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110B1 - 차량용 2단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2단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110B1
KR101851110B1 KR1020170177680A KR20170177680A KR101851110B1 KR 101851110 B1 KR101851110 B1 KR 101851110B1 KR 1020170177680 A KR1020170177680 A KR 1020170177680A KR 20170177680 A KR20170177680 A KR 20170177680A KR 101851110 B1 KR101851110 B1 KR 101851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ed
cylinder
outer body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부
Original Assignee
고재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부 filed Critical 고재부
Priority to KR1020170177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ramp being attached to or making part of the side- or tailboard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량에 설치되는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적재함에 외부몸체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외부몸체 내에는 외부몸체를 따라 이동되도록 2층몸체를 설치하여, 구동장치에 의해 2층몸체가 승강될 수 있어 차량에 적재되는 화물의 양을 늘릴 수 있는 차량용 2단 적재장치이다.

Description

차량용 2단 적재장치{Two layer stack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화물차량에 설치되는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적재함에 외부몸체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외부몸체 내에는 외부몸체를 따라 이동되도록 2층몸체를 설치하여, 구동장치에 의해 2층몸체가 승강될 수 있어 차량에 적재되는 화물의 양을 늘릴 수 있는 차량용 2단 적재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량은 화물을 싣고 이동시키기 위해 차량의 후단에 적재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적재함은 1층의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1층 구조의 적재함을 가진 화물차량은 적재함의 특성상 많은 화물을 싣을 수 없고, 특히 2단으로 적재하기가 어려운 동물이나 자전거와 같은 화물의 경우 화물의 중량과는 상관없이 그 부피로 인해 2단 적재가 안되어 운송시간 및 비용이 증대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종래기술로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7392호에 제안되어 있는 화물차량의 2단 적재장치가 있다.
상기 특허에는 화물차량에 설치되어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함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함은 상, 하측 2단으로 구비되되, 하측 적재함은 화물이 적재되도록 장방형으로 구비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게이트 및 후방으로 설치되는 테일게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물차량의 2단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측 적재함은, 상기 바닥판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이동바닥판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하로 작동시키기 위한 로드를 포함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로드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과 치합하며 일단이 상기 승강이동바닥판에 고정되고, 타단은 바닥판에 고정되는 체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2단 적재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데, 체인에 승강이동바닥판이 고정되어 있어 체인의 흔들림에 따라 승강이동바닥판이 흔들려 적재되어 있는 화물이 떨어지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승강이동바닥판의 4군데 모서리에서 유압실린더에 의한 이동량이 모두 같아져야만 동일한 높이차로 승강이동판이 이동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해결책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074936호에 제안되어 있는 착탈 자재인 2층마루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상이 있다.
상기 공개특허에는 착탈 자재인 2층마루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상(상자)이고, 상기 하상의 벽부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안내레일과 그 안내레일 내 슬라이드에 수납된 슬라이드블록과 그 슬라이드블록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와 상기 슬라이드블록으로부터 신장해, 상기 2층마루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팽출부를 가지고, 상기 하상에 승강 가능에 설치된 2층마루의 상기 슬라이드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팽출부가 아래로부터 감합 가능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2층마루를 상기 하상 안에 설치할 때는 상기 하상 안에 위치하는 상기 2층마루의 상기 오목부에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상기 팽출부를 아래로부터 하상에 감합시키는 발명이 제안되어 있는데, 슬라이드블록을 승강장치의 와이어에 의해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구체적인 구성이 제안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와이어의 이동량과 2층마루의 이동량이 같아서 유압실린더나 공압실린더에 의해 구동할 경우 구동에 필요한 행정거리 즉, 실린더로드의 행정거리가 길어짐으로써 차량의 설치가 어렵고 힘의 전달 또한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739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074936호
