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485B1 -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485B1
KR101326485B1 KR1020120086036A KR20120086036A KR101326485B1 KR 101326485 B1 KR101326485 B1 KR 101326485B1 KR 1020120086036 A KR1020120086036 A KR 1020120086036A KR 20120086036 A KR20120086036 A KR 20120086036A KR 101326485 B1 KR101326485 B1 KR 101326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gage
actuator
bus
cargo compartment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문희
조봉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6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4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7/00Motor vehicles or trailers predominantly for carrying passengers
    • B62D47/02Motor vehicles or trailers predominantly for carrying passengers for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9/00Equipment for handling freight; Equipment for facilitating passenger embarkation or the like
    • B64D2009/006Rollers or drives for pallets of freight containers, e.g. PDU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화물실에 적재되어 있는 수화물, 특히 화물실 깊숙한 곳에 놓여져 있는 수화물을 밖으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한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버스 화물실의 바닥 구조를 개선하여 수화물 하차시 화물실 바닥이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하향 경사진 구조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수화물 하차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화물실 내의 수화물을 용이하게 하차시킬 수 있고, 특히 화물실 깊숙한 곳에 놓여 있는 수화물도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꺼낼 수 있는 등 수화물 하차시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더불어 운전자나 승객을 부상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Baggage unloading device for bus luggage room}
본 발명은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의 화물실에 적재되어 있는 수화물, 특히 화물실 깊숙한 곳에 놓여져 있는 수화물을 밖으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한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버스나 관광버스 등과 같은 버스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수단으로서, 버스의 측면 하부에는 승객들이 소지하고 탑승하기에는 부피가 커서 불편한 비교적 큰 화물, 또는 택배용 수화물 등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실이 마련되어 있다.
보통 버스에 마련되는 화물실은 버스의 측면바디에 설치되어 있는 플랩도어의 안쪽으로 조성되며, 대부분 폭에 비해 내부가 깊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화물실 내에 들어 있는 수화물을 하차하는 경우 플랩도어를 개방한 다음, 화물실 공간의 바깥쪽에 놓여져 있는 것부터 차례대로 밖으로 꺼내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이 화물실에서 수화물을 꺼낼 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안쪽 깊숙한 곳에 있는 수화물은 사람이 허리를 숙이고 화물실 내에 몸을 집어넣어서 꺼내야 하므로, 대단히 번거롭고 불편한 점이 많이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수화물을 꺼내는 운전자나 승객의 부상위험이 높은 문제가 있다.
또한, 택배용 수화물의 경우에 화물실 내부 깊숙한 곳의 수화물을 꺼낼 때 작업자가 갈고리 등을 사용함으로 인해 수화물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화물실 내의 수화물을 쉽게 하차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한국등록특허 10-0472654호에서는『버스용 화물 수납장치』, 한국공개특허 10-2005-0008933호에서는『버스의 화물이송장치』, 한국공개특허 10-2008-0043023호에서는『버스의 화물출납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화물 하차장치들은 대부분 화물실 바닥에 트레이 등을 설치하여 수화물을 수납 및 인출하는 등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조작 및 사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고, 설치 운영 및 유지 관리 측면에서도 불리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버스 화물실의 바닥 구조를 개선하여 수화물 하차시 화물실 바닥이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하향 경사진 구조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수화물 하차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화물실 내의 수화물을 용이하게 하차시킬 수 있고, 특히 화물실 깊숙한 곳에 놓여 있는 수화물도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꺼낼 수 있는 등 수화물 