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003B1 -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003B1
KR101537003B1 KR1020150020729A KR20150020729A KR101537003B1 KR 101537003 B1 KR101537003 B1 KR 101537003B1 KR 1020150020729 A KR1020150020729 A KR 1020150020729A KR 20150020729 A KR20150020729 A KR 20150020729A KR 101537003 B1 KR101537003 B1 KR 101537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closing
closing door
low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진
Original Assignee
이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진 filed Critical 이명진
Priority to KR1020150020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의 적재함 전방에 설치되며, 벽체로 이루어져 전방을 차단하는 전면프레임(14)과; 화물차의 적재함 후방에 설치되며, 벽체로 이루어져 후방을 차단하는 후면프레임(16)과; 화물차의 적재함 바닥부를 형성하며, 다수의 적재물 하단을 지지하는 바닥부(20)와; 상기 전면프레임(14)과 상기 후면프레임(16)의 상측에 설치되며, 적재함의 측벽부(18)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재함의 천정부와 측면부를 폐쇄하는 개폐도어(22)와; 상기 전면프레임(14)과 상기 후면프레임(16)의 상단에 설치되며,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22)를 회동시켜 상기 적재함의 측면을 개방하는 개폐실린더(30)와; 상기 전면프레임(14)과 상기 후면프레임(16)의 상단에 설치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개폐도어(22)와 상기 전,후면프레임(14,16)에 각각 연결되고,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22)의 개방시 상기 개폐도어(22)의 개폐동작을 가이드하는 개폐도어가이드부재(32)와; 상기 바닥부(20)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함의 측면 하단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바닥부(20)의 내부에 형성되는 도어삽입홈(50)의 내부에 습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단도어(40);를 포함하는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단도어가 도어삽입홈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화물의 하역작업시 지게차 및 작업자에 의해 하단도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화물차의 수리비를 절감할 수 있고, 하역작업시 공간이 확보되어 보다 원활한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감지센서에 의해 개폐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는 경우에 제어부에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고 일정 시간 후 잠금수단이 작동되어 상기 개폐도어를 견고하게 고정하므로 외부에서 개폐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화물차의 운행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개폐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cargo gate}
본 발명은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실린더에 의해 개폐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며, 하단도어가 도어삽입홈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화물의 하역작업시 지게차 및 작업자에 의해 하단도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를 이용한 물류 이동의 경우 물류이송에 있어서 많은 부분을 담당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화물차는 적재함이 개방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근래에는 물품의 고급화와 정밀화, 고부가가치화 되면서 화물의 이송중에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아 제품의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과, 운반중 도난의 문제점, 외부환경에 따른 제품의 손상, 이송중 낙하방지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적재함을 밀폐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의 덮개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윙 바디가 제공되고 있으며, 윙 바디(WING BODY)는 커다란 새의 날개처럼 측면문을 열어 적재, 하역하는 것으로, 뛰어난 작업효율, 간편한 조작, 월등한 적재능력 등을 갖춘 장치이다.
윙바디는 크게 화물차의 제작과정에서 적재함을 대신하여 윙바디를 갖도록 하거나 또는 기출고된 화물차의 적재함에 간단히 탈부착하여 사용토록 한 것 등 다양한 종류가 출시되고 있으나, 윙은 하중에 따른 무게에 차이가 있을 뿐 대부분 가스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스실린더는 트럭이 갖는 프레임의 수평부 중 윙을 연결하는 힌지 인근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윙의 수평부 외측에 견결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가스실린더 타입의 윙바디는 수동식으로 사용자가 로프를 통해 윙바디를 직접 열고 닫아야만 하기 때문에 편의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유압실린더 타입의 윙바디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유압방식의 윙바디 개폐장치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98066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유압실린더 타입의 윙바디는 전동유압시스템 모터와 유압펌프가 일체로 구성된 전동유압 파워팩을 적용하여 버튼 하나로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체크밸브를 장착하여 혼자서도 쉽게 측면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윙바디 개폐장치는 별도의 잠금장치가 설치되지 않아 화물차에 큰 충격이 가해지거나, 비포장 도로로 운행되는 경우에는 윙바디가 소정간격 이동되거나 열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윙바디의 하단을 개폐하는 하단 개폐문은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개폐해야 하고, 상기 하단 개폐문이 차량의 측면 하부를 차단하여 적재물의 승하차 작업시 승하차 장치에 의해 하단 개폐문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980669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폐실린더에 의해 개폐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며, 하단도어가 도어삽입홈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화물의 하역작업시 지게차 및 작업자에 의해 하단도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는, 화물차의 적재함 전방에 설치되며, 벽체로 이루어져 전방을 차단하는 전면프레임과, 화물차의 적재함 후방에 설치되며, 벽체로 이루어져 후방을 차단하는 후방프레임과, 화물차의 적재함 바닥부를 형성하며, 다수의 적재물 하단을 지지하는 바닥부와, 상기 전면프레임과 상기 후면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적재함의 측벽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재함의 천정부와 측면부를 폐쇄하는 개폐도어와, 상기 전면프레임과 상기 후면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며,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를 회동시켜 상기 적재함의 측면을 개방하는 개폐실린더와, 상기 전면프레임과 상기 후면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개폐도어와 상기 전,후면프레임에 각각 연결되고,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의 개방시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동작을 가이드하는 개폐도어가이드부재와, 상기 바닥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함의 측면 하단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바닥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도어삽입홈의 