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086B1 -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 - Google Patents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086B1
KR101155086B1 KR1020110066959A KR20110066959A KR101155086B1 KR 101155086 B1 KR101155086 B1 KR 101155086B1 KR 1020110066959 A KR1020110066959 A KR 1020110066959A KR 20110066959 A KR20110066959 A KR 20110066959A KR 101155086 B1 KR101155086 B1 KR 101155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gate
support plate
vehicle
hydraulic cylinder
car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병삼
Original Assignee
(주)새한에어서스펜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한에어서스펜션 filed Critical (주)새한에어서스펜션
Priority to KR1020110066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8Multilevel-deck construction 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60P1/267Controlling degree of tailboard or sideboard movement in dependence upon degree of tipping movement, e.g. by linkage or c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대의 차량을 상?하부에 나누어 적재할 수 있도록 상부 적재함과 하부 적재함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적재함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상?하부 적재함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각각 한 쌍의 프런트 포스트와 리어 포스트가 설치되는 카 캐리어 차량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적재함의 끝단에 힌지결합되며 하부 적재함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놓여져 차량의 이동을 지지하는 경사지지판 및 상기 경사지지판의 내부에 삽입되었다가 차량이 적재되거나 바닥에 내려질 때 지면으로 펼쳐지는 보조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리어 게이트와; 상기 리어 포스트에 설치되되 리어 게이트 방향으로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경사지지판에 양측 끝단이 각각 결합되며 리어 게이트를 고정하거나 개방하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하부 적재함에 차량을 적재한 후 탑승자가 하차할 때 상기 유압실린더에 걸리지 않도록 유압실린더를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는 장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FOLDING STRUCTURE FOR REAR GATE OF A CAR CARRIER}
본 발명은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대의 차량을 상?하부에 나누어 적재할 수 있도록 상부 적재함과 하부 적재함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적재함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상?하부 적재함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각각 한 쌍의 프런트 포스트와 리어 포스트가 설치되는 카 캐리어 차량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적재함의 끝단에 힌지결합되며 하부 적재함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놓여져 차량의 이동을 지지하는 경사지지판 및 상기 경사지지판의 내부에 삽입되었다가 차량이 적재되거나 바닥에 내려질 때 지면으로 펼쳐지는 보조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리어 게이트와; 상기 리어 포스트에 설치되되 리어 게이트 방향으로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경사지지판에 양측 끝단이 각각 결합되며 리어 게이트를 고정하거나 개방하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하부 적재함에 차량을 적재한 후 탑승자가 하차할 때 상기 유압실린더에 걸리지 않도록 유압실린더를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는 장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 생산지로부터 출고된 승용차 또는 화물차량을 야적장이나 구매자에게 배송하기 위해서는 차량을 용이하게 적재하기 위한 적재함이 장착되어진 카 캐리어 차량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특정 장소로 운송하고자 하는 차량을 승강베드의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그룹을 짓거나 끝과 끝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시켜 종렬을 이루게 하여 운송하는 것이 상례이다.
위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카 캐리어 차량에 장착된 승강베드는 무엇보다도 차량을 용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적재하고 하차시킬 수 있어야 하고, 제한된 적재 공간으로부터 보다 많은 차량을 적재함으로서 물류 이송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카 캐리어 차량은 보다 많은 차량을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도록 적재함이 상하 2단으로 만들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하부 적재함에 상부 적재함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통상의 카 캐리어 차량은 상부 적재함에 차량을 적재한 후 하부 적재함에 차량을 연속적으로 적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의 카 캐리어 차량에는 하부 적재함의 후방에 설치되며 필요시 후방으로 경사지게 놓여져 차량의 이동을 지지하는 경사지지판과, 상기 경사지지판의 내부에 삽입되었다가 외부로 인출되어 지면에 맞닿으면서 차량을 적재하거나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회전지지판 및 상기 회전지지판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어 게이트가 형성된다.
