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345B1 - 차량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345B1
KR102597345B1 KR1020230073016A KR20230073016A KR102597345B1 KR 102597345 B1 KR102597345 B1 KR 102597345B1 KR 1020230073016 A KR1020230073016 A KR 1020230073016A KR 20230073016 A KR20230073016 A KR 20230073016A KR 102597345 B1 KR102597345 B1 KR 102597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lifting
base portion
guid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3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현모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현모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현모터스
Priority to KR1020230073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60P1/4421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the loading platform being carried in at least one vertical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리프트를 구성하는 베이스를 단일관체로 형성하여 종래 차량용 리프트 대비 약 20% 내지 30% 정도 작은 사이즈로 제작하면서 중량을 감소할 수 있고, 간소화된 구조로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 리프트 처럼 2개의 관체를 용접이나 볼트로 결합하는 공정이 발생되지 않아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종래 차량용 리프트 대비 약 20% 내지 30% 정도 작은 사이즈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인가공비용이 불필요하게 증가되지 않아 제조비용을 절감되고, 원가를 절감하여 판매단가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우수하며, 리프트의 승강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구성으로 전달되는 리프트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가이드 구성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는, 행거 프레임; 상기 행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걸이부; 및 상기 행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걸이부보다 상기 행거 프레임의 전방으로 더 돌출되는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걸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리프트{CAR LIFT}
본 발명은 차량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차량용 리프트에 비해 간소화된 구조와 작은 사이즈로 제작 가능하여 중량을 감소하면서 전체적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원가를 절감하여 판매단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으며, 강성을 확보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화물 적재함에 있는 화물을 하역시키거나, 지상에 있는 화물을 차량의 화물적재함에 용이하게 적재하기 위한 방안으로 리프트를 사용하게 된다.
리프트는 적재함에 적층된 화물을 게이트판에 적재한 후 프레임과 연결된 아암이 실린더의 작용으로 하강되어 게이트판이 지면에 닿으면 게이트판에 적재된 화물을 옮길 수 있게 되고, 지면에 닿은 게이트판에 화물을 적재한 후 승강하여 게이트판이 적재함의 바닥과 일치되면 게이트판에 적재된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리프트의 종래 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73284호, 명칭 : 트럭 적재함용 리프트 게이트가 제안된바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은 적재함(1)의 후단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선단의 피스톤(12)에 2개의 와이어 롤러(14)가 부착된 유압실린더(10)와, 상기 적재함(1)후단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와이어 롤러(22,24)와, 적재함(1)후단의 양측에 수직 으로 부착되며 상단에는 와이어 롤러(32,34)가 부착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30)과, 이 가이드 레일(30)내부에 설치되고 각각 상기 적재함(1)의 후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0) 선단의 와이어 롤러(14)와 적재함 후단 양측의 가이드 롤러(22,24) 및 가이드 레일(30)상단의 와이어 롤러(32,34)들을 통해 배선된 와이어(40)의 양단이 결합되어 유압실린더(10)의 신축작동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강체(50)와, 이 승강체(50)에 힌지결합되는 게이트(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10)는 피스톤(12)이 이중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피스톤이 이중으로 형성된 유압실린더를 사용함으로써 피스톤의 행정거리를 최대화시켜 리프트 게이트의 승강거리를 기존의 것보다 길게 할 수 있으므로 무거운 물건을 상하차 하기 용이하도록 만들어진 리프트 게이트의 높이를 바닥에서부터 적재함높이 뿐만 아니라 그보다 높은 위 치까지 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은 위치에서 물건을 적재함에 싣거나 적재함의 물건을 높은 위치로 올 리는 작업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리프트 게이트를 위한 가이드 레일이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하강시에는 내부 가이드 레일이 하방으로 신장되고 상승시에는 내부 가이드 레일이 외부 가이드 레일 속으로 수납되어 올라가게 되므로 가이드 레일의 높이가 높아져 울퉁불퉁한 길을 가거나 경사로를 주행하 더라도 트럭의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아 리프트 게이트의 승강안내가 원할하면서도 차량의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외부 가이드 레일의 중간부분에 스톱퍼를 힌지부착함으로써 이 스톱퍼를 외부 가이드 레일의 장공쪽으로 위치시키면 리프트 게이트를 적재함의 높이에 간편하게 맞출 수 있으므로 리프트 게이트의 조작이 한결 수월하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가이드 레일(30)의 후면에 보강을 위해 별도의 관체(도면부호 미표시)를 결합하였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30)과 관체를 용접이나 볼트로 결합하는 공정이 발생되어 제작이 용이하지 못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종래기술은 가이드 레일(30)의 후면에 보강을 위해 별도의 관체(도면부호 미표시)를 결합하였기 때문에, 사이즈가 불필요하게 커지고, 제조비용 및 판매단가가 불필요하게 상승되고는 문제점이 있으며, 인가공비용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며, 조립이 용이하지 못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328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리프트를 