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195B1 -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4195B1 KR102284195B1 KR1020190081090A KR20190081090A KR102284195B1 KR 102284195 B1 KR102284195 B1 KR 102284195B1 KR 1020190081090 A KR1020190081090 A KR 1020190081090A KR 20190081090 A KR20190081090 A KR 20190081090A KR 102284195 B1 KR102284195 B1 KR 1022841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g body
- horizontal movement
- cylinder
- bar
- loading box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trucks or 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를 개방하여 다양한 화물의 상하차가 가능하고 작업 효율을 높일수 있도록 하는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물차량 적재함의 전단과 후단에 설치되는 지지패널과, 상기 적재함의 측면과 상부를 덮으며, 중앙프레임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적재함의 양측면을 개방하는 한 쌍의 윙바디와, 상기 지지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며, 양 끝단이 개방된 내부 통로를 형성하는 고정바와, 상기 윙바디의 중앙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고정바의 내부 통로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윙바디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바, 및 상기 이동바의 수평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수평이동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이동 실린더는 제1수평이동실린더와 제2수평이동실린더로 구성되되, 상기 제1수평이동실린더의 바디는 상기 고정바에 고정되고, 상기 제1수평이동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상기 제2수평이동실린더의 바디와 결합되며, 상기 제2수평이동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상기 이동바에 고정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윙바디 화물차량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윙바디 화물차량은 유압이나 공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적재함의 덮개를 들어올릴 수 있는 트럭으로써, 적재함 덮개가 마치 날개처럼 열리는 모양새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즉, 종래의 윙바디 화물차량의 경우, 윙바디를 회전시켜 적재함의 양쪽 측면을 개방한 상태에서 화물을 싣고 내리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윙바디 화물차량은 적재함 상부가 막혀있고 측면 개방 공간만을 통해 상하차 작업이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크레인을 이용한 상하차는 불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를 개방하여 다양한 화물의 상하차가 가능하고 작업 효율을 높일수 있도록 하는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는, 화물차량 적재함의 전단과 후단에 설치되는 지지패널과, 상기 적재함의 측면과 상부를 덮으며, 중앙프레임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적재함의 양측면을 개방하는 한 쌍의 윙바디와, 상기 지지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며, 양 끝단이 개방된 내부 통로를 형성하는 고정바와, 상기 윙바디의 중앙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고정바의 내부 통로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윙바디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바, 및 상기 이동바의 수평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수평이동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이동 실린더는 제1수평이동실린더와 제2수평이동실린더로 구성되되, 상기 제1수평이동실린더의 바디는 상기 고정바에 고정되고, 상기 제1수평이동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상기 제2수평이동실린더의 바디와 결합되며, 상기 제2수평이동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상기 이동바에 고정되며, 상기 제1수평이동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윙바디가 상기 이동바와 함께 상기 적재함의 좌측면 밖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수평이동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윙바디가 상기 이동바와 함께 상기 적재함의 우측면 밖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적재함의 상부를 개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중앙프레임과 상기 이동바를 연결하는 연결부는, 상기 중앙프레임 하부에 형성되는 연결목과 상기 고정바 상부에서 상기 연결목과 상기 이동바를 연결하는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에는 상기 윙바디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목에는 상기 윙바디의 천정판이 90도 이상 회전될 때 상기 회전실린더와 접촉되며 상기 회전실린더의 회전방향에 대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완충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회전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상기 윙바디의 천정판이 기준값 이상으로 회전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알림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와 상기 알림신호에 따라 상기 수평이동 실린더의 구동 락킹을 해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윙바디의 측면판은 경첩을 통해 결합되는 상측면판과 하측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윙바디의 회전시 상기 하측면판의 충격 완화를 위해 상기 상측면판과 하측면판 사이에 연결되는 쇼크업소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윙바디의 수평이동을 통해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를 개방시킴으로써,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화물을 적재할 수 있으며, 상하차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쌍의 수평이동실린더의 작동을 통해, 작업환경에 따라 좌측으로의 상부개방 및 우측으로의 상부개방 모두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바디 화물차량의 측면개방 상태에서 적재함의 정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1의 측면개방 상태에서 한쪽 윙바디가 90도 이상 회전된 상부 일부개방 상태에서 적재함 