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403B1 - 롤테이너의 높이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롤테이너의 높이 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403B1
KR102197403B1 KR1020190095724A KR20190095724A KR102197403B1 KR 102197403 B1 KR102197403 B1 KR 102197403B1 KR 1020190095724 A KR1020190095724 A KR 1020190095724A KR 20190095724 A KR20190095724 A KR 20190095724A KR 102197403 B1 KR102197403 B1 KR 102197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ide frame
bar
roll container
lif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우
Original Assignee
(주)헬파티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헬파티엘에스 filed Critical (주)헬파티엘에스
Priority to KR1020190095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6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테이너의 높이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품이 적재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세워져 설치되는 측면프레임; 측면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측면프레임의 높이를 가변시켜 신장시키는 승강프레임; 승강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측면프레임에 걸림됨에 따라 승강프레임을 측면프레임에 위치 고정시키는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롤테이너의 높이 가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롤테이너의 높이 가변장치{Height variation device of rolltainer}
본 발명은 롤테이너의 높이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테이너에 구비되는 측면프레임의 높이를 신장시켜 가변시킬 수 있는 롤테이너의 높이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테이너('롤 컨테이너'라고도 하나, 이하에서는 "롤테이너"라 통칭한다)는 물류의 운송과 보관을 간소하게 만드는 운송수단이다.
이러한 롤테이너(rolltainer)는 베이스플레이트 위의 각 테두리부에 각각의 측벽을 이루는 프레임이 수직하게 구비되고, 베이스플레이트 또는 각 프레임의 하부에는 롤레이터의 이동을 가능케 하는 캐스터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롤테이너는 대형마트나 공장 등과 같이 산업 전반에 걸쳐 물품을 많이 옮기는 곳에서 주로 이용된다.
이와 같이 이용되는 종래의 롤테이너는 국내 등록특허 제10-1765073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에서 접이식 롤 컨테이너로 제안된 바 있고, 선행기술문헌1에 개시된 롤 컨테이너는 접철되는 하부지지부와, 하부지지부 위에 서로 마주하도록 각각 구비되고 하부에는 캐스터가 구비되는 양 측면부로 구성되고, 하부지지부 위의 일측에는 또 다른 하나의 측면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10-2012-0129217호(이하 '선행기술문헌2'라 한다)에서는 조립식 플라스틱 롤테이너가 제안된 바 있고, 선행기술문헌2에 개시된 롤테이너는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3면의 측벽부와, 3면의 측벽부에 의해 개구되게 형성된 일면의 개구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안전바로 구성된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1,2에 개시된 종래의 롤테이너는 그 높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롤테이너를 사용하는 사용처에서는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높이를 갖는 여러 사이즈의 롤테이너를 제각각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게다가, 높이가 높은 롤테이너의 경우에는 롤테이너의 보관시에도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765073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2-012921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롤테이너에 구비되는 측면프레임을 신장시켜 그 높이를 가변시킴으로써 하나의 롤테이너로서 다양한 높이의 물품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한 롤테이너의 높이 가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너의 높이 가변장치는, 물품이 적재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 위에 세워져 설치되는 측면프레임(120); 측면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측면프레임의 높이를 가변시켜 신장시키는 승강프레임(130); 승강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측면프레임에 걸림됨에 따라 승강프레임을 측면프레임에 위치 고정시키는 고리부재(300);를 포함하는 롤테이너로서, 측면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수직바((200)와, 승강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한편 수직바에 삽입되어 상하로 출입되는 삽입바(240)와, 수직바와 삽입바 사이에 구비되어 삽입바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20)을 포함하되, 승강프레임에는 롤테이너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가로바(132)와 