하차시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더불어 운전자나 승객을 부상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수화물 하차장치는 버스의 화물실 내에 적재되어 있는 수화물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로서, 차체 폭을 기준하여 양쪽으로 분할되는 동시에 바깥쪽 단부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저부에 설치되어 업다운 동작하면서 양쪽 바닥판의 안쪽 단부를 동시에 올려주고 내려주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수화물 하차장치는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양쪽 바닥판의 안쪽 단부가 위로 들려지면서 바깥쪽을 향해 하향 경사진 자세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화물실 내의 수화물을 편리하게 꺼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수화물 하차장치의 바닥판에는 액추에이터측과 접촉하는 저면부에 롤러를 장착하여, 액추에이터측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화물 하차장치의 액추에이터는 플랩을 오픈한 상태에서 화물실 내의 램프가 켜진 후, 로딩/언로딩 스위치의 ON/OFF 조작에 의해 편평한 자세 또는 경사진 자세로의 작동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화물실 내의 수화물 하차시 화물실 바닥이 회전하여 안쪽이 뒤로 들려지면서 경사진 자세로 전환되므로, 바깥쪽에 있는 수화물은 물론 안쪽 깊숙한 곳에 있는 수화물까지도 쉽게 꺼낼 수 있는 등 수화물 하차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종전과 같이 허리를 숙이거나 하는 등의 무리한 동작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운전자나 승객의 부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깊숙한 곳의 수화물을 꺼낼 때 갈고리 등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수화물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셋째, 위아래로 들려지는 화물실 바닥의 구조 변경 및 화물실 바닥을 작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수단의 구비만으로 편리한 하차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므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며 유지관리 또한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버스 화물실에서 수화물을 꺼내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화물 하차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화물 하차장치의 회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화물 하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화물 하차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화물 하차장치는 화물실의 바닥을 2개로 분할하고, 이렇게 분할한 양쪽 바닥의 안쪽 부분이 위로 들려지게 하여, 자연스럽게 바닥이 바깥쪽을 향해 하향 경사진 자세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화물실에 적재되어 있는 수화물을 밖으로 손쉽게 꺼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버스의 화물실(22)은 측면바디에 설치되어 있는 양쪽의 플랩(14)의 내측으로 조성되며, 이때의 플랩(14)은 상단부의 플랜 힌지(16)에 의해 지지되어 바깥쪽으로 젖혀서 위로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화물실(22)의 내부에는 조명을 위한 램프(18)가 설치되며, 상기 램프(18)는 종전과 마찬가지로 플랩(14)의 열림시 및 닫힘시 자동으로 ON/OFF되는 회로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화물실(22)의 벽면 일측에는 로딩/언로딩 스위치(15), 즉 바닥판 경사진 구조를 위한 언로딩 스위치(15b) 및 바닥판 편평한 구조를 위한 로딩 스위치(15b)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때의 로딩/언로딩 스위치(15)의 조작에 의해 후술하는 바닥판(11a,11b)이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로딩/언로딩 스위치(15)는 통상의 스위치 구조, 예를 들면 한 쪽으로 젖히면 ON 작동, 다른 한 쪽으로 젖히면 OFF 작동하는 스위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버스 화물실의 바닥은 차체의 좌우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양쪽으로 분할되는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바닥판(11a,11b)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바닥판(11a,11b)의 바깥쪽 단부는 힌지부(10)에 의해 차체측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판(11a,11b)은 힌지부(1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고, 결국 그 안쪽 단부가 위로 들려졌을 때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하향 경사진 자세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1a,11b)의 저면부, 예를 들면 안쪽 단부의 저면부에는 롤러(13)가 각각 장착되며, 이때의 롤러(13)는 바닥판 저면에 고정되는 롤러 브라켓(21)상에서 회전가능한 구조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12)는 후술하는 액추에이터(12)에 의해 바닥판(11a,11b)이 위로 들려지는 동작시 액추에이터측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바닥판(11a,11b)을 움직여주는 수단으로 액추에이터(12)가 마련된다.