내부에 습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단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프레임과 상기 후면프레임의 측면에는 상기 개폐도어의 폐쇄동작시 충격을 흡수하는 범퍼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범퍼부재는, 상기 전,후면프레임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 형성되는 범퍼지지부와, 상기 범퍼지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도어와 접촉되어 상기 개폐도어의 충격을 흡수하는 접촉부와, 상기 범퍼지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접촉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범버지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접촉부의 일단과 접촉되어 상기 개폐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의 내부에는 상기 하단도어를 이송시키는 하단도어개폐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하단도어개폐수단은, 상기 바닥부의 도어삽입홈 측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단도어의 도어회동축이 삽입되어 상기 하단도어의 좌우 이송을 안내하는 도어가이드레일과, 상기 바닥부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끝단이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단도어의 개방시 상기 하단도어의 상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하단도어가 상부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도어가이드와, 상기 하단도어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단도어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도어이송바와, 상기 도어이송바의 일측에 설치되며,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도어이송바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도어이송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하단도어의 측면에는 상기 개폐도어가 폐쇄되는 경우에 상기 개폐도어를 고정하는 잠금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하단도어의 측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하단도어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폐도어의 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후크삽입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도어를 고정하는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부를 좌우로 회동시켜 상기 개폐도어를 고정 및 고정해제하는 잠금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도어감지센서에 상기 개폐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는 경우에 일정 시간후 상기 잠금수단이 작동되어 자동으로 상기 개폐도어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단도어가 하단도어개폐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며, 하단도어가 개방됨과 동시에 도어삽입홈의 내부에 완전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하단도어가 도어삽입홈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화물의 하역작업시 지게차 및 작업자에 의해 하단도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화물차의 수리비를 절감할 수 있고, 하역작업시 공간이 확보되어 보다 원활한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감지센서에 의해 개폐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는 경우에 제어부에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고 일정 시간 후 잠금수단이 작동되어 상기 개폐도어를 견고하게 고정하므로 외부에서 개폐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화물차의 운행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개폐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차 적재함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차 적재함의 개폐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개폐실린더와 개폐도어가이드부재의 구성을 보인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단도어개폐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개폐도어 및 하단도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잠금수단의 구성을 보인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잠금수단이 개폐도어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범퍼부재의 구성을 보인 상세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차 적재함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차 적재함의 개폐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개폐실린더와 개폐도어가이드부재의 구성을 보인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단도어개폐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개폐도어 및 하단도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잠금수단의 구성을 보인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잠금수단이 개폐도어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범퍼부재의 구성을 보인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차(10)의 적재함 전방에 설치되며, 벽체로 이루어져 전방을 차단하는 전면프레임(14)과, 화물차의 적재함 후방에 설치되며, 벽체로 이루어져 후방을 차단하는 후면프레임(16)과, 화물차의 적재함 바닥부를 형성하며, 다수의 적재물 하단을 지지하는 바닥부(20)와, 상기 전면프레임(14)과 상기 후면프레임(16)의 상측에 설치되며, 적재함의 측벽부(18)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재함의 천정부와 측면부를 폐쇄하는 개폐도어(22)와, 상기 전면프레임(14)과 상기 후면프레임(16)의 상단에 설치되며,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22)를 회동시켜 상기 적재함의 측면을 개방하는 개폐실린더(30)와, 상기 전면프레임(14)과 상기 후면프레임(16)의 상단에 설치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개폐도어(22)와 상기 전,후면프레임(14,16)에 각각 연결되고,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22)의 개방시 상기 개폐도어(22)의 개폐동작을 가이드하는 개폐도어가이드부재(32)와, 상기 바닥부(20)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함의 측면 하단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바닥부(20)의 내부에 형성되는 도어삽입홈(50)의 내부에 습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단도어(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화물차(10)는 적재함에 실려지는 각종 화물을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차량으로 이용된다. 상기 화물차(10)는 물류이송에 있어서 많은 부분을 담당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화물차(10)는 적재함이 개방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후방의 하단부에 다수개의 바퀴(12)가 설치된다. 상기 화물차(10)는 다량의 화물을 이송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화물차(10)의 후방에는 전면프레임(14)이 설치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4)은 적재함을 기준으로 전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4)은 상기 적재함의 전면부에 벽체를 형성한다. 상기 전면프레임(14)은 벽체로 이루어져 상기 적재함의 전면부를 외부로 부터 차단한다.