종래의 리어 게이트에 설치되는 접이실린더는 양측 끝단이 각각 상기 하부 적재함의 모서리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경사지지판에 고정되어 있어 하부 적재함에 차량을 적재한 다음 운전자가 하차할 때 차량의 문이 상기 접이실린더에 걸려 운전석으로 내리지 못하고 뒷쪽으로 이동하여 뒷문으로 내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행법상 차량의 적재가 완료된 후에는 하부 적재함에 적재된 차량이 이동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리어 게이트를 닫아야 하지만 차량을 적재할 때 상기 리어 게이트의 경사지지판을 후방으로 경사지게 놓고 경사지지판의 끝단까지 최대한 많은 수의 차량을 적재한 다음 리어 게이트가 개방된 상태로 차량을 이동하고 있어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하부적재함에 차량을 적재한 다음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하차할 때 실린더에 운전석 문이 걸려 운전자가 뒷문으로 하차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여러 대의 차량을 상?하부에 나누어 적재할 수 있도록 상부 적재함과 하부 적재함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적재함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상?하부 적재함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각각 한 쌍의 프런트 포스트와 리어 포스트가 설치되는 카 캐리어 차량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적재함의 끝단에 힌지결합되며 하부 적재함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놓여져 차량의 이동을 지지하는 경사지지판 및 상기 경사지지판의 내부에 삽입되었다가 차량이 적재되거나 바닥에 내려질 때 지면으로 펼쳐지는 보조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리어 게이트와; 상기 리어 포스트에 설치되되 리어 게이트 방향으로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경사지지판에 양측 끝단이 각각 결합되며 리어 게이트를 고정하거나 개방하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하부 적재함에 차량을 적재한 후 탑승자가 하차할 때 상기 유압실린더에 걸리지 않도록 유압실린더를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는 장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유압실린더는 리어 게이트가 열리거나 닫힐 때 그 하중에 의해 장공을 따라 자연스럽게 승?하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공은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적재함에 차량을 적재한 다음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하차할 때 실린더에 운전석 문이 간섭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카 캐리어 차량에 차량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가 열릴 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가 닫힐 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대의 차량을 상?하부에 나누어 적재할 수 있도록 상부 적재함(1)과 하부 적재함(2)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적재함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상?하부 적재함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각각 한 쌍의 프런트 포스트(3)와 리어 포스트(4)가 설치되는 카 캐리어 차량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적재함(2)의 끝단에 힌지결합되며 하부 적재함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놓여져 차량의 이동을 지지하는 경사지지판(11) 및 상기 경사지지판의 내부에 삽입되었다가 차량이 적재되거나 바닥에 내려질 때 지면으로 펼쳐지는 보조지지판(12)으로 이루어지는 리어 게이트(10)와; 상기 리어 포스트(4)에 설치되되 리어 게이트(10) 방향으로 설치되는 브라켓(20)과; 상기 브라켓(20)과 경사지지판(11)에 양측 끝단이 각각 결합되며 리어 게이트(10)를 고정하거나 개방하는 유압실린더(30); 및 상기 하부 적재함(2)에 차량을 적재한 후 탑승자가 하차할 때 상기 유압실린더(30)에 걸리지 않도록 유압실린더(30)를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브라켓(20)에 형성되는 장공(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카 캐리어 차량은 차량을 상하로 적재할 수 있도록 상?하부 적재함(1,2)이 구비되고, 상?하부 적재함의 각 모서리에는 각각 수직으로 한 쌍의 프런트 포스트(3)와 리어 포스트(4)가 설치되며, 각 프런트 포스트와 리어 포스트의 내부에는 상부 적재함을 승하강 시키기 위한 승강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적재함이 상부로 승강할 때 적재되는 차량의 하중을 견디고 더욱 원활히 상승할 수 있도록 프런트 포스트와 리어 포스트의 사이에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대각 실린더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 캐리어 차량은 상기 하부 적재함(2)에 차량이 적재될 수 있도록 하부 적재함의 끝단에 힌지결합되어 유압실린더(30)에 의해 개폐되는 리어 게이트(10)가 설치된다.
상기 리어 게이트(10)는 하부 적재함(2)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놓여져 차량의 이동을 지지하는 경사지지판(11)과, 상기 경사지지판의 내부에 삽입되었다가 차량이 적재되거나 바닥에 내려질 때 외부로 빠져나와 지면에 펼쳐지는 보조지지판(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어 게이트(10)는 하부 적재함(2)에 차량이 적재될 때는 개방된 다음 상기 경사지지판(11)으로부터 보조지지판(12)이 인출되면서 지면에 접촉하여 차량의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차량의 적재가 완료된 후에는 보조지지판(12)이 경사지지판(11)의 내부로 인입된 다음 리어 게이트(10)가 닫히면서 차량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어 포스트(4)에는 리어 게이트(10) 방향으로 대략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브라켓(20)이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20)에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장공(2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리어 게이트(10)를 개방하는 유압실린더(30)는 양측이 각각 상기 브라켓(20)과 경사지지판(11)에 결합되는데, 유압실린더의 몸체(31)는 브라켓의 장공(21)에 삽입되어 장공을 따라 승하강하게 되고 유압실린더의 연장부(32)는 경사지지판(11)의 일측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유압실린더의 연장부(32)가 몸체(31)로부터 인출되어 리어 게이트(10)가 개방되면서 경사지지판(11)이 하부 적재함(2)과 수평을 이루게 되면 경사지지판(11)으로부터 보조지지판(12)이 인출 후, 지면에 닿을 때 유압실린더(30)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유압실린더의 몸체(31)가 장공(21)을 따라 하부로 자중 하강하는 작동원리를 갖게 