상기 액추에이터(12)는 바닥판(11a,11b)의 저부, 즉 양쪽으로 분할되어 있는 바닥판(11a,11b) 간의 서로 접하는 경계부위의 저부에 수직자세로 위치되면서 차체측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작동시 양쪽의 바닥판(11a,11b)을 동시에 작동시켜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액추에이터(12)는 다양한 타입의 것을 적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실린더 단독으로 이루어진 타입, 실린더(12a)와 모터(12b)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진 타입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실린더(12a)와 모터(12b)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액추에이터(12)의 일 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12a)는 모터(12b)에 의해 구동되는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12)의 로드, 즉 실린더(12a)의 로드에는 양단 경사면을 가지는 판 형태의 로드 가이드(17)가 장착되고, 이때의 로드 가이드(17)는 그 윗면을 통해 바닥판(11a,11b)에 있는 롤러(13)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실린더 작동시 로드 가이드(17)가 상승하게 되면 바닥판(11a,11b)은 롤러(13)를 이용하여 로드 가이드(17)에 받쳐지면서 위로 들려질 수 있게 되고, 결국 액추에이터측과 바닥판측 간의 접촉이 가이드 경사면을 타고 흐르는 롤러의 구름운동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화물 하차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화물 하차장치의 회로상에는 수화물 하차시 바닥판을 작동시켜주기 위한 액추에이터(12), 플랩 오픈과 함께 점등되는 램프(18), 램프(18)의 점등을 위한 램프 스위치(19) 등이 포함된다.
이때의 램프 스위치(19)는 플랩 오픈 또는 클로즈 상태에서 자동으로 조작되는 통상의 스위치를 채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12)의 제어 등을 위한 수단으로 ECU(20)가 마련되고, 이때의 ECU(20)는 로딩/언로딩 스위치(1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액추에이터(1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화물 하차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화물 하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수화물 하차 전 상태를 보여준다.
화물실(22)의 내부의 수화물은 편평한 상태의 바닥판(11a,11b) 위에 놓여지게 되고, 이때의 액추에이터(12)는 작동 전 상태(로딩 스위치 ON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수화물 하차 상태를 보여주며, 이때의 수화물 하차를 위해 바닥판(11a,11b)을 경사진 자세로 전환시켜주는 액추에이터(12)는 플랩(14)을 오픈한 상태에서 언로딩 스위치(15a)의 ON 조작에 의해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운전자가 플랩(14)을 열면 차체에 장착된 램프 스위치(19)가 ON 동작되어 램프(18)가 켜지면서 화물실(22)의 내부를 조명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운전자가 화물실(22)의 일측에 장착된 언로딩 스위치(15a)를 ON 조작하면 액추에이터(12)가 작동하면서 그 실린더 로드가 상승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실린더 로드에 장착되어 있는 로드 가이드(17)가 바닥판(11a,11b)에 설치되어 있는 롤러(13)를 위로 올리게 된다.
이렇게 로드 가이드(17)가 롤러(13)를 위로 올리게 되면 바닥판(11a,11b)은 힌지부(1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바닥판(11a,11b)의 안쪽 단부가 위로 들어 올려지게 되므로, 결국 바닥판(11a,11b)은 바깥쪽 단부가 아래로 쳐지게 되는 경사진 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바닥판(11a,11b)이 경사진 자세가 됨에 따라 그 위의 수화물(100)를 쉽게 아래로 내리면서 꺼낼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수화물 하차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바닥판(11a,11b)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화물실 안쪽 깊숙한 곳에 있는 수화물(100)도 살짝 잡아당기면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오게 되므로 손쉽게 수화물(100)를 꺼낼 수 있게 된다.