상기 전면프레임(14)과 대응되는 적재함의 후방 끝단에는 후면프레임(16)이 설치된다. 상기 후면프레임(16)은 상기 적재함의 후면부에 벽체를 형성한다. 상기 후면프레임(16)은 벽체로 이루어져 상기 적재함의 후면부를 외부로 부터 차단한다.
상기 전면프레임(14)과 상기 후면프레임(16)의 사이에는 측벽부(18)가 설치된다. 상기 측벽부는 벽체로 이루어져 상기 적재함의 우측벽면을 형성한다. 상기 측벽부(18)는 외부로부터 상기 적재함의 측벽을 차단하여 상기 적재함 내부의 화물을 보호한다.
상기 전면프레임(14)과 상기 후면프레임(16)의 하단부에는 바닥부(20)가 설치된다. 상기 바닥부(20)는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부면에 다수의 화물이 적재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전면프레임(14)의 상측에는 개폐도어(22)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도어(22)는, 벽체로 이루어져 상기 적재함의 천정면을 형성하는 천정부(24)와, 상기 천정부(24)의 측면에 설치되며, 벽체로 이루어져 상기 적재함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26)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도어(22)의 천정부(24) 우측 끝단은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 2와 같이, 상기 개폐도어(22)가 개방된다. 상기 개폐도어(22)는 상기 적재함의 내부에 다량의 화물이 적재되는 경우에 상기 적재함의 측면을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후면프레임의 상부면에는 개폐실린더(30)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실린더(30)는 일반적인 유압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개폐실린더(30)는 유압실린더 이외에도 상기 개폐도어(22)를 개방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동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개폐실린더(30)의 일단은 상기 개폐도어(22)의 천정부(24) 하부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전,후면프레임(14,16)의 상단 중앙에 설치된다. 상기 개폐실린더(30)는 유압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22)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즉, 상기 개폐실린더(30)가 상기 전,후면프레임(14,16)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천정부(24)의 양측 하단을 지지하고, 상기 개폐실린더(30)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22)가 개방 또는 폐쇄된다.
상기 개폐실린더(30)의 일측에는 개폐도어가이드부재(32)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도어가이드부재(32)는 상부프레임(34)과 하부프레임(36)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36)의 내부에 상기 상부프레임(34)이 절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프레임(34)의 상단부는 상기 천정부(24)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프레임(36)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프레임(36)의 하단부는 상기 전,후면프레임(14,16)의 상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프레임(34)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개폐도어가이드부재(32)는 상기 개폐도어(22)의 개방시에는 도 3과 같이, 상기 상,하부프레임(36)이 펼쳐져 상,하부프레임(36)의 양단이 각각, 상기 천정부(24)와 상기 전,후면프레임(14,16)을 지지한다. 상기 개폐도어가이드부재(32)는 상기 개폐도어(22)의 폐쇄시에는 상기 상부프레임(34)과 상기 하부프레임(36)이 절철되어 상기 개폐도어(22)의 폐쇄동작을 가이드한다.