정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4은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상태에서 윙바디를 수평 이동시킨 상부 완전개방 상태에서 적재함 정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측면개방 상태에서 화물차량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상부 일부개방 상태에서 화물차량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상부 완전개방 상태에서 화물차량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바디의 수평 이동을 위한 수평이동실린더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바디의 회전 및 수평 이동을 위한 실린더의 압력공급을 위한 호스의 연결구조 및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1의 측면개방 상태에서 한쪽 윙바디가 90도 이상 회전된 상부 일부개방 상태에서 적재함 정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4은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상태에서 윙바디를 수평 이동시킨 상부 완전개방 상태에서 적재함 정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측면개방 상태에서 화물차량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상부 일부개방 상태에서 화물차량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상부 완전개방 상태에서 화물차량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바디의 수평 이동을 위한 수평이동실린더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바디의 회전 및 수평 이동을 위한 실린더의 압력공급을 위한 호스의 연결구조 및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바디 화물차량의 측면개방 상태에서 적재함의 정면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1의 측면개방 상태에서 한쪽 윙바디가 90도 이상 회전된 상부 일부개방 상태에서 적재함 정면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4은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상태에서 윙바디를 수평 이동시킨 상부 완전개방 상태에서 적재함 정면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측면개방 상태에서 화물차량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3의 상부 일부개방 상태에서 화물차량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5의 상부 완전개방 상태에서 화물차량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바디의 수평 이동을 위한 수평이동실린더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는 지지패널(10), 윙바디(20), 고정바(30), 이동바(45) 및 수평이동실린더(60, 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패널(10)은 화물차량(1)의 적재함(2) 전단과 후단에 각각 설치되며, 윙바디(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전단의 지지패널(10)의 측면에는 보조패널(15)이 덧붙여질 수 있으며, 보조패널(15)는 지지패널(10)보다 더 높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후단의 지지패널(10)은 적재함(2)의 후방 개폐를 위한 도어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지지패널(10)의 상부에는 고정바(30)가 마련된다. 고정바(30)는 양 끝단이 개방되며, 양 끝단을 잇는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통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고정바(30)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가이드틈이 마련된다.
이동바(45)는 고정바(30)의 내부 통로에 삽입되어 위치하며, 상기 내부 통로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고정바(30)의 양 끝단 중 어느 하나로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동바(45)는 후술할 수평이동실린더의 설치 및 작동을 위해 상부판과 양측면판으로 이루어진 '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고정바(30) 내부의 바닥면과 이동바(45)의 측면판 하부 사이에는 이동바(45)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레일 구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바(30) 내부의 천정면과 대응하는 이동바(45)의 상부판에는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베어링은 이동바(45)가 슬라이딩되어 고정바(40)의 양단 중 어느 한쪽으로 돌출되었을 때, 무게가 한쪽으로 쏠림에 따른 이동바(45)의 상부판과 고정바(30) 내부의 천정판 사이의 마찰을 줄여줌으로써 고정바(40) 및 이동바(45)의 마모나 걸림 등에 따른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바(45)는 윙바디(20)와 연결되며, 윙바디(20)는 이동바(45)가 고정바(40) 내에서 슬라이딩함에 따라 그와 함께 적재함(2)의 측면방향, 즉 좌측 및 우측으로 수평이동을 한다.
윙바디(20)는 중앙프레임(25)을 따라 양쪽의 한 쌍으로 형성되며, 천정판(21)과 측면판(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천정판(21)과 측면판(22)은 각각 적재함(2)의 상부와 측면부를 덮으며, 지지패널(10)과 함께 내부 적재공간을 형성한다.
천정판(21)의 일측은 중앙프레임(25)과 경첩을 통해 힌지 결합되어 중앙프레임(25)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제작되며, 다른 일측은 측면판(22)과 “ㄱ”자 형태로 연결된다.
측면판(22)은 상부와 하부가 두 개로 나뉘어진 상측면판(22a) 및 하측면판(22b)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역시 힌지 결합되어 천정판(21)이 회전될 때, 상측면판(21a)과 하측면판(22b)이 이루는 각도가 변화되며, 하측면판(22b)은 지면과 수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판(22)의 분할 및 결합 구조는 윙바디(20)가 회전될 때 폭방향으로 윙바디(20)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여줌으로써, 좁은 골목이나 도로에서도 적재함(2)의 측면 개방이 가능하며, 나아가 후술할 적재함(20)의 상부 개방 시에서도 개방 면적을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윙바디(20)가 회전될 때, 하측면판(22b)이 덜컹거리거나 회전 진동 등의 충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완화하기 위해 상측면판(22a)과 하측면판(22b) 사이에는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 23)가 설치될 수 있다.
윙바디(20)와 이동바(45)는 연결목(26) 및 이동플레이트(28)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목(26)의 상부는 중앙프레임(25)의 양 끝단 하부와 연결되며, 그 하부는 이동플레이트(28)와 연결된다. 그리고, 이동플레이트(28)는 고정바(40)의 상부에 위치하며, 고정바(40)의 가이드틈을 통해 고정바(40) 내부의 이동바(45)와 연결된다.
