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115A -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 - Google Patents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115A
KR20220057115A KR1020200142008A KR20200142008A KR20220057115A KR 20220057115 A KR20220057115 A KR 20220057115A KR 1020200142008 A KR1020200142008 A KR 1020200142008A KR 20200142008 A KR20200142008 A KR 20200142008A KR 20220057115 A KR20220057115 A KR 20220057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electric vehicle
trunk room
sound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모형규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42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7115A/ko
Publication of KR20220057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2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fron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렁크 룸의 외부를 흡음 단열 시트로 감싸고, HVAC가 동작할 때 발생한 냉기를 트렁크 룸 안에 공급받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트렁크 룸을 냉장과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면서도 엔진룸 안에서 발생한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흡음 단열 시트의 구성에서 흡음을 위한 펠트층과 오픈셀 단열층을 포함해서 구성함으로써, HVAC에서 공급받은 냉기 손실을 최소화하여 보온 기능이 이루어지게 하고, 오픈 셀의 단열층으로 흡음 성능과 얻을 수 있게 하여 전기차의 모터, 감속기, 전자기제품(인버터, 컨버터, 충전기, 분배기) 등에서 발생하는 2㎑ 이상 대역의 고주파 소음을 흡음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FRONT TRUNK FOR ELECTRON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렁크 룸의 외부를 흡음 단열 시트로 감싸고, 그 안에 HVAC(Heating, Ventilation, & Air Conditioning)가 가동될 때 생성된 냉기를 공급받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보관 중인 물품의 냉장 기능과 보온 기능, 그리고 흡음을 통해 소음 저감 기능을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자동차는 엔진과 같은 동력발생장치와 변속장치가 자동차 실내 앞쪽에 주로 장착된다. 이에, 자동차 실내의 후부에는 트렁크를 구성하여 필요한 짐을 보관하거나 싣고 다닐 수 있게 제작된다. 이러한 트렁크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간단한 물품을 보관하거나 운반 등을 위해서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로 제작하여 여러 가지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게 제작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400027호
트렁크 룸을 한정하는 몸체와, 상기 트렁크 룸을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드와, 상기 리드가 상기 트렁크 룸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리드의 단부와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수평 턱을 구비하는 차체; 상기 트렁크 룸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물품을 지지한 채로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승강 구동되도록 형성되는 승강 유닛; 상기 수평 턱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 턱 상에 위치하는 대상물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대상물을 감지한 시간의 장단에 근거하여, 상기 승강 유닛이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로 승강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실용 제20-0279976호
자동차용 트렁크 룸의 물품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트렁크 룸에 밀착 고정시켜 둘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자동차 운행 중에도 흔들림이나 움직임을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트렁크 룸의 물품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트렁크 룸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실을 갖는 케이스로 이루어진 자동차 트렁크 룸의 물품 수납케이스에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는 보조 케이스가 슬라이드 되게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를 상기 트렁크 룸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는 탄성의 훅이 형성되고, 이 훅과 대응하여 상기 보조 케이스에는 래치가 형성된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61990호
조작 스위치의 조작으로 트렁크 룸 바닥 부위에 구비된 모터가 구동되면, 모터의 동력으로 구속 상태가 해제된 케이블이 열려지는 트렁크 리드와 함께 이동되고, 이러한 케이블의 이동으로 상승되는 "X"자 타입 좌·우 링크를 매개로 트렁크 룸 바닥에 위치된 커버 플레이트가 상승하게 되면, 트렁크 리드 쪽에 구비된 모터와 서로 결합이 되는 이동·지지 기어의 고정력을 매개로 상승된 커버 플레이트의 상승 위치를 유지해 줌에 따라, 트렁크 룸에 수용된 짐이 작업자의 허리 높이까지 상승되어 짐을 내리는 작업이 편리해 짐은 물론, 짐을 트렁크 룸에 실을 때도 상승된 커버 플레이트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조작 스위치의 조작으로 모터를 구동시켜 줌에 따라, "X"자 타입 좌·우 링크를 매개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트렁크 룸 바닥으로 내려가므로, 트렁크 룸에 대한 작업이 더욱 편리해지는 특징이 있게 된다.
