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370B1 - 철판 팔레트 자동적재타워 - Google Patents

철판 팔레트 자동적재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370B1
KR102426370B1 KR1020200057174A KR20200057174A KR102426370B1 KR 102426370 B1 KR102426370 B1 KR 102426370B1 KR 1020200057174 A KR1020200057174 A KR 1020200057174A KR 20200057174 A KR20200057174 A KR 20200057174A KR 102426370 B1 KR102426370 B1 KR 102426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elevating
bogie
load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8989A (ko
Inventor
노명준
노은한
Original Assignee
노명준
노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명준, 노은한 filed Critical 노명준
Priority to KR1020200057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370B1/ko
Publication of KR20210138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0/00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stacking and de-stacking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판 팔레트 자동적재타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2적재타워를 상호간 이격시켜 대향되도록 직립설치하고, 이러한 제 1, 2적재타워 사이에서 제 1, 2적재타워의 길이방향으로 승강하는 승하강 대차부를 구비하며, 사이 승하강 대차부는 승강외에 제 1, 2적재타워 중 하나로 철판이 올려진 팔레트를 좌, 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량의 철판을 수직으로 손쉽게 분배하여 적층시키고, 손쉽게 인출할 수 있는 구현한 철판 팔레트 자동적재타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판 팔레트 자동적재타워{Automatic loading tower for iron pallets}
본 발명은 다량의 철판이 적재된 팔레트를 철판의 두께 또는 색상 등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맞춰, 다층의 적재타워에 손쉽고 용이하게 적재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철판 팔레트 자동적재타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판을 이용하여 다양한 물품을 제작하는 공장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철판을 적재하여 보관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철판은 두께가 각각 다르고 그 크기도 각각 다르기 때문에 보관에 어려움이 있다.
보통, 공장 등에서 철판을 보관하는 경우에는 보관장소를 줄이기 위하여 치수가 상이한 철판을 한 장소에 적층하여 보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아래쪽에 위치한 철판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위쪽의 철판을 모두 들어내야 하는 불편이 있을뿐 아니라,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물론, 이러한 시간과 노력을 줄이기 위하여 철판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따로 보관할 수도 있으나, 이는 보관 공간이 커져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다단 구조의 적재공간을 갖는 적재타워를 구성하고, 이 적재타워의 적재공간에 수납되는 철재 팔레트를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시키는 로딩장치를 적재타워의 앞쪽에 설치하여 적재타워의 각 적재공간에 각기 다른 종류의 철판을 보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철판 적재타워는 철판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보관하고, 철판이 적층된 철재 팔레트를 적재공간으로부터 인출하거나 수납시킬 수 있어, 공장 등에서 다양한 종류의 철판은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철판 적재타워는 철재 팔레트를 승강시켜 적재공간에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는 장치가 없는 경우가 많아 철판을 수납하거나 인출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없이 적재타워에 철판 팔레트를 손쉽고 용이하게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35990호(2018.12.31.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수개의 적재타워부를 상호간 이격시켜 대응배치시키고, 이러한 제 1, 2적재타워 사이에서, 승하강 및 제 1, 2적재타워부를 향해 좌, 우측으로 이송되어지면서,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철판 두께 및 색상 등에 의해 효과적으로 배분하여 적재 및 인출이 용이토록 함으로써, 철판을 적재하여 보관하는 공간의 부피를 감소시켜 장소에 국한없이 다량의 철판을 보관하고 이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철판 팔레트 자동적재타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직선상으로 다수의 적재층(13)으로 형성하는 제 1, 2적재타워(11, 12)가 상호간 대향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 1, 2적재타워(11, 12) 사이는 비어있는 승강공간(14)이 형성되는 적재타워부(10);
상기 적재타워부(10) 최하단 전방에서 승강공간(14)에 대응설치되되, 다수의 철판(PL)이 적재되어 있는 팔레트(P)가 상부에 올려지며, 제 1이송라인(21)을 통해 상기 팔레트(P)를 승강공간(14)을 향해 전, 후로 이송시키는 제 1이송부(20);