이동플레이트(28) 상에는 윙바디(20)의 회전을 위한 회전실린더(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실린더(30)의 피스톤 로드는 윙바디(20)의 천정판(21)과 결합된다.
회전실린더(30)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회전실린더(30)의 피스톤 로드가 신축됨에 따라 윙바디(20)는 중앙프레임(25)을 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윙바디(20)의 천정판(21)이 지면으로부터 90도 이상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실린더(30)는 중앙프레임(25)과 일정한 수평거리 만큼 떨어져 이동플레이트(28) 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실린더(30)의 피스톤 로드가 최대로 신장되었을 때, 천정판(21)이 지면으로부터 90도 이상이 되도록 회전실린더(30)의 설치 위치를 결정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윙바디(20)의 회전 각도가 클수록 적재함(2)의 상부 개방면적이 커지기 때문이다.
한편, 위와 같은 구조에서 윙바디(20)의 천정판(21)이 회전하여 90도를 넘어가는 순간 윙바디(20)의 무게로 인해 회전실린더(30)에 급격한 충격이 가해질 수 있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완충장치(23)가 필요하다.
실시예에 따라, 완충장치(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윙바디(20)의 천정판(21)이 90도 이상 회전될 때 회전실린더(30)와 접촉되어 회전실린더(30)의 회전방향에 대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연결목(26)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실린더(30)의 구동에 따라 윙바디(20)의 천정판(21)이 90도 이상 회전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알림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가 상기 완충장치(23)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감지부는 완충장치(23) 주변에 접점 스위치나 압력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알림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며, 제어부는 알림신호에 따라 수평이동실린더의 구동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예컨대, 우측 윙바디(20)가 90도 이상 회전되어 적재함(2)의 우측면이 개방된 경우, 제어부는 윙바디(20)를 적재함(2) 좌측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실린더의 구동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반대로 좌측 윙바디(20)가 90도 이상 회전되어 적재함(2)의 좌측면이 개방된 경우, 제어부는 윙바디(20)를 적재함(2) 우측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실린더의 구동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의 기능을 통해 윙바디(20)의 수평이동 시 적재함 내부의 화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오작동에 따른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수평이동실린더(60, 65)는 이동바(45)와 함께 윙바디(20)의 수평 이동을 가능하게하는 구동장치로써, 예컨대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수평이동실린더(60, 65)는 제1수평이동실린더(60) 및 제2수평이동실린더(65)로 구성되며, 고정바(40) 및/또는 이동바(45) 내에 설치된다. 예컨대, 제1수평이동실린더(60)의 바디는 고정바(40)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며, 제1수평이동실린더(60)의 피스톤 로드는 제2수평이동실린더(65)의 바디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수평이동실린더(65)의 피스톤 로드는 이동바(45)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수평이동실린더는 서로 결합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각 다른 고정점을 갖고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연결구조에 따라, 도 9의 (a)와 같이 윙바디(20)가 적재함(2)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수평이동실린더(60)의 피스톤 로드가 신장을 시작하게 되면, 도 9의 (b)와 같이 이동바(45)는 우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고정바(40)의 우측단 밖으로 돌출되며, 이에 따라 윙바디(20)도 적재함(2)의 측면 우측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9의 (a)의 상태에서 제2수평이동실린더(65)의 피스톤 로드가 신장을 시작하게 되면, 도 9의 (c)와 같이 이동바(45)는 좌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고정바(40)의 좌측단 밖으로 돌출되며, 이에 다라 윙바디(20)도 적재함(2) 측면 좌측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회전실린더(30)는 윙바디(20)를 회전시켜 적재함(2)의 측면 및 상부의 일부만을 개방할 수 있는 반면, 수평이동실린더(60, 65)는 윙바디(20)를 적재함(2)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적재함(2) 상부를 완전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두 개의 수평이동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작동을 통해 윙바디(2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환경에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상부를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바디의 회전 및 수평 이동을 위한 실린더의 압력공급을 위한 호스의 연결구조 및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호스의 연결구조는 케이블체인(50), 메인호스(56), 유도호스(57), 분배호스(58) 및 컨트롤박스(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량(1)의 하부에 설치된 압력탱크에서 연장되는 메인호스(56)는 회전실린더(30)의 개수에 따라 구비되어 각각의 실린더와 직접 연결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호스 연결구조는 윙바디(20)의 회전에 따른 측면 개방만을 전제할 때는 문제가 없으나, 윙바디(20)가 수평 이동을 하게 될 때, 호스 길이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수평이동 자체가 불가능하거나 수평이동 거리에 따른 일정 길이 이상의 여분을 주더라도 반복적인 수평이동시 호스의 꼬임이나 마모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안전성에 문제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케이블체인(50)과 컨트롤박스(70)를 통한 호스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메인호스(56)는 보조패널(15)에 고정 설치된 고정커넥터(55)에 각각 연결되어 고정되며, 다시 각각의 고정커넥터(55)에서 연결되어 나오는 유도호스(57)는 일정 길이의 케이블체인(50) 내부에 각각 수용된 후, 중앙프레임(25)에 설치된 컨트롤박스(70)와 연결된다.
