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555B1 -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 - Google Patents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555B1
KR102080555B1 KR1020180152050A KR20180152050A KR102080555B1 KR 102080555 B1 KR102080555 B1 KR 102080555B1 KR 1020180152050 A KR1020180152050 A KR 1020180152050A KR 20180152050 A KR20180152050 A KR 20180152050A KR 102080555 B1 KR102080555 B1 KR 102080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height
load
lift
automatic ware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국연호
박상록
최재열
황창욱
이진현
김찬원
천현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스턴
(주) 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스턴, (주) 한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스턴
Priority to KR1020180152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이에 적재된 적재물의 높이에 따라 트레이의 거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한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적재물을 보관할 수 있는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적재물이 올려지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올려진 적재물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높이 측정부와 적재물이 올려진 트레이를 이송시키기 위한 리프트와 상기 트레이의 거치를 위해 복수 개의 거치 레일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는 높이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높이에 맞춰 트레이의 상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트레이의 거치 위치를 조절하여 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automatic warehouse with adjustable the storage posi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luggage}
본 발명은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이에 적재된 적재물의 높이에 따라 트레이의 거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한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적재물을 보관할 수 있는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재물의 보관을 위한 창고는 보관되는 적재물의 종류가 증가될 수록 재고관리 및 적재물의 검색 및 인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재물의 종류와 보관 위치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관리함으로써, 재고관리 및 적재물의 위치를 빠르게 파악 및 인출할 수 있게 되었다.
반면, 적재물의 위치를 알더라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적재물을 인출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67639호 "자동창고 시스템"과 같이 컴퓨터를 이용하여 적재물을 보관 위치를 설정하고 일정한 위치에 보관된 적재물을 빠른 시간내에 검색하여 자동으로 출납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반면, 종래의 자동창고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의해 항상 지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관리되고 있으며, 적재물의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할당된 공간이 변경되지 않아, 저장공간을 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적재물의 높이를 직접 확인하고, 적재물의 높이를 고려하여 적재물의 보관 위치를 수작업으로 지정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동창고는 적재물이 적재된 트레이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충돌이 자주 발생되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장치를 구성함에 부족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적재물의 높이에 따라 적재 공간을 자동으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적재물이 적재된 트레이와의 물리적 충돌을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67639호 "자동창고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트레이에 적재된 적재물의 높이를 고려하여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재물이 적재된 트레이와의 물리적 충돌에 의한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는 적재물이 올려지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올려진 적재물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높이 측정부와 적재물이 올려진 트레이를 이송시키기 위한 리프트와 상기 트레이의 거치를 위해 복수 개의 거치 레일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는 높이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높이에 맞춰 트레이의 상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트레이의 거치 위치를 조절하여 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하단에 배치된 결속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는 상기 결속 홈에 체결되는 걸쇠와 상기 걸쇠를 상,하 이송시켜 걸쇠를 결속 홈에 체결 또는 체결 해제시키기 위한 제1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를 전진 및 후진시켜 트레이를 거치 레일에 거치 또는 거치 해제시키기 위한 제2 이송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는 상기 걸쇠의 단부에 트레이와의 충돌을 감지하기 위해 돌출된 충돌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는 상기 트레이의 거치를 위한 슬라이드 레일이 양측에 배치되어 트레이의 슬라이드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걸쇠가 상부 양측에 배치된 체결 몸체와 상기 체결 몸체를 상향으로 탄성지지 하는 지지부와 상기 체결 몸체를 캠 동작에 의해 하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의 측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잠금 레일과 상기 리프트의 측면에 배치되어 잠금 레일에 밀착됨으로써 리프트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에 의하면, 트레이에 적재된 적재물의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높이에 따라 트레이의 거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에 의하면, 적재물이 적재된 트레이와의 물리적 충돌에 의해 외력이 가해질 경우, 탄성체에 의해 후퇴하도록 구성되어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3 또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의 리프트를 이용한 트레이의 인출을 도시한 도면.