세로바(133)가 구비되고, 측면프레임에는 승강프레임의 승강시 세로바를 가이드하는 한편 가로바가 걸림됨에 따라 승강프레임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톱퍼(125)가 구비되고, 고리부재는 승강프레임에서 롤테이너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가로바(13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결합부(310)와, 회동결합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걸이부(320)를 포함하되, 걸이부는 그 단부가 측면프레임 측으로 절곡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스프링(220)에 의해 상승되는 승강프레임(130)은 하부의 가로바(132)가 측면프레임(120)의 스톱퍼(125)에 걸림됨에 따라 승강프레임(130)이 측면프레임(120)에서 이탈되어 분리됨이 방지되고, 이때의 스프링(220)은 완전히 인장되지 못한 상태로서 스프링(220)의 탄성력이 수직바(200)에서 인출되어 상승된 삽입바(240)에 지속적으로 작용하여 삽입바(240)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롤테이너(100)의 이동시 상승된 삽입바(240)의 유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게다가, 수직바(200)에는 스프링(220)의 상하 양측 단부에는 스프링(220)의 양단부에 각각 지지 고정되는 승강시트(230)와 고정시트(2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측면프레임(120)은 세로바(123)와 가로바(122)를 포함하고, 세로바(123)와 수직바(200)의 상,하단부에는 승강프레임(130)의 승강시 승강프레임(130)에 구비되는 세로바(133)를 가이드하기 위한 "ㄱ"자 형상의 가이드(124)가 용접 고정되되, 이 가이드(124)는 롤테이너(1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되고, 가이드(124) 중 상단부의 양 가이드(124)에는 양 가이드(124)의 내측 단부( 개구부 측)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롤테이너의 높이 가변장치에 따르면, 롤테이너의 측면프레임을 사용처에서 요구되는 높이로 간편하게 신장시켜 가변시킴으로써 하나의 롤테이너로서 다양한 높이의 물품을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고, 보관시는 신장된 측면프레임을 최소의 높이로 축소시킨 상태로 보관하므로 보관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너의 측면프레임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프레임의 수직바와 승강프레임의 삽입바를 도시한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프레임의 수직바와 승강프레임의 삽입바 간의 신축 구조를 보인 작동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프레임과 승강프레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너의 측면프레임이 수축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너의 측면프레임이 신장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너 및 이에 구비되는 높이 가변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너(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이 올려져 적재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와, 베이스플레이트(110) 위에 각각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측면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측면프레임(120)은 그 위치나 역할에 따라 리어프레임, 사이드프레임, 도어프레임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측면프레임(120)의 높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리어프레임, 사이드프레임, 도어프레임 등의 측면프레임을 하나의 측면프레임(120)으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측면프레임(12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에 구비되어 베이스플레이트(110) 위에 적재된 물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패널(121)을 포함한다.
안전패널(121)은 측면프레임(120)의 내측에 가로 및 세로로 직교되게 설치된 가로바(122)와 세로바(123) 및 수직바(200)에 그 테두리가 결합 고정되어 가로바(122)와 세로바(123) 및 수직바(200) 사이의 내측 공간을 메우는 패널로서, 롤테이너(100)에 적재된 물품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플라스틱 재질의 메쉬 패널로 형성되어 측면프레임(12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안전패널(121)이 구비되는 측면프레임(120)의 내측에는 다수의 가로바(122)가 일정 간격마다 구비되어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게 되고, 세로바(123)는 측면프레임(120)이 구비되는 위치(즉 리어 또는 양 사이드 또는 프론트)에 따라 가로바(122)의 양측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한쪽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특히, 세로바(123)가 가로바(122)의 양측 모두 설치되는 경우에는 안전패널(121)의 테두리가 가로바(122)와 세로바(123)에 결합 고정되어 가로바(122)와 세로바(123)가 이루는 공간을 메우도록 구비되고, 세로바(123)가 가로바(122)의 한쪽에만 설치되는 경우는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안전패널(121)의 테두리가 가로바(122)와 세로바(123) 및 수직바(200)에 결합 고정되어 가로바(122)와 