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445B1 - 스태커 크레인 - Google Patents
스태커 크레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8445B1 KR101748445B1 KR1020110139951A KR20110139951A KR101748445B1 KR 101748445 B1 KR101748445 B1 KR 101748445B1 KR 1020110139951 A KR1020110139951 A KR 1020110139951A KR 20110139951 A KR20110139951 A KR 20110139951A KR 101748445 B1 KR101748445 B1 KR 1017484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portions
- vehicle body
- support
- longitudinal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66F9/072—Travelling gear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상부 틀체의 제작의 용이함을 도모하면서도, 상부 틀체에서 전후의 지주를 적절하게 접속할 수 있는 스태커 크레인을 제공한다.
하부 틀체의 전후 양단부의 각각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전후의 지주(5F, 5R)의 상단부끼리를 접속하는 상부 틀체(6)가,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연장부(L), 및, 그 전후 연장부(L)의 차체 전후 방향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마스트 연결부(Fj, Rj)를 구비하는 상태로, 상하 방향을 따르는 판체로 형성된 주체 부분(6a)과, 그 주체 부분(6a)으로부터 차체 가로폭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고 또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수평 방향을 따르는 판체로 형성된 보강 부분(6b)으로 구성되고, 주체 부분(6a)에 있어서의 전후의 마스트 연결부(Fj, Rj)의 각각이, 전후의 지주(5F, 5R)의 측면부에 닿은 상태로, 전후의 지주(5F, 5R)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하부 틀체의 전후 양단부의 각각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전후의 지주(5F, 5R)의 상단부끼리를 접속하는 상부 틀체(6)가,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연장부(L), 및, 그 전후 연장부(L)의 차체 전후 방향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마스트 연결부(Fj, Rj)를 구비하는 상태로, 상하 방향을 따르는 판체로 형성된 주체 부분(6a)과, 그 주체 부분(6a)으로부터 차체 가로폭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고 또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수평 방향을 따르는 판체로 형성된 보강 부분(6b)으로 구성되고, 주체 부분(6a)에 있어서의 전후의 마스트 연결부(Fj, Rj)의 각각이, 전후의 지주(5F, 5R)의 측면부에 닿은 상태로, 전후의 지주(5F, 5R)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행 레일을 따라서 주행이 자유로운 주행륜(走行輪)을 전후 양단부에 구비한 하부 틀체와, 그 하부 틀체의 전후 양단부의 각각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전후의 지주(支柱)와, 그 전후의 지주의 상단부끼리를 접속하는 상부 틀체와, 상기 전후의 지주에서 승강이 자유롭게 안내되는 승강대를 구비한 스태커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스태커 크레인은, 통상 일반적으로,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부가 종횡으로 설치된 물품 수납선반에 대해서, 물품을 수납하는데에 사용되는 것으로 된다.
즉, 스태커 크레인이 물품 수납선반의 전면(前面)을 따라서 주행하고, 또한, 승강대가 승강하는 것에 의해, 승강대에 구비한 물품 이재(移載) 장치가, 물품 수납선반에 있어서의 수납부에 대한 물품 이재 위치, 물품 입고부에 대한 물품 이재 위치, 및, 물품 출고부에 대한 물품 이재 위치로 이동되고, 주로, 물품 입고부에 입고되는 물품을 수납부에 수납하는 입고 작업이나, 수납부에 수납된 물품을 물품 출고부에 출고하는 출고 작업을 행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은 스태커 크레인의 종래예로서, 상부 틀체가, 하기와 같이 구성된 것이 있다.
즉, 상부 틀체가, 좌우 한 쌍의 틀 부분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들 틀 부분이, 전후의 지주의 각각에 볼트 연결되는 전후 한 쌍의 접속판과,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부가 전후 한 쌍의 접속판에 볼트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한 쌍의 틀 부분이, 그들 사이에 전후의 지주를 위치시키는 상태로, 전후의 지주에 연결되어 있다.
접속판의 각각은, 지주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그 돌출부분에, 차체 전후 방향에서 볼 때 コ자 형상의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부 프레임이, 단면 형상이 コ자 형상의 형부재(型部材)에 의해 구성되고, 그 차체 전후 방향의 단부를, 접속판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시킨 상태로, 접속판에 볼트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즉, 접속판에 상부 프레임이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상부 프레임을 접속판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시킨 상태로, 접속판과 상부 프레임을 볼트 연결하는 것에 의해, 접속판에 대해서 상부 프레임이 상하로 요동하는 것을 정확하게 규제할 수 있도록 하고, 하부 틀체, 전후의 지주, 및, 상부 틀체가, 측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틀체를 형성하도록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하부 틀체에 대해서 전후의 지주가 평행 자세로 전후 방향으로 요동하고, 그 직사각형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로부터 변형하는 것을 정확하게 억제하는 등, 전후 한 쌍의 지주를 적절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좌우의 틀 부분의 상부 프레임끼리가, 그들에 볼트 연결되는 연결판에서, 차체 전후 방향의 복수 개소에서 접속되고, 상부 틀체는, 전체적으로 변형하기 어려운 사다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천정측의 가이드 레일의 가로측면에 맞닿는 전후의 가이드 롤러의 각각을 지지하는 전후 한 쌍의 설치판이, 전방측의 지주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좌우의 접속판이나, 후방측의 지주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좌우의 접속판의 상부에 얹어놓여진 상태로, 접속판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종래예의 스태커 크레인의 상부 틀체는, 전후의 지주의 각각에 볼트 접속되는 전후 한 쌍의 접속판에, 상부 프레임이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상부 프레임을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시킨 상태로, 접속판과 상부 프레임을 볼트 연결하는 것이므로, 접속판이 복잡한 형상이고, 그 제작이 번잡하게 되는 등에 기인하여, 제작이 번잡하게 되는 경향에 있어, 개선이 요구되는 것이었다.
또한, 접속판과 상부 프레임이, 볼트로 체결되는 것에 의한 마찰력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접속판과 상부 프레임과의 차체 전후 방향으로의 접속 강도가 부족하고, 예를 들면, 전후의 지주가 이간하는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강도가 부족하는 등, 전후의 지주를 차체 전후 방향으로 접속하는 강도가 부족할 우려가 있고, 이 점으로부터도 개선이 요구되는 것이었다.
요컨데, 종래의 스태커 크레인의 상부 틀체는, 제작이 번잡하게 되는 경향이 있고, 게다가, 전후의 지주를 차체 전후 방향으로 접속하는 강도가 부족할 우려가 있어, 개선이 요구되는 것이었다.
덧붙여서, 종래의 상부 틀체는, 천정측의 가이드 레일의 가로측면에 맞닿는 전후 가이드 롤러의 각각을 지지하는 전후 한 쌍의 설치판이, 전방측의 지주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좌우의 접속판이나, 후방측의 지주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좌우의 접속판에 볼트 연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지주에 연결되는 접속판에는,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는 것에 의해서 가이드 롤러에 작용하는 힘이 작용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접속판의 강도를 충분히 높이고, 또한, 접속판을 지주에 설치하는 강도도 충분히 높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부 틀체의 제작의 용이함을 도모하면서도, 상부 틀체에서 전후의 지주를 적절히 접속할 수 있는 스태커 크레인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스태커 크레인은, 주행 레일을 따라서 주행이 자유로운 주행륜을 전후 양단부에 구비한 하부 틀체와, 그 하부 틀체의 전후 양단부의 각각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전후의 지주와, 그 전후의 지주의 상단부끼리를 접속하는 상부 틀체와, 상기 전후의 지주에서 승강이 자유롭게 안내되는 승강대를 구비한 것으로서, 그 제 1 특징구성은, 상기 상부 틀체가,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연장부 , 및, 그 전후 연장부의 차체 전후 방향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마스트 연결부를 구비하는 상태로, 상하 방향을 따르는 판체로 형성된 주체 부분과, 그 주체 부분으로부터 차체 가로폭 방향을 향해서 돌출하고 또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수평방향을 따르는 판체로 형성된 보강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체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의 마스트 연결부의 각각이, 상기 전후의 지주의 측면부에 닿은 상태로, 상기 전후의 지주에 볼트 연결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부 틀체를 구성하는 주체 부분이, 상하 방향을 따르는 판체로서, 전후 연장부와 마스트 연결부를 구비하는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며, 이 주체 부분은, 상하 방향을 따르는 판에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후의 지주가 이간하는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인장 강도로서, 충분한 강도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주체 부분으로부터 차체 가로폭 방향으로 돌출하고 또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수평방향을 따르는 판체로 형성된 보강 부분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주체 부분은, 상하 방향을 따르는 판체로 형성되지만, 차체 가로폭 방향으로 만곡하는 것이, 보강 부분에서 억제되기 때문에, 전후의 지주가 서로 접근하는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강도도, 적절히 구비할 수 있다.