구성하는 베이스를 단일관체로 형성하여 중량을 감소하면서 간소화된 구조로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 리프트 처럼 2개의 관체를 용접이나 볼트로 결합하는 공정이 발생되지 않아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베이스를 단일관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종래 차량용 리프트 대비 약 20% 내지 30% 정도 작은 사이즈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인가공비용이 불필요하게 증가되지 않아 제조비용을 절감되고, 원가를 절감하여 판매단가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우수하며, 리프트의 승강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구성으로 전달되는 리프트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가이드 구성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는, 차량의 적재함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일면에 리프트부의 승강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 및 내부에 상기 가이드홀과 연결되는 수납실이 형성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수납실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리프트부의 승강을 가이드 하는 부가 가이드홀이 상기 가이드홀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승강가이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는 단일 관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수납실에는 상기 승강가이드부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보강지지부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보강지지부들을 상기 수납실에 각각 인입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인입홀이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지지부는 상기 인입홀을 통해 수행되는 용접작업에 의해 상기 수납실에서 고정되며, 상기 인입홀은 용접작업 시 베이스부의 녹는 부위에 의해 폐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는, 리프트를 구성하는 베이스를 단일관체로 형성하여 중량을 감소하면서 간소화된 구조로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 리프트 처럼 2개의 관체를 용접이나 볼트로 결합하는 공정이 발생되지 않아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베이스를 단일관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종래 차량용 리프트 대비 약 20% 내지 30% 정도 작은 사이즈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인가공비용이 불필요하게 증가되지 않아 제조비용을 절감되고, 원가를 절감하여 판매단가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우수하며, 리프트의 승강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구성으로 전달되는 리프트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가이드 구성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가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에 적용된 베이스부 및 승강가이드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가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에 적용된 베이스부 및 승강가이드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1)는, 종래 차량용 리프트에 비해 간소화된 구조와 작은 사이즈로 제작 가능하여 중량을 감소하면서 전체적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원가를 절감하여 판매단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특징 및 조립이 용이한 특징을 포함하며, 전술한 특징들을 포함하면서도 강성을 확보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발명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1)는, 베이스부(10)와, 승강가이드부(20)와, 보강지지부(30) 및 리프트부(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차량의 적재함(2)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베이스부(10)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적재함(2)의 끝부분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된다.
베이스부(10)는 적재함(2)에 결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그 상측과 하측이 각각 적재함(2)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돌출된다.
이러한 베이스부(10)의 설치구조를 통해 적재함(2)에 대한 리프트부(3)의 승강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베이스부(10)의 일면에는 리프트부(3)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10a)이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부(10)의 내부에는 가이드홀(10a)과 연결되는 수납실(10c)이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부(10)의 상면은 후술되는 승강가이드부(20)를 수납실(10c)에 인입시킬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10)의 저면은 승강가이드부(20)가 리프트부(3)와 함께 승강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베이스부(10)는 종래 이중 관체 구조를 갖는 리프트 장치와 달리 단일 관체 형상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1)는 종래 리프트 처럼 2개의 관체를 용접이나 볼트로 결합하는 공정이 발생되지 않아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부(10)를 단일 관체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간소화된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10)는 종래 차량용 리프트(1)의 대응되는 구성의 사이즈 보다 약 20% 내지 30% 정도 작은 사이즈로 제작되고, 인가공비용이 불필요하게 증가되지 않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1)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원가를 절감하여 종래 차량용 리프트(1) 대비 판매단가를 약 50% 정도로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특징 및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우수한 특징을 포함한다. 나아가, 전술한 특징들을 포함하면서도 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승강가이드부(20)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베이스부(10)의 수납실(10c)에 각각 수납된다.
