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873B1 - 윙바디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 Google Patents

윙바디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873B1
KR101859873B1 KR1020170057776A KR20170057776A KR101859873B1 KR 101859873 B1 KR101859873 B1 KR 101859873B1 KR 1020170057776 A KR1020170057776 A KR 1020170057776A KR 20170057776 A KR20170057776 A KR 20170057776A KR 101859873 B1 KR101859873 B1 KR 101859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frame
plate
width direc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시남
Original Assignee
최시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시남 filed Critical 최시남
Priority to KR1020170057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윙바디에 관한 것으로, 윙바디의 앞 부분을 형성하는 프론트 판넬(10)과; 뒷부분을 형성하는 리어 판넬(20)과; 상기 프론트 판넬(10)과 상기 리어 판넬(10)의 중앙 상단부를 연결하는 중앙프레임(30)과; 상기 중앙프레임(30)의 양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힌지(40)와; 상기 힌지(40)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양쪽 윙(50)으로 구성되는 윙바디에 있어서, 상기 윙(50)은 천정판(51)과 측판(52)으로 구성되되, 상기 천정판(51)이 윙바디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본발명은 윙바디의 윙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천정을 개방하고 화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적재하거나 하적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윙바디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wingbody}
본 발명은 윙바디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윙바디의 윙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천정을 개방하고 화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적재하거나 하적할 수 있는 윙바디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공지된 화물 차량의 윙바디는 적재함의 양측으로 2개의 윙이 각각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 윙은 각각 2개의 유압 실린더에 의해 개폐 작동되는 구성이다. 그러므로 상기 윙바디차는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적할 때 편리하여 최근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2-0023807호에는 적재함에 적재된 물품을 외부와 차단하여 물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적재함 상면에 개폐가능한 윙게이트가 전방수직판넬과 후방수직골조 사이에 설치된 화물차량용 윙바디에 있어서, 상기 윙바디의 내부 표면에는 단열성과 밀폐성을 갖춘 폴리우레탄폼이 일정두께로 사춤되어 발포, 경화처리된 폴리우레탄폼 내피가 도포되고, 양측 윙게이트를 고정 지지하는 윙바디 천정의 센터빔 내부에는 차체의 진동이나 변형력에 의해 윙바디의 골조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방수직재판넬과 후방수직골조 사이에서 팽팽한 긴장상태가 유지되도록 양단이 전방수직판넬과 후방수직골조의 외측단에 고정되는 센터와이어가 복수개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을 보강한 화물차량용 윙바디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51659에는 트럭용 윙바디에 있어서, 윙바디의 앞 부분을 형성하는 프론트 판넬과; 윙바디의 뒷부분을 형성하는 리어 판넬과와; 상기 프론트 판넬과 상기 리어 판넬의 중앙 상단부를 연결하는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 센터 판넬과; 상기 센터 판넬의 양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힌지와; 상기 힌지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양쪽 윙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정한 폭을 가진 센터판넬이 윙바디의 상부를 이루기 때문에 상기 양쪽 윙의 가로방향 길이를 줄일 수 있어서 상기 윙이 회동하여 열린 경우에 상기 윙의 지상고를 낮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95-0000090호에는 2개의 양쪽 윙이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된 윙바디가 구성되어 있는 화물수송용 윙바디트럭에 있어서, 전방벽과 후방벽의 상단중앙에 각각 지지체가 구성되어 있으며, 양쪽의 윙이 각각 상기 지지체에 힌지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전후방의 각 지지체에 구성되어 있는 두 개의 힌지는 일정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양쪽 윙의 종방향안쪽프레임 사이의 거리는 두 개의 힌지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고, 양쪽의 윙 사이에 윙바디내부를 밀폐하기 위한 타포린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트럭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천정판이 플라스틱판으로 구성되어 빛이 적재함 내부로 들어갈 수 없으며 설혹 플라스틱 판으로 구성하더라도 측판인 알루미늄 재질과의 결합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윙바디의 윙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천정을 개방하고 화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적재하거나 하적할 수 있는 윙바디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윙바디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에 관한 것으로, 윙바디의 앞 부분을 형성하는 프론트 판넬(10)과; 뒷부분을 형성하는 리어 판넬(20)과; 상기 프론트 판넬(10)과 상기 리어 판넬(10)의 중앙 상단부를 연결하는 중앙프레임(30)과; 상기 중앙프레임(30)의 양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힌지(40)와; 상기 힌지(40)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양쪽 윙(50)으로 구성되는 윙바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윙(50)은 천정판(51)과 측판(52)으로 구성되되, 상기 천정판(51)이 윙바디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윙바디의 윙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천정을 개방하고 화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적재하거나 하적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윙바디의 정면사진