따라서 본 발명은 화물차량에 설치되는 적재장치를 제공하되, 차량의 적재함에 외부몸체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외부몸체 내에는 외부몸체를 따라 이동되도록 2층몸체를 설치하여, 구동장치에 의해 2층몸체가 승강될 수 있어 차량에 적재되는 화물의 양을 늘릴 수 있는 차량용 2단 적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외부몸체 내에 가이드포스트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포스트를 따라 2층몸체와 고정된 고정블록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2층몸체의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2층몸체의 상승 뒤에는 핀구동실린더에 의해 안전핀이 2층몸체와 외부몸체를 고정시켜 2층몸체에 적재된 화물의 중량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2층몸체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 차량용 2단 적재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실린더에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로드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스프라켓의 반대편에 고정스프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이동스프라켓과 고정스프라켓 사이에 체인을 걸어서 실린더로드의 이동량보다 2층몸체의 이동량을 커지도록 함으로써 실린더에 의한 유압력의 전달력을 높이고 실린더로드의 행정거리를 줄여 차량의 설치를 간편하게 한 차량용 2단 적재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외부몸체의 일측에 도어를 구성하되, 상기 도어가 와이어의 작동에 의해 승강되고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화물의 적재를 쉽게하고 도어의 개폐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2단 적재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2단 적재장치는 화물용 차량에 설치되는 2단 적재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함에 고정 설치되는 외부몸체와, 상기 외부몸체 내에 설치되어 외부몸체를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2층몸체와, 상기 2층몸체의 승강을 위한 구동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장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2층몸체가 외부몸체를 따라 승강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2단 적재장치는 화물차량에 설치되는 적재장치를 제공하되, 차량의 적재함에 외부몸체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외부몸체 내에는 외부몸체를 따라 이동되도록 2층몸체를 설치하여, 구동장치에 의해 2층몸체가 승강될 수 있어 차량에 적재되는 화물의 양을 늘릴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외부몸체 내에 가이드포스트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포스트를 따라 2층몸체와 고정된 고정블록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2층몸체의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2층몸체의 상승 뒤에는 핀구동실린더에 의해 안전핀이 2층몸체와 외부몸체를 고정시켜 2층몸체에 적재된 화물의 중량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2층몸체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 효과와 함께, 실린더에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로드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스프라켓의 반대편에 고정스프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이동스프라켓과 고정스프라켓 사이에 체인을 걸어서 실린더로드의 이동량보다 2층몸체의 이동량을 커지도록 함으로써 실린더에 의한 유압력의 전달력을 높이고 실린더로드의 행정거리를 줄여 차량의 설치를 간편하게 효과가 있으며, 상기 외부몸체의 일측에 도어를 구성하되, 상기 도어가 와이어의 작동에 의해 승강되고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화물의 적재를 쉽게 하고 도어의 개폐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예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구동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의 구성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의 작동예시도
본 발명은 화물차량에 설치되는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적재함에 외부몸체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외부몸체 내에는 외부몸체를 따라 이동되도록 2층몸체를 설치하여, 구동장치에 의해 2층몸체가 승강될 수 있어 차량에 적재되는 화물의 양을 늘릴 수 있는 차량용 2단 적재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예시도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구동장치의 구성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2단 적재장치는 화물용 차량의 적재함에 고정 설치되는 외부몸체(10)와, 상기 외부몸체 내에 설치되어 외부몸체(10)를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2층몸체(20)와, 상기 2층몸체(20)의 승강을 위한 구동장치(30)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장치(30)는 유압실린더(31)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실린더(31)에 의해 2층몸체(20)가 외부몸체(10)를 따라 승강되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본 발명이 사용될 수 있는 차량은 화물이 실릴 수 있도록 적재함(CB)이 구비되어 있는 화물차량(C)이며, 상기 외부몸체(10)는 화물차량의 적재함(CB)과 고정 설치된다.
상기 외부몸체(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상자의 형상이고, 상기 외부몸체(10) 내에는 외부몸체(10)를 따라 승강되도록 2층몸체(20)가 설치된다.
상기 2층몸체(20)는 구동장치(30)에 구동되는데, 상기 구동장치(30)는 유압실린더(3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압실린더(31)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모터를 비롯한 유압구동장치(2)에 의해 작동되며, 이러한 유압구동장치(2)는 차량의 엔진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동력은 조작장치(3)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조작장치(3)는 무선방식의 리모콘일 수 있다.
구동장치(3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구동장치(30)는 외부몸체(10) 내에 설치되는 가이드포스트(33)와, 상기 가이드포스트(33)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유압실린더(31)와, 상기 유압실린더(31)의 실린더로드(32)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이동스프라켓(34)과, 상기 이동스프라켓(34)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36)에 의해 이동되며 2층몸체(20)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고정블록(35)과, 상기 고정블록(35)에 일측에 고정되며 타측은 체인고정수단(39)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체인(36)으로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로드(32)가 유압실린더(31) 내로 들어가고 나오는 동작을 통해 고정블록(35)이 가이드포스트(33)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2층몸체(20)가 승강된다.