승강가이드부(20)의 일면에는 전술한 가이드홀(10a)과 함께 리프트부(3)의 승강을 가이드 하는 부가 가이드홀(20a)이 가이드홀(10a)과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승강가이드부(20)는 수납실(10c)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으며, 하강될 시 일정영역이 베이스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승강가이드부(20)의 돌출된 영역 하단은 지면에 안착된다.
승강가이드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승강가이드부(20)가 수납실(10c)에 수용되더라도 빈 공간(S)이 발생된다.
빈 공간(S)에는 리프트부(3)를 승강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구성들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각종 구성들은 차량용 리프트(1)에서 상용화 된 구성들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승강가이드부(20)는 수납실(10c)에 수납됨에 따라 베이스부(10)의 일정영역 단면을 두껍게 한다. 이로 인해 베이스부(10)가 리프트부(3)의 하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부(10)의 경우 승강가이드부(20)를 감싸는 형태로 수납한다. 즉, 베이스부(10)가 승강가이드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어 승강가이드부(20)가 리프트부(3)의 하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리프트부(3)는 일정한 두께 및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프트부(3)는 일정영역이 가이드홀(10a) 및 부가 가이드홀(20a)에 공동으로 수용되고, 나머지 영역은 가이드홀(10a)의 외부로 돌출된다.
리프트부(3)는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원에 의해 가이드홀(10a) 및 부가 가이드홀(20a)을 따라 승강된다. 아울러, 리프트부(3)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 상태 또는 수평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을 주행중에는 리프트부(3)를 수직 상태로 설정하고, 운반물을 적재함(2)에 싣거나 내리고자 할 경우에는 리프트부(3)를 수평 상태로 설정한 다음 리프트부(3)를 승강시키면 된다.
이러한 리프트부(3)의 승강 작동과, 회동 작동 및 승강가이드부(20)의 승강작동은 차량용 적재함(2)에 설치되는 리프트에서 상용화 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보강지지부(30)는 베이스부(10)에 설치되어 승강가이드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이다.
보강지지부(30)는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지지부(30)의 일측에 손잡이(31)가 형성된다.
승강가이드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된다. 그 일예로, 보강지지부(30)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지지부(30)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수납실(10c)의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베이스부(10)에는 보강지지부(30)을 수납실(10c)에 인입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인입홀(10b)이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인입홀(10b)은 2개 한쌍으로 구성되어 베이스부(10)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인입홀(10b)은 보강지지부(30)들을 수납실(10c)에 각각 인입시킬 수 있도록 여러 쌍으로 형성되며, 베이스부(10)의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손잡이(31)를 파지한 다음, 어느 하나의 인입홀(10b)을 통해 보강지지부(30)를 수납실(10c)에 인입시키면 된다.
이때, 손잡이(31)는 일정영역이 베이스부(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아울러, 보강지지부(30)는 손잡이(31)가 연결되지 아니한 타측이 반대편에 위치한 다른 인입홀(10b)에 수용된다. 그리고, 보강지지부(30)는 수납실(10c)에 수납된 이후에 그 양측이 베이스부(10)에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용접작업 시 베이스부(10)는 및 보강지지부(30)는 용접봉에 의해 녹으면서 결합되는 바, 인입홀(10b)은 베이스부(10) 또는 보강지지부(30)의 녹는 부위(5)에 의해 폐쇄된다.
즉, 인입홀(10b)을 통해 용접작업을 수행하여 베이스부(10) 및 보강지지부(30)를 일체로 결합하면서 인입홀(10b)을 폐쇄할 수 있는 것이다.