도 2는 본 발명 윙바디의 가로프레임 상세사진
도 3은 도 2의 측면 사진
도 4는 본 발명 윙바디의 내부사진
도 5는 본 발명 윙바디의 내부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 윙바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윙바디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에 관한 것으로, 윙바디의 앞 부분을 형성하는 프론트 판넬(10)과; 뒷부분을 형성하는 리어 판넬(20)과; 상기 프론트 판넬(10)과 상기 리어 판넬(10)의 중앙 상단부를 연결하는 중앙프레임(30)과; 상기 중앙프레임(30)의 양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힌지(40)와; 상기 힌지(40)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양쪽 윙(50)으로 구성되는 윙바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윙(50)은 천정판(51)과 측판(52)으로 구성되되, 상기 천정판(51)이 윙바디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프레임(30)에는 폭방향으로 가로프레임(60))이 결합되며, 상기 가로프레임(60)에 천정판(51)의 전면이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프레임(60)은 내부에 공간부(61)가 형성되고 상면에 길이방향 틈이 형성된 사각형 빔형상으로서, 내부에 가이드판(62)이 설치되고, 상면에 이동판(63)이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판(62)과 이동판(63)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가로프레임(60) 내부에는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판(62)에는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실린더 로드의 신축에 의해 가이드판(62)이 폭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판(63)이 같이 이동되고, 상기 이동판(63)에 천정프레임(53)이 결합된 윙(50)이 함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프레임(60)은 좌우측 가로프레임으로 구분되어 좌측 또는 우측 가로프레임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프레임(60) 내부 하면에는 한쌍의 레일이 설치되며 가이드판(62)이 상기 레일에 대응되게 레일 위를 이동하는 바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프레임(60)은 내부가 빈 사각형 빔형상으로서, 내부에 가이드판(62)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판(62)은 스텝모터에 의해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텝모터에는 래크가 설치되어 스텝모터가 정역회전하는 경우 상기 래크가 함께 왕복운동하고 래크에 연결된 가이드판이 폭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판이 같이 이동되고, 상기 이동판에 천정프레임(53)이 결합된 윙(50)이 함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판은 다수 개로 분할되어 경첩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는 복동실린더로서 좌우측 중 어느 하나방향을 선택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윙바디의 앞 부분을 형성하는 프론트 판넬(10)의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윙바디의 뒷부분을 형성하는 리어 판넬(20)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판넬(10)과 리어 판넬(10)의 중앙 상단부는 중앙프레임(3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중앙프레임(30)의 양 측면에는 윙(50)이 다수 개의 힌지(40)에 의해 각각 설치되며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 하로 회동되되, 상기 윙(50)은 천정판(51)과 측판(52)으로 구성되어, 상기 천정판(51)이 윙바디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윙바디 개패장치의 윙바디 개폐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앙프레임(30)의 양 측면에 결합된 윙(50)을 유압실린더로 상부로 회동시킨 후, 윙(50)의 천정판(51)을 윙바디의 폭방향인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중앙프레임(30)의 양 측면에 결합된 윙(50)을 유압실린더로 각각 회동시켜 각도를 조절하여 윙바디의 상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윙바디의 정면사진, 도 2는 본 발명 윙바디의 가로프레임 상세사진, 도 3은 도 2의 측면 사진, 도 4는 본 발명 윙바디의 내부사진, 도 5는 본 발명 윙바디의 내부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 윙바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윙바디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에 관한 것으로, 윙바디의 앞 부분을 형성하는 프론트 판넬(10)과; 뒷부분을 형성하는 리어 판넬(20)과; 상기 프론트 판넬(10)과 상기 리어 판넬(10)의 중앙 상단부를 연결하는 중앙프레임(30)과; 상기 중앙프레임(30)의 양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힌지(40)와; 상기 힌지(40)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양쪽 윙(50)으로 구성되는 윙바디에 있어서, 상기 윙(50)은 천정판(51)과 측판(52)으로 구성되되, 상기 천정판(51)이 윙바디의 폭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중앙프레임(30)에는 폭방향으로 가로프레임(60)이 결합되며, 상기 가로프레임(60)에 천정판(51)의 전면이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로프레임(60)은 내부에 공간부(61)가 형성되고 상면에 길이방향 틈이 형성된 사각형 빔형상으로서, 내부에 가이드판(62)이 설치되고, 상면에 이동판(63)이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판(62)과 이동판(63)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가로프레임(60) 내부에는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판(62)에는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실린더 로드의 신축에 의해 가이드판(62)이 폭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판(63)이 같이 이동되고, 상기 이동판(63)에 천정프레임(53)이 결합된 윙(50)이 함께 폭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윙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 하로 회동된다. 즉, 상기 이동판의 양측에는 각각 유압실린더가 결합될 수 있도록 브래킷이 형성되고, 상기 윙의 천정프레임에도 브래킷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판의 양측에 형성된 브래킷에는 각각 유압실린더가 결합되고, 각각의 유압실린더 로드는 천정프레임에 결합된다.