또, 주체 부분은, 전후 연장부의 차체 전후 방향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마스트 연결부를 구비하는 상태로, 상하 방향을 따르는 판체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마스트 연결부에 대해서, 전후 연장부가 상하 방향으로 굴곡하는 것을 억제하는 강도로서는, 큰 강도를 구비하는 것이기 때문에, 하부 틀체, 전후의 지주, 및, 상부 틀체가, 직사각형 형상의 틀체를 형성하도록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하부 틀체에 대해서 전후의 지주가 평행 자세로 전후 방향으로 요동하고, 그 직사각형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변형하는 것을 정확하게 억제하는 등, 전후 한 쌍의 지주를 적절하게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틀체에, 전후의 지주를 접속하는 강도로서, 충분히 큰 강도를 구비하고, 상부 틀체에서, 전후의 지주를 적절히 접속할 수 있다.
게다가, 주체 부분은, 상하 방향을 따르는 판체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제작은 용이하고, 주체 부분에 대해서, 보강 부분을 설치하는 것도, 예를 들면, 별체(別體)에서 형성하고 보강 부분을 주체 부분에 용접하는 것이나, 주체 부분을 형성하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판체의 상단측 부분을, 보강 부분으로서 수평방향으로 절곡(折曲) 가공하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며, 상부 틀체의 제작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요컨데, 본원 발명의 제 1 특징구성에 의하면, 상부 틀체의 제작의 용이를 도모하면서도, 상부 틀체에서 전후의 지주를 적절히 접속할 수 있는 스태커 크레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태커 크레인의 제 2 특징구성은, 상기 제 1 특징구성에 더하여, 상기 상부 틀체가, 상기 주체 부분과 상기 보강 부분으로 구성되는 좌우 한 쌍의 틀 부분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우 한 쌍의 틀 부분이, 그것 사이에 상기 전후의 지주를 위치시키는 상태로, 상기 전후의 지주에 연결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부 틀체가, 주체 부분과 보강 부분으로 구성되는 좌우 한 쌍의 틀 부분을 구비하고, 그들 좌우 한 쌍의 틀 부분이, 그것 사이에 전후의 지주를 위치시키는 상태로, 전후의 지주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한 쌍의 틀 부분에서 전후의 지주를 접속하기 때문에, 전후의 지주를 접속하는 강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다.
덧붙여서, 좌우 한 쌍의 틀 부분에서 전후의 지주를 접속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좌우의 틀 부분을 접속하는 연결틀을, 그 양단부의 각각을 좌우의 틀 부분에서 볼트 연결하는 상태로, 차체 전후 방향에 복수 설치하도록 하고, 상부 틀체를 사다리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으나, 주체 부분이 보강부분에서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연결틀은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요컨데, 본 발명의 제 2 특징구성에 의하면, 제 1 특징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에 더하여, 전후의 지주를 접속하는 강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는 스태커 크레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태커 크레인의 제 3 특징구성은, 상기 제 2 특징구성에 더하여, 상기 좌우 한 쌍의 틀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보강 부분이, 타방측의 틀 부분을 향해서 연장되는 상태로 상기 주체 부분으로부터 차체 가로폭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후의 지주의 상단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좌우 한 쌍의 틀 부분을 전후의 지주에 연결할 때에, 보강 부분을 전후의 지주의 상단에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 전후의 지주에 대한 좌우의 틀 부분의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후의 지주에 대한 좌우의 틀 부분의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를 적정한 위치에 위치 결정한 상태로, 전후의 지주에 대해서 좌우의 틀 부분을 연결할 수 있다.
요컨데, 본 발명의 제 3 특징구성에 의하면, 제 2 특징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에 더하여, 전후의 지주에 대한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가 적정하게 되는 상태로, 전후의 지주에 대해서 좌우의 틀 부분을 연결할 수 있는 스태커 크레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태커 크레인의 제 4 특징구성은, 상기 제 3 특징구성에 더하여, 상기 보강 부분이, 차체 가로폭 방향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 부분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방 굴곡 부분을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방 굴곡 부분의 차체 전후 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돌출 부분의 차체 전후 방향의 단부보다도 차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내방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방 굴곡 부분에 있어서의 차체 전후 방향의 양단의 단연부가, 상기 전후의 지주의 외주면에 맞닿고, 상기 전후의 지주에 대한 상기 좌우 한 쌍의 틀 부분의 차체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를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좌우 한 쌍의 틀 부분을 전후의 지주에 연결할 때에, 좌우의 틀 부분의 보강 부분에 있어서의 하방 굴곡 부분의 차체 전후 방향의 양단의 단연부를, 전후의 지주의 외주면에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 전후의 지주에 대한 좌우의 틀 부분의 차체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후의 지주에 대한 좌우의 틀 부분의 차체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를 적정한 위치에 위치 결정한 상태로, 전후의 지주에 대해서 좌우의 틀 부분을 적정 상태로 연결할 수 있다.