세로바(123) 및 수직바(200)가 이루는 공간을 메우도록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4를 기준으로 하여 측면프레임(120)의 안전패널(121)이 가로바(122)와 세로바(123) 및 수직바(200)에 결합 고정되는 것을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이와 같은 세로바(123)와 수직바(200)의 상,하단부에는 후술될 승강프레임(130)의 승강시 승강프레임(130)에 구비되는 세로바(133)를 가이드하기 위한 "ㄱ"자 형상의 가이드(124)가 용접 고정되되, 이 가이드(124)는 도 4에서와 같이 롤테이너(1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게다가, 이러한 가이드(124) 중 상단부의 양 가이드(124)에는 양 가이드(124)의 내측 단부 즉 개구부 측에 결합 고정되어 승강프레임(130)의 상승을 제한하기 위한 역 "ㄱ"자 형상의 스톱퍼(125)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톱퍼(125)는 그 일단부가 가이드(124)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접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스톱퍼(125)의 일단부가 가이드(124)의 외측면에 접하여 구비된 것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가이드(124)와 스톱퍼(125)는 측면프레임(120)에서 롤테이너(10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됨으로써 후술될 승강프레임(130)의 세로바(133)를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서로 겹쳐진 가이드(124)와 스톱퍼(125)에는 볼트(126)가 결합되는 고정구가 형성되되, 이 고정구는 외측에 위치한 스톱퍼(125)에는 관통공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위치한 가이드(124)에는 볼트공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볼트(126)를 스톱퍼(125)의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124)의 볼트공에 체결함으로써 스톱퍼(125)를 가이드(124)에 견고히 결합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결합된 가이드(124)와 스톱퍼(125)에 의한 내부 공간에는 후술될 승강프레임(130)의 세로바(133)가 삽입되어 승강프레임(130)의 승강시 세로바(133)가 가이드(124) 및 스톱퍼(125)에 의해 가이드된다.
게다가, 스톱퍼(125)는 가이드(124)에 볼트(126)에 의해 결합 고정됨으로써 볼트(126)를 풀어내면, 스톱퍼(125)가 가이드(124)에서 분리되므로 승강프레임(130)을 측면프레임(120)에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측면프레임(120)의 상면에는 승강프레임(130)이 구비되고, 승강프레임(130)은 측면프레임(120) 상에서 상하로 이동되어 측면프레임(120)의 전체적인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승강프레임(130)은 측면프레임(120)의 상단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출입되게 구비되고, 승강프레임(130)의 내주에는 측면프레임(120)의 안전패널(121)과 동일한 안전패널(131)이 구비되되, 승강프레임(130)의 안전패널(131)은 승강프레임(130)의 내주면에서 롤테이너(10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즉, 승강프레임(130)에는 롤테이너(10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세로바(133)와, 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가로바(132)가 구비되고, 이 가로바(132)와 세로바(133)가 이루는 내측 공간에 안전패널(131)이 결합 고정되어 구비되므로 승강프레임(130)의 승강시 안전패널(131) 및 가로바(132)와 세로바(133)가 측면프레임(120)에 간섭되지 않는다.
이로써, 승강프레임(130)의 안전패널(131)은 롤테이너(10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됨으로써 승강프레임(130)의 하강시는 이의 안전패널(131)이 측면프레임(120)의 안전패널(121)과 평행하게 위치되어 구비되고, 승강프레임(130)의 상승시는 이의 안전패널(131)이 측면프레임(120)의 상부에서 롤테이너(100)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구비된다.
특히, 이와 같이 구비되는 승강프레임(130)의 세로바(133) 중 일측의 세로바(133)는 전술한 측면프레임(120)의 가이드(124)와 스톱퍼(125)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시 가이드되고, 승강프레임(130)의 가로바(132) 중 승강프레임(13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양 세로바(133)를 연결하는 가로바(132)는 스톱퍼(124)에 걸림되어 승강프레임(130)의 상승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측면프레임(120)의 수직바(200)에 내장되게 구비되는 후술될 스프링(220)의 인장력에 의한 승강프레임(130)의 상승을 승강프레임(130)의 하부 가로바(132)가 측면프레임(120)의 스톱퍼(125)에 걸림에 따라 제한하게 됨으로써 승강프레임(130)의 상승 작동시 측면프레임(120)에서 승강프레임(13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승강프레임(130)의 가로바(132) 중 최하단부의 가로바(132)에는 고리부재(300)가 구비되고, 이 고리부재(300)가 측면프레임(120)에 걸림되어 고정됨에 따라 승강프레임(130)을 측면프레임(120)에 위치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고리부재(300)는 승강프레임(130)의 최하단부의 가로바(13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결합부(310)와, 회동결합부(310)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걸이부(320)를 포함한다.