이에,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윙은 상, 하로 회동하여 윙이 개폐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로프레임(60)은 좌우측 가로프레임으로 구분되어 좌측 또는 우측 가로프레임은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가로프레임(60) 내부 하면에는 한쌍의 레일이 설치되며 가이드판(62)이 상기 레일에 대응되게 레일 위를 이동하는 바퀴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가로프레임(60)은 내부가 빈 사각형 빔형상으로서, 내부에 가이드판(62)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판(62)은 스텝모터에 의해 폭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스텝모터에는 래크가 설치되어 스텝모터가 정역회전하는 경우 상기 래크가 함께 왕복운동하고 래크에 연결된 가이드판이 폭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판이 같이 이동되고, 상기 이동판에 천정프레임이 결합된 윙이 함께 폭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측판은 다수 개로 분할되어 경첩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측판은 다수 개로 분할되어 경첩에 의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부와 하부 측판 두 개로 분할될 경우 실린더가 윙을 상승시킴으로써, 하부측판이 경첩에 의해 상부측판 하단에 수직으로 매달려 있어서 윙바디의 윙이 좌우측 끝단으로 이동되더라도 폭방향을 차지하는 면적이 작아지게 된다.
한편, 본발명 윙바디 개폐장치의 개폐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중앙프레임(30)의 양 측면에 결합된 윙(50)을 유압실린더로 상부로 회동시킨 후, 윙(50)의 천정판(51)을 윙바디의 폭방향인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중앙프레임(30)의 양 측면에 결합된 윙(50)을 유압실린더로 각각 회동시켜 각도를 조절하여 윙바디의 천정을 개방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중앙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된 윙은 이동판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여 상부로 회동시키고, 상기 가로프레임 내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이동판을 윙바디의 폭방향인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이동판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중앙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된 윙의 각도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이동판이 우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판의 좌측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의 로드는 튜브 외부로 돌출시키고, 이동판의 우측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의 로드는 튜브 내부로 삽입한다. 이에, 상기 중앙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된 윙의 천정판은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되, 상기 중앙프레임의 좌측에 설치된 윙은 90°이상으로 회동되어 천정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중앙프레임의 우측에 좌측에 결합된 윙의 측판은 하부측판이 상부측판 끝단에 수직으로 매달리게 되어 폭방향을 차지하는 면적이 작아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이동판이 좌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판의 우측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의 로드는 튜브 외부로 돌출시키고, 이동판의 좌측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의 로드는 튜브 내부로 삽입한다. 이에, 상기 중앙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된 윙의 천정판은 좌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되, 상기 중앙프레임의 우측에 설치된 윙은 90°이상으로 회동되어 천정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중앙프레임의 좌측에 좌측에 결합된 윙의 측판은 하부측판이 상부측판 끝단에 수직으로 매달리게 되어 폭방향을 차지하는 면적이 작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지게차로 적재할 수 없는 무거운 화물은 크레인을 사용하여 천정이 개방된 윙바디의 상부로 적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윙바디의 윙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천정을 개방하고 화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적재하거나 하적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프론트 판넬 20 : 리어 판넬
30 : 중앙프레임 40 : 힌지
50 : 윙 51 : 천정판
52 : 측판 53 : 천정프레임
60 : 가로프레임 61 : 공간부
62 : 가이드판 63 : 이동판

Claims (3)