요컨데, 본 발명의 제 4 특징구성에 의하면, 제 3 특징구성의 작용 효과에 더하여, 전후의 지주에 대한 차체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가 적정으로 되는 상태로, 전후의 지주에 대해서 좌우의 틀 부분을 적정 상태로 연결할 수 있는 스태커 크레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태커 크레인의 제 5 특징구성은, 상기 제 1∼제 4 특징구성의 어느 하나에 더하여, 상기 하부 틀체가, 상기 주행륜을 지지하는 전후의 차륜 지지틀을 연결틀에서 접속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후의 차륜 지지틀 중 전방측의 차륜 지지틀의 하단부에, 상기 전후의 지주 중 전방측의 지주의 하단면을 받아서 얹어놓는 얹어놓음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전후의 차륜 지지틀 중 후방측의 차륜 지지틀의 하단부에, 상기 전후의 지주 중 후방측의 지주의 하단면을 받아서 얹어놓는 얹어놓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측의 지주가, 그 하단면이 상기 전방측의 차륜 지지틀의 상기 얹어놓음부에서 받아들여진 상태로, 또한, 그 측면부가 상기 전방측의 차륜 지지틀에 연결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후방측의 지주가, 그 하단면이 상기 후방측의 차륜 지지틀의 상기 얹어놓음부에서 받아들여진 상태로, 또한, 그 측면부가 상기 후방측의 차륜 지지틀에 연결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전방측의 지주가 전방측의 차륜 지지틀의 얹어놓음부에 얹어놓여지기 때문에, 전방측의 지주의 하중이, 전방측의 차륜 지지틀에 작용하게 되며, 마찬가지로, 후방측의 지주가 후방측의 차륜 지지틀의 얹어놓음부에 얹어놓여지기 때문에, 후방측의 지주의 하중이, 후방측의 차륜 지지틀에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방측의 지주의 하중이, 전방측의 차륜 지지틀에 작용하고, 후방측의 지주의 하중이, 후방측의 차륜 지지틀에 작용하기 때문에, 전방측의 지주나 후방측의 지주가, 앞뒤로 기울기 어렵기 때문에, 상부 틀체에 구비하는 강도를 저하시키고, 상부 틀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전방측의 차륜 지지틀과 후방측의 차륜 지지틀을 접속하는 연결틀에서, 전방측의 지주나 후방측의 지주를 얹어놓아 지지시키도록 하면, 전방측이나 후방측의 지주의 하중에 의해서, 연결틀이 그 중앙부가 하방에 패이도록 만곡하고, 전방측의 지주와 후방측의 지주가, 그 상부를 접근시키는 형태로 기울기 쉬운 것으로 되기 때문에, 그 기울기를 억제하기 위한 강도를 상부 틀체에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전방측의 지주의 하중이 전방측의 차륜 지지틀에 작용하고, 후방측의 지주의 하중이 후방측의 차륜 지지틀에 작용하는 경우에는, 전방측의 지주와 후방측의 지주가, 그 상부를 접근시키는 형태로 기울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에, 상부 틀체에 구비하는 강도를 저하시키고, 상부 틀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요컨데, 본 발명의 제 5 특징구성에 의하면, 제 1∼제 4 특징구성의 어느 하나에 의한 작용 효과에 더하여, 상부 틀체에 구비하는 강도를 저하시키고, 상부 틀체의 경량화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태커 크레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태커 크레인의 제 6 특징구성은, 제 1∼제 5 특징구성의 어느 하나에 더하여, 천정측의 가이드 레일의 가로측면에 맞닿는 전후의 가이드 롤러의 각각이, 상기 전후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천정측의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는 것에 의해서 가이드 롤러에 작용하는 힘이, 전후의 지주에 작용하고, 상부 틀체에는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상부 틀체에 구비하는 강도를 한층 저하시킬 수 있게 되고, 상부 틀체의 경량화를 한층 도모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롤러를 상부 틀체에 설치하면, 가이드 롤러에 작용하는 힘이 상부 틀체에 작용하기 때문에, 상부 틀체에 구비하는 강도를 높일 필요가 있으나, 가이드 롤러가 상기 전후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틀체에 구비하는 강도를 한층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요컨데, 본 발명의 제 6 특징구성에 의하면, 제 1∼제 5 특징구성의 어느 하나에 의한 작용 효과에 더하여, 상부 틀체의 경량화를 한층 도모할 수 있는 스태커 크레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자동 창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동(同) 창고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스태커 크레인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스태커 크레인의 가로단 평면도이다.
도 5는, 하부 틀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동 틀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동 틀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동 틀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은, 하부 틀체에 있어서의 전측의 지주의 설치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하부 틀체에 있어서의 후측의 지주의 설치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하부 틀체의 일부 생략 측면도이다.
도 12는, 유전차륜의 장착부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부 틀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부 틀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부 틀체의 세로 단면도이다.
도 16은, 승강대의 피(被) 안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 3 안내체의 장착부의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도 18은, 제 3 안내체의 장착부의 절결 배면도이다.
도 19는, 동부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이탈 방지체의 장착부를 나타내는 절결 배면도이다.
도 2는, 동(同) 창고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스태커 크레인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스태커 크레인의 가로단 평면도이다.
도 5는, 하부 틀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동 틀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동 틀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동 틀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은, 하부 틀체에 있어서의 전측의 지주의 설치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하부 틀체에 있어서의 후측의 지주의 설치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하부 틀체의 일부 생략 측면도이다.
도 12는, 유전차륜의 장착부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부 틀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부 틀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부 틀체의 세로 단면도이다.
도 16은, 승강대의 피(被) 안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 3 안내체의 장착부의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도 18은, 제 3 안내체의 장착부의 절결 배면도이다.
도 19는, 동부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이탈 방지체의 장착부를 나타내는 절결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킷형상의 용기 등의 물품(P)을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부(1)를 종횡으로 나란히 놓아서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 물품 수납선반(B)이 설치되고, 그들 한 쌍의 물품 수납선반(B)의 사이의 작업 통로(E)를 이동하는 스태커 크레인(A)이 설치되고, 물품 수납선반(B)에 수납하는 물품(P)을 외부로부터 반입하는 물품 입고부(Da), 및, 물품 수납선반(B)으로부터 꺼내어진 물품(P)을 외부에 반출하기 위한 물품 출고부(Db)가, 한 쌍의 물품 수납선반(B)의 각각의 가로측부에 인접하는 개소에 배분 설치되고, 그리고, 스태커 크레인(A)에 의해서, 수납부(1)에 수납된 물품(P)을 물품 출고부(Db)에 꺼내는 출고 작업 및 물품 입고부(Da)에 반입된 물품(P)을 수납부(1)에 수납하는 입고 작업을 행하는 자동 창고가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물품 입고부(Da) 및 물품 출고부(Db)는, 예를 들면, 물품(P)을 얹어놓고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로 구성되고, 그리고, 예시는 하지 않으나, 물품 입고부(Da) 및 물품 출고부(Db)에 있어서의 스태커 크레인(A)과의 사이에서의 물품 수수 개소에는, 물품(P)을 승강시키는 물품 승강부가 구비되고, 후술하는 물품 이재용(移載用)의 포크 장치(F)가 물품(P)의 하방에 돌입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태커 크레인(A)은, 상술의 작업 통로 (E)를 따라서 바닥면 위에 설치된 단일의 주행 레일(2)을 따라서 주행하는 하부 틀체(3)와, 그 하부 틀체(3)의 주행방향의 전후 단부 개소에 세워 설치되고, 승강대 (4)를 승강이 자유롭게 안내하는 전후 한 쌍의 지주(5F, 5R)와, 그들 지주(5F, 5R)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상부 틀체(6)를 구비하며, 또한, 전후 한 쌍의 지주(5F, 5R)의 상단측 부분의 각각에, 작업 통로(E)의 천정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7)의 가로측면에 맞닿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롤러(8f, 8r)(도 13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스태커 크레인(A)은, 주행 레일(2)과 가이드 레일(7)에서 안내되는 상태로 작업 통로(E)를 주행하고, 상술의 입고 작업이나 출고 작업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부 틀체(3)는, 도 5∼도 8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후 방향의 일단측에, 주행 레일(2)의 상면에 얹어놓아지는 주행륜으로서의 구동차륜(9)과 주행 레일 (2)의 가로측면에 맞닿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륜(10)을 구비하고, 또한, 그 전후 방향의 타단측에, 주행 레일(2)의 상면에 얹어놓아지는 주행륜으로서의 유전차륜 (11)과 주행 레일(2)의 가로측면에 맞닿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륜(12)을 구비하고, 주행 레일(2)을 따라서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구동차륜(9)이 위치하는 측이 스태커 크레인(A)의 전방측이며, 유전차륜(11)이 위치하는 측이 스태커 크레인(A)의 후방측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상술한 전후 한 쌍의 지주(5F, 5R)는, 전방측의 지주(5F)가, 구동차륜(9)의 존재측에 배치되고, 후방측의 지주(5R)가, 유전차륜(11)의 존재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한편,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는, 스태커 크레인(A)의 전후 방향을, 차체 전후 방향으로 간략하게 기재하고, 또, 스태커 크레인(A)의 가로폭 방향을, 차체 가로폭 방향으로 간략하게 기재한다.
도 3, 도 4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대(4)는, 그 전후 양단부의 각각에 승강용 밧줄형상체로서의 승강용 와이어(13A, 13B)가 연결되고 매달아 지지되어 있으며, 승강대(4)에는, 상술의 포크 장치(F)가, 차체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놓아서 2대 설치되어 있다.