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하부 적재함(2)에 차량을 적재한 운전자는 유압실린더(30)의 간섭으로부터 자유롭게 하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리어 게이트(10)가 하강할 때 유압실린더(30)는 연장부(32)가 인출되더라도 리어 게이트(10)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보조지지판(12)이 외부로 인출되어 지면에 닿게 되면 그 하중에 의해 장공(21)을 따라 자중 하강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리어 게이트(10)가 닫힐 때에는 보조지지판(12)이 경사지지판(11)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그 후에 유압실린더의 연장부(32)가 몸체(31)로 들어가면서 상기 경사지지판(11)을 잡아당기게 되는데, 이때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30)에 리어 게이트의 하중이 걸리므로 유압실린더(30)가 수축될 때 d1의 거리가 d2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므로 유압실린더가 장공을 따라 상승하면서 리어게이트가 상승하기 위한 원활한 각도를 형성하면서 리어 게이트를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상부 적재함 2 : 하부 적재함
3 : 프런트 포스트 4 : 리어 포스트
10 : 리어 게이트 11 : 경사 지지판
12 : 보조 지지판 20 : 브라켓
21 : 장공 30 : 유압실린더
31 : 몸체 32 : 연장부

Claims (3)

  1. 여러 대의 차량을 상?하부에 나누어 적재할 수 있도록 상부 적재함과 하부 적재함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적재함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상?하부 적재함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각각 한 쌍의 프런트 포스트와 리어 포스트가 설치되는 카 캐리어 차량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적재함의 끝단에 힌지결합되며 하부 적재함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놓여져 차량의 이동을 지지하는 경사지지판 및 상기 경사지지판의 내부에 삽입되었다가 차량이 적재되거나 바닥에 내려질 때 지면으로 펼쳐지는 보조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리어 게이트;
    상기 리어 포스트에 설치되되 리어 게이트 방향으로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과 경사지지판에 양측 끝단이 각각 결합되며 리어 게이트를 고정하거나 개방하는 유압실린더;
    상기 하부 적재함에 차량을 적재한 후 탑승자가 하차할 때 상기 유압실린더에 걸리지 않도록 유압실린더를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는 장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유압실린더는 리어 게이트가 열리거나 닫힐 때 그 하중에 의해 장공을 따라 자연스럽게 승?하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은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
  3. 삭제
KR1020110066959A 2011-07-06 2011-07-06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 KR101155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959A KR101155086B1 (ko) 2011-07-06 2011-07-06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959A KR101155086B1 (ko) 2011-07-06 2011-07-06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5086B1 true KR101155086B1 (ko) 2012-06-11

Family

ID=46607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959A KR101155086B1 (ko) 2011-07-06 2011-07-06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0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8267A (ko) * 2019-04-03 2020-10-15 주식회사 태건특장 가변 경사로가 구비된 적재함을 갖는 트럭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815Y1 (ko) * 2000-09-22 2001-03-15 이성열 차량 운송용 적재함
KR100987538B1 (ko) * 2008-10-24 2010-10-12 박순용 차량운반용 트럭의 하판 경사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815Y1 (ko) * 2000-09-22 2001-03-15 이성열 차량 운송용 적재함
KR100987538B1 (ko) * 2008-10-24 2010-10-12 박순용 차량운반용 트럭의 하판 경사적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8267A (ko) * 2019-04-03 2020-10-15 주식회사 태건특장 가변 경사로가 구비된 적재함을 갖는 트럭
KR102256672B1 (ko) 2019-04-03 2021-05-28 주식회사 태건특장 가변 경사로가 구비된 적재함을 갖는 트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75660A (zh) 具有快速装载/卸载的货物舱的卡车车体
JP2009120202A (ja) 貨物用上段ラックおよび貨物用下段ラック
US20150239389A1 (en) Latching/locking system for truck hoist mounted cargo pods
WO2013178502A1 (en) A platform system for a cargo compartment of a truck, lorry or trailer
KR100987538B1 (ko) 차량운반용 트럭의 하판 경사적재장치
KR101422672B1 (ko)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
KR20150003704A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장치
US11654814B2 (en) Truck trailer with deck-level and curb-level unloading capability and additional cubic capacity
KR101155086B1 (ko)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
JP5869962B2 (ja) 荷受台および荷受台昇降装置
KR101451388B1 (ko) 화물차용 상·하차 리프트 장치
KR101065389B1 (ko) 적재함용 화물 운반장치
KR101427372B1 (ko) 2단 리프터블 카데크 지지용 필러
KR20130052244A (ko)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장착
JP6072969B1 (ja) 可動荷台付きトラック
KR20170060256A (ko) 셀프 승강 리프트
JP4429225B2 (ja) トラックおよび鉄道輸送兼用コンテナーならびに該コンテナー用のトラック車両
JP7212659B2 (ja) 荷箱移動機構
KR101605480B1 (ko)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JP2016022869A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JP4221651B2 (ja) 着脱式運搬車搭載物
KR102597345B1 (ko) 차량용 리프트
KR200476662Y1 (ko) 트럭 적재함용 이동식 펜스 장치
JP2013103712A (ja) 線材コイル等積載用可動ラック装置、及びトラック又はトレーラー
KR20130049648A (ko)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