  1. 윙바디의 앞 부분을 형성하는 프론트 판넬(10)과; 뒷부분을 형성하는 리어 판넬(20)과; 상기 프론트 판넬(10)과 상기 리어 판넬(20)의 중앙 상단부를 연결하는 중앙프레임(30)과; 상기 중앙프레임(30)의 양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힌지(40)와; 상기 힌지(40)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양쪽 윙(50)으로 구성되는 윙바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윙(50)은 천정판(51)과 측판(52)으로 구성되되, 상기 천정판(51)이 윙바디의 폭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중앙프레임(30)에는 폭방향으로 가로프레임(60)이 결합되며, 상기 가로프레임(60)에 천정판(51)의 전면이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가로프레임(60)은 내부에 공간부(61)가 형성되고 상면에 길이방향 틈이 형성된 사각형 빔형상으로서, 내부에 가이드판(62)이 설치되고, 상면에 이동판(63)이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판(62)과 이동판(63)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가로프레임(60) 내부에는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판(62)에는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 로드의 신축에 의해 가이드판(62)이 폭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판(63)이 같이 이동되고, 상기 이동판(63)에 천정프레임(53)이 결합된 윙(50)이 함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며,
    상기 윙(50)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 하로 회동되되, 상기 이동판(63)의 양측에는 각각 유압실린더가 결합될 수 있도록 브래킷이 형성되고, 상기 윙의 천정프레임에도 브래킷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의 양측에 형성된 브래킷에는 각각 유압실린더가 결합되고, 각각의 유압실린더 로드는 천정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윙은 상, 하로 회동하여 윙이 개폐되는 것이며,
    상기 가로프레임(60)은 좌우측 가로프레임으로 구분되어 좌측 또는 우측 가로프레임은 고정되고, 상기 가로프레임(60) 내부 하면에는 한 쌍의 레일이 설치되며 가이드판(62)이 상기 레일에 대응되게 레일 위를 이동하는 바퀴가 장착되며,
    상기 측판(52)은 상, 하부로 분할되어 경첩에 의해 연결되고, 상, 하부측판은 실린더가 윙을 상승시킴으로써, 하부측판이 경첩에 의해 상부측판 하단에 수직으로 매달려 있어서 윙바디의 윙이 좌, 우측 끝단으로 이동되더라도 폭방향을 차지하는 면적이 작아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개폐장치
  2. 삭제
  3. 윙바디의 앞 부분을 형성하는 프론트 판넬(10)의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윙바디의 뒷부분을 형성하는 리어 판넬(20)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판넬(10)과 리어 판넬(20)의 중앙 상단부는 중앙프레임(3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중앙프레임(30)의 양 측면에는 윙(50)이 다수 개의 힌지(40)에 의해 각각 설치되며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 하로 회동되되, 상기 윙(50)은 천정판(51)과 측판(52)으로 구성되어, 상기 천정판(51)이 윙바디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윙바디 개패장치의 윙바디 개폐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앙프레임(30)의 양 측면에 결합된 윙(50)을 유압실린더로 상부로 회동시킨 후, 윙(50)의 천정판(51)을 윙바디의 폭방향인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중앙프레임(30)의 양 측면에 결합된 윙(50)을 유압실린더로 각각 회동시켜 각도를 조절하여 윙바디의 상부를 개방하는 것으로,
    상기 윙(50)은 천정판(51)과 측판(52)으로 구성되되, 상기 천정판(51)이 윙바디의 폭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중앙프레임(30)에는 폭방향으로 가로프레임(60)이 결합되며, 상기 가로프레임(60)에 천정판(51)의 전면이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가로프레임(60)은 내부에 공간부(61)가 형성되고 상면에 길이방향 틈이 형성된 사각형 빔형상으로서, 내부에 가이드판(62)이 설치되고, 상면에 이동판(63)이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판(62)과 이동판(63)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가로프레임(60) 내부에는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판(62)에는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 로드의 신축에 의해 가이드판(62)이 폭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판(63)이 같이 이동되고, 상기 이동판(63)에 천정프레임(53)이 결합된 윙(50)이 함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며,
    상기 윙(50)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 하로 회동되되, 상기 이동판(63)의 양측에는 각각 유압실린더가 결합될 수 있도록 브래킷이 형성되고, 상기 윙의 천정프레임에도 브래킷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의 양측에 형성된 브래킷에는 각각 유압실린더가 결합되고, 각각의 유압실린더 로드는 천정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윙은 상, 하로 회동하여 윙이 개폐되는 것이며,