도 5 또는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의 리프트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의 잠금부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를 도시한 우측면도이고, 도 3 또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의 리프트를 이용한 트레이의 인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또는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의 리프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의 잠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또는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를 도시한 것이며, 적재물이 올려지는 트레이(1)와 상기 트레이(1)에 올려진 적재물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높이 측정부(32)와 적재물이 올려진 트레이(1)를 이송시키기 위한 리프트(11)와 상기 트레이(1)의 거치를 위해 복수 개의 거치 레일(23)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저장부(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 하단에 개방구가 형성된 출납부(31)를 통해 적재물이 트레이(1)에 올려지도록 출납부(31)에는 양측에 트레이(1)의 거치를 위한 출납레일(33)이 설치되고, 출납레일(33)의 상부로 복수 개의 높이 측정부(32)가 배치된다.
상기 높이 측정부(32)는 출납레일(33)에 거치된 트레이(1)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높이를 측정하며, 상기 리프트(11)는 높이 측정부(32)를 통해 측정된 높이에 맞춰 트레이의 상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트레이의 거치 위치를 조절하여 저장부(21)의 거치 레일(23) 중 어느 하나에 트레이를 거치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리프트(11)는 높이 측정부(32)를 통해 측정된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의 적재공간이 마련되도록 저장부(21)의 천정 또는 다른 트레이(1a, 1b)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거치 레일(23)로 적재물이 적재된 트레이를 이송시킨 다음 해당 거치 레일에 트레이(1)를 거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저장부(21)는 출납부(31)의 상부 전면측 또는 배면측에만 형성되거나, 전면측과 배면측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출납부(31)는 배면측으로 도어(34)가 배치되어 리프트(11)의 상,하 동작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프트(11)는 구동부(11a)에 의해 동작하는 벨트(11c)에 체결되어 양측에 형성된 이송 레일(11b)을 따라 수직하게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도 3 또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의 리프트를 이용한 트레이의 인출을 도시한 것이며, 상기 리프트(11)는 상,하 이송을 통해 인출할 트레이(1)의 하부에 걸쇠(12)를 진입시켜 저장부(21)로부터 트레이(1)를 인출하거나, 저장부(21)의 거치레일(22)에 트레이(1)를 거치시키는 형태로 동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1)는 외주면을 따라 트레이 프레임(42)이 배치되어 내주면으로 수용부(41)가 형성되되, 트레이 프레임(42)의 하부에는 리프트(11)의 걸쇠(12)가 체결될 수 있도록 결속 홈(43)이 배치되어 상기 걸쇠(12)가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11)는 상기 결속 홈(43)에 체결되는 걸쇠(12)와 상기 걸쇠(12)를 상,하 이송시켜 걸쇠(12)를 결속 홈(43)에 체결 또는 체결 해제시키기 위한 제1 이송부(13)와 상기 제1 이송부(13)를 전진 및 후진시켜 트레이(1)를 거치 레일(22)에 거치 또는 거치 해제시키기 위한 제2 이송부(1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프트(11)는 상기 걸쇠(12)의 단부에 트레이(1)와의 충돌을 감지하기 위해 돌출된 충돌감지부(15)를 더 포함하여 트레이(1)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동작 오류로 인하여 걸쇠(12)가 트레이(1)의 측면에 충돌할 때, 이를 감지하여 동작이 정지될 수 있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돌감지부(15)는 탄성체(15b)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외력이 가해질 경우 후퇴하면서 센서(15a)가 이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프트(11)는 출납부 또는 저장부로부터 인출된 상기 트레이(1)의 거치를 위한 슬라이드 레일(16)이 양측에 배치되어 트레이(1)의 슬라이드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출납부 또는 저장부로부터 인출된 트레이(1)는 슬라이드 레일(16)에 거치된 상태로 리프트(11)의 상, 하 이송 동작이 실시된다.
