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704A - 화물차량의 적재함 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의 적재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704A
KR20150003704A KR1020140177544A KR20140177544A KR20150003704A KR 20150003704 A KR20150003704 A KR 20150003704A KR 1020140177544 A KR1020140177544 A KR 1020140177544A KR 20140177544 A KR20140177544 A KR 20140177544A KR 20150003704 A KR20150003704 A KR 20150003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roof
plate body
hydraulic cylinder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수
Original Assignee
박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길수 filed Critical 박길수
Priority to KR1020140177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704A/ko
Publication of KR20150003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량에 탑재한 상태에서 상부덮개의 높이조절은 물론 측판을 자동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화물차량(100)의 화물칸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메인포스트(7)와 상기 메인포스트(7)를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재(9)로 구성되는 베이스프레임(3); 상기 메인포스트(7)에 끼워져 상기 메인포스트(7)의 연장방향을 따라 승하강되는 승강포스트(11); 상기 승강포스트(11)의 상단에 설치되는 지붕체(5); 화물차량(100)의 캐빈과 화물칸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포스트(11)와 지붕체(5)를 수직방향으로 들어 올리게 되는 제1유압실린더(25); 상기 제1유압실린더(25)가 작동할 때 상기 지붕체(5)를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균형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물차량의 적재함 장치{Cargo Apparatus For Truck}
본 발명은 화물차량의 적재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량에 탑재한 상태에서 상부덮개의 높이조절은 물론 측판을 자동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재함을 구비하고 있는 화물차량도 종류가 다양하다. 적재하고자 하는 물품에 따라 적재함의 구조와 기능이 선택되기도 한다. 짐을 싣고 내리기 편리하도록 윙바디라고 불리는 적재함도 제공되고 있는데, 이는 적재함의 측판이 날개처럼 개방되는 형식의 적재함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적재함의 높이는 고정되어 있다. 그래서 짐을 많이 싣거나 적게 싣거나 상관없이 정해진 크기의 적재함을 탑재한 채로 운행하여야 한다. 이 경우 적은 양의 짐을 싣고도 빈 공간이 많이 남는 경우에는 적재함의 부피만 커지게 되고, 운행시 공기저항을 많이 받아 연료가 더 많이 소모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적재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제안이 있었다.
국내 특허출원 제10-2009-0031061호와, 제10-2011-0056217호가 그의 예이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기술적 과제만 기재되어 있을 뿐 구성이 불명확하며, 후자의 경우에는 작동이 매우 불편하고 높이 조절 범위가 작아 실제로 적용하는 것에 문제가 많다.
또 종래의 적재함을 구비하는 특장차량은 적재함을 설치하기 위해 차량을 한동안 사용하지 못하고 적재함 설치공장에 임치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 차량 소유자는 적재함의 설치를 위해 한동안 운행하지 못함으로써 야기되는 경제적 손실을 감내하여야 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본적으로는 운반하고자 하는 짐의 부피에 따라 적재함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적재함의 부피를 항상 최소한으로 유지한 채 운행할 수 있는 화물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물차량에 적재함을 설치할 때 편리하고 신속하게 설치하게 함으로써 적재함 설치작업 때문에 차량을 운행할 수 없는 기간을 최소화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은 이하 설명되는 내용에 의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은, 화물차량(100)의 화물칸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직립된 상태에서 직사각 형태로 배치되는 4개 이상의 메인포스트(7)와 상기 메인포스트(7)를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재(9)로 구성되는 베이스프레임(3);
상기 메인포스트(7)에 끼워져 상기 메인포스트(7)의 연장방향을 따라 승하강되는 승강포스트(11); 상기 승강포스트(11)와 함께 승강될 수 있게끔 상기 승강포스트(11)의 상단에 설치되는 지붕체(5); 화물차량(100)의 캐빈과 화물칸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단은 상기 화물차량(100)의 차대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지붕체(5)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승강포스트(11)와 지붕체(5)를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는 제1유압실린더(25); 상기 제1유압실린더(25)가 작동할 때 상기 지붕체(5)를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균형유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적재함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붕체(5)의 양측에는 측판체(19)가 각각 설치되되; 상기 측판체(19)는 상단이 상기 지붕체(5)의 상단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날개를 펴듯 들릴 수 있다.