이 2대의 포크 장치(F)의 설치 간격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품 수납선반(B)에 있어서의 수납부(1)가, 차체 전후 방향에 상당하는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늘어서는 간격과 동일하고, 2대의 포크장치(F)에 의해서,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늘어서는 2개의 수납부(1)에 대하여 동시에 이재 작업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도 3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대(4)를 매달아 지지하는 한 쌍의 승강용 와이어(13A, 13B) 중, 승강대(4)의 차체 전방측 개소에 연결되는 승강용 와이어(13A)는, 승강대(4)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연장된 후에, 상부 틀체(6)의 차체 전방측 부분에 설치한 제 1 안내체(14) 및 전방측의 지주(5F)의 상단부에 설치한 제 2 안내체(15)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안내되고, 전방측의 지주(5F)의 하단측 부분의 전방측 개소에 배치되는 권취 드럼(16)(도 5 참조)에 감아 옮기도록 되어 있다.
또, 승강대(4)를 매달아 지지하는 1쌍의 승강용 와이어(13A, 13B) 중, 승강대(4)의 차체 후방측 개소에 연결되는 승강용 와이어(13B)는, 승강대(4)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연장된 후에, 먼저, 상부 틀체(6)의 차체 후방측 부분에 설치한 제 3 안내체(17)에서 차체 전방측을 향하도록 안내되고, 다음에, 전방측의 지주(5F)의 상단부에 설치한 제 4 안내체(18)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안내되고, 상술한 권취 드럼(16)에 감아 옮기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권취 드럼(16)이 승강용 전동 모터(16A)에서 정반대로 구동 회전되고, 승강용 와이어(13A, 13B)의 권취 드럼(16)으로부터의 차례로 풀림이나 권취 드럼(16)으로의 감아 옮김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승강대(4)가 승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 도 4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대(4)의 차체 전방측의 단부에는, 전방측의 지주(5F)의 양 가로측면에 맞닿는 가로 위치 규제용 윤체(19), 및, 전방측의 지주(5F)의 차체 후방측에 상당하는 면에 맞닿는 전후 위치 규제용 윤체(2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대(4)의 차체 후방측의 단부에는, 후방측의 지주(5R)의 양 가로측면에 맞닿는 가로 위치 규제용 윤체(21), 및, 후방측의 지주(5R)의 차체 전방측에 상당하는 면에 맞닿는 전후 위치 규제용 윤체(2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대(4)는, 차체 가로폭 방향이나 차체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가 규제되도록, 전후의 지주(5R, 5B)에서 안내되는 상태로, 전후의 지주(5R, 5B)를 따라서 승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전방측이나 후방측의 지주(5F, 5R)는, 도 4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축상(角軸狀), 구체적으로는 각통(角筒)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측면부에는, 입구부보다 안측부가 폭 넓게 되는 요입구(凹入溝)(U)가 지주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이 요입구(U)를 이용하여, 후술과 같이, 타부재와의 연결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나사구멍이 형성된 연결용 플레이트(탭 플레이트)가, 요입구(U)에 삽입되고, 이 연결용 플레이트에 나사 결합하는 볼트에 의해, 지주(5F, 5R)와 타부재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틀체(3)는, 구동차륜(9) 및 그 구동차륜(9)을 정반대로 구동하는 차륜 구동 모터(9A)를 지지하는 구동차륜 지지틀(23)과, 유전차륜(11)을 지지하는 유전 차륜 지지틀(24)과, 그들 구동차륜 지지틀(23)과 유전차륜 지지틀(24)에 걸쳐서 가설되는 연결틀(25)을 구비하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구동차륜 지지틀(23)에는, 상술한 가이드륜(10)이 지지되고, 또, 유전차륜 지지틀(24)에는, 상술한 가이드륜(12)이 지지되어 있다.
덧붙여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구동차륜 지지틀(23)과 유전차륜 지지틀 (24)이, 전방측이나 후방측의 차륜 지지틀에 상당하게 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차륜 지지틀(23)은, 평면에서 볼 때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차체 전방측의 좌우 한 쌍의 단면에, 구동차륜(9)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베어링 유닛(26)이 볼트 고정되어 있다.
한편, 구동차륜(9)이, 구동차륜 지지틀(23)의 좌우의 틀 부분의 사이에, 그 차체 후방측 부분이 비집고 들어가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도 9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차륜 지지틀(23)의 차체 후방측의 측면부의 하단부에는, 전방측의 지주(5F)의 하단을 얹어놓는 날밑형상의 얹어놓음부(23a)가 형성되고, 그 얹어놓음부(23a)에 얹어놓은 전방측의 지주(5F)가, 구동차륜 지지틀(23)의 상단부에 형성한 볼트 삽통홀(23b)을 통하여 장착되는 볼트에 의해서, 구동차륜 지지틀(23)에 연결되어 있다.
덧붙여서, 구동차륜 지지틀(23)에 전방측의 지주(5F)를 볼트 연결할 때에는, 상술한 연결 플레이트(탭 플레이트)를 지주(5F)의 요입구(U)를 삽입하고, 볼트 삽통홀(23b)을 삽입 통과시킨 볼트를 연결 플레이트(탭 플레이트)에 나사 결합시키게 된다.
도 6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전차륜 지지틀(24)은, 평면에서 볼 때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차체 후방측의 좌우 한 쌍의 단면에, 유전차륜(11)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베어링 유닛(27)이 볼트 고정되어 있다.
한편, 유전차륜(11)이, 유전차륜 지지틀(24)의 좌우의 틀 부분의 사이에, 그 차체 전방측 부분을 비집고 들어가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전차륜 지지틀(24)의 차체 전방측의 측면의 하단부에, 후방측의 지주(5R)의 하단을 얹어놓는 날밑형상의 얹어놓음부 (24a)가 형성되고, 그 얹어놓음부(24a)에 얹어놓은 후방측의 지주(5R)가, 유전차륜 지지틀(24)의 상단부에 형성한 볼트 삽통홀(24b)을 통해 장착되는 볼트에 의해서, 유전차륜 지지틀(24)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덧붙여서, 유전차륜 지지틀(24)과 후방측의 지주(5R)와의 볼트 연결은, 구동차륜 지지틀(23)과 전방측의 지주(5F)와의 볼트 연결과 동일하게 행해지게 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전차륜(11)의 좌우 한 쌍의 베어링 유닛(27)의 각각을 유전차륜 지지틀(24)에 고정하는 볼트(28)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해서 유전차륜 지지틀(24)에 형성된 삽통홀(29)이, 상하 방향을 따른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전차륜(11)의 베어링 유닛(27)의 유전차륜 지지틀(24)에 대한 상방 이동을 받아들이는 위치 규제용 볼트(30)가, 유전차륜 지지틀(24)에 나사 결합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위치 규제용 볼트(30)의 정반대의 회전 조정에 의해서, 유전차륜 (11)의 베어링 유닛(27)의 유전차륜 지지틀(24)에 대한 상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고, 이 조정에 의해, 전후의 지주(5F, 5R), 즉 스태커 크레인(A)의 차체 전후 방향에서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부 틀체(3)를 구성하는 연결틀(25)은, 도 5∼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차륜 지지틀(23) 및 유전차륜 지지틀(24)에 있어서의 차체 가로폭 방향의 한쪽 측 개소, 즉 우측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틀(25)은, 구동차륜 지지틀(23)의 측면부로의 설치부(25a)(도 5 참조) 및 유전차륜 지지틀(24)의 측면부로의 설치부(25b)(도 6 참조)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체틀 부분(25A)의 전후 양단부에 구비하고 있다.
