)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부재(252)의 일단은 상기 제1 몸체 부재(110)에서 상기 도어 부재의 상단과 인접한 부분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 몸체 부재(120)에 위치될 수 있다. 커버 부재(252)는 상기 제2 몸체 부재(120)의 승강에 따라 펼쳐지거나 후술할 회전 부재(251)에 권취될 수 있다.
회전 부재(251)는 상기 제2 몸체 부재(120)의 내부에 설치되고,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부재(251)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회전 부재(251)는 제2 몸체 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 부재(120)가 상기 제1 몸체 부재(110)에 가까워지는 경우, 회전 부재(251)는 상기 커버 부재(252)가 권취되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회전 부재(251)는 코일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제2 몸체 부재(120)에 결합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은 회전 부재(251)가 회전되었다가, 초기 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회전 부재(251)와 같은 회전축이 외력에 의해 회전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초기 위치(최초 각도)로 복원되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변형예에 따른 커버 유닛(250)은 회전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모터는 제2 몸체 부재(120)의 승강에 따라 회전 부재(2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회전 부재(251)가 코일 스프링이 아닌 회전 모터에 의해 직접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 부재(120)가 하강되는 경우, 회전 모터는 회전 부재(25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커버 부재(252)가 회전 부재(251)에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200)은 원격 조정 부재(160), 적재 높이 감지 부재(170) 및 제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조정 부재(160)는 상기 제2 몸체 부재(120)의 동작을 무선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원격 조정 부재(160)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무선 통신 방법에 의해 제어부(180)로 동작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법은 일례로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특정 방법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적재 높이 감지 부재(170)는 상기 제1 몸체 부재(110)의 최상단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 부재(110)보다 물건(M)이 높게 적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적재 높이 감지 부재(170)는 일례로 레이저 스캐너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레이저 스캐너가 제1 몸체 부재(11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적재 높이 감지 부재(170)는 제1 몸체 부재(110) 내부에 적재된 물건(M)의 최상단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몸체 부재(120)를 물건(M)의 최상단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 몸체 부재(120)가 상기 원격 조정 부재(160)로부터 동작 신호를 전송받아서 하강하는 상태에서, 물건(M)이 상기 제1 몸체 부재(110)보다 높게 적재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적재된 물건(M)의 최상단(L)까지 상기 제2 몸체 부재(12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건(M)이 제2 몸체 부재(120)에 의해 눌려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 부재(120)의 하강을 물건(M)이 저지하면서 승강 유닛(140)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몸체 부재(120)가 최대한 하강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180)는 원격 조정 부재(160)에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원격 조정 부재(160)는 알림 램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알림 램프는 알림 신호에 의해 점멸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알림 램프의 점멸을 확인하고 제2 몸체 부재(120)가 최대한 하강되지 못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조정 부재(160)가 스마트폰인 경우, 사용자는 알림 램프 대신 디스플레이 화면에 알림 이벤트를 확인하여 제2 몸체 부재(120)가 최대한 하강되지 못하였음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몸체 부재(120)가 하강하다가 물건(M)에 의해 하강이 정지되는 경우, 사용자는 차고가 낮은 곳을 출입하기 위하여 제2 몸체 부재(120)가 최대한 하강되기를 원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물건(M)의 적재된 높이가 낮아지도록 정리한 다음, 재차 원격 조정 부재(160)를 조작하여 제2 몸체 부재(120)가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100)은 제2 몸체 부재(120), 승강 유닛(140) 및 커버 유닛(150)을 포함한다. 차량(1000)이 차고가 낮은 공간에 진입해야 하는 경우, 제2 몸체 부재(120)가 하강되게 하여 차량(1000)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재함(100)이 전기 차량(1000)에 적용되는 경우, 전기 차량(1000)이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 진입하여 충전기로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전기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전기 화물차 구입 수요를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차 사용으로 인하여 아파트 내부의 환경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적재함(100)의 높이를 낮추어서 지상이 아닌 지하 주차장에 차량(1000)을 주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카트를 사용하여 물건(M)들을 이동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지상으로 출입할 수 없는 아파트에서 배송 업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차량 100, 200: 적재함
110: 제1 몸체 부재 111: 브라켓
120: 제2 몸체 부재 121: 레일
130: 도어 부재 140: 승강 유닛
150, 250: 커버 유닛 151: 뼈대 부재
152: 주름 부재 160: 원격 조정 부재
170: 적재 높이 감지 부재 180: 제어부
251: 회전 부재 252: 커버 부재

Claims (6)