먼저, 가이드포스트(33)는 외부몸체(10)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기둥이며, 도시된 실시예는 외부몸체(10)의 4군데에 총 4개의 가이드포스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포스트(33)의 일측에는 유압실린더(31)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유압실린더(31) 내를 들어가고 나오는 동작을 수행하는 실린더로드(32)의 일측에는 이동스프라켓(34)이 고정 결합된다.
상기 이동스프라켓(34)에는 체인(36)이 걸려 있으며, 상기 체인(36)의 끝부분에는 고정블록(35)이 고정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블록(35)은 2층몸체(20)와 고정결합되어 있어 실린더로드(32)가 도 5의 아래쪽으로 이동되면 체인(36)에 의해 고정블록(35)이 상승되고 이로써 2층몸체(20)는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스프라켓(34)의 반대편에는 고정스프라켓(37)이 설치되어 실린더로드(32)의 작동거리에 비해 2층몸체(20)와 고정되어 있는 고정블록(35)의 이동거리가 배가된다.
즉, 이동스프라켓(34)에는 체인(36)이 걸려있고, 상기 체인(36)의 한쪽은 체인고정수단(39)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반대쪽은 고정블록(35)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동스프라켓(34)이 도면의 아래쪽으로 1m 이동하게 되면, 고정블록(35)은 2m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실린더로드(32)의 작동과 이동스프라켓(34) 및 고정스프라켓(37)의 구성으로 인해 실린더로드(32)의 이동량에 비해 2층몸체(20)의 이동량이 배가됨으로써 실린더로드(32)의 행정거리가 짧더라도 2층몸체(20)의 이동거리를 늘릴 수 있고, 이는 실린더로드(32)에 가해지는 힘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실린더로드(32)의 힘이 작용되는 작용점과 실린더로드(32)를 지지하는 지지점이 상대적으로 가까워질 수 있어서 2층몸체(20)에 대한 보다 안정적인 이동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2층몸체(20)의 경우, 2층몸체(20)의 크기에 따라 많은 양의 화물이 동시에 실릴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많은 하중이 2층몸체(20)에 실리므로, 2층몸체(20)의 안정적인 승강과 고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스프라켓(34)의 일측에는 가이드블록(38)이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블록(38)은 가이드포스트(33)를 따라 안내되어 이동되고, 고정블록(35) 역시 가이드포스트(33)를 따라 안내된 상태에서 이동됨으로써, 2층몸체(20)의 안정적인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포스트(33)가 이동스프라켓(34)의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블록(38)과 고정블록(35)의 이동을 동시에 가이드해줌으로써 2층몸체의 승강은 가이드포스트(33)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2층몸체(20)는 완전한 상승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핀구동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안전핀(도시하지 않음)이 2층몸체(20)와 외부몸체(10)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2층몸체(20)의 낙하를 방지하게 된다.
즉, 도 1과 같이 2층몸체(20)가 외부몸체(10)의 바닥면으로 내려와 있는 상태에서 자전거와 같은 화물을 2층몸체(20)에 실고, 도 2와 같이 2층몸체(20)를 완전히 상승시킨 뒤 외부몸체(10) 내에도 화물을 실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2층몸체(20)가 상승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물을 실게 되므로, 2층몸체(20)의 추락은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2층몸체(20)가 완전히 상승된 다음에는 안전핀이 2층몸체(20)에서 외부몸체(10) 쪽으로 이동되고, 이로써 2층몸체(20)의 위치가 안전핀에 의해 외부몸체(10)와 완전히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안전장치는 2층몸체(20)의 여러 군데에 설치하여 동시에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2층몸체(20)에 화물을 싣고 도 2와 같이 상승시킨 뒤 외부몸체(10) 내에도 화물을 싣고 나면 전체적인 높이가 상승되어 운행중 위험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2층몸체(20)를 화물의 높이만큼 하강시켜 운행에 대한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안전핀에 의한 안전장치는 외부몸체(10)의 여러 군데에 설치하여 2층몸체(20)의 정지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의 구성도로써, 상기 외부몸체(10)의 일측에는 개폐가 가능한 도어(40)가 설치되되, 상기 도어(40)는 도어(40)의 일측에 결합된 와이어(41)와, 상기 와이어(41)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42)와, 외부몸체(10)와 고정된 가이드프레임(48)과, 상기 가이드프레임(48)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록(47)에 의해 외부몸체(10)를 따라 상하로 승강되게 된다.