상기 바닥부(20)의 좌측면에는 하단도어(40)가 설치된다. 상기 하단도어(40)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적재함의 좌측 하단을 폐쇄하는 하단도어부(42)와, 상기 하단도어부(42)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단도어부(42)의 회동시 상기 하단도어부(42)의 회동을 안내하는 도어회동축(4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단도어부(42)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적재함의 측면 하단을 차단한다. 상기 하단도어부(42)의 양측에는 도어회동축(44)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도어회동축(44)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단도어부(42)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단도어부(42)의 회동시 상기 하단도어부(42)의 회동을 안내한다.
상기 하단도어(40)의 좌측 중앙에는 고정홈(4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46)은 육면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46)은 내부에는 고정링(48)이 설치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홈(46)의 내부에는 고정링(48)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링(48)은 원형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홈(46)의 내부에 용접 고정된다. 상기 고정링(48)의 내부에는 후술할 체결링(62)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바닥부(20)의 측면에는 도어삽입홈(50)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삽입홈(50)은 상기 바닥부(20)의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단도어부(42)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도어삽입홈(50)의 내부에는 하단도어개폐수단(52)이 설치된다. 상기 하단도어개폐수단(52)은, 상기 바닥부(20)의 도어삽입홈(50) 측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단도어(40)의 도어회동축(44)이 삽입되어 상기 하단도어(40)의 좌우 이송을 안내하는 도어가이드레일(54)과, 상기 바닥부(20)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끝단이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단도어(40)의 개방시 상기 하단도어(40)의 상단부(43)와 접촉되어 상기 하단도어(40)가 상부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도어가이드(58)와, 상기 하단도어(4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단도어(40)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도어이송바(60)와, 상기 도어이송바(60)의 일측에 설치되며,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도어이송바(60)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도어이송실린더(6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가이드레일(54)은 상기 도어삽입홈(50)의 내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내부에 좌우로 길게 함몰 형성되는 슬라이딩홈(56)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가이드레일(54)의 슬라이딩홈(56) 내부에 상기 도어회동축(44)이 삽입되어 습동된다.
즉, 상기 하단도어(40)가 상기 도어삽입홈(5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홈(56)을 따라 상기 도어회동축(44)이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하단도어(40)가 상기 도어삽입홈(50)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바닥부(20)의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도어가이드(58)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가이드(58)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우측 끝단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가이드(58)는 상기 하단도어(40)가 상기 도어삽입홈(5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에 상기 하단도어(4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도어가이드(58)의 원호면과 상기 하단도어(40)의 상단부가 접촉되어 상기 하단도어(4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하단도어(40)의 중앙부에는 도어이송바(6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이송바(6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우측 끝단에 원형링 형상의 체결링(62)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이송바(60)는 상기 하단도어(40)의 고정링(48)에 결합되어 후술할 도어이송실린더(64)의 작동에 따라 상기 하단도어(40)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어이송바(60)의 좌측에는 도어이송실린더(64)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이송실린더(64)는 일반적인 유압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도어이송실린더(64)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이송바(60)의 일부분이 삽입되며, 유압에 의해 상기 도어이송바(60)를 좌우로 이송시킨다.
즉, 상기 하단도어(40)를 상기 도어삽입홈(50)의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바닥부(20)의 측면하단을 폐쇄할 때에는 상기 도어이송바(60)가 우측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하단도어(40)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하단도어(40)를 상기 도어삽입홈(50)의 내부로 삽입할 때에는 상기 도어이송바(60)가 좌측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하단도어(40)가 상기 도어삽입홈(50)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하단도어(40)의 크기와 중량에 따라서 상기 도어이송실린더(64)는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단도어(40)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잠금수단(66)이 설치된다. 상기 잠금수단(66)은, 상기 하단도어(40)의 측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하단도어(40)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되는 수용홈(68)과, 상기 수용홈(68)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22)의 함몰 형성되는 후크삽입홈(94)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도어(22)를 고정하는 후크부(70)와, 상기 후크부(7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부(70)를 좌우로 회동시켜 상기 개폐도어(22)를 고정 및 고정해제하는 잠금모터(7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홈(68)은 상기 하단도어(40)의 측면에 육면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68)의 내부에는 후술할 후크부(7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수용홈(68)의 내부에는 후크부(70)가 설치된다. 