각각의 케이블체인(50)은 한 쌍의 로라(51)에 각각 감겨지며, 한 쌍의 로라(51)는 연결봉(52)을 통해 일정거리 떨어져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연결봉(52)은 윙바디(20)의 충분한 수평이동이 가능하고, 윙바디의 수평이동이 없는 상태에서 한 쌍의 로라(51)가 보조패널(15)의 양 끝단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로 제작될 필요가 있다.
컨트롤 박스(70)의 내부에는 별도의 분배기(미도시)가 설치되며, 분배기는 유도호스(57)를 통해 들어온 유압 또는 공압을 각각의 회전실린더(30)와 연결된 공급호스(58)로 분배하여 내보낼 수 있다. 이때, 제1공급호스(58a 및 58b)는 전단부 회전실린더(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2공급호스(58c, 58d)는 후단부 회전실린더(30)와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호스 연결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이동실린더(60, 65)의 작동에 따라 윙바디(20)가 적재함(2)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때, 케이블체인(50)에 수용된 유도호스(57)를 당기고 밀면서 로라(51)의 위치가 함께 이동됨으로써 호스의 꼬임이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70)의 내부에는 체크밸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컨트롤 박스(70)는 메인호스(56) 및/또는 유도호스(57)가 손상되어 정상적인 압력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체크밸브를 자동으로 잠그고 회전 및 수평이동 된 윙바디(20)의 개방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급작스런 윙바디(20)의 원상복원에 따른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지지패널 15 : 보조패널
20 : 윙바디 21 : 천정판
22 : 측면판 23 : 쇼크업소버
25 : 중앙프레임 26 : 연결목
27 : 완충장치 28 : 이동플레이트
30 : 회전실린더 40 : 고정바
45 : 이동바 50 : 케이블체인
51 : 로라 52 : 연결봉
55 : 유압호스 연결관 56 : 메인호스
57 : 유도호스 58 : 분배호스
60 : 제1수평이동실린더 65 : 제2수평이동실린더
70 : 컨트롤박스
20 : 윙바디 21 : 천정판
22 : 측면판 23 : 쇼크업소버
25 : 중앙프레임 26 : 연결목
27 : 완충장치 28 : 이동플레이트
30 : 회전실린더 40 : 고정바
45 : 이동바 50 : 케이블체인
51 : 로라 52 : 연결봉
55 : 유압호스 연결관 56 : 메인호스
57 : 유도호스 58 : 분배호스
60 : 제1수평이동실린더 65 : 제2수평이동실린더
70 : 컨트롤박스
Claims (4)
- 화물차량 적재함의 전단과 후단에 설치되는 지지패널;
상기 적재함의 측면과 상부를 덮으며, 중앙프레임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적재함의 양측면을 개방하는 한 쌍의 윙바디;
상기 지지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며, 양 끝단이 개방된 내부 통로를 형성하는 고정바;
상기 윙바디의 중앙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고정바의 내부 통로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윙바디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바; 및
상기 이동바의 수평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수평이동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이동 실린더는 제1수평이동실린더와 제2수평이동실린더로 구성되되, 상기 제1수평이동실린더의 바디는 상기 고정바에 고정되고, 상기 제1수평이동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상기 제2수평이동실린더의 바디와 결합되며, 상기 제2수평이동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상기 이동바에 고정되며,
우측 윙바디가 90도 이상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수평이동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윙바디가 상기 이동바와 함께 상기 적재함의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적재함의 상부 및 우측면이 함께 개방되며,
좌측 윙바디가 90도 이상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2수평이동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윙바디가 상기 이동바와 함께 상기 적재함의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적재함의 상부 및 좌측면이 함께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평이동실린더의 유압공급을 위한 호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호스는 상기 지지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커넥터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메인호스와 상기 고정커넥터에서 각각 연결되어 연장되는 두 개의 유도호스를 포함하되,