여기서 일단은 상기 지붕체(5)에 고정되고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은 상기 측판체(19)에 힌지 연결되는 제2유압실린더(33,33',34,34');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측판체(19)를 기계적 수단에 의해 들어 올릴 수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상기 제2유압실린더(33,33',34,34')는 외측으로 갈수록 위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측판체(19)는 끝단이 상기 지붕체(5)의 최상단보다 높이 들리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균형유지수단은;
좌우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와이어로프(27)와 상기 와이어로프(27)를 가이드하기 위한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로프(27)는 일단(27a)이 상기 지붕체(5)의 전방 상단에 연결되고, 수직하강 연장된 다음 차대와 화물칸 사이의 공간을 통해 화물칸(101)의 후방까지 연장되고, 다시금 수직상승 연장된 후 하방으로 방향 전환된 다음, 타단(27b)이 후방 승강포스트(11')에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측판체(19)는 측판본체(19a)와; 상기 측판본체(19a)에 연결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펼쳐지게 되는 연장측판(19b)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측판체(19)의 면적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짐의 부피에 따라 적재함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적재함의 부피를 항상 최소한으로 유지한 채 운행할 수 있게 하는 적재함 장치 내지 그것이 설치되는 화물차량이 제공된다. 특히 상판체로 하여금 짐을 상면에서 누름으로써 짐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필요 없으며, 적재함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공차 운전시 공기저항을 줄여 연료비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베이스프레임을 화물차량에 화물칸에 그대로 얹은 상태에서 고정시킴으로써 적재함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적재함 설치작업 때문에 차량을 운행할 수 없는 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날개처럼 펼쳐질 수 있도록 측판체를 설치함으로써 짐을 싣거나 내리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재함 장치가 적용된 화물차량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재함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5는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적재함 장치만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재함 장치의 배면도이며, 도 8은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측판체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적재함 장치가 화물차량에 설치되는 방식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적재함 장치(1)가 화물차량(100)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적재함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기본으로 참고하되 구체적 내용에 대하여는 기타 도면을 인용하면서 참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적재함 장치(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차량(100)의 화물칸 위에 안착되어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화물차량(100)은 기존에 제조사로부터 출고되었을 때의 원상태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아도 된다. 적재함 장치(1)는 용접 또는 볼팅에 의해 화물차량(100)의 화물칸(101) 위에 고정 설치된다.
적재함 장치(1)는 베이스프레임(3)과 이 베이스프레임(3) 위에 안착 설치되는 지붕체(5)를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3)은 4개 이상의 메인포스트(7)와 메인포스트(7)를 직립 고정시키기 위한 파이프 등 각종 연결부재(9)로 구성된다.
화물칸(101)이 작은 경우 모서리마다 1개씩의 메인포스트(7)만 설치하면 되지만, 화물칸(101)이 큰 경우에는 긴변에 1개 또는 2개의 메인포스트(7)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메인포스트(7)는 사각 파이프로 되어 있으며, 연결부재(9)는 메인포스트(7)가 안정적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각종의 수단을 의미한다. 메인포스트(7)는 화물칸(101)에 용접 또는 볼트로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승강포스트(11)가 각각의 메인포스트(7)에 끼워짐으로써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원활한 슬라이딩 운동을 위해 메인포스트(7)와 승강포스트(11)의 사이에 윤활수단이 개입될 수 있다.
지붕체(5)가 승강포스트(11)와 함께 승강될 수 있게끔 승강포스트(11)의 상단에 설치된다. 지붕체(5)는 패널 형태이며, 강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지붕프레임(15)과 지붕프레임(15) 외부에 덧씌워지는 직물, 합성수지 시트, 경량합판, 단열판, 합판 또는 금속판재 등으로 된 지붕커버(17)로 구성된다.
적재함의 옆면에 해당되는 지붕체(5)의 양쪽 측면에는 지붕체(5)과 직각을 이루도록 1쌍의 측판체(19)가 설치된다. 또한 화물칸(101)의 앞면과 뒷면에 해당되는 지붕체(5)의 앞쪽과 뒤쪽에는 전방판체(21)와 후방판체(23)가 설치된다. 전방판체(21)와 후방판체(23) 역시 지붕체(5)과 마찬가지로 프레임과 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 전방판체(21)와 후방판체(23)는 지붕체(5)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지붕체(5)와 함께 거동하게 된다.