따라서, 도어(40)가 하강된 상태에서 짐을 싣고 도어(40)를 상승시킨 뒤 도어(40)에 실린 화물을 2층몸체(20)나 외부몸체(10) 내에 넣고 다시 도어(40)를 하강시켜 화물을 실을 수 있으므로, 화물의 승하차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40)는 와이어(41)에 의해 상승하다가 일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고정홀에 힌지(43)가 끼워지고, 이후 와이어(41)를 계속하여 롤러(45)에 권취하면 힌지(43)를 중심으로 회동됨으로써 도어(40)가 닫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도어(40)는 도어에 대한 승강작업과 도어를 열고 닫는 개폐작업을 두 개의 구동장치로써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데, 도어(40)의 승강동작은 도 7에 의해 알 수 있다.
즉, 도어(40)가 아래로 내려와 있는 상태에서 실린더(48) 내에서 실린더로드(49)가 나오게 되면, 상기 실린더로드(49)의 끝단에 결합된 작동판(50)이 화살표 방향 즉, 실린더(48)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로써 와이어(51)를 잡아당기게 되며, 상기 와이어(51)의 끝단은 도어프레임(55)과 고정결합되어 있어 도어프레임(55)을 잡아당겨 결국 도어(40)가 위로 올라가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51)는 두 줄의 와이어가 하나의 작동판(50)에 의해 같이 움직이게 되어 도어(40)의 승강량이 같아지게 되고, 방향전환롤러들(52, 53)과 지지롤러(54)에 의해 방향이 전환됨으로써 도어(40)의 승강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8은 도어의 작동예시도로써 도어가 닫히고 열리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어의 개폐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도어(40)의 일측 즉, 도어프레임(55)에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51)에 의해 도어(40)가 상승된 다음 도어(40)에 형성된 끼움홀(46)에 힌지(43)를 끼우고 이 상태에서 와이어(41)를 감으면 도어(40)는 힌지(43)에 의해 상승되지 못하게 되어 상기 힌지(43)를 중심으로 회동되므로 결국 도어(40)가 닫히게 된다.
반대의 동작은 상기 끼움홀에 힌지(40)가 끼워진 상태에서 와이어(41)를 풀면 도어가 힌지(40)를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회전하고, 도어(40)의 회전에 의해 개방된 다음 끼움홀(46)에 끼워져 있는 힌지(40)를 빼내고 이 상태에서 실린더(48)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51)를 풀면 도어(40)가 아래로 내려오게 되며, 이러한 힌지(43)의 동작은 힌지(43)를 구동할 수 있는 별도의 구동모터나 구동실린더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는 지지봉(44)으로써 와이어(41)의 이동경로를 안내해주는 구성이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2단 적재장치는 화물차량에 설치되는 적재장치를 제공하되, 차량의 적재함에 외부몸체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외부몸체 내에는 외부몸체를 따라 이동되도록 2층몸체를 설치하여, 구동장치에 의해 2층몸체가 승강될 수 있어 차량에 적재되는 화물의 양을 늘릴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외부몸체 내에 가이드포스트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포스트를 따라 2층몸체와 고정된 고정블록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2층몸체의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2층몸체의 상승 뒤에는 핀구동실린더에 의해 안전핀이 2층몸체와 외부몸체를 고정시켜 2층몸체에 적재된 화물의 중량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2층몸체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 효과와 함께, 실린더에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로드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스프라켓의 반대편에 고정스프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이동스프라켓과 고정스프라켓 사이에 체인을 걸어서 실린더로드의 이동량보다 2층몸체의 이동량을 커지도록 함으로써 실린더에 의한 유압력의 전달력을 높이고 실린더로드의 행정거리를 줄여 차량의 설치를 간편하게 효과가 있으며, 상기 외부몸체의 일측에 도어를 구성하되, 상기 도어가 와이어의 작동에 의해 승강되고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화물의 적재를 쉽게 하고 도어의 개폐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엔진 2. 유압구동장치 3. 조작장치
10. 외부몸체
20. 2층몸체
30; 구동장치
31. 유압실린더 32. 실린더로드 33. 가이드포스트
34. 이동스프라켓 35. 고정블록 36. 체인
37. 고정스프라켓 38. 가이드블록
40. 도어 41. 와이어 42. 구동모터
43. 힌지 44. 지지봉 45. 롤러
46. 끼움홀 47. 이동블록 48. 실린더
49. 실린더로드 50. 작동판 51. 와이어
52, 53. 방향전환롤러 54. 지지롤러 55. 도어프레임

Claims (7)

  1. 화물용 차량에 설치되는 2단 적재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함에 고정 설치되는 외부몸체(10)와, 상기 외부몸체 내에 설치되어 외부몸체(10)를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2층몸체(20)와, 상기 2층몸체(20)의 승강을 위한 구동장치(30)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장치(30)는 유압실린더(31)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실린더(31)에 의해 2층몸체(20)가 외부몸체(10)를 따라 승강되며,
