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027B1 -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027B1
KR101400027B1 KR1020120132883A KR20120132883A KR101400027B1 KR 101400027 B1 KR101400027 B1 KR 101400027B1 KR 1020120132883 A KR1020120132883 A KR 1020120132883A KR 20120132883 A KR20120132883 A KR 20120132883A KR 101400027 B1 KR101400027 B1 KR 101400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room
support plate
sensor
mode
horizontal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장원영
김상철
Original Assignee
김동현
김상철
장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김상철, 장원영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1020120132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럼크 룸을 한정하는 몸체와, 상기 트렁크 룸을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드와, 상기 리드가 상기 트렁크 룸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리드의 단부와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수평턱을 구비하는 차체; 상기 트렁크 룸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물품을 지지한 채로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승강 구동되도록 형성되는 승강 유닛; 상기 수평턱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턱 상에 위치하는 대상물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대상물을 감지한 시간의 장단에 근거하여, 상기 승강 유닛이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로 승강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방법{AUTOMOBILE ENABLE TO EASILY LOAD/UNLAOD OBJECT INTO/FROM TRUNK ROOM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미에는 물품을 수납하는 트렁크 룸이 마련되어 있다. 이 트렁크 룸은 트렁크 리드에 의해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며, 소정 깊이의 물품 수납공간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트렁크 룸에 무거운 물품을 탑재하거나 그로부터 물품을 인출할 때에는 트롱크 룸의 깊이로 인해 그 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허리가 불편한 사람이나 노약자에게는 작업시 허리 등에 무리가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트렁크 룸 내에 물품을 탑재하거나 그로부터 물품을 인출하는 것을 도울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트렁크 룸 내에 물품을 탑재하거나 그로부터 물품을 인출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면서, 그 돕는 동작이 사용자의 명령을 감지하여 개시될 수 있는,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는, 트럼크 룸을 한정하는 몸체와, 상기 트렁크 룸을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드와, 상기 리드가 상기 트렁크 룸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리드의 단부와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수평턱을 구비하는 차체; 상기 트렁크 룸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물품을 지지한 채로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승강 구동되도록 형성되는 승강 유닛; 상기 수평턱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턱 상에 위치하는 대상물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대상물을 감지한 시간의 장단에 근거하여, 상기 승강 유닛이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로 승강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물품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승강 구동하도록 형성되는 제1 구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체의 수평턱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응한 위치에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리세스에 수용되는 갭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구동 유닛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평턱와 동일한 높이로 상승 되도록 구동하게 형성되는 구동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 실린더는, 상기 트렁크 룸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일 단부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저면에 지지되는 타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 실린더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수평턱에서 먼 단부가 상기 수평턱에 대해 낮게 또는 높게 위치하도록 하는 복수의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먼 단부가 상기 수평턱에 대해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제1 구동 유닛을 구동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먼 단부가 상기 수평턱에 대해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제1 구동 유닛을 구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먼 단부 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먼 단부가 상기 수평턱에 대해 낮게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 하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놓여진 상기 물품을 상기 수평턱을 향해 밀어 올리도록 형성되는 제2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리드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리드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 룸 내의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보조하는 방법은, 제1 센서가 차체의 수평턱 상에 위치하는 물체가 위치한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위치한 시간이 설정값 이상이면 제1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위치한 시간이 설정값 미만이면 제2 모드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로 판단되면, 트렁크 룸 내의 지지 플레이트의 먼 단부가 상기 수평턱에 대해 낮게 위치하게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트렁크 룸 내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먼 단부가 상기 수평턱에 대해 높게 위치하게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센서가 차체의 수평턱 상에 위치하는 물체가 위치한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전에, 제2 센서를 통해 상기 트렁크 룸을 개폐하는 리드가 상기 트렁크 룸을 개방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센서를 활상화하는 단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트렁크 룸 내에 물품을 탑재하거나 그로부터 물품을 인출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면서, 그 동작이 사용자의 명령을 감지하여 개시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사용자는 물품의 탑재 또는 인출을 위해 필요한 힘을 덜 들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간편한 방식으로 자동차가 상기와 같이 힘을 덜어주는 방식으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1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차(100)의 제어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 룸 내의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보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1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자동차(100)는, 차체(110)와, 승강 유닛(130)과, 제1 센서(150)와, 제어 유닛(170, 도 2)을 포함할 수 있다.
