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519B1 -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519B1
KR101295519B1 KR1020130021911A KR20130021911A KR101295519B1 KR 101295519 B1 KR101295519 B1 KR 101295519B1 KR 1020130021911 A KR1020130021911 A KR 1020130021911A KR 20130021911 A KR20130021911 A KR 20130021911A KR 101295519 B1 KR101295519 B1 KR 101295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member
trunk
loading space
vehicle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웅식
Original Assignee
신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웅식 filed Critical 신웅식
Priority to KR102013002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1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extensible externally of the vehicle body, e.g. to create an open luggage compartment of increased capacity
    • B60R5/042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extensible externally of the vehicle body, e.g. to create an open luggage compartment of increased capacity to create an enclosed luggage compartment of increased capacity, e.g. with ventilation apertures for transporting do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Abstract

본 발명은 5-도어 차량의 트렁크 내부 양 측면과 후면에 승, 하강 가능한 패널을 설치하고 트렁크 덮개의 내면에는 패널의 상단이 결합 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해 트렁크 덮개가 개방된 상태에서 패널을 승강시켜 적재공간을 확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차량 적재용량에 비해서 많은 화물을 적재한다 하더라도 트렁크 덮개가 고정됨에 따라 해당차량은 물론 후방 및 인근 차량의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며 경제적인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는 자동차 후방 트렁크 상부 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동 여부에 따라 확장된 적재공간의 상부를 마감하며 내면 가장자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트렁크 덮개와, 상기 트렁크 내부의 양 측면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 여부에 따라 그 상단이 상기 결합홈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확장된 적재공간의 측면을 마감하는 제 1 패널부재(20)와, 상기 트렁크 내부의 후면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 여부에 따라 그 상단이 상기 결합홈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확장된 적재공간의 후면을 마감하는 제 2 패널부재와, 상기 제 1 패널부재 및 제 2 패널부재 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패널부재 및 제 2 패널부재를 상, 하 방향으로 승, 하강시키는 구동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Expansion Appratus in Automobile Trunk}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5-도어 차량의 트렁크 내부 양 측면과 후면에 승, 하강 가능한 패널을 설치하고 트렁크 덮개의 내면에는 패널의 상단이 결합 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해 트렁크 덮개가 개방된 상태에서 패널을 승강시켜 적재공간을 확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차량 적재용량에 비해서 많은 화물을 적재한다 하더라도 트렁크 덮개가 고정됨에 따라 해당차량은 물론 후방 및 인근 차량의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며 경제적인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트렁크는 화물의 적재공간이고 트렁크 덮개는 화물적재를 위한 개폐도어로서, 트렁크 덮개에는 상하 방향의 개폐특성상 사용자의 개폐를 보조하는 탄성수단인 스테이 댐퍼나 밸런스 스프링 등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트렁크 덮개의 록킹장치는 스트라이커를 포함하는 록킹 조립체와 이 록킹 조립체의 록킹을 해제하는 해제 레버로 이루어지며, 해제 레버와 록킹 조립체는 해제 레버의 작용력을 전달하기 위해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것과 키실린더 조립체와 연동되는 것으로 구분되어 운전석 측에서나 트렁크 덮개 측에서 트렁크 덮개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트렁크 덮개의 록킹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트렁크 덮개가 개방되며,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력은 트렁크 덮개의 자중이 고려되어 있어 트렁크 덮개를 닫을 때에도 용이함을 보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화물의 길이에 의해 트렁크에 적재가 부족한 경우에는 화물이 제대로 적재되지 않아 안전운전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5-도어 차량의 트렁크 내부 양 측면과 후면에 승, 하강 가능한 패널을 설치하고 트렁크 덮개의 내면에는 패널의 상단이 결합 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해 트렁크 덮개가 개방된 상태에서 패널을 승강시켜 적재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적재용량에 비해서 많은 화물을 적재한다 하더라도 트렁크 덮개가 고정됨에 따라 해당차량은 물론 후방 