상기 후크부(7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지며,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크부(70)의 상단에는 후크회전축(72)이 설치된다. 상기 후크부(70)는 상기 후크회전축(72)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홈(68)의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개폐도어(22)가 폐쇄되어 상기 하단도어(40)의 상부에 상기 개폐도어(22)가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후크부(70)가 회동되어 후술할 후크삽입홈(94)의 내부에 상기 후크부(70)가 삽입되어 상기 개폐도어(22)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후크부(70)의 일측에는 잠금모터(74)가 설치된다. 상기 잠금모터(74)는 일반적인 구동모터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잠금모터(74)는 상기 후크회전축(72)의 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후크부(70)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폐도어(22)의 측면부(26)에는 다수개의 후크삽입홈(94)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삽입홈(94)은 상기 측면부(26)의 하단 측면에 함몰 형성된다. 상기 후크삽입홈(94)의 내부면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잠금수단(66)의 후크부(7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전,후면프레임(14,16)의 측면에는 범퍼부재(80)가 설치된다. 상기 범퍼부재(80)는, 상기 전,후면프레임(14,16)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 형성되는 범퍼지지부(82)와, 상기 범퍼지지부(8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도어(22)와 접촉되어 상기 개폐도어(22)의 충격을 흡수하는 접촉부(86), 상기 범퍼지지부(82)의 내부에 설치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접촉부(86)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90)와, 상기 범퍼지지부(8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접촉부(86)의 일단과 접촉되어 상기 개폐도어(22)의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감지센서(9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범퍼지지부(82)는 도 8과 같이,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후면프레임(14,16)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범퍼지지부(82)의 내부에는 후술할 접촉부(86)가 삽입되어 습동되는 부분이다.
상기 범퍼지지부(82)의 우측 끝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단(84)이 형성되어, 후술할 돌출부(88)와 접촉되어 상기 접촉부(86)가 상기 범퍼지지부(82)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범퍼지지부(82)의 내부에는 접촉부(86)가 설치된다. 상기 접촉부(86)는 우측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측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86)의 우측면은 상기 개폐도어(22)의 측면부(26)와 접촉되어 상기 개폐도어(22)의 닫힘시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접촉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부(88)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88)는 상기 접촉부(86)의 외주면에 소정 높이 만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범퍼지지부(82)의 상기 걸림단(84)에 걸어져 상기 접촉부(86)가 상기 범퍼지지부(82)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접촉부(86)의 외측에는 탄성부재(90)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90)는 일반적인 코일스프링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탄성부재(90)는 상기 접촉부(86)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접촉부(86)는 우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90)에 의해 상기 접촉부(86)가 탄성 지지되며, 상기 개폐도어(22)의 닫힘시 상기 접촉부(86)와 상기 개폐도어(22)가 접촉되는 경우에, 상기 개폐도어(22)는 닫힘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개폐도어(2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접촉부(86)의 좌측에는 도어감지센서(92)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감지센서(92)는 일반적인 리드스위치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도어감지센서(92)는 리드시위치 이외에도 상기 접촉부(86)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도어감지센서(92)에 리드스위치를 적용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감지센서(92)는 상기 접촉부(86)가 상기 개폐도어(22)의 닫힘에 이해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상기 개폐도어(22)의 닫힘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도어감지센서(92)와 상기 잠금수단(66)의 제어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도어감지센서(92)에 상기 개폐도어(22)의 닫힘이 감지되는 경우에 일정 시간 후 상기 잠금수단(66)이 작동되어 자동으로 상기 개폐도어(22)의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화물차(10)의 적재함에 측면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전,후면프레임(14,16)의 상단에 설치된 개폐실린더(30)가 작동된다. 상기 개폐실린더(30)는 도2와 같이, 일단이 상기 전,후면프레임(14,16)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개폐도어(22)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유압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22)를 개방한다.
상기 개폐도어(22)의 개방시 상기 개폐도어가이드부재(32)는 절첩된 상태에서 펼져진 상태로 변경되어 상기 개폐도어(22)의 회동동작을 가이드한다.
상기 개폐도어(22)의 개방이 완료되면, 바닥부(20)의 측면에 설치된 하단도어(40)가 하단도어개폐수단(52)에 의해 회동되어 바닥부(20)의 측면 하단이 개방된다. 상기 하단도어(40)는 상기 도어이송실린더(64)의 작동에 따라 도어삽입홈(50)의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하단도어(40)가 상기 도어삽입홈(5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화물의 하역작업시 지게차 및 작업자에 의해 하단도어(4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화물차(10)의 하역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도어이송실린더(64)가 작동되어 상기 하단도어(40)를 도 5와 같이,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도어가이드레일(54)을 따라 상기 하단도어(40)가 이동된다. 상기 하단도어(40)는 상기 도어삽입홈(50)의 외측으로 배출되면서, 도어가이드(58)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안내된다.