차체(110)는, 몸체(111)와, 리드(113)와, 수평턱(115)과, 트렁크 룸(117)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1)는 차체(110)의 뼈대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엔진과 조향 장치, 승객실 등을 구비한다. 몸체(111)는 또한 트렁크 룸(117)을 구비한다. 리드(113)는 몸체(111)에 트렁크 룸(117)을 개폐하도록 설치된다. 수평턱(115)은 리드(113)가 트렁크 룸(117)을 개방함에 의해 외부로 드러나면, 트렁크 룸(117)의 입구에 위치하는 몸체(111)의 일 부분이다. 트렁크 룸(117)은 물품이 실려지는 공간이다.
승강 유닛(130)은 트렁크 룸(117) 내에 설치되어, 상기 물품을 지지한 채로 높이 방향(V)으로 승강 구동하는 구성이다. 승강 유닛(130)은, 지지 플레이트(131)와, 제1 구동 유닛(135)을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131)는 수평턱(115)에 가까운 제1 단부(132)와, 수평턱(115)에서 먼 제2 단부(133)를 구비하는 판재이다.
제1 구동 유닛(135)은, 예를 들어 구동 실린더이다. 상기 구동 실린더의 일 단은 트렁크 룸(117)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 단은 지지 플레이트(131)의 밑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구동 유닛(135)은, 제1 단부(132)에 대응하는 하나의 구동 실린더만으로 구성되거나, 제2 단부(133)에 대응하는 또 하나의 구동 실린더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지지 플레이트(131)가 수평한 상태로 승강되거나, 제1 단부(132)가 제2 단부(133)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지지 플레이트(131)가 승강될 것이다. 후자의 경우라면, 그에 더하여, 제2 단부(133)가 제1 단부(132)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지지 플레이트(131)가 승강될 수도 있다.
승강 유닛(130)은 또한 제2 구동 유닛(137)과, 가압 플레이트(1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 유닛(137)은 지지 플레이트(131)의 제1 단부(132)가 상승되고 제2 단부(133)는 상승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지 플레이트(131) 위의 상기 물품을 수평턱(115) 측으로 밀어 올리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제2 구동 유닛(137) 또한 구동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139)는 제2 구동 유닛(137)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품을 지지하게 된다. 가압 플레이트(139)는 제2 구동 유닛(137)의 작동에 의해, 경사 방향(C)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센서(150)는 차체(110)에 설치되어, 승강 유닛(130)의 작동에 관련한 사용자의 명령을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제1 센서(150)는 수평턱(115)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150)는 수평턱(115)에 지지 플레이트(131)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는 리세스 내에 위치하는 갭 센서일 수 있다. 그에 의해, 수평턱(115)에 상기 물품을 올려놓아도, 제1 센서(150)가 상기 물품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제어 유닛(170)은, 제1 센서(150) 등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승강 유닛(13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 유닛(170)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자동차(100)의 제어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본 도면(및 도 1)을 참조하면, 제어 유닛(170)은, 제1 센서(150) 뿐만 아니라 제2 센서(190)로부터도 감지 결과를 입력받는다. 이때, 제2 센서(190)는 차체(110)에 설치되어 리드(113)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입력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 유닛(170)은 제1 구동 유닛(135)과 제2 구동 유닛(137)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170)은 제1 센서(150)가 물체[상기 물품 또는 사용자의 손바닥 등]을 얼마나 오래 감지하느냐에 따라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판별한다. 다시 말해서, 제어 유닛(170)은 상기 감지 시간이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제1 모드로 판단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상기 제2 모드로 판단한다. 전자는 통상적으로 트렁크 룸(117) 내에 상기 물품을 탑재하기 위해 수평턱(115)에 상기 물품을 얹어 놓은 경우가 될 것이고, 후자는 사용자가 트렁크 룸(117)에서 상기 물품을 인출하기 위해 손바닥을 잠깐 제1 센서(150) 상에 위치시킨 경우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에서, 제어 유닛(170)은 제1 구동 유닛(135)을 구동하여, 지지 플레이트(131)가 상승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지지 플레이트(131)의 제1 단부(132)가 수평턱(115)에 대응하게 상승하고, 제2 단부(133)는 제1 단부(132)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게 한다.