보강지지부(30)는 복수개로 적용됨으로, 승강가이드부(20)에 고르게 분포된 상태에서 승강가이드부(20)의 후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승강가이드부(20)가 리프트부(3)의 하중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등 승강가이드부(20)가 변형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승강가이드부(20)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차량용 리프트 10 : 베이스부
10a : 가이드홀 10b : 인입홀
10c : 수납실 20 : 승강가이드부
20a : 부가 가이드홀 30 : 보강지지부
31 : 손잡이

Claims (4)

  1. 차량의 적재함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일면에 리프트부의 승강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 및 내부에 상기 가이드홀과 연결되는 수납실이 형성되며, 단일 관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수납실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리프트부의 승강을 가이드 하는 부가 가이드홀이 상기 가이드홀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승강가이드부를 포함하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수납실에는 상기 승강가이드부의 후면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보강지지부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보강지지부들을 상기 수납실에 각각 인입시키기 위한 인입홀이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입홀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베이스부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입홀은 여러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보강지지부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지지부들은 상기 인입홀에 각각 인입되어 상기 승강가이드부 상에 분포된 상태로 지지하며,
    상기 보강지지부는 상기 인입홀을 통해 수행되는 용접작업에 의해 상기 수납실에서 고정되고,
    상기 인입홀은 용접작업 시 베이스부의 녹는 부위에 의해 폐쇄되는 차량용 리프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30073016A 2023-06-07 2023-06-07 차량용 리프트 KR102597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3016A KR102597345B1 (ko) 2023-06-07 2023-06-07 차량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3016A KR102597345B1 (ko) 2023-06-07 2023-06-07 차량용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345B1 true KR102597345B1 (ko) 2023-11-07

Family

ID=88746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3016A KR102597345B1 (ko) 2023-06-07 2023-06-07 차량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3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8139A (ja) * 1995-03-31 1996-10-15 Nippon Furuhaafu Kk テ−ルゲ−トリフタの摺動構造
KR200273284Y1 (ko) 2001-11-23 2002-04-25 나상주 트럭 적재함용 리프트 게이트
JP2011105218A (ja) * 2009-11-19 2011-06-02 Nippon Lift Kk 昇降装置
JP2022044232A (ja) * 2020-09-07 2022-03-17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荷受台昇降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8139A (ja) * 1995-03-31 1996-10-15 Nippon Furuhaafu Kk テ−ルゲ−トリフタの摺動構造
KR200273284Y1 (ko) 2001-11-23 2002-04-25 나상주 트럭 적재함용 리프트 게이트
JP2011105218A (ja) * 2009-11-19 2011-06-02 Nippon Lift Kk 昇降装置
JP2022044232A (ja) * 2020-09-07 2022-03-17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荷受台昇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6318B1 (en) Carrier with lowered platform height
JP5827289B2 (ja) 貨物用ラック
JP3881369B2 (ja) 貨物用ラック
KR101700969B1 (ko) 스태커 크레인
KR101748445B1 (ko) 스태커 크레인
JP2020104768A (ja) コンテナ荷役車両
KR20110113415A (ko) 지게차용 마스트 조립체
KR102597345B1 (ko) 차량용 리프트
US20060070816A1 (en) Lift truck with central mast
JP6223390B2 (ja) 貨物用ラック
CN210102992U (zh) 一种集装箱中转台及集装箱转接系统
CN210101449U (zh) 一种升降装置及具有该升降装置的车辆运输车
KR20120080328A (ko) 카-캐리어의 상부 적재대 승강 장치
JP2014148310A (ja) 貨物用ラック
KR101464522B1 (ko) 스태커크레인
KR101155086B1 (ko)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
JP2594050Y2 (ja) 長尺重量物保管倉庫
JP5821823B2 (ja) 物品収納設備
KR102322021B1 (ko) 양방향 이송 대차
CN211594916U (zh) 运输装置
CN211617896U (zh) 一种厢体可移动可更换的厢式运输车
JP6662472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
JP6772851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
JP2001322479A (ja) 引き出し式昇降装置
JPH053445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