상기 승강공간(14) 최하단에 설치되어, 제 2이송라인(31)을 통해 제 1이송부(20)에서 이송된 팔레트(P)를 승강공간(14) 내부로 전, 후 이송시키는 제 2이송부(30);
상기 승강공간(14)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팔레트(P)를 사전설정된 적재층(13)을 향해 승강시킨 후, 제 3이송라인(43)을 통해 두께 또는 색상별로 사전설정된 제 1, 2적재타워(11, 12) 중 하나로 좌, 우 이송시켜 적재시키는 승하강 대차부(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차타워 형태로 다량의 철판을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조건에 맞춰, 분배하여 적층시키고 적층된 철판은 손쉽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판 팔레트를 보관함에 있어서, 보관장소의 공간크기에 국한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이송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대차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대차부에서 클램프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판 팔레트 자동적재타워 및 팔레트의 투입방식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판 팔레트 자동적재타워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에서 팔레트가 승강공간에서 상부를 향해 승하강 대차부에 의해 승강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이하,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판 팔레트 자동적재타워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판 팔레트 자동적재타워는 적재타워부(10), 제 1이송부(20), 제 2이송부(30), 승하강 대차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타워부(10)는 수직선상으로 다수의 적재층(13)으로 형성하는 제 1, 2적재타워(11, 12)가 상호간 대향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 1, 2적재타워(11, 12) 사이는 비어있는 승강공간(14)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적재타워부(10)는 수직으로 세워지며 주차타워처럼 층층으로 적재층(13)으로 형성하는 적재타워 2개가, 상호간 개구된 일측이 대향되도록 이격설치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제 1, 2적재타워(11, 12) 각각의 층에는 H빔 형태의 팔레트(P) 양측이 끼워지며 올려질 수 있는 걸침턱(15) 또는 지지판 등이 층마다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제 1이송부(20)는 전술된 적재타워부(10) 최하단 전방(팔레트(P)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승강공간(14)에 대응설치되되, 다수의 철판(PL)이 적재되어 있는 팔레트(P)가 상부에 올려지며, 제 1이송라인(21)을 통해 상기 팔레트(P)를 승강공간(14)을 향해 전, 후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 1이송라인(21)은 후술될 제 2, 3이송라인(31, 43)과 마찬가지로, 체인 또는 벨트를 이용한 컨베이어 장치이다. 상면에 올려지는 팔레트(P)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어질 수 있는 용도라면, 체인 또는 벨트 등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장치의 구성은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물론, 이러한 제 1, 2, 3이송라인(21, 31, 43)은 각각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M)가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으면서, 제 1이송부(20), 제 2이송부(30), 승하강 대차부(40)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제 2이송부(30)는 전술된 제 1, 2적재타워(11, 12) 사이의 빈공간인 승강공간(14) 최하단에 설치되어, 제 2이송라인(31)을 통해 제 1이송부(20)에서 이송된 팔레트(P)를 승강공간(14) 내부 중앙으로 전, 후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즉, 이러한 제 2이송부(30)는 전술된 제 1이송부(20)와 동일한 구조이며, 다만 제 2이송부(30)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를 가짐으로써, 제 1이송부(20)에서 이송되어 전달받은 팔레트(P) 전체면이 제 2이송부(30) 상면에 위치되는 것이 아니라, 사각형의 팔레트(P)의 테두리가 제 2이송부(30) 외측으로 돌출되어지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승하강 대차부(40)는 전술된 승강공간(14)에서 일측은 제 1적재타워의 개구된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 2적재타워의 개구된 타측에 연결되어, 제 1, 2적재타워(11, 12) 사이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승하강 대차부(40)는 제 2이송부(30)에 올려진 팔레트(P) 테두리 저면을 지지한채로 사전설정된 적재층(13)을 향해 승강된 후, 해당 사전설정 적재층(13)에서 승하강 대차부(40)에 설치된 제 3이송라인(43)을 통해 두께 또는 색상별로 사전설정된 제 1, 2적재타워(11, 12) 중 어느 한곳을 향해 좌, 우 이송되어 적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2이송라인이 전, 후방향으로 팔레트(P)를 이송시키는 것이라면, 상기 제 3이송라인(43)은 제 1, 2적재타워(11, 12)를 향해 팔레트(P)를 좌, 우로 이송가능한 형태이다.
이를 위한 승하강 대차부(40)는 공간부(41), 대차 프레임(42), 클램프 장치(50)를 포함한다.
상기 대차 프레임(42)은 중앙이 관통되어 공간부(41)를 형성하며, 상기 승강공간(14)에서 상면에 적재된 팔레트(P)를 승강시키는 본체이다.