  1.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간을 포함하고, 상측이 개구되는 제1 몸체 부재;
    상기 제1 몸체 부재의 일측에 설치되고, 물건을 승하차시킬 수 있도록 개폐되는 도어 부재;
    상기 제1 몸체 부재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몸체 부재에 대해 승강되는 제2 몸체 부재;
    상기 제1 몸체 부재와 상기 제2 몸체 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제2 몸체 부재가 상기 제1 몸체 부재에 대해 승강될 수 있게 하는 승강 유닛; 및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몸체 부재에서 상기 도어 부재가 위치된 부분과 상기 제2 몸체 부재 사이의 공간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몸체 부재가 상기 제1 몸체 부재에 대해 승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 부재와 상기 제2 몸체 부재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는 커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유닛은, 외력에 의해 전체 길이가 가변되도록 주름지게 이루어지고, 일단은 상기 제1 몸체 부재에서 상기 도어 부재의 상단과 인접한 부분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 몸체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몸체 부재의 승강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는 주름 부재; 및
    상기 주름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름 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상기 주름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 개의 뼈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몸체 부재에서 상기 커버 유닛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일부분이 절곡되게 형성된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몸체 부재에서 상기 커버 유닛의 양측 각각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뼈대 부재의 양단이 각각 수용되어 커버 유닛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레일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복수 개의 뼈대 부재 중 가장 위에 위치된 뼈대 부재는 상기 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 개의 뼈대 부재 중 가장 아래에 위치된 뼈대 부재는 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레일은 상기 제2 몸체 부재가 하강함에 따라 일부가 브라켓의 하방으로 내려가도록 설치되는 적재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 부재의 동작을 무선 방식으로 제어하는 원격 조정 부재;
    상기 제1 몸체 부재의 최상단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 부재보다 물건이 높게 적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적재 높이 감지 부재; 및
    상기 제2 몸체 부재가 상기 원격 조정 부재로부터 동작 신호를 전송받아서 하강하는 상태에서, 물건이 상기 제1 몸체 부재보다 높게 적재되어 있는 경우, 적재된 물건의 최상단까지 상기 제2 몸체 부재를 하강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적재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적재함을 포함하는 차량.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73126A 2020-06-16 2020-06-16 적재함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291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126A KR102291004B1 (ko) 2020-06-16 2020-06-16 적재함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126A KR102291004B1 (ko) 2020-06-16 2020-06-16 적재함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004B1 true KR102291004B1 (ko) 2021-08-18

Family

ID=7746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126A KR102291004B1 (ko) 2020-06-16 2020-06-16 적재함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0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8822A1 (ko) * 2021-10-07 2023-04-13 주식회사리디쉬 적재함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탑차
KR102680073B1 (ko) 2024-03-29 2024-07-01 만천특장 주식회사 적재함 높이 가변형 탑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619U (ko) * 1990-07-12 1992-03-13
JPH10244838A (ja) * 1997-03-07 1998-09-14 Yoshiharu Ueda 運搬車及び運搬車のシ−ト部材の開閉方法
KR200186503Y1 (ko) 2000-01-13 2000-06-15 김영식 화물트럭 호로 높이조절 및 보관장치
WO2013031441A1 (ja) * 2011-08-26 2013-03-07 エイディシ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天井高変更装置
US9481403B1 (en) * 2015-06-25 2016-11-01 Robert Johnson Secure truck box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619U (ko) * 1990-07-12 1992-03-13
JPH10244838A (ja) * 1997-03-07 1998-09-14 Yoshiharu Ueda 運搬車及び運搬車のシ−ト部材の開閉方法
KR200186503Y1 (ko) 2000-01-13 2000-06-15 김영식 화물트럭 호로 높이조절 및 보관장치
WO2013031441A1 (ja) * 2011-08-26 2013-03-07 エイディシ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天井高変更装置
US9481403B1 (en) * 2015-06-25 2016-11-01 Robert Johnson Secure truck box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8822A1 (ko) * 2021-10-07 2023-04-13 주식회사리디쉬 적재함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탑차
KR20230050076A (ko) * 2021-10-07 2023-04-14 주식회사리디쉬 적재함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탑차
KR102565026B1 (ko) * 2021-10-07 2023-08-09 주식회사리디쉬 적재함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탑차
KR102680073B1 (ko) 2024-03-29 2024-07-01 만천특장 주식회사 적재함 높이 가변형 탑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30284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багажного отсе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промышл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US10479665B2 (en) Goods movement apparatus
KR102291004B1 (ko) 적재함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20140308101A1 (en) Lift for a bicycle rack or luggage rack
US20220176861A1 (en) Lifting device mounted to a vehicle
KR20200125161A (ko) 탑차
EP3284624B1 (en) Support beam
CN108944635B (zh) 一种车辆运输车、卷帘门厢体及其控制方法
KR101992065B1 (ko) 탑차의 측면 도어 자동 오픈 및 폐쇄장치
US6928684B2 (en) Airport bridge and lift
US8201871B1 (en) Roll-down cargo door arrangements for vehicles
KR102565026B1 (ko) 적재함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탑차
USRE39063E1 (en) Airport bridge and lift
JP2019035209A (ja) 駐車装置と発進禁止方法
KR102329784B1 (ko) 다양한 형태로 적재함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윙바디 트레일러
KR101345612B1 (ko) 차량 탑재용 화물 리프팅장치
KR200439152Y1 (ko) 사다리차 겸용 탑차
KR20130119745A (ko) 컨테이너 탑재 차량 작업용 도크
KR101851110B1 (ko) 차량용 2단 적재장치
CN213175433U (zh) 一种密封装置
JP6508678B2 (ja) 移動販売車
JP7316660B2 (ja) 多段昇降装置
CN216889836U (zh) 一种用链条升降的随车吊操作室
KR200307499Y1 (ko) 화물차용 호이스트 및 이를 적용한 화물차
JP2563710Y2 (ja) 二階建車庫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