상기 유도호스는 케이블체인 내부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중앙프레임에 설치된 컨트롤박스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체인은 일정 길이의 연결봉을 통해 연결된 한 쌍의 로라에 감겨짐으로써, 상기 수평이동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유도호스를 당기거나 밀면서 상기 로라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프레임과 상기 이동바를 연결하는 연결부는, 상기 중앙프레임 하부에 형성되는 연결목과 상기 고정바 상부에서 상기 연결목과 상기 이동바를 연결하는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에는 상기 윙바디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목에는 상기 윙바디의 천정판이 90도 이상 회전될 때 상기 회전실린더와 접촉되며 상기 회전실린더의 회전방향에 대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완충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상기 윙바디의 천정판이 기준값 이상으로 회전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알림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와 상기 알림신호에 따라 상기 수평이동 실린더의 구동 락킹을 해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윙바디의 측면판은 경첩을 통해 결합되는 상측면판과 하측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윙바디의 회전시 상기 하측면판의 충격 완화를 위해 상기 상측면판과 하측면판 사이에 연결되는 쇼크업소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1090A KR102284195B1 (ko) | 2019-07-05 | 2019-07-05 |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1090A KR102284195B1 (ko) | 2019-07-05 | 2019-07-05 |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4531A KR20210004531A (ko) | 2021-01-13 |
KR102284195B1 true KR102284195B1 (ko) | 2021-07-29 |
Family
ID=74142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1090A KR102284195B1 (ko) | 2019-07-05 | 2019-07-05 |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419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14601B1 (ko) | 2021-08-27 | 2023-03-29 | 주식회사 나온 | 트럭용 윙바디 |
KR102633458B1 (ko) * | 2022-02-17 | 2024-02-02 | 주식회사 태영테크 | 차량 적재함의 측면도어 개폐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61177A (ja) * | 2002-11-14 | 2004-06-10 | Maruyasu Kk | ウイング式車両荷室 |
JP2014234067A (ja) * | 2013-06-03 | 2014-12-15 | 日通商事株式会社 | ウイング型コンテナの開閉方法およびその装置 |
KR101859873B1 (ko) * | 2017-05-09 | 2018-06-28 | 최시남 | 윙바디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67139U (ja) * | 1993-03-05 | 1994-09-20 | 博巳 間中 | 貨物自動車の屋根煽り開閉装置 |
-
2019
- 2019-07-05 KR KR1020190081090A patent/KR1022841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61177A (ja) * | 2002-11-14 | 2004-06-10 | Maruyasu Kk | ウイング式車両荷室 |
JP2014234067A (ja) * | 2013-06-03 | 2014-12-15 | 日通商事株式会社 | ウイング型コンテナの開閉方法およびその装置 |
KR101859873B1 (ko) * | 2017-05-09 | 2018-06-28 | 최시남 | 윙바디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4531A (ko) | 2021-0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84195B1 (ko) |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 | |
CN109017833B (zh) | 铁路车辆 | |
CN107801407A (zh) | 可马达操作且可竖向移动的门 | |
US3440673A (en) | Dockboard | |
US4576541A (en) | Safety latch for a cargo platform | |
US5407251A (en) | Dump truck tailgate | |
US6688374B2 (en) | Barrier with movable curtain | |
JP2017522476A (ja) | バリア | |
KR101579685B1 (ko) | 화물차량용 윙바디 | |
KR200479977Y1 (ko) | 화물차 적재함 사다리용 실린더의 취부구조 | |
CN114148358B (zh) | 车辆车门开闭装置及车辆 | |
US20140205415A1 (en) | Machine having dipper actuator system | |
CN105668384B (zh) | 电梯轿厢及防轿厢意外移动的方法 | |
CN114132350B (zh) | 车门开闭装置的锁止装置及车辆 | |
KR20170097982A (ko) |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 |
US11598059B2 (en) | Gate safety barrier assembly | |
KR20200020059A (ko) |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 |
KR101537003B1 (ko) |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 |
US20210023974A1 (en) | Rotatable tailgate | |
CN210526540U (zh) | 用于货车卸货的自锁机构及具有其的铁路货车 | |
KR20220028625A (ko) | 안전성이 향상된 방폭도어 | |
KR100344715B1 (ko) | 화물반송차량의엔진룸출입장치 | |
KR102718872B1 (ko) | 화물차 적재함용 셔터식 자동 도어장치 | |
KR200341225Y1 (ko) | 소방호스 운반차 | |
KR200162610Y1 (ko) |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