즉, 주체틀 부분(25A)의 전후 양단의 각각에,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L자 형상의 부(副)틀 부분(25F, 25R)이, 주체틀 부분(25A)으로부터 상방에 세워 설치하는 상태로 용접에 의해 설치되고, 상술의 설치부(25a, 25b)를 형성하는 L자 형상으로 굴곡된 설편(舌片)이, 부틀 부분(25F, 25R)에 용접되어 있다.
주체틀 부분(25A)은, 단면 형상이 C자 형상인 형강을 이용하여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전선류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예시도에 있어서는, 주체틀 부분(25A)의 측부의 개구를 막는 커버체가 장착되어 있다.
덧붙여서, 전방측의 부틀 부분(25F) 및 후방측의 부틀 부분(25R)에는, 하부 틀체(3)를 부상 상태로 지지하는 야구(冶具)를 설치하기 위한 야구설치부(Tf, Tr)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스태커 크레인(A)은, 하부 틀체(3), 전후의 지주(5F, 5R), 상부 틀체 (6), 및, 승강대(4)로 분해된 상태로, 제조 개소에서 설치 개소로 반송되고, 설치 개소에서 달라붙어지게 되나, 하부 틀체(3)를 바닥면으로부터 부상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야구가, 하부 틀체(3)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측의 부틀 부분(25F)에 있어서의 주체틀 부분(25A) 보다도 차체 내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하단부에, 전방측의 지주 (5F)의 하단면 중 전방측의 구동 차륜 지지틀(23)의 얹어놓음부(23a)에서 받아들여지는 전측의 변 부분과는 다른 오른쪽 가로측의 변 부분을 받아들여서 얹어놓는 전방 지주용 얹어놓음체(31F)가, 얹어놓음체 형성용의 각축재(角軸材)를 부틀 부분 (25F)에 용접하여 형성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 도 7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측의 부틀 부분(25R)에 있어서의 주체틀 부분(25A) 보다도 차체 내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하단부에, 후방측의 지주(5R)의 하단면 중 후방측의 유전차륜 지지틀(24)의 얹어놓음부(24a)에서 받아들여지는 후방측의 변 부분과는 다른 오른쪽 가로측의 변 부분을 받아들여서 얹어놓는 후방 지주용 얹어놓음체(31R)가, 얹어놓음체 형성용의 각축재를 부틀 부분 (25R)에 용접하여 형성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측의 부틀 부분(25F)의 주체틀 부분(25A) 보다도 차체 내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볼트 삽통홀(Fb)이 형성되고, 이 부분이, 전방측의 지주(5F)의 측면부 중의 차체 내면측의 측면부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방측의 부틀 부분(25F)이, 전방측의 지주 (5F)의 측면부 중 전방측의 차륜 지지틀(23)에 연결 지지되는 전측면 부분과는 다른 우측면 부분에 연결되는 전방 지주용 지지체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측의 부틀 부분(25R)의 주체틀 부분(25A) 보다도 차체 내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볼트 삽통홀(Rb)이 형성되고, 후방측의 지주(5R)의 측면부 중 차체 내면측의 측면부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후방측의 부틀 부분(25R)이, 후방측의 지주 (5R)의 측면부 중 후방측의 유전차륜 지지틀(24)에 연결 지지되는 후측면 부분과는 다른 우측면 부분에 연결되는 후방 지주용 지지체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차륜 지지틀(23)의 좌단부에는, 전방측의 지주(5F)의 좌측면부에 볼트 연결하는 L자 형상의 연결편(23A)이, 볼트 연결되어 있다.
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전차륜 지지틀(24)의 좌단부에는, 후방측의 지주(5R)의 좌측면부에 볼트 연결하는 L자 형상의 연결편(24A)이, 볼트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측의 지주(5F)는, 구동차륜 지지틀(23)의 얹어놓음부(23a) 및 전방 지주용 얹어놓음체(31F)에서 하단부가 받아들여서 지지된 상태로, 구동차륜 지지틀(23), 전방측의 부틀 부분(25F), 및, 연결편 (23A)에 대해서 볼트 연결되는 것에 의해, 하부 틀체(3)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측의 지주(5R)는, 유전차륜 지지틀 (24)의 얹어놓음부(24a) 및 후방 지주용 얹어놓음체(31R)에서 하단부가 받아들여서 지지된 상태로, 유전차륜 지지틀(24), 후방측의 부틀 부분(25R), 및, 연결편(24A)에 대해서 볼트 연결되는 것에 의해, 하부 틀체(3)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측의 부틀 부분(25F)에 있어서의 상단측 부분에, 권취 드럼(16) 및 승강용 전동 모터(16A)를 구비하는 승강대 승강 구동용의 승강 구동장치(G)를 설치하는 설치틀(32)이, 부틀 부분(25F)에 용접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설치틀(32)과 부틀 부분(25F)과의 사이에는, 상하의 보강체(32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 구동장치(G)가, 전방측의 차륜 지지틀(23)의 상방 개소에, 설치틀(32)에 볼트 연결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 6∼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 구동장치(G)의 상방에, 지지틀(33)에 얹어놓아 지지된 상태로 제어 박스(H)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 박스(H)의 내부에는, 구동차륜(9)을 구동하는 차륜 구동 모터(9A)의 작동이나, 권취 드럼(16)을 구동하는 승강용 전동 모터(16A)의 작동 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수납되어 있다.
제어 박스(H)의 지지틀(33)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틀 부분(33a)과, 그 하틀 부분(33a)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틀 부분(33b)으로 이루어지며, 제어 박스(H)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틀 부분(33b)에 얹어놓은 상태로,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상단부가 전방측의 지주(5F)에 연결 지지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하틀 부분(33a)의 하단부가, 전방측의 구동 차륜 지지틀(23)의 상단부에 볼트 연결되고, 또한, 하틀 부분(33a)의 상하 중간부나 상단부가, 전방측의 지주(5F)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게다가, 하틀 부분(33a)의 차체 가로폭 방향의 우측의 단연부(端緣部)가, 전방측의 부틀 부분(25F)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도 13∼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태커 크레인(A)에 있어서의 상부 틀체(6)가, 좌우의 틀 부분(6L, 6R)을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좌우의 틀 부분(6L, 6R)이, 그것 사이에 전후의 지주(5F, 5R)를 위치시키는 상태로, 전후의 지주(5F, 5R)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좌우의 틀 부분(6L, 6R)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연장부(L), 및, 그 전후 연장부(L)의 차체 전후 방향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마스트 연결부(Fj, Rj)를 구비하는 상태로, 상하 방향을 따르는 판체로 형성된 주체 부분(6a)과, 그 주체 부분(6a)에 용접되는 길이가 긴 형상의 보강 부분(6b)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틀 부분(6L, 6R)이, 그 주체 부분의 (6a)의 전후 양단부의 마스트 연결부(Fj, Rj)를 전방측의 지주(5F)나 후방측의 지주(5R)의 가로 외측면에 닿은 상태로, 전방측의 지주(5F)나 후방측의 지주(5R)에 볼트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주체 부분의 (6a)의 양단부의 마스트 연결부(Fj, Rj)를 전방측의 지주 (5F)나 후방측의 지주(5R)에 볼트 연결할 때에는, 상술한 연결 플레이트를 지주 (5F, 5R)의 요입구(U)에 삽입하고, 그 연결 플레이트에 볼트를 나사 결합시키게 된다.