특히, 고리부재(300)가 승강프레임(130)의 최하단부 가로바(132)에 구비됨에 따라 고리부재(300) 역시도 롤테이너(100)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이 상태에서 걸이부(320)는 그 하단부가 측면프레임(120)을 향해 절곡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고리부재(300)는 이의 걸이부(320)가 측면프레임(120)의 가로바(122) 뿐만 아니라 안전패널(121)에도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으므로 후술될 수직바(200)와 삽입바(240) 사이의 스프링(220)에 의한 복원력으로 상승되는 승강프레임(130)을 측면프레임(120)에서 다양한 위치로 고정시킬 수 있어, 측면프레임(120)을 다양한 높이로 가변시켜 구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리부재(300)의 회동결합부(310)가 결합된 승강프레임(130)의 최하단부 가로바(132)에는 이에 수직한 복수의 고정바가 회동결합부(310) 양측의 가로바(132)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가로바(132)에서 고리부재(30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승강프레임(130)의 승강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프레임(120)의 양측 단부에는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수직하게 설치된 수직바(200)가 구비되고, 승강프레임(130)의 양측 단부에는 수직바(200)에 삽입되어 상하로 출입되는 삽입바(240)가 구비되며, 수직바(200)의 내측에는 삽입바(240)에 상방으로의 이동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즉 압축 코일스프링(220)(이하 "스프링"이라 한다)이 구비된다.
즉, 측면프레임(120)의 수직바(200)는 승강프레임(130)의 삽입바(240)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수직바(200)의 내측에는 스프링(220)이 삽입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스프링(220)의 상하 양측 단부에는 스프링(220)의 양단부에 각각 지지 고정되는 승강시트(230)와 고정시트(210)가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시트(210)와 승강시트(230)는 측면프레임(120)의 수직바(200)와 승강프레임(130)의 삽입바(240)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편 그 외측단에는 스프링(220)의 각 단부가 접하여 고정되는 대경부가 형성되고, 대경부의 일측면에는 이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되어 스프링(220)에 삽입되는 소경부가 형성되어, 스프링(220)의 신축 작동을 원활히 유도하게 된다.
고정시트(210)는 스프링(220)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수직바(200)의 내측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즉, 수직바(200)에는 수직바(200)를 관통하는 고정핀(211)이 구비되고, 이 고정핀(211)의 상부에는 고정시트(210)가 안착되어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때, 고정핀(211)은 고정시트(210)를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고정시트(210)를 수직바(200)에 고정시킬 수 있으나, 고정시트(210)의 고정방법은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고정수단에 의한 고정방법으로 수직바(20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시트(230)는 스프링(220)의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승강프레임(130)의 삽입바(240)에 그 상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승강프레임(130)이 측면프레임(120) 측으로 하강되어 수축된 상태에서는 스프링(220)이 도 3에서와 같이 고정시트(210)와 승강시트(230)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구비되고, 이 상태에서 승강프레임(130)의 상승시는 스프링(220)의 복원력(인장력)이 승강프레임(130)을 상승시키는 이동력(상승력)으로 제공됨으로써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도 승강프레임(130)을 간편하게 상승시켜 측면프레임(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스프링(220)에 의해 상승되는 승강프레임(130)은 하부의 가로바(132)가 측면프레임(120)의 스톱퍼(125)에 걸림됨에 따라 승강프레임(130)이 측면프레임(120)에서 이탈되어 분리됨이 방지되고, 이때의 스프링(220)은 완전히 인장되지 못한 상태로서 스프링(220)의 탄성력이 수직바(200)에서 인출되어 상승된 삽입바(240)에 지속적으로 작용하여 삽입바(240)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롤테이너(100)의 이동시 상승된 삽입바(240)의 유동 즉 출렁임은 방지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너의 높이 조절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롤테이너(100)는 도 5에 도시된 형태 즉 승강프레임(130)이 측면프레임(120)에 삽입되어 수축된 상태로 사용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처의 요구나 물품의 운반 과정에서 롤테이너(100)의 높이를 신장시키고자 할 시는, 측면프레임(120)에서 승강프레임(130)을 조금더 하강시켜 승강프레임(130)과 같이 고리부재(300)를 하강시키게 된다.