물론, 화물실(22) 내에서 수화물(100)을 모두 꺼낸 후, 로딩 스위치(15b)을 ON 조작하면 액추에이터(12)의 하강작동에 의해 바닥판(11a,11b)이 재차 편평한 자세로 전환되므로, 수화물(100)의 적재작업 또한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화물 하차시 화물실 바닥판을 경사진 자세로 들려지게 함으로써, 화물실 내부 깊숙한 곳의 수화물 하차시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갈고리 사용 배제에 따른 화물 파손 및 운전자 부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10 : 힌지부 11a,11b : 바닥판
12 : 액추에이터 12a : 실린더
12b : 모터 13 : 롤러
14 : 플랩 15 : 로딩/언로딩 스위치
15a : 언로딩 스위치 15b : 로딩 스위치
16 : 플랩 힌지 17 : 로드 가이드
18 : 램프 19 : 램프 스위치
20 : ECU 21 : 롤러 브라켓
22 : 화물실

Claims (4)

  1. 버스의 화물실 내에 적재되어 있는 수화물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로서,
    차체 폭을 기준하여 양쪽으로 분할되는 동시에 바깥쪽 단부의 힌지부(1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바닥판(11a,11b)과, 상기 바닥판(11a,11b)의 저부에 설치되어 업다운 동작하면서 양쪽 바닥판(11a,11b)의 안쪽 단부를 동시에 올려주고 내려주는 액추에이터(12)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12)의 작동에 의해 양쪽 바닥판(11a,11b)의 안쪽 단부가 위로 들려지면서 바깥쪽을 향해 하향 경사진 자세로 전환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1a,11b)은 액추에이터(12)측과 접촉하는 저면부에 장착되어 액추에이터(12)측과의 접촉을 원활하게 해주는 롤러(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12)는 플랩(14)을 오픈한 상태에서 로딩/언로딩 스위치(15)의 ON/OFF 조작에 의해 편평한 자세 또는 경사진 자세로의 작동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12)는 실린더 단독 방식 또는 모터 및 실린더 조합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
KR1020120086036A 2012-08-07 2012-08-07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 KR101326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036A KR101326485B1 (ko) 2012-08-07 2012-08-07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036A KR101326485B1 (ko) 2012-08-07 2012-08-07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6485B1 true KR101326485B1 (ko) 2013-11-08

Family

ID=49857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036A KR101326485B1 (ko) 2012-08-07 2012-08-07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4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7473A (zh) * 2018-01-26 2019-08-02 湖南晟通天力汽车有限公司 厢车厢体
CN113771720A (zh) * 2021-09-26 2021-12-10 蒙阴县鹏程万里车辆有限公司 一种半挂车用自动卸料平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637A (ko) * 1997-02-21 1998-10-26 현유명 덤프트럭용 적재함
KR19990015329U (ko) * 1997-10-15 1999-05-15 정몽규 서랍식 버스 화물 적재함
KR20010000877U (ko) * 1999-06-21 2001-01-15 정몽규 버스용 화물함의 바닥면 자동이송장치
KR20090020042A (ko) * 2007-08-22 2009-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화물 언로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637A (ko) * 1997-02-21 1998-10-26 현유명 덤프트럭용 적재함
KR19990015329U (ko) * 1997-10-15 1999-05-15 정몽규 서랍식 버스 화물 적재함
KR20010000877U (ko) * 1999-06-21 2001-01-15 정몽규 버스용 화물함의 바닥면 자동이송장치
KR20090020042A (ko) * 2007-08-22 2009-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화물 언로딩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7473A (zh) * 2018-01-26 2019-08-02 湖南晟通天力汽车有限公司 厢车厢体
CN113771720A (zh) * 2021-09-26 2021-12-10 蒙阴县鹏程万里车辆有限公司 一种半挂车用自动卸料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85756B (zh) 杂物箱结构和商用车辆
US9139122B2 (en) Wheelchair transportation loading and storage apparatus
CN104875660A (zh) 具有快速装载/卸载的货物舱的卡车车体
KR101326485B1 (ko)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
US10532774B2 (en) Vehicle liftgate with dual stowable hoists
KR20160117763A (ko) 암롤트럭의 적재함 안전장치
CN104875659A (zh) 用于卡车升降机安装的货物舱的闩锁/锁定系统
US20150114577A1 (en) Roll-down door arrangements
KR20150129434A (ko)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CN114206645A (zh) 多通道举升门
EP1551668B1 (en) Device at a box for a car
KR101295519B1 (ko)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
JP3193459U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US8201871B1 (en) Roll-down cargo door arrangements for vehicles
CN213768222U (zh) 车辆
KR101400027B1 (ko)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방법
JPH08142922A (ja) 貨物自動車のサイドガード
KR200471766Y1 (ko)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KR101663218B1 (ko) 난간대가 구비된 카고트럭용 적재함
KR101438874B1 (ko) 버스의 화물 이송장치
JP4334236B2 (ja) コンテナ荷役車輌におけるコンテナ積込制御装置
KR101155086B1 (ko)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
JP2016538178A (ja) トラック後部ドアアセンブリ
AU2007203728A1 (en) Storage unit
CN203157801U (zh) 自卸式车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