좌우의 틀 부분(6L, 6R)에 있어서의 보강 부분(6b)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체 부분(6a)으로부터 차체 가로폭 방향을 향해서 돌출하고 또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수평방향을 따르는 판체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강 부분(6b)은, 차체 전후 방향에서 볼 때, 주체 부분(6a)의 내면에 닿은 상태로 용접되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세로판 부분 (N1), 그 세로판 부분(N1)의 하단으로부터 내방측을 향하여 수평 방향을 따라서 돌출하는 돌출 부분(N2), 및, 그 돌출 부분(N2)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하방 굴곡 부분(N3)을 구비하는 2단 굴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 부분 (N2)이, 주체 부분(6a)으로부터 차체 가로폭 방향을 향해서 돌출하고 또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수평방향을 따르는 판체로 구성되는 부분에 상당한다.
좌우 한 쌍의 틀 부분(6L, 6R)에 있어서의 보강 부분(6b)이, 타방측의 틀 부분을 향해서 연장되는 상태로 주체 부분(6a)으로부터 차체 가로폭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보강 부분(6b)에 있어서의 돌출 부분(N2)이, 전후의 지주(5F, 5R)의 상단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 부분(6b)의 전후 양단측부에 있어서의 가로폭 방향 내방측 부분이, 절결 형성되어 있다. 즉, 보강 부분(6b)에 있어서의 하방 굴곡 부분(N3)의 차체 전후 방향의 양단부가, 보강 부분(6b)에 있어서의 돌출 부분(N2)의 차체 전후 방향의 단부보다도 차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내방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하방 굴곡 부분(N3)에 있어서의 차체 전후 방향 양단의 단연부(K)가, 전후의 지주(5F, 5R)의 외주면에 맞닿고, 전후의 지주(5F, 5R)에 대한 좌우 한 쌍의 틀 부분(6L, 6R)의 차체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를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주체 부분의 (6a)의 양단부의 마스트 연결부(Fj, Rj)를 전방측의 지주 (5F)나 후방측의 지주(5R)에 볼트 연결할 때에, 보강 부분(6b)의 돌출 부분(N2)이, 전방측의 지주(5F)나 후방측의 지주(5R)의 상단면에 맞닿는 것에 의해, 좌우의 틀 부분(6L, 6R)의 전방측의 지주(5F)나 후방측의 지주(5R)에 대한 상하 위치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주체 부분의 (6a)의 양단부의 마스트 연결부(Fj, Rj)를 전방측의 지주 (5F)나 후방측의 지주(5R)에 볼트 연결할 때에, 보강 부분(6b)에 있어서의 하방 굴곡 부분(N3)의 전후 양단의 단연부(K)가, 전방측의 지주(5F)나 후방측의 지주(5R)의 외주면에 맞닿는 것에 의해, 좌우의 틀 부분(6L, 6R)의 전방측의 지주(5F)나 후방측의 지주(5R)에 대한 차체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승강대(4)를 매달아 지지하는 1쌍의 승강용 와이어(13A, 13B) 중, 승강대(4)의 차체 전방측 개소에 연결되는 승강용 와이어(13A)를 안내하는 상술한 제 1 안내체(14)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 1 지지체(34)가, 상부 틀체(6)에 있어서의 우측의 틀 부분(6R)의 전방측의 마스트 연결부(Fj)의 외면에 닿는 상태로, 전방측의 지주(5F)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또, 승강대(4)를 매달아 지지하는 한 쌍의 승강용 와이어(13A, 13B) 중, 승강대(4)의 차체 후방측 개소에 연결되는 승강용 와이어(13B)를 안내하는 상술한 제 3 안내체(17)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 2 지지체(35)가, 상부 틀체(6)에 있어서의 좌측의 틀 부분(6L)의 후방측의 마스트 연결부(Rj)의 외면에 닿는 상태로, 후방측의 지주(5R)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또, 제 1 안내체(14)에서 안내되는 승강용 와이어(13A)를 하방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제 2 안내체(15), 및, 제 3 안내체(17)에서 안내되는 승강용 와이어(13B)를 하방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제 4 안내체(18)가, 공용의 제 3 지지체(36)에 지지되고, 이 제 3 지지체(36)가, 전방측의 지주(5F)의 전면측에 볼트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지지체(36)에는, 천정측의 가이드 레일(7)에 맞닿는 전후의 가이드 롤러(8f, 8r) 중, 전방측의 좌우의 가이드 롤러(8f)가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천정측의 가이드 레일(7)에 맞닿는 전후의 가이드 롤러(8f, 8r) 중, 후방측의 좌우의 가이드 롤러(8r)는, 후방측의 지주(5R)에 볼트 연결되는 제 4 지지체(37)에 지지되어 있다.
도 17 및 도 18에 기초하여, 제 3 안내체(17)의 지지 구조에 대하여 설명을 더하면, 제 2 지지체(35)가, 평면에서 볼 때, コ자 형상의 주체 부분과 그 양단부로부터 차체 전방측이나 차체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판부분을 구비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지지체(35)의 주체 부분으로부터 차체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판부분이, 상부 틀체(6)의 좌측의 틀 부분(6L)에 있어서의 주체 부분(6a)을 후방측의 지주(5R)와의 사이에 끼우는 상태로, 후방측의 지주(5R)에 대해서 볼트(38A)로 연결되고, 또한, 제 2 지지체(35)의 주체 부분으로부터 차체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판부분이, 상부 틀체(6)의 좌측의 틀 부분(6L)에 있어서의 주체 부분(6a) 및 보강부분(6b)의 세로판 부분(N1)을 관통하는 볼트(38B)로, 상부 틀체(6)의 좌측의 틀 부분(6L)에 연결되어 있다.
제 3 안내체(17)를 지지하는 지지축(17A)이, 베어링(39)을 통하여 제 3 안내체(17)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이 지지축(17A)이, 그 길이 방향의 중간부를 제 2 지지체(35)에 삽입통과시키고, 또한, 그 기초단부를 상부 틀체 (6)의 좌측의 틀 부분(6L)에 있어서의 주체 부분(6a)에 형성한 감합(嵌合)구멍(40)에 감합시키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지지체(35)와 베어링(39)과의 사이에 스페이서(41)가 개재되고, 지지축(17A)의 선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42)가, 고리형상의 압압체(43)를 개입시키고, 베어링(39)을 제 2 지지체(35)에 접근하는 측을 향하여 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세히 서술은 하지 않으나, 제 1 안내체(14)는, 제 3 안내체(17)와 동일한 구성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17A)의 선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42)에 의해서, 제 3 안내체(17)의 측면부를 덮는 커버체(44)가 단단히 조여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커버체(44)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제4 안내체(14∼18)의 전부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다.
도 14, 도 15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제 4 안내체(14∼18)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커버체(44)는, 그 주연부가 지지봉(45)에서 지지되어 있다.
도 18에 기초하여, 제 3 안내체(17)에 있어서의 지지봉(45)의 장착부를 대표로 하여 설명하면, 지지봉(45)의 차체 가로폭 방향 내방측 부분이, 제 2 지지체 (35)를 관통하는 볼트(46A)로 제 2 지지체(35)에 대해서 연결된 상태, 제 2 지지체 (35)에 지지되고, 그리고, 지지봉(45)의 차체 가로폭 방향 외방측 부분에, 커버체 (44)를 관통하는 볼트(46B)가 나사 결합되고, 커버체(44)의 주연부가 지지봉(45)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 1∼제 4 안내체(14∼18)의 각각에 대응해서 설치되는 커버체(44)의 주연부를 지지하는 지지봉(45)은, 승강용 와이어(13A, 13B)가 제 1∼제 4 안내체 (14∼18)로부터 빗나가는 것을 받아들여 저지하는 이탈 방지 도구(47)(도 18 참조)의 지지체로서 이용되도록 되어 있다.
도 18∼도 20에 기초하여, 제 3 안내체(17)에 대한 커버체(44)의 지지봉(45)을 대표로 하여 설명하면, 이탈 방지 도구(47)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지봉(45)에 접동(摺動)이 자유롭게 외감(外嵌)되어 있다.