및 인근 차량의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며 경제적인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자동차 후방 트렁크 상부 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동 여부에 따라 확장된 적재공간의 상부를 마감하며 내면 가장자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트렁크 덮개와, 상기 트렁크 내부의 양 측면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 여부에 따라 그 상단이 상기 결합홈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확장된 적재공간의 측면을 마감하는 제 1 패널부재와, 상기 트렁크 내부의 후면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 여부에 따라 그 상단이 상기 결합홈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확장된 적재공간의 후면을 마감하는 제 2 패널부재와, 상기 제 1 패널부재 및 제 2 패널부재 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패널부재 및 제 2 패널부재를 상, 하 방향으로 승, 하강시키는 구동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패널부재 및 제 2 패널부재는 유리재질, 합성플라스틱재질 및 금속재질 중 선택된 하나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수단은 윈도우 모터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적재공간 확장시 상기 트렁크 덮개는 상기 제 1 패널부재 및 제 2 패널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결합홈이 상호 이격됨 없이 밀실하게 결합 될 수 있는 각도까지만 제한적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적재공간 확장 후 상기 적재공간 내에 적재시에는 상기 제 1 패널부재 및 제 2 패널부재 중 한 개 이상이 선택적으로 하강 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에 따르면 첫째, 5-도어 차량의 트렁크 내부 양 측면과 후면에 승, 하강 가능한 패널을 설치하고 트렁크 덮개의 내면에는 패널의 상단이 결합 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해 트렁크 덮개가 개방된 상태에서 패널을 승강시켜 적재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둘째, 차량 적재용량에 비해서 많은 화물을 적재한다 하더라도 트렁크 덮개가 고정됨에 따라 해당차량은 물론 후방 및 인근 차량의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며 화물운송에 경제적인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의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의 작동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1)는 자동차 후방 트렁크 상부 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동 여부에 따라 확장된 적재공간의 상부를 마감하며 내면 가장자리에는 결합홈(11)이 형성되는 트렁크 덮개(10)와, 상기 트렁크 내부의 양 측면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 여부에 따라 그 상단이 상기 결합홈(11)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확장된 적재공간의 측면을 마감하는 제 1 패널부재(20)와, 상기 트렁크 내부의 후면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 여부에 따라 그 상단이 상기 결합홈(11)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확장된 적재공간의 후면을 마감하는 제 2 패널부재(30)와, 상기 제 1 패널부재(20) 및 제 2 패널부재(30) 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패널부재(20) 및 제 2 패널부재(30)를 상, 하 방향으로 승, 하강시키는 구동수단(40)이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1)의 구성부재 및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트렁크 덮개(10)는 트렁크를 개폐함과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과 함께 적재공간 확장시 그 상부를 마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자동차 후방 트렁크 상부 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회동 여부에 따라 확장된 적재공간의 상부를 마감하며 내면 가장자리에는 결합홈(1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트렁크 덮개(10)는 차량의 후면 유리와 함께 개폐되는 쿠페형 스타일의 5-도어 차량 트렁크인 것으로 하며 그 개폐 방법은 종래기술에 따른 트렁크 덮개의 개폐방법 중 하나와 동일한 것으로 그 중에서 선택될 수 있는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전술한 트렁크 덮개(10)는 적재공간 확장시 추후에 설명될 제 1 패널부재(20) 및 제 2 패널부재(30)의 상단부와 전술한 결합홈(11)이 상호 이격 됨 없이 밀실하게 결합 될 수 있는 각도까지만 제한적으로 회동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트렁크 덮개(10)가 전술한 각도 이상으로 회동 될 경우 제 1 패널부재(20) 및 제 2 패널부재(30)의 상단부와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또한 차량 운행시 제 1 패널부재(20) 및 제 2 패널부재(30) 사이와 최대 회동각도 사이에서 트렁크 덮개(10)가 지속적으로 움직임에 따라 안전 운행에 방해가 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트렁크 덮개(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패널부재(20) 및 제 2 패널부재(30)의 상단부와 전술한 결합홈(11)이 상호 이격 됨 없이 밀실하게 결합 될 수 있는 각도까지만 제한적으로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트렁크 덮개(10)가 2단으로 회동 될 수는 있는데,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시에는 제 1 패널부재(20) 및 제 2 패널부재(30)의 상단부와 