한편, 근래에는 친환경 차량으로 전기차의 보급이 늘고 있다. 전기차는 전기를 동력으로 구동하는 차량으로, 특히 경유나 휘발유와 같은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서 구동력을 얻는 기존 차량과 달리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한다. 이에, 전기차는 기존 차량과 비교해서 엔진룸에 장착되는 구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기차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엔진룸 일부를, [도 1]과 같이, 트렁크 룸(T)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제작된다. 하지만, 기존의 전기차에 구성된 트렁크는 단순히 물건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용도로 밖에는 사용할 수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00027호 (등록일: 2014.05.21) 한국등록실용 제20-0279976호 (등록일: 2002.06.17)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61990호 (공개일: 2009.06.17)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트렁크 룸의 외부를 흡음 단열 시트로 감싸고, HVAC가 동작할 때 발생한 냉기를 트렁크 룸 안에 공급받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트렁크 룸을 냉장과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면서도 엔진룸 안에서 발생한 소음을 줄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한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흡음 단열 시트의 구성에서 흡음을 위한 펠트층과 오픈셀 구조를 포함하는 단열층을 포함해서 구성함으로써, HVAC에서 공급받은 냉기로 냉장 기능을 지속하면서도 열손실을 최소화해서 보온 기능을 이루어지게 하고, 오픈 셀 구조의 단열층을 통해 흡음 성능과 얻을 수 있게 하여 전기차의 모터, 감속기, 전자기제품(인버터, 컨버터, 충전기, 분배기) 등에서 발생하는 2㎑ 이상 대역의 고주파 소음을 흡음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게 한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는, 트렁크 룸(100)을 포함하는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에서, 상기 트렁크 룸(100)에는, 외면 전체를 감싸는 흡음 단열 시트(110); 개방된 입구를 마감하는 트렁크 인슐레이션(120); 전기차에 미리 장착된 HVAC(S)가 가동될 때에 냉기를 공급받아 상기 트렁크룸(100) 안으로 공급하는 공급 관(130); 및 내부 바닥에 장착되어 트렁크 룸(100) 내부의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출 밸브(14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트렁크 룸(100)은, PP(polypropylene)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음 단열 시트(110)는, 글라스 울, 폴리우레탄, 레진 펠트,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펠트, 및 잡사 펠트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흡음층(111); 및 부직포와 오픈 셀 구조의 단열 부재 그리고 부직포를 적층해서 이루어진 단열층(11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글라스 울은, 면밀도가 300~1,50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레진 펠트, PET 펠트, 및 잡사 펠트는, 각각 면밀도가 400~2,400 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부직포는, 각각 면밀도가 40~200 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트렁크 인슐레이션(120)은,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 관(130)은, PP(polypropylene), 주름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 고무, 실리콘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 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트렁크 룸(100)에는, 개방된 가장자리에 웨더스트립(12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트렁크 룸에 HVAC(Heating, Ventilation, & Air Conditioning)가 가동할 때 생성된 냉기를 공급받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트렁크 룸을 하나의 냉장고처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트렁크 룸에 음료나 음식을 보관하여 시원하고 상하지 않게 보관했다가 마시거나 먹을 수 있다.
(2) 특히, 트렁크 룸의 외부를 흡음 단열 시트를 감싸므로, 단열 효과를 통해 트렁크 룸 안의 냉기가 쉽게 트렁크 룸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하게 해서 냉장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HVAC를 끄더라도 트렁크 룸 안에 남아있는 냉기로 냉장 기능을 얻을 수 있다.
(3) 또한, 섬유층과 개방 셀 구조의 단열층을 이용해서 트렁크 룸과 엔진룸 사이의 단열 작용이 이루어지게 구성함으로, 단열 효과와 함께 흡음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흡음 작용은 전기차의 모터, 감속기, 전자기제품(인버터, 컨버터, 충전기, 분배기) 등에서 발생하는 2㎑ 이상 대역의 고주파 소음을 흡음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줄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전기차에서 모터가 설치되는 엔진룸에 트렁크 룸을 구성한 예를 보여주는 자동차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룸의 구성을 보여주는 자동차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룸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확대한 일부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룸(실시예)와 기존 수납공간으로 사용되던 종래의 트렁크 룸(비교예)에 대해 주파수 변화에 따른 소음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에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전기차의 엔진룸에 구성되는 트렁크 룸(100)이 포함된다. 이러한 트렁크 룸(100)에는, 흡음 단열 시트(110), 트렁크 인슐레이션(120), 공급 관(130), 그리고 배출 밸브(140)가 구성된다.