상기 하단도어(40)는 상기 도어삽입홈(50)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상기 바닥부(20)의 측면 하단을 차단한다.
상기 하단도어(40)의 폐쇄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개폐실린더(30)가 작동되어 상기 개폐도어(22)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적재함의 천정부와 측면부를 차단한다.
상기 개폐도어(22)의 닫힘시 동작시 전,후면프레임(14,16)의 측면에 설치되는 범퍼부재(80)가 상기 개폐도어(22)의 닫힘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범퍼부재(80)의 내부에 설치되는 도어감지센서(92)가 상기 개폐도어(22)의 닫힘을 감지한다.
상기 도어감지센서(92)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22)의 닫힘이 감지되면 제어부에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고 일정 시간 후 잠금수단(66)이 작동되어 상기 개폐도어(22)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잠금수단(66)의 작동에 의해 외부에서 상기 개폐도어(22)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화물차(10)의 운행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개폐도어(22)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화물차 14. 전면프레임
16. 후면프레임 20. 바닥부
22. 개폐도어 30. 개폐실린더
32. 개폐도어가이드부재 40. 하단도어
52. 하단도어개폐수단 66. 잠금수단
80. 범퍼부재 94. 후크삽입홈

Claims (5)

  1. 화물차의 적재함 전방에 설치되며, 벽체로 이루어져 전방을 차단하는 전면프레임(14)과;
    화물차의 적재함 후방에 설치되며, 벽체로 이루어져 후방을 차단하는 후면프레임(16)과;
    화물차의 적재함 바닥부를 형성하며, 다수의 적재물 하단을 지지하는 바닥부(20)와;
    상기 전면프레임(14)과 상기 후면프레임(16)의 상측에 설치되며, 적재함의 측벽부(18)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재함의 천정부와 측면부를 폐쇄하는 개폐도어(22)와;
    상기 전면프레임(14)과 상기 후면프레임(16)의 상단에 설치되며,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22)를 회동시켜 상기 적재함의 측면을 개방하는 개폐실린더(30)와;
    상기 전면프레임(14)과 상기 후면프레임(16)의 상단에 설치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개폐도어(22)와 상기 전,후면프레임(14,16)에 각각 연결되고,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22)의 개방시 상기 개폐도어(22)의 개폐동작을 가이드하는 개폐도어가이드부재(32)와;
    상기 바닥부(20)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함의 측면 하단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바닥부(20)의 내부에 형성되는 도어삽입홈(50)의 내부에 습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단도어(40)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프레임(14)과 상기 후면프레임(16)의 측면에는 상기 개폐도어(22)의 폐쇄동작시 충격을 흡수하는 범퍼부재(8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범퍼부재(80)는,
    상기 전,후면프레임(14,16)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 형성되는 범퍼지지부(82)와;
    상기 범퍼지지부(8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도어(22)와 접촉되어 상기 개폐도어(22)의 충격을 흡수하는 접촉부(86)와;
    상기 범퍼지지부(82)의 내부에 설치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접촉부(86)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90)와;
    상기 범퍼지지부(8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접촉부(86)의 일단과 접촉되어 상기 개폐도어(22)의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감지센서(92);를 포함하는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20)의 내부에는 상기 하단도어(40)를 이송시키는 하단도어개폐수단(52)이 더 구비되며,
    상기 하단도어개폐수단(52)은,
    상기 바닥부(20)의 도어삽입홈(50) 측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단도어(40)의 도어회동축(44)이 삽입되어 상기 하단도어(40)의 좌우 이송을 안내하는 도어가이드레일(54)과;
    상기 바닥부(20)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끝단이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단도어(40)의 개방시 상기 하단도어(40)의 상단부(43)와 접촉되어 상기 하단도어(40)가 상부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도어가이드(58)와;
    상기 하단도어(4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단도어(40)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도어이송바(60)와;
    상기 도어이송바(60)의 일측에 설치되며,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도어이송바(60)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도어이송실린더(64);를 포함하는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도어(40)의 측면에는 상기 개폐도어(22)가 폐쇄되는 경우에 상기 개폐도어(22)를 고정하는 잠금수단(66)이 더 구비되며,