또한, 상기 제1 이송부(31)는 상기 걸쇠(12)가 상부에 배치된 체결 몸체(131)와 상기 체결 몸체(131)를 상향으로 탄성지지 하는 지지부(132)와 상기 체결 몸체(131)를 캠 동작에 의해 하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트레이에 걸쇠(12)를 체결시키기 위해 체결 몸체(131)를 상승시킬 때, 트레이와의 충돌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지지부(132)에 의해 상승되도록 구성되어, 탄성력 이상의 힘으로 충돌이 발생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체결 몸체(131)는 지지부(132)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고, 하강은 가압부(133)에 의한 캠 동작에 의해 강제적으로 하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 몸체(131)의 상부에 형성되는 걸쇠(12)는 저장부의 위치에 따라, 전면에만 배치되거나, 전면과 배면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의 잠금부를 도시한 것이며, 상, 하 이송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기 리프트(11)의 측면에는 수직하게 배치되는 잠금 레일(17)이 배치되고, 상기 리프트(17)의 측면에 배치되어 잠금 레일(17)에 밀착됨으로써 리프트(11)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부(18)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잠금부(18)는 리프트(11)의 이송동작이 완료된 시점에 솔레노이드, 실린더, 모터 중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해 잡금 레일(17)을 가압하여 리프트(11)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잠금 레일(17)에는 잠금부(18)의 동작에 의해 체결되는 복수 개의 잠금 홀(17a)이 형성되어 보다 강하게 리프트(11)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트레이
11 : 리프트
12 : 걸쇠
13 : 제1 이송부
14 : 제2 이송부
15 : 충돌감지부
16 : 슬라이드 레일
17 : 잠금 레일
18 : 잠금부
21 : 저장부
22 : 거치 레일
31 : 출납부
32 : 높이 측정부
33 : 출납 레일
34 : 도어
41 : 수용부
42 : 트레이 프레임
43 : 결속 홈
131 : 체결 몸체
132 : 지지부
133 : 가압부

Claims (6)

  1. 적재물이 올려지되, 하단에는 결속 홈이 배치된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올려진 적재물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높이 측정부와;
    적재물이 올려진 트레이를 이송시키기 위한 리프트와;
    상기 트레이의 거치를 위해 복수 개의 거치 레일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는 높이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높이에 맞춰 트레이의 상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트레이의 거치 위치를 조절하여 거치시키되,
    상기 리프트는
    상기 결속 홈에 체결되는 걸쇠와;
    상기 걸쇠를 상,하 이송시켜 걸쇠를 결속 홈에 체결 또는 체결 해제시키기 위한 제1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를 전진 및 후진시켜 트레이를 거치 레일에 거치 또는 거치 해제시키기 위한 제2 이송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상기 걸쇠의 단부에 트레이와의 충돌을 감지하기 위해 돌출된 충돌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상기 트레이의 거치를 위한 슬라이드 레일이 양측에 배치되어 트레이의 슬라이드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걸쇠가 상부 양측에 배치된 체결 몸체와;
    상기 체결 몸체를 상향으로 탄성지지 하는 지지부와;
    상기 체결 몸체를 캠 동작에 의해 하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의 측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잠금 레일과;
    상기 리프트의 측면에 배치되어 잠금 레일에 밀착됨으로써 리프트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
KR1020180152050A 2018-11-30 2018-11-30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 KR102080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050A KR102080555B1 (ko) 2018-11-30 2018-11-30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050A KR102080555B1 (ko) 2018-11-30 2018-11-30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555B1 true KR102080555B1 (ko) 2020-02-25

Family

ID=69647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050A KR102080555B1 (ko) 2018-11-30 2018-11-30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55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567A (ko) * 2019-03-19 2020-09-2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자동창고용 트레이 픽업구조
CN112478557A (zh) * 2020-12-14 2021-03-12 大族激光科技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多层自动化出入库仓库