특히, 상기 공급 관(130)은 전기차에 미리 장착된 HVAC(S)에서 만든 냉기 일부를 공급받아 트렁크 룸(100)에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이 트렁크 룸(100)을 냉장과 보랭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흡음 단열 시트(110)는 흡음 재질과 오픈셀 구조의 단열 부재를 갖춤으로써, 엔진룸에서 발생한 전기차의 모터, 감속기, 전자기제품(인버터, 컨버터, 충전기, 분배기) 등의 소음원에서 발생하는 2㎑ 이상 대역의 고주파 소음을 흡음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흡음 단열 시트(110)는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트렁크 룸(100)의 안과 밖 사이의 단열이 이루어지게 해서 온도 손실을 최소화하여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HVAC"은 "Heating, Ventilation, & Air Conditioning"의 약어로 전기차에 미리 장착되어서 냉난방에 이용되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H"는 엔진룸을 마감하는 후드를 각각 나타낸다.
가. 트렁크 룸
트렁크 룸(10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차가 구동하게 하는 모터를 장착한 엔진룸에 구성된다. 이때, 상기 트렁크 룸(100)은 이처럼 모터나 감속기와 같이 전기차를 구동하거나 구동에 필요한 여러 구성과 간섭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트렁크 룸(100)은 PP(polypropylene) 이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제작함으로써, 강성이 강해 쉽게 부서지지 않게 하면서도 냉기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렁크 룸(100)은, [도 3]과 같이, 개방된 입구 부분의 가장자리에 웨더스트립(121)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더스트립(121)은 이 트렁크 룸(100)에 후술할 트렁크 인슐레이션(120)을 닫아서 마감할 때 그 안의 냉기가 새지 않게 장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웨더스트립(121)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기밀을 위해 사용되는 기술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트렁크 룸(100)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흡음 단열 시트(110), 트렁크 인슐레이션(120), 공급 관(130), 그리고 배출 밸브(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나. 흡음 단열 시트
흡음 단열 시트(11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트렁크 룸(100)의 외면 전체를 감쌀 수 있게 제작된다. 이때, 상기 흡음 단열 시트(110)는 흡음 성능과 단열 성능을 가질 수 있는 재질을 이용해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흡음 단열 시트(110)는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흡음과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보다는 흡음 성능이 우수한 흡음층(111)과 단열 성능이 우수한 단열층(112)을 다층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1. 단열층
단열층(112)은, [도 3]과 같이, 상술한 트렁크 룸(110)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층이다. 이러한 단열층(112)은 외력에 의해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게 하면서도 단열 작용을 통해 트렁크 룸(100) 내의 냉기가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게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러한 단열층(112)은 부직포와 오픈 셀 구조의 단열 부재 그리고 부직포를 적층해서 구성함으로써, 부직포의 강성 보강을 통해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게 하면서도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부직포는 면밀도가 40~200 g/㎡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열 부재는 오픈 셀 구조를 가진 폼(Open-cell Foam)이나 EPS(Expandable Polystyrene) 수지와 같은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단열 효과와 더불어 전기차의 모터, 감속기, 전자기제품(인버터, 컨버터, 충전기, 분배기) 등의 소음원에서 발생하는 2㎑ 이상 대역의 고주파 소음을 흡음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 차단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오픈 셀 구조는 공기 구멍이나 기공이 형성되나 이러한 구멍이나 기공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작된 것으로, 이처럼 개방된 구멍이나 기공에 공기를 가둬서 단열 효과가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고주파가 이러한 구멍이나 기공 안에서 흡수되게 하여 흡음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2. 흡음층
흡음층(111)은, [도 3]과 같이, 상기 단열층(112)을 감싸게 장착되고, 특히 흡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한다. 이때, 흡음층(111)의 재질로는 흡음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글라스 울, 폴리우레탄, 레진 펠트,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펠트, 및 잡사 펠트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글라스 울은 면밀도가 300~1,500 g/㎡인 것을 사용하고, 상기 레진 펠트, PET 펠트, 및 잡사 펠트는 각각 면밀도가 400~2,400 g/㎡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 트렁크 인슐레이션
트렁크 인슐레이션(12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트렁크 룸(100)의 개방된 입구를 마감하여 트렁크 룸(100)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새지 않게 하기 위한 인슐레이션이다.