    상기 가로프레임(60)은 좌우측 가로프레임으로 구분되어 좌측 또는 우측 가로프레임은 고정되고, 상기 가로프레임(60) 내부 하면에는 한 쌍의 레일이 설치되며 가이드판(62)이 상기 레일에 대응되게 레일 위를 이동하는 바퀴가 장착되며,
    상기 측판(52)은 상, 하부로 분할되어 경첩에 의해 연결되고, 상, 하부측판은 실린더가 윙을 상승시킴으로써, 하부측판이 경첩에 의해 상부측판 하단에 수직으로 매달려 있어서 윙바디의 윙이 좌, 우측 끝단으로 이동되더라도 폭방향을 차지하는 면적이 작아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개폐방법.
KR1020170057776A 2017-05-09 2017-05-09 윙바디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KR101859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776A KR101859873B1 (ko) 2017-05-09 2017-05-09 윙바디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776A KR101859873B1 (ko) 2017-05-09 2017-05-09 윙바디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873B1 true KR101859873B1 (ko) 2018-06-28

Family

ID=62780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776A KR101859873B1 (ko) 2017-05-09 2017-05-09 윙바디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8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531A (ko) 2019-07-05 2021-01-13 김완철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
KR20230123643A (ko)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태영테크 차량 적재함의 측면도어 개폐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685B1 (ko) * 2014-06-17 2015-12-22 유운모 화물차량용 윙바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685B1 (ko) * 2014-06-17 2015-12-22 유운모 화물차량용 윙바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531A (ko) 2019-07-05 2021-01-13 김완철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
KR102284195B1 (ko) * 2019-07-05 2021-07-29 김완철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
KR20230123643A (ko)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태영테크 차량 적재함의 측면도어 개폐장치
KR102633458B1 (ko) 2022-02-17 2024-02-02 주식회사 태영테크 차량 적재함의 측면도어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873B1 (ko) 윙바디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JP2014521544A (ja) ルーフボックス、ルーフボックスを備えた自動車の屋根およびルーフボックスを備えた自動車
US3186756A (en) Cargo transporting vehicle construction
TWI381959B (zh) Flap-shaped containers for the conveyance of plate-like goods and trailers carrying them
KR101997980B1 (ko) 높이와 폭이 가변되고 윙바디가 구비된 컨테이너
US7111907B2 (en) Side dump trailer for particulate material
KR20210031219A (ko) 트럭용 윙바디
CN112141150B (zh) 车厢及具有其的车辆
IE20120479A1 (en) A trailer
US3876088A (en)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goods vehicles
KR101771431B1 (ko)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덮개장치
JP4591822B2 (ja) 貨物自動車の荷物庫用運搬装置、並びに荷物庫用運搬装置を備えた貨物自動車
KR20140122912A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장치
US7976105B2 (en) Double cylinder assembly for raising and lowering a dump truck tailgate
US20130257135A1 (en) Non-circular cylinder assembly for raising and lowering a dump truck tailgate
KR200252642Y1 (ko) 유개차형 화물차용 적재함
CN205168656U (zh) 一种双侧边板均可向上开起的箱式货箱
CN219057318U (zh) 一种汽车运输用于查货的箱体
KR200451659Y1 (ko) 트럭용 윙바디
KR102511274B1 (ko) 개폐구조가 개선된 냉동 윙바디
KR200496067Y1 (ko) 화물차의 적재함 탑재용 승강 하우징 프레임
KR10201366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레트
JP4651589B2 (ja) ルーフリフト車の屋根昇降装置
KR102655592B1 (ko) 적재함 높이 가변형 탑차
JP3628241B2 (ja) 荷役車両の昇降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