전술한 결합홈(11)이 상호 이격됨 없이 밀실하게 결합 될 수 있는 각도까지만 제한적으로 회동 되도록 하고, 트렁크 적재공간 개폐를 위해 회동 될 시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트렁크 덮개(10)와 동일한 각도까지 회동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결합홈(11)은 제 1 패널부재(20) 및 제 2 패널부재(30)의 승강시 그 상단이 결합 고정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 1 패널부재(2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트렁크 덮개(10)의 내면 가장자리 중 양 측면 가장자리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고 제 2 패널부재(3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트렁크 덮개(10)의 내면 가장자리 중 후면 가장자리에 한 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홈(11)은 제 1 패널부재(20) 및 제 2 패널부재(30)의 상단이 밀실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유연한 재질의 패킹(도시되지 않음)이 개재되어 물기가 내부로 투입되거나 풍절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트렁크 덮개(10)가 설치되는 트렁크 내부의 양 측면에는 제 1 패널부재(20)가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제 1 패널부재(20)는 승강 여부에 따라 그 상단이 결합홈(11)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확장된 적재공간의 측면을 마감하는 측벽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술한 제 1 패널부재(20)는 트렁크 덮개(10)의 결합홈(11) 내에 결합가능한 높이 이상으로는 승강 되지 않도록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리재질, 합성플라스틱재질 및 금속재질 중 선택된 하나인 것으로 하며, 확장될 트렁크의 적재공간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로 변경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 1 패널부재(20)가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렁크 내부의 후면에는 제 2 패널부재(30)가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제 2 패널부재(30)는 승강 여부에 따라 그 상단이 결합홈(11)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확장된 적재공간의 후면을 마감하는 후방 벽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술한 제 2 패널부재(30)는 트렁크 덮개(10)의 결합홈(11) 내에 결합가능한 높이 이상으로는 승강 되지 않도록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제 1 패널부재(20)와 마찬가지로 유리재질, 합성플라스틱재질 및 금속재질 중 선택된 하나인 것으로 하며, 확장될 트렁크의 적재공간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로 변경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패널부재(20) 및 제 2 패널부재(30)가 설치된 트렁크의 내부에는 구동수단(40)이 설치되는데, 이 구동수단(40)은 그 구동 여부에 따라 전술한 제 1 패널부재(20) 및 제 2 패널부재(30)를 상, 하 방향으로 승,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술한 구동수단(40)은 두 개의 제 1 패널부재(20)에 각각 한 개씩이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제 2 패널부재(30)에도 한 개가 설치되어 제 1 패널부재(20)과 제 2 패널부재(30)을 각각 독립적으로 승, 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동수단(40)은 종래기술에 따른 윈도우 모터인 것으로 하며, 따라서 전술한 구동수단(40)과 제 1 패널부재(20) 및 제 2 패널부재(30)의 연결관계 및 그 승, 하강 방법은 종래기술에 따른 윈도우 모터가 차량 윈도우를 승, 하강시키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종래기술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트렁크 덮개(10)의 회동과 제 1 패널부재(20) 및 제 2 패널부재(30)의 승강에 의해서 확장된 트렁크 적재공간 내부에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할 시에는 전술한 제 1 패널부재(20) 및 제 2 패널부재(30) 중 한 개 이상을 선택적으로 하강하여 적재 또는 하역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는 제 2 패널부재(30)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차량 후방 측으로 운전자나 탑승자가 진입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제 1 패널부재(20) 중 일측을 하강시켜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 1 패널부재(20) 및 제 2 패널부재(30)의 승, 하강은 차량의 스마트키(도시되지 않음) 또는 별도의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에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량 운전석에 별도의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술한 제 1 패널부재(20) 및 제 2 패널부재(30) 중 하나의 중앙에 측 방향으로 또는 상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별도의 개폐도어(도시되지 않음)가 내설되어 있어 제 1 패널부재(20) 및 제 2 패널부재(30)를 하강시키지 않고도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할 수도 있다.
이하에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차량 트렁크 적재공간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차량의 트렁크 덮개(10)를 회동시킨다.
그런 다음, 구동수단(40)을 구동시켜 양 측면의 제 1 패널부재(20)를 승강시키는데 이때 그 상단이 트렁크 덮개(10)의 양측 가장자리 결합홈(11) 내에 결합 고정된다.