특히, 상기 트렁크 인슐레이션(120)은, [도 3]과 같이, 트렁크 룸(100)에 뚜껑 형태로 덮어서 마감할 수 있게 구성하거나, 트렁크 룸(100)의 입구 부분에 경첩 등을 이용해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트렁크 인슐레이션(120)은 뚜껑 형태로 덮어놨다가 사용할 때는 들어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후드(H)를 개방했을 때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렁크 인슐레이션(120)은, [도 3]과 같이, 트렁크 룸(100)의 입구 부분을 개폐하게 하는 구성이므로, 뚜껑 기능과 더불어 흡음과 단열 기능을 가진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질로는, 예시적으로, 폴리우레탄 과 실리콘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트렁크 인슐레이션(120)으로 마감된 트렁크 룸(100)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HVAC(S)가 동작할 때 생긴 냉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 관(130)이 구성된다.
라. 공급 관
공급 관(13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한쪽이 상기 트렁크 룸(100)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이 HVAC(S)에 연결되어, 이 HVAC(S)가 작동할 때 생성된 냉기를 트렁크 룸(100)에 공급하기 위한 관이다. 여기서, HVAC(S)는 이미 전기차에 장착되어 자동차 실내의 냉방과 난방을 담당하는 공기조화장치를 말한다.
이때, 상기 공급 관(130)은 HVAC(S)에서 만들어진 냉기를 트렁크 룸(100)에 공급하는 관이므로, 냉기에도 변형과 파손이 잘되지 않고 또한, 트렁크 룸(100)과 HVAC(S) 사이의 경로에 맞춰 쉽게 형상을 변형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질로는, 예시적으로, PP(polypropylene), 주름 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 고무, 실리콘 고무 그리고 폴리우레탄 고무를 예로 들 수 있다.
마. 배출 밸브
배출 밸브(140)는, [도 3]과 같이, 상술한 트렁크 룸(100)의 내부 바닥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배출 밸브(140)는 상기 트렁크 룸(100)에 공급된 냉기가 액화되면서 생기는 응축수를 트렁크 룸(100)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밸브이다. 이에, 상기 배출 밸브(140)는 엔진룸에 장착된 트렁크 룸(100)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응축수가 가장 낮은 위치에 집수하게 해서 쉽게 트렁크 룸(100) 밖으로 배수할 수 있게 한다.
[소음 성능 비교]
본 발명에 따라 흡음 단열 시트를 갖춘 트렁크 룸(실시예)과 단순 수납공간으로 사용되는 종래 트렁크 룸(비교예)에 대해 고주파 소음 특성에 대한 시험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전기차는 듀얼 모터 방식의 전기차를 이용하고, 평가 모드는 급가속 모드로 평가했으며, 운전석의 귀 부분에서 소음을 측정하였다. 또한, 도면에서, 가로축은 1/3옥타브의 주파수(㎐)를, 세로축은 소음[dB(A)]을, 붉은 선 그래프는 실시예를, 검은 선 그래프는 비교예를 각각 나타낸다.