상기 제2 모드에서, 제어 유닛(170)은 제1 구동 유닛(135)을 구동하여, 지지 플레이트(131)의 제2 단부(133)가 제1 단부(132) 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지지 플레이트(131)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단부(132)는 수평턱(115)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 유닛(170)은, 지지 플레이트(131)의 제1 단부(132)가 수평턱(115)에 대응하게 상승하고 제2 단부(133)는 제1 단부(132)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게 한 상태에서, 제2 구동 유닛(137)을 가동하여 가압 플레이트(139)가 수평턱(115)을 향해 상승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자가 위치 에너지에 의해 상기 물품이 트렁크 룸(117) 밖으로[수평턱(115)을 향해] 이동하게 하는 것이라면, 후자는 제2 구동 유닛(137)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물품이 트렁크 룸(117) 밖으로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제어 유닛(170)은 제2 센서(19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리드(113)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 센서(150)가 활성화되게 할 수 있다. 리드(113)가 트렁크 룸(117)을 닫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센서(150)가 활성화되고 어떤 명령을 감지한 것으로 되어 승강 유닛(130)이 작동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동차(100)에 따른 트렁크 룸(117) 내의 상기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보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 룸 내의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보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도면[및 도 1, 도 2]을 참조하면, 제어 유닛(170)은 먼저 리드(113)가 트렁크 룸(117)을 개방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
리드(113)가 개방된 상태에서야 비로소, 제1 센서(150)를 활성화한다(S3). 이로써, 제1 센서(150)는 사용자가 트렁크 룸(117) 내에 상기 물품을 탑재할지 또는 상기 물품을 인출할지에 관한 명령을 입력받을 준비가 된다.
제1 센서(150)가 물체(상기 물품 또는 사용자의 손바닥 등)를 감지한 경우에(S5), 제어 유닛(170)은 기준 시간 이상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
상기 기준 시간 이상 상기 물체가 감지된다면, 제어 유닛(170)은 상기 제1 모드로 판단한다(S9). 상기 제1 모드는 사용자가 트렁크 룸(117)에 상기 물품을 탑재하는 것을 보조하는 모드이다. 이 경우, 제어 유닛(170)은 지지 플레이트(131)가 수평턱(115)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제1 구동 유닛(135)을 구동한다. 다시 말해서, 지지 플레이트(131)의 제1 단부(132)는 수평턱(115)에 대응한 높이로 상승되고, 제2 단부(133)는 제1 단부(132) 보다 낮은 높이에 머무르게 된다.
상기 기준 시간 미만으로 상기 물체가 감지된다면, 제어 유닛(170)은 상기 제2 모드로 판단하다(S13). 상기 제1 모드는 사용자가 트렁크 룸(117)에서 상기 물품을 인출하는 것을 보조하는 모드이다. 이 경우, 제어 유닛(170)은 지지 플레이트(131)가 수평턱(115)에 대해 하향 경사지게 제1 구동 유닛(135)을 구동한다. 다시 말해서, 지지 플레이트(131)의 제1 단부(132)는 수평턱(115)에 대응한 높이로 상승되고, 제2 단부(133)는 제1 단부(132) 보다 높은 높이에 머무르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모드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31)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2 구동 유닛(137)을 구동하여 상기 물품이 수평턱(115) 측으로 밀어 올려지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자동차 110: 차체
111: 몸체 117: 트렁크 룸
130: 승강 유닛 131: 지지 플레이트
135: 제1 구동 유닛 137: 제2 구동 유닛
150: 제1 센서 170: 제어 유닛
190: 제2 센서

Claims (13)

  1. 트럼크 룸을 한정하는 몸체와, 상기 트렁크 룸을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드와, 상기 리드가 상기 트렁크 룸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리드의 단부와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수평턱을 구비하는 차체;
    상기 트렁크 룸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물품을 지지한 채로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승강 구동되도록 형성되는 승강 유닛;
    상기 수평턱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턱 상에 위치하는 대상물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대상물을 감지한 시간의 장단에 근거하여, 상기 승강 유닛이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로 승강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물품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승강 구동하도록 형성되는 제1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수평턱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응한 위치에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리세스에 수용되는 갭 센서를 포함하는, 트렁크 룸 내의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유닛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평턱와 동일한 높이로 상승 되도록 구동하게 형성되는 구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트렁크 룸 내의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실린더는, 상기 트렁크 룸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일 단부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저면에 지지되는 타 단부를 포함하는, 트렁크 룸 내의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실린더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수평턱에서 먼 단부가 상기 수평턱에 대해 낮게 또는 높게 위치하도록 하는 복수의 실린더를 포함하는, 트렁크 룸 내의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먼 단부가 상기 수평턱에 대해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제1 구동 유닛을 구동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먼 단부가 상기 수평턱에 대해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제1 구동 유닛을 구동하도록 형성되는, 트렁크 룸 내의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먼 단부 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먼 단부가 상기 수평턱에 대해 낮게 위치한 경우에,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 하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놓여진 상기 물품을 상기 수평턱을 향해 밀어 올리도록 형성되는 제2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트렁크 룸 내의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리드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리드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형성되는, 트렁크 룸 내의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12. 제1 센서가 차체의 수평턱 상에 위치하는 물체가 위치한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위치한 시간이 설정값 이상이면 제1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위치한 시간이 설정값 미만이면 제2 모드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로 판단되면, 트렁크 룸 내의 지지 플레이트의 먼 단부가 상기 수평턱에 대해 낮게 위치하게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트렁크 룸 내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먼 단부가 상기 수평턱에 대해 높게 위치하게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룸 내의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보조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가 차체의 수평턱 상에 위치하는 물체가 위치한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전에,
    제2 센서를 통해 상기 트렁크 룸을 개폐하는 리드가 상기 트렁크 룸을 개방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센서를 활상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룸 내의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보조하는 방법.