즉, 이탈 방지 도구(47)는, 지지봉(45)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접동하는 것에 의해, 도 18, 도 19(b), 및, 도 2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안내체(17)에 대향하는 상태로 위치하고, 제 3 안내체(17)로부터의 빗나감을 규제하도록 승강용 와이어(13B)를 받아들이는 받아들임 위치와, 도 19(a), 및, 도 2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안내체(17)로부터 떨어지는 상태로 위치하고, 승강용 와이어(13B)가 받아들이는 해제하는 해제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탈 방지 도구(47)에, 그 지름 방향을 따라서 나사의 진행 이동이 자유로운 위치 결정용 비스(48)가 구비되고, 지지봉(45)에는, 이탈 방지 도구(47)가 받아들임 위치에 위치할 때에, 위치 결정용 비스(48)의 선단이 걸어맞춤이 자유로운 위치 결정용 고리형상홈(4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용 와이어(13B)를 장착할 때에는, 이탈 방지 도구(47)를 해제 위치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제 3 안내체(17)와 지지봉(45)과의 사이에, 승강용 와이어(13B)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큰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 승강용 와이어(13B)를 장착한 후는, 이탈 방지 도구(47)를 받아들임 위치로 전환하고, 위치 결정용 비스(48)를 위치 결정용 고리형상홈(49)에 걸어맞춤시키는 것에 의해, 승강용 와이어(13B)가 제 3 안내체(17)로부터 빗나가는 것을 규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
다음에, 다른 실시형태를 기재한다.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틀체가 좌우 한 쌍의 틀 부분을 구비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상부 틀체가, 한쪽 편의 틀 부분만을 구비하는 형태로 실시해도 좋다.
또, 상부 틀체에 좌우 한 쌍의 틀 부분을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좌우의 틀 부분을 연결하지 않는 경우를 예시했으나, 좌우의 틀 부분을 접속하는 연결틀을, 그 양단부의 각각을 좌우의 틀 부분에서 볼트 연결하는 상태로, 차체 전후 방향으로 복수 설치하도록 하고, 상부 틀체를 사다리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틀체를 구성하는 보강 부분이, 돌출 부분과 하방 굴곡 부분을 구비하는 경우를 예시했으나, 하방 굴곡 부분을 구비하지 않는 형태로 실시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방 굴곡 부분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체 부분을 형성하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판체의 상단측 부분을, 차체 가로폭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하고, 이 절곡 부분을 보강 부분으로 하는 형태로 실시해도 좋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후의 지주의 하단면이, 차륜 지지틀로서의 구동 차륜 지지틀이나 유전차륜 지지틀의 얹어놓음부에 더하여, 하부 틀체에 설치한 지주 얹어놓음체에도 얹어놓여지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 지주 얹어놓음체를 생략하는 형태로 실시해도 좋다.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주행륜으로서 구동차륜과 유전차륜이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했으나, 하부 틀체의 전후에, 구동차륜을 구비하는 형태로 실시해도 좋다.
(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연결틀이, 전후의 차륜 지지틀의 가로 일측 개소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했으나, 전후의 차륜 지지틀의 좌우 양측 개소에, 연결틀을 배치하는 형태로 실시해도 좋고, 또, 연결틀을, 전후의 차륜 지지틀의 좌우 중앙 개소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형태로 실시해도 좋다.
2 : 주행 레일
3 : 하부 틀체
4 : 승강대
5F, 5R : 지주
6 : 상부 틀체
6a : 주체 부분
6b : 보강 부분
6L, 6R : 틀 부분
9, 11 : 주행륜
23, 24 : 차륜 지지틀
23a : 얹어놓음부
24a : 얹어놓음부
25 : 연결틀
Fj, Rj : 마스트 연결부
K : 단연부
L : 전후 연장부
N2 : 돌출 부분
N3 : 하방 굴곡 부분
3 : 하부 틀체
4 : 승강대
5F, 5R : 지주
6 : 상부 틀체
6a : 주체 부분
6b : 보강 부분
6L, 6R : 틀 부분
9, 11 : 주행륜
23, 24 : 차륜 지지틀
23a : 얹어놓음부
24a : 얹어놓음부
25 : 연결틀
Fj, Rj : 마스트 연결부
K : 단연부
L : 전후 연장부
N2 : 돌출 부분
N3 : 하방 굴곡 부분
Claims (6)
- 주행 레일을 따라서 주행이 자유로운 주행륜을 전후 양단부에 구비한 하부 틀체와, 그 하부 틀체의 전후 양단부의 각각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전후의 지주와, 그 전후의 지주의 상단부끼리를 접속하는 상부 틀체와, 상기 전후의 지주에서 승강이 자유롭게 안내되는 승강대를 구비한 스태커 크레인으로서,
상기 상부 틀체가,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연장부, 및, 그 전후 연장부의 차체 전후 방향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마스트 연결부를 구비하는 상태로, 상하 방향을 따르는 판체로 형성된 주체(主體) 부분과, 그 주체 부분으로부터 차체 가로폭 방향을 향해서 돌출하고 또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수평방향을 따르는 판체로 형성된 보강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체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의 마스트 연결부의 각각이, 상기 전후의 지주의 측면부에 닿은 상태로, 상기 전후의 지주에 볼트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상부 틀체가, 상기 주체 부분과 상기 보강 부분으로 구성되는 좌우 한 쌍의 틀 부분을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틀 부분이, 그것 사이에 상기 전후의 지주를 위치시키는 상태로, 상기 전후의 지주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 한 쌍의 틀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보강 부분이, 타방측의 틀 부분을 향해서 연장되는 상태로 상기 주체 부분으로부터 차체 가로폭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후의 지주의 상단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태커 크레인. - 주행 레일을 따라서 주행이 자유로운 주행륜을 전후 양단부에 구비한 하부 틀체와, 그 하부 틀체의 전후 양단부의 각각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전후의 지주와, 그 전후의 지주의 상단부끼리를 접속하는 상부 틀체와, 상기 전후의 지주에서 승강이 자유롭게 안내되는 승강대를 구비한 스태커 크레인으로서,
상기 상부 틀체가,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연장부, 및, 그 전후 연장부의 차체 전후 방향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마스트 연결부를 구비하는 상태로, 상하 방향을 따르는 판체로 형성된 주체 부분과, 그 주체 부분으로부터 차체 가로폭 방향을 향해서 돌출하고 또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수평방향을 따르는 판체로 형성된 보강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체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의 마스트 연결부의 각각이, 상기 전후의 지주의 측면부에 닿은 상태로, 상기 전후의 지주에 볼트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부 틀체가, 상기 주행륜을 지지하는 전후의 차륜 지지틀을 연결틀에서 접속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후의 차륜 지지틀 중 전방측의 차륜 지지틀의 하단부에, 상기 전후의 지주 중 전방측의 지주의 하단면을 받아들여서 얹어놓는 얹어놓음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전후의 차륜 지지틀 중 후방측의 차륜 지지틀의 하단부에, 상기 전후의 지주 중 후방측의 지주의 하단면을 받아들여서 얹어놓는 얹어놓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측의 지주가, 그 하단면이 상기 전방측의 차륜 지지틀의 상기 얹어놓음부에서 받아들여진 상태로, 또한, 그 측면부가 상기 전방측의 차륜 지지틀에 연결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후방측의 지주가, 그 하단면이 상기 후방측의 차륜 지지틀의 상기 얹어놓음부에서 받아들여진 상태로, 또한, 그 측면부가 상기 후방측의 차륜 지지틀에 연결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스태커 크레인.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분이, 차체 가로폭 방향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 부분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방 굴곡 부분을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방 굴곡 부분의 차체 전후 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돌출 부분의 차체 전후 방향의 단부보다도 차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내방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방 굴곡 부분에 있어서의 차체 전후 방향 양단의 단연부가, 상기 전후의 지주의 외주면에 맞닿고, 상기 전후의 지주에 대한 상기 좌우 한 쌍의 틀 부분의 차체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를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태커 크레인.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천정측의 가이드 레일의 가로측면에 맞닿는 전후의 가이드 롤러의 각각이, 상기 전후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스태커 크레인. - 제 3 항에 있어서,