제1유압실린더(25)가 화물차량(100)의 캐빈(102)과 화물칸(101) 사이의 공간에 직립하게끔 고정 설치된다. 제1유압실린더(25)는 하단이 화물차(100)의 차대(103, 도 5 참조) 등에 연결되고 상단이 지붕체(5) 또는 전방판체(21)에 연결됨으로써 지붕체(5)를 수직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수단이다. 승강포스트(11)가 지붕체(5)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승강포스트(11)는 지붕체(5)와 함께 들리게 된다. 제1유압실린더(25)는 넓은 의미에서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길이변환수단이다. 제1유압실린더(25)의 가변길이는 지붕체(5)를 승강시키는 구간의 길이와 같다. 제1유압실린더(25)는 화물칸(101)의 앞쪽에 설치되는데 제1유압실린더(25)가 작동할 때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지붕체(5)의 뒤쪽도 함께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균형유지수단이 필요하다. 균형유지수단은 제1유압실린더(25)의 좌우 균형을 위해 좌우 양쪽에 대칭으로 설치되므로 한쪽만을 대표하여 설명한다.
균형유지수단으로는 와이어로프(27)와 와이어로프(27)를 가이드하기 위한 다수의 롤러가 사용된다. 와이어로프(27)는 도 4,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27a)이 지붕체(5)의 전방 상단에 연결되고, 수직하강 연장된 다음 차대와 화물칸 사이의 공간을 통해 화물칸(101)의 후방까지 연장되고, 다시금 수직상승 연장된 후 하방으로 방향 전환된 다음, 타단(27b)이 승강포스트(11)의 하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와이어로프(27)를 승강포스트(11)의 하단에 연결하기 위해 메인포스트(7)에는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관통공(31)이 마련되어야 한다. 와이어로프(27)의 타단은 이 관통공(31)을 통해 승강포스트(11)에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된 연결고리(32)에 결속된다.
와이어로프(27)는 적재함 장치(1)의 외표면 곳곳에 용접 등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롤러(29a ~ 29f)에 의해 가이드되고 나아가 방향이 전환되면서 화물칸(101)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연장된다. 와이어로프(27)의 길이는 좌우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1유압실린더(25)를 신장시키게 되면, 도 8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27)의 일단(27a)이 수직 상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로프의 타단(27b)은 후방 승강포스트(11', 도 4 참조)를 수직 상방향으로 견인하게 된다. 즉 1개의 제1유압실린더(25)를 이용하여 적재함 장치의 지붕체(5) 및 이에 연결되어 있는 전방판체(21), 후방판체(23) 및 측판체(19)를 동시에 수직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 적재함의 높이를 도 2 에 도시되 바와 같은 형태로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유압실린더(25)를 반대로 작동시켜 길이를 축소시키면 지붕체(5) 등이 수직 하강되게 되며, 적재함의 높이가 도 1과 같이 낮아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붕체(5)의 양측에는 측판체(19)가 각각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 측판체(19)는 상단이 지붕체(5)의 상단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를 펴듯 하단이 들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더 나아가 측판체(19)를 기계적 수단을 이용하여 들어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압실린더(33,33')가 일단은 지붕체(5) 내지 전방판체(21, 또는 후방판체(23))에 고정되고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은 측판체(5)의 내면 상부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제2유압실린더(33,33',34,34')는 좌우로 1쌍이 설치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도면부호 33,33'은 적재함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유압실린더를, 도면부호 34,34'은 적재함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2유압실린더를 가리킨다. 즉 제2유압실린더(33,33',34,34')는 전후좌우로 총 4개가 설치되는데 한쪽 측판체(19)에 설치된 것(33과34, 33'와 34')은 동기화되어 동시에 작동된다. 이들은 모두 동일한 구성과 작용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대표로 도 6을 참조하여 제2유압실린더(33,33',34,34')를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대(35)가 지붕체(5)의 지붕프레임(15) 내지 후방판체의 후방프레임(37)상단에 설치된다. 브래킷(39)이 측판체(19)의 상단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제2유압실린더(33)의 일단은 고정대(35)에 연결되고 타단은 브래킷(39)에 힌지 연결된다.