그러면, 승강프레임(130)과 같이 하강되는 고리부재(300)에 의해 측면프레임(120)의 가로바(122)에 걸림되어 있던 걸이부(320)가 하강되면서 걸림이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고리부재(300)를 롤테이너(100) 내측으로 회전시킨 상태로 누르고 있던 승강프레임(130)을 놓으면, 승강프레임(130)의 삽입바(240)와 측면프레임(120)의 수직바(200) 사이에서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220)의 인장력에 의해 승강프레임(130)은 자동으로 측면프레임(120)의 상방으로 인출되어 상승된다.
이와 같이 상승되는 승강프레임(130)은 도 6에서와 같이 하부의 가로바(132)가 측면프레임(120)의 스톱퍼(125)에 걸림될 때까지 최대로 상승될 수 있고, 이런 상승 과정에서 고리부재(300)를 측면프레임(120)의 상부에 위치한 다른 가로바(122)나 안전패널(121)에 걸어 고정시켜 승강프레임(130)의 인출량을 조절함으로써 측면프레임(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승강프레임(130)의 하강시는 상승된 승강프레임(130)을 측면프레임(120) 측으로 하강시킨 후, 승강프레임(130)에 구비된 고리부재(300)의 걸이부(320)를 측면프레임(120)의 하부 가로바(122)에 걸어 위치 고정시킴으로써 측면프레임(120)의 높이를 도 5에서와 같이 수축된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롤테이너 110 : 베이스플레이트
120 : 측면프레임 121 : 안전패널
122 : 가로바 123 : 세로바
124 : 가이드 125 : 스톱퍼
126 : 볼트 130 : 승강프레임
131 : 안전패널 132 : 가로바
133 : 세로바 200 : 수직바
210 : 고정시트 211 : 고정핀
220 : 스프링 230 : 승강시트
240 : 삽입바 300 : 고리부재
310 : 회동결합부 320 : 걸이부

Claims (4)

  1. 물품이 적재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 위에 세워져 설치되는 측면프레임(120);
    측면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측면프레임의 높이를 가변시켜 신장시키는 승강프레임(130);
    승강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측면프레임에 걸림됨에 따라 승강프레임을 측면프레임에 위치 고정시키는 고리부재(300);를 포함하는 롤테이너로서,
    측면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수직바((200)와, 승강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한편 수직바에 삽입되어 상하로 출입되는 삽입바(240)와, 수직바와 삽입바 사이에 구비되어 삽입바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20)을 포함하되,
    승강프레임에는 롤테이너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가로바(132)와 세로바(133)가 구비되고, 측면프레임에는 승강프레임의 승강시 세로바를 가이드하는 한편 가로바가 걸림됨에 따라 승강프레임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톱퍼(125)가 구비되고,
    고리부재는 승강프레임에서 롤테이너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가로바(13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결합부(310)와, 회동결합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걸이부(320)를 포함하되, 걸이부는 그 단부가 측면프레임 측으로 절곡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스프링(220)에 의해 상승되는 승강프레임(130)은 하부의 가로바(132)가 측면프레임(120)의 스톱퍼(125)에 걸림됨에 따라 승강프레임(130)이 측면프레임(120)에서 이탈되어 분리됨이 방지되고, 이때의 스프링(220)은 완전히 인장되지 못한 상태로서 스프링(220)의 탄성력이 수직바(200)에서 인출되어 상승된 삽입바(240)에 지속적으로 작용하여 삽입바(240)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롤테이너(100)의 이동시 상승된 삽입바(240)의 유동이 방지되는 롤테이너의 높이 가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직바(200)에는 스프링(220)의 상하 양측 단부에는 스프링(220)의 양단부에 각각 지지 고정되는 승강시트(230)와 고정시트(210)가 구비되는 롤테이너의 높이 가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면프레임(120)은 세로바(123)와 가로바(122)를 포함하고,
    세로바(123)와 수직바(200)의 상,하단부에는 승강프레임(130)의 승강시 승강프레임(130)에 구비되는 세로바(133)를 가이드하기 위한 "ㄱ"자 형상의 가이드(124)가 용접 고정되되, 이 가이드(124)는 롤테이너(1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되고,
    가이드(124) 중 상단부의 양 가이드(124)에는 양 가이드(124)의 내측 단부( 개구부 측)에 결합 고정되어 승강프레임(130)의 상승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125)가 역 "ㄱ"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롤테이너의 높이 가변장치.