그런 다음 마찬가지로 구동수단(40)을 구동시켜 후면의 제 2 패널부재(30)를 승강시키는데 이때 그 상단이 트렁크 덮개(10)의 후방 가장자리 결합홈(11) 내에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트렁크 덮개(10)에 의해서 상부가, 제 1 패널부재(20)에 의해서 측면이 그리고 제 2 패널부재(30)에 의해서 후면이 마감되는 확장된 적재공간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차량이 갖는 트렁크 적재공간보다 확장된 적재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화물 적재시 또는 화물의 하역시 바람직하게는 제 2 패널부재(30)를 하강시키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제 1 패널부재(20)를 하강시켜 적재 또는 하역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이 본래 갖고 있는 트렁크 적재용량보다 확장된 적재용량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보다 많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음은 물론 트렁크 덮개(10)가 고정됨에 따라 해당차량은 물론 후방 및 인근 차량의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며 경제적이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
10 : 트렁크 덮개
11 : 결합홈
20 : 제 1 패널부재
30 : 제 2 패널부재
40 : 구동수단

Claims (5)

  1. 자동차 후방 트렁크 상부 측에 후면 유리와 함께 개폐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동 여부에 따라 확장된 적재공간의 상부를 마감하며 내면 가장자리에 결합홈(11)이 형성되는 트렁크 덮개(10);
    상기 트렁크 내부의 양 측면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 여부에 따라 그 상단이 상기 결합홈(11)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확장된 적재공간의 측면을 마감하는 제 1 패널부재(20);
    상기 트렁크 내부의 후면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 여부에 따라 그 상단이 상기 결합홈(11)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확장된 적재공간의 후면을 마감하는 제 2 패널부재(30); 및
    상기 제 1 패널부재(20) 및 상기 제 2 패널부재(30) 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패널부재(20) 및 상기 제 2 패널부재(30)를 상, 하 방향으로 승, 하강시키는 구동수단(40)이 포함되어,
    상기 결합홈(11)은 유연한 재질의 패킹이 개재되고, 상기 제 1 패널부재(20)의 상단이 상기 결합홈(11)에 밀실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 2 패널부재(30)의 상단이 상기 결합홈(11)에 밀실하게 결합하여, 상기 트렁크 덮개(10), 상기 제 1 패널부재(20) 및 상기 제 2 패널부재(30)는 내부에 상기 확장된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부재(20) 및 제 2 패널부재(30)는 유리재질, 합성플라스틱재질 및 금속재질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은 윈도우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재공간 확장 후 상기 적재공간 내에 적재시에는 상기 제 1 패널부재(20) 및 제 2 패널부재(30) 중 한 개 이상이 선택적으로 하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
KR1020130021911A 2013-02-28 2013-02-28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 KR101295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911A KR101295519B1 (ko) 2013-02-28 2013-02-28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911A KR101295519B1 (ko) 2013-02-28 2013-02-28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519B1 true KR101295519B1 (ko) 2013-08-16

Family

ID=49220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911A KR101295519B1 (ko) 2013-02-28 2013-02-28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5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7596A (ko) * 2015-10-23 2017-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트렁크 턱 높이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099503A1 (zh) * 2020-11-11 2022-05-19 深圳元戎启行科技有限公司 自动驾驶车辆
KR20230045159A (ko) 2021-09-28 2023-04-04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트렁크 연장 트레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2278U (ko) * 1989-12-15 1991-08-22
KR19980049714A (ko) * 1996-12-20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구조
KR19980036632U (ko) * 1996-12-16 1998-09-15 박병재 카고트럭의 적재함 높이 조절장치
KR19980047987U (ko) * 1996-12-30 1998-09-25 양재신 자동차 트렁크 리드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2278U (ko) * 1989-12-15 1991-08-22
KR19980036632U (ko) * 1996-12-16 1998-09-15 박병재 카고트럭의 적재함 높이 조절장치
KR19980049714A (ko) * 1996-12-20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구조
KR19980047987U (ko) * 1996-12-30 1998-09-25 양재신 자동차 트렁크 리드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7596A (ko) * 2015-10-23 2017-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트렁크 턱 높이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4159B1 (ko) * 2015-10-23 2021-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트렁크 턱 높이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099503A1 (zh) * 2020-11-11 2022-05-19 深圳元戎启行科技有限公司 自动驾驶车辆
KR20230045159A (ko) 2021-09-28 2023-04-04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트렁크 연장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85756B (zh) 杂物箱结构和商用车辆
US7631921B2 (en) Closure system for a vehicle
KR200409079Y1 (ko) 슬라이딩 컨테이너
KR101295519B1 (ko)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
US10532774B2 (en) Vehicle liftgate with dual stowable hoists
CN104875660A (zh) 具有快速装载/卸载的货物舱的卡车车体
CN114206645A (zh) 多通道举升门
KR20150129434A (ko)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KR102206751B1 (ko)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
CN107972590A (zh) 用于车辆货物区域的铰接式围栏
US8783754B1 (en) Vehicle having utility bed and retractable seat
US8201871B1 (en) Roll-down cargo door arrangements for vehicles
CN103938995A (zh) 一种分离式汽车后掀背门
US20150375668A1 (en) Commercial vehicle having a modular body
KR101326485B1 (ko)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
CN114426066B (zh) 可重构的皮卡箱侧部和尾栏板
KR101537003B1 (ko)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KR10096289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JPH0535425U (ja) 自動車のバツクドア
KR20080083983A (ko) 화물전용 엘리베이터
JP2002046472A (ja) 2ウェイスライド方式の車両用バックドア装置
CN203796106U (zh) 一种分离式汽车后掀背门
KR102103211B1 (ko) 차량적재함용 자동 덮개
CN203157801U (zh) 自卸式车厢
JP3749701B2 (ja) 自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