[도 4]에서, 실시예는 주파수 전반에 걸쳐 비교예보다 개선된 흡음 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모터, 감속기, 전자기제품(인버터, 컨버터, 충전기, 분배기) 등의 소음원에서 발생하는 2kHz 이상 대역의 고주파 소음을 흡음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줄여준다. 또한, 고주파 대역에서 실효출력 평균값(RMS)를 보면, 실시예가 37.4dB(A)이고, 비교예가 37.9dB(A)로, 실시예가 0.5dB(A) 포인트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100: 트렁크 룸
110: 흡음 단열 시트
120: 트렁크 인슐레이션
130: 공급 관
140: 배출 밸브

Claims (9)

  1. 트렁크 룸(100)을 포함하는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에서,
    상기 트렁크 룸(100)에는,
    외면 전체를 감싸는 흡음 단열 시트(110);
    개방된 입구를 마감하는 트렁크 인슐레이션(120);
    전기차에 미리 장착된 HVAC(S)가 가동될 때에 냉기를 공급받아 상기 트렁크룸(100) 안으로 공급하는 공급 관(130); 및
    내부 바닥에 장착되어 트렁크 룸(100) 내부의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출 밸브(14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
  2. 제1항에서,
    상기 트렁크 룸(100)은,
    PP(polypropylene)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
  3. 제1항에서,
    상기 흡음 단열 시트(110)는,
    글라스 울, 폴리우레탄, 레진 펠트,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펠트, 및 잡사 펠트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흡음층(111); 및
    부직포와 오픈 셀 구조의 단열 부재 그리고 부직포를 적층해서 이루어진 단열층(11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
  4. 제3항에서,
    상기 글라스 울은,
    면밀도가 300~1,50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
  5. 제3항에서,
    상기 레진 펠트, PET 펠트, 및 잡사 펠트는,
    각각 면밀도가 400~2,40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
  6. 제3항에서,
    상기 부직포는, 각각
    면밀도가 40~20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
  7. 제1항에서,
    상기 트렁크 인슐레이션(120)은,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
  8. 제1항에서,
    상기 공급 관(130)은,
    PP(polypropylene), 주름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 고무, 실리콘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 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트렁크 룸(100)에는,
    개방된 가장자리에 웨더스트립(12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
KR1020200142008A 2020-10-29 2020-10-29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 KR20220057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008A KR20220057115A (ko) 2020-10-29 2020-10-29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008A KR20220057115A (ko) 2020-10-29 2020-10-29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115A true KR20220057115A (ko) 2022-05-09

Family

ID=81582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008A KR20220057115A (ko) 2020-10-29 2020-10-29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71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081B1 (ko) 2023-11-24 2024-04-30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전기차의 프렁크를 활용한 건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976Y1 (ko) 2002-03-25 2002-06-28 김세길 자동차용 트렁크 룸의 물품 수납케이스
KR20090061990A (ko)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트렁크 룸의 수하물 적재장치
KR101400027B1 (ko) 2012-11-22 2014-05-30 김동현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976Y1 (ko) 2002-03-25 2002-06-28 김세길 자동차용 트렁크 룸의 물품 수납케이스
KR20090061990A (ko)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트렁크 룸의 수하물 적재장치
KR101400027B1 (ko) 2012-11-22 2014-05-30 김동현 트렁크 룸 내 물품의 탑재 및 인출을 쉽게 하는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081B1 (ko) 2023-11-24 2024-04-30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전기차의 프렁크를 활용한 건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5425C1 (ru) Охлажд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накопле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JP5473954B2 (ja) 冷却構造を有する高電圧機器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US5979962A (en) Load floor lining having integrated sound insulation
US20090205891A1 (en) Vehicle load floor support with integral air duct
JP6246975B2 (ja) トラック
US20080139102A1 (en) Battery Pack and HVAC Air Handling and Controls
WO2011061981A1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
US9440509B2 (en) Battery cooling apparatus
US20090095449A1 (en) Cooling Device for Electrical Apparatus Mounted on Vehicle
JP4361438B2 (ja) バッテリ冷却システム
KR20220057115A (ko) 전기차용 프런트 트렁크
JP6856602B2 (ja) トランクルーム領域を通気する構成部品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
JP5581744B2 (ja) 車両の電源装置配設構造
CN110077326A (zh) 车辆仪表板总成和车辆
JP2011116234A (ja) 移動体用空調システム
JP5186585B2 (ja) 車両用蓄電源空調システム
JP2006248431A (ja) 車載バッテリ装置及びその温度制御方法
US20220146184A1 (en) Refrigerator
JPH08313150A (ja) 冷蔵、冷凍車の断熱箱体
CN215643680U (zh) 降噪结构和车辆
CN114013241B (zh) 驾驶室的制冷系统及商用车
JP2007276696A (ja) 車両用蓄電源空調システム
CN110039967A (zh) 自适应运舱空调系统与其控制方法及具有该系统的移动载具
CN210652905U (zh) 一种应用在汽车副仪表板上带保温冷藏功能的扶手箱
CN104527809A (zh) 一种双层密封的客车发动机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