  4. 삭제
KR1020190095724A 2019-08-06 2019-08-06 롤테이너의 높이 가변장치 KR102197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724A KR102197403B1 (ko) 2019-08-06 2019-08-06 롤테이너의 높이 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724A KR102197403B1 (ko) 2019-08-06 2019-08-06 롤테이너의 높이 가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403B1 true KR102197403B1 (ko) 2020-12-31

Family

ID=74087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724A KR102197403B1 (ko) 2019-08-06 2019-08-06 롤테이너의 높이 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4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3880A (en) * 2022-09-21 2024-05-01 Southgate Global Ltd Item storage and movement assembly with a movable base plat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1035A (ja) * 2009-06-22 2011-01-06 Honko Mfg Co Ltd 運搬用台車における側枠高さの調節装置
KR20120129217A (ko) 2011-05-19 2012-11-28 김영옥 조립식 플라스틱 롤테이너
KR101396518B1 (ko) * 2012-11-30 2014-05-20 엔피씨(주) 롤테이너
KR101765073B1 (ko) 2015-11-04 2017-08-1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접이식 롤 컨테이너
KR101792033B1 (ko) * 2017-05-02 2017-10-31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롤테이너 및 롤테이너용 커버를 포함하는 쿨테이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1035A (ja) * 2009-06-22 2011-01-06 Honko Mfg Co Ltd 運搬用台車における側枠高さの調節装置
KR20120129217A (ko) 2011-05-19 2012-11-28 김영옥 조립식 플라스틱 롤테이너
KR101396518B1 (ko) * 2012-11-30 2014-05-20 엔피씨(주) 롤테이너
KR101765073B1 (ko) 2015-11-04 2017-08-1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접이식 롤 컨테이너
KR101792033B1 (ko) * 2017-05-02 2017-10-31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롤테이너 및 롤테이너용 커버를 포함하는 쿨테이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3880A (en) * 2022-09-21 2024-05-01 Southgate Global Ltd Item storage and movement assembly with a movable base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07070B1 (en) Apparatus for self-levelling storing a plurality of objects such as trays
KR102080555B1 (ko)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
KR102197403B1 (ko) 롤테이너의 높이 가변장치
KR101249510B1 (ko) 리프트형 상차 컨베이어장치
WO2010079603A1 (ja) 昇降装置
KR102131045B1 (ko) 확장형 롤테이너
JP2016014284A (ja) 駐輪装置
JP4046418B2 (ja) ディスプレイを内蔵する机
JP6735483B2 (ja) 搬入装置
KR101345143B1 (ko) 건축용 안전 데크 및 그 운용 방법
JP5268089B2 (ja) 車両用リフト装置
BE1016780A6 (nl) Inrichting voor het verplaatsen van deuren.
KR101730427B1 (ko) 서랍의 개별 인출로 잠금 유도되는 전도방지형 서랍장
KR102248678B1 (ko) 자동차 부품 이송용 파렛트의 천정 개폐장치
KR102156887B1 (ko) 스태킹 랙
KR20040094062A (ko) 파레트용 중량물 운반장치
JP2569652Y2 (ja) 工事用昇降装置に関連する扉装置
KR20220141707A (ko) 물류창고용 렉 가이드 장치
GB2337506A (en) Combined ramp & ladder
CN110803433A (zh) 货架装置和装载组件
US20230406383A1 (en) Cart with a foldable platform
KR102243817B1 (ko) 화물차량용 화물덮개장치
KR102430023B1 (ko) 리프트 장치가 구비된 부품 재고 관리 시스템
KR102426370B1 (ko) 철판 팔레트 자동적재타워
KR102253061B1 (ko) 드럼 전도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창고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