제2유압실린더(3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칸의 외측으로 갈수록 5° ~ 10° 의 각도(A)로 약간 상승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에 의하면, 제2유압실린더(33)가 최대한 신장될 때 측판체(19)가 90° 이상, 예를 들어 95° ~ 110°의 각도(B)로 들리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즉 측판체(19)는 끝단이 지붕체(5)의 최상단보다 높이 들리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측판체(19)를 들어 올린 다음 지게차로 화물(L)을 적재할 때 운전자의 시야 및 진입공간을 확보케 함으로써 지게차나 화물(L)에 측판체(5)가 부딪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적재함 장치의 전반적 작용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적재함 장치(1)를 설치할 경우 도 1과 같게 된다. 여기서 제1유압실린더(25)를 가동하여 지붕체(5) 및 이에 부설되어 있는 측판체(19) 등이 함께 상승하게 되어 도 2의 상태가 된다. 이후 제2유압실린더(33,33',34,34')를 동시에 가동하여 측판체(19)를 들어 올리게 되면 측판체(19)는 날개를 펴듯 펼쳐지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이 상태에서 화물(L)을 적재하고 원상태로 복귀하면 적재가 완료되는 것이다. 만약 적재가 완료되었음에도 지붕체(5)와 화물(L) 사이에 공간이 있게 되면 화물(L)이 유동될 염려가 있고 적재함이 필요 이상으로 높이가 높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 제1유압실린더(25)를 작동하여 지붕체(5)를 하강시킴으로써 지붕체(5)가 화물(L)을 강하게 누르도록 할 수 있다(도 8 참조). 이처럼 본 발명의 적재함 장치(1)는 화물(L)을 고정시키기 위한 밴딩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아도 되게끔 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2유압실린더(33)를 짧게 줄임으로써 측판체(19)를 최대한 화물칸(101) 안으로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체로 하여금 화물(L)의 측면을 강하게 압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화물(L)을 고정시키기 위한 밴딩 작업을 없애거나 최소로 하게끔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1의 상태에 있는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체(19)는 측판본체(19a)와, 측판본체(19a)에 연결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펼쳐지게 되는 연장측판(19b)을 포함한다.
연장측판(19b)은 여러 가지의 형태가 있을 수 있다. 가령 롤(두루마리)식으로 말아 접은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가 필요시 펼쳐 사용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병풍과 같은 방식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2개 또는 그 이상의 단위판으로 구성되는 접이식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형태의 연장측판(19b)을 가이드레일(41)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승 또는 하강하여 측판본체(19a)와 화물칸의 적재함칸막이(101a) 사이의 공간을 셔터 형식으로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지붕체(5)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상승하여 측판체(19)와 화물칸(101) 사이에 공간이 생긴 경우 이 공간을 막기 위한 수단이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1 : 적재함 장치 3 : 베이스프레임
5 : 지붕체 7 : 메인포스트
9 : 연결부재 11 : 승강포스트
15 : 지붕프레임 17 : 지붕커버
19 : 측판체 21 : 전방판체
23 : 후방판체 25 : 제1유압실린더
27 : 와이어로프 29a ~ 29f : 롤러
31 : 관통공 32 : 연결고리
33,33',34,34' : 제2유압실린더
35 : 고정대 37 : 후방프레임
39 : 브래킷 100 : 화물차량
101 : 화물칸 102 : 캐빈
103 : 차대

Claims (4)

  1. 화물차량(100)의 화물칸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직립된 상태에서 직사각 형태로 배치되는 4개 이상의 메인포스트(7)와 상기 메인포스트(7)를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재(9)로 구성되는 베이스프레임(3);
    상기 메인포스트(7)에 끼워져 상기 메인포스트(7)의 연장방향을 따라 승하강되는 승강포스트(11); 상기 승강포스트(11)와 함께 승강될 수 있게끔 상기 승강포스트(11)의 상단에 설치되는 지붕체(5); 화물차량(100)의 캐빈과 화물칸 사이의 공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단은 상기 화물차량(100)의 차대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지붕체(5)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승강포스트(11)와 지붕체(5)를 수직방향으로 들어 올리게 되는 상기 제1유압실린더(25); 상기 제1유압실린더(25)가 작동할 때 상기 지붕체(5)를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균형유지수단을 포함하는 화물차량용 적재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유압실린더(25)는 상기 화물차량(100)의 캐빈과 화물칸 사이의 공간의 중심에 1개가 설치되며;
    상기 균형유지수단은;
    좌우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와이어로프(27)와 상기 와이어로프(27)를 가이드하기 위한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로프(27)는 일단(27a)이 상기 지붕체(5)의 전방 상단에 연결되고, 수직하강 연장된 다음 차대와 화물칸 사이의 공간을 통해 화물칸(101)의 후방까지 연장되고, 다시금 수직상승 연장된 후 하방으로 방향 전환된 다음, 타단(27b)이 후방 승강포스트(1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적재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체(5)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단이 상기 지붕체(5)의 상단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측판체(19);
    일단은 상기 지붕체(5)에 고정되고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은 상기 측판체(19)에 힌지 연결되는 제2유압실린더(33,33',34,34');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측판체(19)로 하여금 상기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의 측면을 압박할 수 있으며 또한 하단이 날개를 펴듯 들릴 수 있게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적재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체(5)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판체(19)는;
    측판본체(19a)와; 상기 측판본체(19a)에 연결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펼쳐지게 되는 연장측판(19b)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측판체(19)의 면적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적재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체(5)의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단이 상기 지붕체(5)의 상단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하단이 날개를 펴듯 들릴 수 있게끔 설치되는 측판체(19);
    일단은 상기 지붕체(5)에 고정되고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은 상기 측판체(19)에 힌지 연결되는 제2유압실린더(33,33',34,34');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유압실린더(33,33',34,34')는 외측으로 갈수록 위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측판체(19)는 끝단이 상기 지붕체(5)의 최상단보다 높이 들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적재함 장치.