CN112573062A (zh) * 2020-10-27 2021-03-30 合肥哈工联进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用于多种产品存放的智能精准库
CN113140073A (zh) * 2021-05-11 2021-07-20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智能货柜的层板控制方法、系统以及智能货柜
CN113525991A (zh) * 2021-08-03 2021-10-22 山东科技职业学院 立体式仓储智能搬运设备及其搬运方法
KR20230083040A (ko) 2021-12-02 2023-06-09 주식회사 인스턴 엘리베이터타입 자동적재창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211U (ja) * 1992-05-13 1994-02-0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物品の高さによる入出庫制御装置を具えた棚式保管装置
JP2005053611A (ja) * 2003-08-06 2005-03-03 Kandenko Co Ltd 架台への重量物収納又は取り出し方法及びこれらに使用する重量物据付冶具
US20120163940A1 (en) * 2009-06-16 2012-06-28 Ludger Westrick Transport system
KR20160067639A (ko) 2014-12-04 2016-06-1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자동창고 시스템
WO2017081550A1 (en) * 2015-11-12 2017-05-18 Bruni Federico Shipping method, warehouse, drone and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211U (ja) * 1992-05-13 1994-02-0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物品の高さによる入出庫制御装置を具えた棚式保管装置
JP2005053611A (ja) * 2003-08-06 2005-03-03 Kandenko Co Ltd 架台への重量物収納又は取り出し方法及びこれらに使用する重量物据付冶具
US20120163940A1 (en) * 2009-06-16 2012-06-28 Ludger Westrick Transport system
KR20160067639A (ko) 2014-12-04 2016-06-1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자동창고 시스템
WO2017081550A1 (en) * 2015-11-12 2017-05-18 Bruni Federico Shipping method, warehouse, drone and system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567A (ko) * 2019-03-19 2020-09-2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자동창고용 트레이 픽업구조
KR102219767B1 (ko) * 2019-03-19 2021-02-2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자동창고용 트레이 픽업구조
CN112573062A (zh) * 2020-10-27 2021-03-30 合肥哈工联进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用于多种产品存放的智能精准库
CN112478557A (zh) * 2020-12-14 2021-03-12 大族激光科技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多层自动化出入库仓库
CN113140073A (zh) * 2021-05-11 2021-07-20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智能货柜的层板控制方法、系统以及智能货柜
CN113525991A (zh) * 2021-08-03 2021-10-22 山东科技职业学院 立体式仓储智能搬运设备及其搬运方法
CN113525991B (zh) * 2021-08-03 2023-08-08 山东科技职业学院 立体式仓储智能搬运设备及其搬运方法
KR20230083040A (ko) 2021-12-02 2023-06-09 주식회사 인스턴 엘리베이터타입 자동적재창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0555B1 (ko)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
KR102031805B1 (ko) 물품 반송 설비
JP6102759B2 (ja) 物品搬送台車
KR102463265B1 (ko) 물품 반송 설비
JP6171984B2 (ja) 物品支持装置
US7137770B2 (en) Transporting apparatus with position detection sensor
KR101560019B1 (ko) 물품 보관 설비
CN107000934B (zh) 自动货架卸载设备
JP2008290476A (ja) 駐輪装置
JP4614099B2 (ja) 物品搬送設備
US10538419B2 (en) Transport assembly having a cart for transferring articles
KR102219767B1 (ko) 스마트 자동창고용 트레이 픽업구조
JP6287657B2 (ja) 物品搬送設備
JPH05116877A (ja) 物品の搬送装置
KR102197403B1 (ko) 롤테이너의 높이 가변장치
KR101773356B1 (ko) 테이프릴 보관장치
JP5532340B2 (ja) 物品搬送設備
KR20240037428A (ko) 편하중 물품을 안정적으로 입출고할 수 있는 스마트 자동창고
US11891248B2 (en) Article support device and article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KR101491130B1 (ko)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
CN215286763U (zh) 行李托盘提升装置及行李托盘
US7758293B2 (en) Apparatus for loading and/or unloading a transport compartment
JP2015202920A (ja) 物品搬送装置
KR20230083040A (ko) 엘리베이터타입 자동적재창고
CN113148582A (zh) 行李托盘提升装置、行李托盘及提升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