    상기 외부몸체(10)의 일측에는 개폐가 가능한 도어(40)가 설치되되, 상기 도어(40)는 도어(40)가 아래로 내려와 있는 상태에서 실린더(48) 내에서 실린더로드(49)가 나오게 되면, 상기 실린더로드(49)의 끝단에 결합된 작동판(50)이 실린더(48)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로써 와이어(51)를 잡아당기게 되며, 상기 와이어(51)의 끝단은 도어프레임(55)과 고정결합되어 있어 도어프레임(55)을 잡아당겨 도어(40)가 위로 올라가게 되는 것이 특징인 차량용 2단 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30)는 외부몸체(10) 내에 설치되는 가이드포스트(33)와, 상기 가이드포스트(33)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유압실린더(31)와, 상기 유압실린더(31)의 실린더로드(32)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이동스프라켓(34)과, 상기 이동스프라켓(34)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36)에 의해 이동되며 2층몸체(20)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고정블록(35)과, 상기 고정블록(35)에 일측에 고정되며 타측은 체인고정수단(39)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체인(36)으로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로드(32)가 유압실린더(31) 내로 들어가고 나오는 동작을 통해 고정블록(35)이 가이드포스트(33)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2층몸체(20)가 승강되는 것이 특징인 차량용 2단 적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스프라켓(34)의 반대편에는 고정스프라켓(37)이 설치되어 실린더로드(32)의 작동거리에 비해 2층몸체(20)에 고정된 고정블록(35)의 이동거리가 배가되는 것이 특징인 차량용 2단 적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스프라켓(34)의 일측에는 가이드블록(38)이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블록(38)은 가이드포스트(33)를 따라 안내되어 이동되고, 고정블록(35) 역시 가이드포스트(33)를 따라 안내된 상태에서 이동됨으로써, 2층몸체(20)의 안정적인 승강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차량용 2단 적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층몸체(20)는 완전한 상승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핀구동실린더에 의해 안전핀이 2층몸체(20)와 외부몸체(10)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2층몸체(20)의 낙하를 방지한 것이 특징인 차량용 2단 적재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40)는 와이어(51)에 의해 상승하다가 일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고정홀에 힌지(43)가 끼워지고, 이후 와이어(41)를 롤러에 권취하면 힌지(43)를 중심으로 회동됨으로써 도어(40)가 닫히는 것이 특징인 차량용 2단 적재장치.
KR1020170177680A 2017-12-22 2017-12-22 차량용 2단 적재장치 KR101851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680A KR101851110B1 (ko) 2017-12-22 2017-12-22 차량용 2단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680A KR101851110B1 (ko) 2017-12-22 2017-12-22 차량용 2단 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110B1 true KR101851110B1 (ko) 2018-04-20

Family

ID=62088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680A KR101851110B1 (ko) 2017-12-22 2017-12-22 차량용 2단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11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365B1 (ko)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KR20150129434A (ko)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US3371805A (en) Combined elevat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cargo platforms
KR101851110B1 (ko) 차량용 2단 적재장치
KR101451388B1 (ko) 화물차용 상·하차 리프트 장치
KR100967241B1 (ko)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량
KR200340446Y1 (ko) 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KR101771431B1 (ko)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덮개장치
KR20190027145A (ko)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장치
KR101345612B1 (ko) 차량 탑재용 화물 리프팅장치
JP6099079B2 (ja) 拡幅車体
KR20110000864A (ko) 적재함용 화물 운반장치
KR200273150Y1 (ko) 가변식 적재함을 구비한 윙바디 트레일러
KR200483239Y1 (ko) 수직형 리프트 게이트
KR101946962B1 (ko) 자바라 타입의 블라인드가 구비된 특장차
JP5364536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6099077B2 (ja) 拡幅車体
KR102655592B1 (ko) 적재함 높이 가변형 탑차
CN104340572B (zh) 一种垃圾压缩中转站及其垃圾转运车箱
JPS6215069Y2 (ko)
JP4153701B2 (ja) 貨物自動車の荷役装置
KR101155086B1 (ko)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
JP5134902B2 (ja) フォーク式立体駐車装置
KR101085545B1 (ko)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이 가능한 화차
KR0118781Y1 (ko) 화물 상, 하차 장치를 갖는 자동차의 적재함 후미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