KR1020140177544A 2014-12-10 2014-12-10 화물차량의 적재함 장치 KR20150003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544A KR20150003704A (ko) 2014-12-10 2014-12-10 화물차량의 적재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544A KR20150003704A (ko) 2014-12-10 2014-12-10 화물차량의 적재함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9959A Division KR20140122912A (ko) 2013-04-11 2013-04-11 화물차량의 적재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704A true KR20150003704A (ko) 2015-01-09

Family

ID=52476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544A KR20150003704A (ko) 2014-12-10 2014-12-10 화물차량의 적재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70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9911A (zh) * 2017-12-01 2018-06-22 苏州奥杰汽车工业有限公司 一种车身骨架结构及具有该车身骨架结构的汽车
US20180205110A1 (en) * 2017-01-19 2018-07-19 Lg Chem, Ltd. Clamping apparatus of battery cell comprising fixing jig employed with guide block for alignment of battery cell
CN108674292A (zh) * 2018-06-11 2018-10-19 江苏东翼通用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运输车
KR20220153286A (ko) * 2021-05-11 2022-11-18 박성일 높이 조절 및 냉기의 기밀유지가 가능한 탑차의 적재함 구조
CN116022255A (zh) * 2023-03-22 2023-04-28 江苏诚泰车辆有限公司 一种山地轻简智能电动履带运输车及其使用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05110A1 (en) * 2017-01-19 2018-07-19 Lg Chem, Ltd. Clamping apparatus of battery cell comprising fixing jig employed with guide block for alignment of battery cell
CN108189911A (zh) * 2017-12-01 2018-06-22 苏州奥杰汽车工业有限公司 一种车身骨架结构及具有该车身骨架结构的汽车
CN108674292A (zh) * 2018-06-11 2018-10-19 江苏东翼通用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运输车
KR20220153286A (ko) * 2021-05-11 2022-11-18 박성일 높이 조절 및 냉기의 기밀유지가 가능한 탑차의 적재함 구조
CN116022255A (zh) * 2023-03-22 2023-04-28 江苏诚泰车辆有限公司 一种山地轻简智能电动履带运输车及其使用方法
CN116022255B (zh) * 2023-03-22 2023-10-10 江苏诚泰车辆有限公司 一种山地轻简智能电动履带运输车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3704A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장치
US8186739B2 (en) Topper lift system and method
RU141571U1 (ru) Надставка заднего откидного борта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US4187048A (en)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a van
KR101495261B1 (ko) 수직식 리프트 게이트
KR20140122912A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장치
KR101569874B1 (ko) 접이식지게차 및 지게차적재대가 구비된 화물차
KR101035476B1 (ko) 적재함 또는 적재면을 구비한 차량
KR101595310B1 (ko)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KR101451388B1 (ko) 화물차용 상·하차 리프트 장치
EP3858713A2 (en) Accessory for chassis and chassis with variable loading capacity
JP2013248907A (ja) 荷受台および荷受台昇降装置
KR101859873B1 (ko) 윙바디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CN206107367U (zh) 汽车尾板
EP2918449B1 (en) Cover system for covering a luggage or trunk space of a motor vehicle, and especially of a hatchback or station wagon automobile
KR101345612B1 (ko) 차량 탑재용 화물 리프팅장치
US20180265140A1 (en) Gate Lift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KR101860424B1 (ko) 실린더형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CN109720263A (zh) 用于无人机运输作业的保障车
JP2019177721A (ja) 荷受台昇降装置の取付構造
KR102311197B1 (ko) 밴 타입의 고소작업차
JP7237418B2 (ja) 移動ボックス
EP0881112A1 (en) Integrated system for large-volume containers and transport means
KR101681131B1 (ko)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