천정측의 가이드 레일의 가로측면에 맞닿는 전후의 가이드 롤러의 각각이, 상기 전후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스태커 크레인.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0288592A JP5459558B2 (ja) | 2010-12-24 | 2010-12-24 | スタッカークレーン |
JPJP-P-2010-288592 | 2010-12-2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3123A KR20120073123A (ko) | 2012-07-04 |
KR101748445B1 true KR101748445B1 (ko) | 2017-06-16 |
Family
ID=45440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9951A KR101748445B1 (ko) | 2010-12-24 | 2011-12-22 | 스태커 크레인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9169109B2 (ko) |
EP (1) | EP2468677B1 (ko) |
JP (1) | JP5459558B2 (ko) |
KR (1) | KR101748445B1 (ko) |
CN (1) | CN102530777B (ko) |
DK (1) | DK2468677T3 (ko) |
ES (1) | ES2469365T3 (ko) |
TW (1) | TWI51191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1015054A1 (de) * | 2011-03-24 | 2012-09-27 | GaUp GmbH | Regalbediengerät |
CN104520211B (zh) * | 2012-09-04 | 2017-06-09 | 村田机械株式会社 | 堆装起重机 |
CN104512732A (zh) * | 2013-09-28 | 2015-04-15 | 沈阳新松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 一种堆垛机立柱的上端支撑导向结构 |
JP6428564B2 (ja) * | 2015-10-28 | 2018-11-28 | 株式会社ダイフク | 搬送台車 |
CN109534231B (zh) * | 2018-11-13 | 2020-06-12 | 林阿成 | 直升式堆叠装置 |
JP2022188782A (ja) * | 2019-11-22 | 2022-12-22 | 村田機械株式会社 | スタッカクレーン |
NO346274B1 (en) * | 2020-03-30 | 2022-05-16 | Autostore Tech As | Container handling vehicle |
DE102021117938A1 (de) * | 2021-07-12 | 2023-01-12 | Amova Gmbh | Regalbediengerät für ein Hochregallager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43898A (ja) | 1988-08-03 | 1990-02-14 | West Electric Co Ltd | 超音波トランスジューサ |
JPH0243898U (ko) * | 1988-09-16 | 1990-03-27 | ||
JPH0810568Y2 (ja) * | 1990-11-26 | 1996-03-29 | 村田機械株式会社 | スタッカクレーン |
EP0666236B1 (en) * | 1994-02-07 | 1999-06-09 | Daifuku Co., Ltd. | Inward/outward delivery device of automated warehouse |
JPH07251904A (ja) * | 1994-03-16 | 1995-10-03 | Daifuku Co Ltd |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
JP4013558B2 (ja) * | 2002-01-24 | 2007-11-28 | 株式会社ダイフク | 物品移載装置における昇降台 |
JP4085637B2 (ja) * | 2002-01-24 | 2008-05-14 | 株式会社ダイフク | 物品移載装置 |
JP2004284702A (ja) * | 2003-03-20 | 2004-10-14 | Daifuku Co Ltd | 物品搬送装置 |
KR100565747B1 (ko) * | 2004-03-25 | 2006-03-29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스토커 시스템 및 그의 운전방법 |
JP4079129B2 (ja) * | 2004-07-27 | 2008-04-23 | 村田機械株式会社 | スタッカークレーン |
TWI382949B (zh) * | 2005-06-15 | 2013-01-21 | Daifuku Kk | Item handling device |
JP2008074545A (ja) * | 2006-09-21 | 2008-04-03 | Murata Mach Ltd | ユニット化した移載装置 |
JP4013990B1 (ja) * | 2006-09-28 | 2007-11-28 | 株式会社Ihi | スタッカクレーン |
JP3982562B1 (ja) * | 2006-09-28 | 2007-09-26 | 株式会社Ihi | スタッカクレーン |
JP2008195503A (ja) * | 2007-02-14 | 2008-08-28 | Daifuku Co Ltd | 物品搬送装置 |
US20110014017A1 (en) * | 2009-07-14 | 2011-01-20 | Pflow Industries, Inc. | Storage retrieval machine |
JP5459557B2 (ja) * | 2010-12-16 | 2014-04-02 | 株式会社ダイフク | スタッカークレーン |
JP5472167B2 (ja) * | 2011-03-15 | 2014-04-16 | 株式会社ダイフク | スタッカークレーン |
-
2010
- 2010-12-24 JP JP2010288592A patent/JP5459558B2/ja active Active
-
2011
- 2011-11-03 TW TW100140119A patent/TWI511911B/zh active
- 2011-12-22 CN CN201110436323.1A patent/CN102530777B/zh active Active
- 2011-12-22 KR KR1020110139951A patent/KR10174844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12-22 DK DK11195426.9T patent/DK2468677T3/da active
- 2011-12-22 ES ES11195426.9T patent/ES2469365T3/es active Active
- 2011-12-22 EP EP11195426.9A patent/EP2468677B1/en active Active
- 2011-12-23 US US13/336,900 patent/US9169109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K2468677T3 (da) | 2014-06-16 |
EP2468677B1 (en) | 2014-03-19 |
JP5459558B2 (ja) | 2014-04-02 |
CN102530777B (zh) | 2016-04-27 |
ES2469365T3 (es) | 2014-06-18 |
JP2012136310A (ja) | 2012-07-19 |
TW201226289A (en) | 2012-07-01 |
TWI511911B (zh) | 2015-12-11 |
US9169109B2 (en) | 2015-10-27 |
KR20120073123A (ko) | 2012-07-04 |
US20120168256A1 (en) | 2012-07-05 |
EP2468677A1 (en) | 2012-06-27 |
CN102530777A (zh) | 2012-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8445B1 (ko) | 스태커 크레인 | |
KR101700969B1 (ko) | 스태커 크레인 | |
US8961095B2 (en) | Article storage system and maintenance method in article storage system | |
KR20120007955A (ko) | 스태커 크레인 | |
CN112520285A (zh) | 仓储系统 | |
JP2009084006A (ja) | 自動倉庫 | |
JP3149739U (ja) | 箱昇降運搬車 | |
JP5321872B2 (ja) | スタッカークレーン | |
JP3903252B2 (ja) | 自動倉庫 | |
JPH1018628A (ja) | 多段式駐車設備の給電線支持装置 | |
JP2003212308A (ja) | 物品移載装置 | |
KR101660250B1 (ko) | 목재 적재 리프트 장치 | |
KR102597345B1 (ko) | 차량용 리프트 | |
JP6662472B2 (ja) | スタッカクレーン | |
JP4013558B2 (ja) | 物品移載装置における昇降台 | |
JP2006001725A (ja) | 物品搬送装置 | |
JP5522478B2 (ja) |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の下部枠体用冶具及び同クレーンの組付け方法 | |
JPH0446845B2 (ko) | ||
JP5857478B2 (ja) | 物品収納設備 | |
JP3994744B2 (ja) | 物品移載装置 | |
JPH07924U (ja) | スタッカクレーンの梯子 | |
JP5333826B2 (ja) | 物品搬送装置 | |
JPS6143242B2 (ko) | ||
JP3559393B2 (ja) | 多段式立体駐車装置 | |
JP2004359184A (ja) | 荷台昇降可能な高床運搬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