KR1020120132883A 2012-11-22 2012-11-22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방법 KR101400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883A KR101400027B1 (ko) 2012-11-22 2012-11-22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883A KR101400027B1 (ko) 2012-11-22 2012-11-22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027B1 true KR101400027B1 (ko) 2014-05-30

Family

ID=50895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883A KR101400027B1 (ko) 2012-11-22 2012-11-22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0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7596A (ko) * 2015-10-23 2017-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트렁크 턱 높이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2758191A (zh) * 2020-12-29 2021-05-07 华人运通(江苏)技术有限公司 行李箱盖、行李箱盖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车辆
KR20220057115A (ko) 2020-10-29 2022-05-09 (주)대한솔루션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696Y1 (ko) * 1996-05-14 1998-12-15 양재신 자동차 트렁크 룸의 물품 승강장치
JP2006224712A (ja) 2005-02-15 2006-08-31 Toyota Motor Corp 車両用荷室構造
KR20070040227A (ko) * 2005-10-11 2007-04-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 타이어 인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696Y1 (ko) * 1996-05-14 1998-12-15 양재신 자동차 트렁크 룸의 물품 승강장치
JP2006224712A (ja) 2005-02-15 2006-08-31 Toyota Motor Corp 車両用荷室構造
KR20070040227A (ko) * 2005-10-11 2007-04-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 타이어 인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7596A (ko) * 2015-10-23 2017-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트렁크 턱 높이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4159B1 (ko) * 2015-10-23 2021-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트렁크 턱 높이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57115A (ko) 2020-10-29 2022-05-09 (주)대한솔루션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
CN112758191A (zh) * 2020-12-29 2021-05-07 华人运通(江苏)技术有限公司 行李箱盖、行李箱盖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35628A1 (en) Patient support
KR101400027B1 (ko)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방법
CN104875659B (zh) 用于卡车升降机安装的货物舱的闩锁锁定系统
KR102080555B1 (ko)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
RU2008135482A (ru) Тележка для погрузки-разгрузки материалов (варианты)
JP2014004501A (ja) コイン精米機
US10017365B2 (en) Standing platform for an industrial truck
KR101856421B1 (ko) 암레스트 제조 장치
JP6357450B2 (ja) 荷受台昇降装置
JP6435020B1 (ja) 無人搬送車
WO2010146411A1 (en) Cabin storage device for a truck cabin
KR102005756B1 (ko) 유압을 이용한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JP2017030423A5 (ko)
KR101295519B1 (ko)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
KR101326485B1 (ko)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
JP2012006455A (ja) 荷受台昇降装置
KR20170046831A (ko) 김치냉장고의 저장용기 승강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14065380A (ja) 荷受台昇降装置
JP3935888B2 (ja) 車両の荷役装置
JP5826575B2 (ja) コンテナおよび荷役車両
JP5005433B2 (ja) 車両用荷役装置
TR201511660A2 (tr) Otomati̇k kaput kaldirma düzeneği̇
JP3117781U (ja) センサ付きフォークリフト
JP7103857B2 (ja) 格納式荷受台昇降装置
KR20170046832A (ko) 김치냉장고의 저장용기 인출장치 및 인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