    상기 잠금수단(66)은,
    상기 하단도어(40)의 측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하단도어(40)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되는 수용홈(68)과;
    상기 수용홈(68)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폐도어(22)의 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후크삽입홈(94)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도어(22)를 고정하는 후크부(70)와;
    상기 후크부(7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부(70)를 좌우로 회동시켜 상기 개폐도어(22)를 고정 및 고정해제하는 잠금모터(74);를 포함하는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66)은,
    상기 도어감지센서(92)에 상기 개폐도어(22)의 닫힘이 감지되는 경우에 일정 시간후 상기 잠금수단(66)이 작동되어 자동으로 상기 개폐도어(22)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KR1020150020729A 2015-02-11 2015-02-11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KR101537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729A KR101537003B1 (ko) 2015-02-11 2015-02-11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729A KR101537003B1 (ko) 2015-02-11 2015-02-11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003B1 true KR101537003B1 (ko) 2015-07-15

Family

ID=53793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729A KR101537003B1 (ko) 2015-02-11 2015-02-11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0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991A (ko) * 2018-08-06 2020-02-14 주식회사 씨티인터내셔널 견인프레임 절첩 기능을 가진 카라반용 견인 시스템
KR20220045886A (ko) * 2020-10-06 2022-04-13 이현주 미끄럼방지와 온도유지가 가능한 2단 적재함으로 구성된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669B1 (ko) * 2008-04-15 2010-09-07 코리아특장자동차 주식회사 윙바디 개폐 장치
KR20110008992A (ko) * 2009-07-20 2011-01-27 이에프특장차 주식회사 윙바디 차량의 윙개폐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669B1 (ko) * 2008-04-15 2010-09-07 코리아특장자동차 주식회사 윙바디 개폐 장치
KR20110008992A (ko) * 2009-07-20 2011-01-27 이에프특장차 주식회사 윙바디 차량의 윙개폐보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991A (ko) * 2018-08-06 2020-02-14 주식회사 씨티인터내셔널 견인프레임 절첩 기능을 가진 카라반용 견인 시스템
KR102143509B1 (ko) * 2018-08-06 2020-08-12 주식회사 씨티인터내셔널 견인프레임 절첩 기능을 가진 카라반용 견인 시스템
KR20220045886A (ko) * 2020-10-06 2022-04-13 이현주 미끄럼방지와 온도유지가 가능한 2단 적재함으로 구성된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
KR102393353B1 (ko) 2020-10-06 2022-05-02 이현주 미끄럼방지와 온도유지가 가능한 2단 적재함으로 구성된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9561B1 (ko) 방수 시트를 부착하기 위한 시스템
KR101222185B1 (ko) 화물차 적재함의 리어게이트 장치
CN109795811B (zh) 用于车辆运输的集装箱
JP7162808B2 (ja) 貨物自動車の荷箱の上扉、荷室形成用構造体および貨物自動車
CN104553934A (zh) 一种便于装卸货物的货车
KR101537003B1 (ko)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KR101101327B1 (ko) 윙바디용 윙 잠금 장치
KR101796246B1 (ko) 윙바디 트럭의 도어 개폐장치
JPWO2019229844A1 (ja) 貨物コンテナ、および貨物コンテナの荷役方法
KR101789277B1 (ko) 윙바디 트럭의 도어 고정장치
KR100808048B1 (ko) 윙바디 차량의 측면게이트 고정구조
CN210526540U (zh) 用于货车卸货的自锁机构及具有其的铁路货车
WO2007129631A1 (ja) 物流用コンテナの搬入出口遮蔽装置
KR102005630B1 (ko) 트럭용 적재함 덤프 장치
KR101295519B1 (ko)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
KR101627666B1 (ko) 호퍼형 화차
US5706964A (en) Reusable corner and bulkhead system for bulk cargo container
CN211495390U (zh) 一种侧开门集装箱
CN110217253A (zh) 用于货车卸货的自锁机构及具有其的铁路货车
CN207697455U (zh) 一种厢式货运车车门
KR101720208B1 (ko) 화물 이동용 스케이트
CN112277977B (zh) 散粒货物运输车
KR101584333B1 (ko) 화물 차량용 레벨 유지장치
CN216684033U (zh) 货运车辆的车门及其货运车辆
JP4859885B2 (ja) 箱型荷台の後部ドアの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