상기 공간부(41)는 전술된 대차 프레임(42)의 중앙에 천공된 빈 공간으로서, 상기 승하강 대차부(40)가 승강작동전에, 제 2이송부(30)와 승강공간(14)의 최하단에서 동일위치에 정차해 있을 겨우, 제 2이송부(30)가 이러한 빈공간인 공간부(41)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 2이송부(30)가 승하강 대차부(40)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제 1이송부(20)를 통해 팔레트(P)가 제 2이송부(30)를 향해 승강공간(14)으로 유입되어질시, 상기 제 2이송부(30)는 승하강 대차부(40)의 중앙에 위치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며, 이에 팔레트(P)가 승하강 대차부(40)에 걸림없이 제 2이송부(30)를 향해 수평으로 승강공간(14)으로 진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승하강 대차부(40)는 승강공간(14) 최하단에서, 상기 제 2이송부(30)와 동일수평선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더 낮게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제 2이송부(30) 중앙에 팔레트(P)가 위치되면, 상기 승하강 대차부(40)가 승강하면서 제 2이송부(30)의 외곽으로 돌출된 팔레트(P) 부분과 접촉되어, 상기 팔레트(P)를 승강공간(14)에서 들어올리며 승강시키는 것이다.
상기 승하강 대차부(40)는 전술된 제 2이송부(30)를 통해 승하강 대차부(40) 및 제 2이송부(30) 상면으로 팔레트(P)가 올려질시, 팔레트(P)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상기 승하강 대차부(40)에서 제 2이송부(30)와 대응되는 일측 테두리에는, 팔레트(P)가 승하강 대차부(40) 중앙의 제 2이송부(30)로 원활히 이송되도록, 팔레트(P)의 저면과 접촉되어 진입방향을 향해 회전되는 다수의 투입보조롤(44)을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 대차부(40)의 타측 테두리에는, 제 2이송부(30) 및 승하강 대차부(40) 상부로 이송된 팔레트(P)의 테두리가 접촉되며 좌, 우의 위치가 정렬되도록, 수직설치되어 좌, 우로 회전되는 다수의 정렬롤(45)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즉, 다수의 정렬롤(45)은 승하강 대차부(40)의 상면에 올려지는 팔레트(P)의 측면과 접촉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승하강 대차부(40)에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승하강 대차부(40)에서 정렬롤(45)이 형성된 테두리에는 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팔레트(P)가 승하강 대차부(40) 상면 및 제 2이송부(30) 상면으로 이송시, 상기 승하강 대차부(40) 상면으로 올라왔는지의 여부 및 승하강 대차부(40) 정렬롤(45) 그 이상으로 더 투입되지 않도록 감지하도록 하고, 이러한 감지센서의 측정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서 전달받아, 제 1, 2이송부(20, 30)의 제 1, 2이송라인(21, 31)의 구동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음이다. 물론, 이러한 감지센서는 각 적재층(13)의 제일 안쪽에도 제어부와 연결된 또 다른 감지센서를 더 설치하여, 팔레트(P)의 적재층(13) 투입 여부 및 적재층(13)에서 일정위치까지만 투입될 수 있도록 제 3이송라인(43)의 구동을 제어부를 통해 제어하도록 할 수 있음이다.
상기 클램프 장치(50)는 대차 프레임(42)의 좌, 우측 중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대차 프레임(42) 상면에 팔레트(P)가 올려지는 경우, 팔레트(P)의 일측을 고정시켜 승하강시 팔레트(P)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클램프 장치(50)는 하우징(51), 실린더부(52), 걸림고리(53)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51)은 양단이 승하강 대차부(40)의 제 3이송라인(43)에 고정되어, 제 3이송라인(43)과 함께 좌, 우로 이동되는 몸체이다.
상기 실린더부(52)는 하우징(51)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걸림고리(53)는 중단(54)을 기준으로 양측이 상부를 향해 소정각도 절곡된 'V' 자 형상으로서, 상기 하우징(51)에 중단(5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은 실린더부(52)에 연결되어 승, 하강되고, 타단은 승하강 대차부(40)에 올려진 팔레트(P)의 저면을 향해 절곡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클램프 장치(50)는 승하강 대차부(40)가 승강되는 제 1경우 및 제 1, 2적재타워(11, 12)를 향해 팔레트(P)를 좌, 우이송시키는 제 2경우, 실린더부(52)가 하강하면서 걸림고리(53)가 중단(54)을 기준으로 회동되면서 타단이 팔레트(P)의 저면에 걸려지도록 하여, 팔레트(P)가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클램프 장치(50)는 전술된 제 2경우에서, 상기 걸림고리(53)가 팔레트(P) 저면에 회동되어 접촉시, 상기 걸림고리(53)가 걸려지는 팔레트(P) 저면을 상부로 소정높이 약간 들어올려지며 승하강 대차부(40)의 상면에서 이격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팔레트(P)는 걸림고리(53)가 걸리지 않은 반대편 양측저면에 투입롤(55)이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제 3이송라인(43)에 의해 팔레트(P)가 제 1, 2적재타워(11, 12) 중 사전설정된 적재층(13) 내부로 이송될시, 상기 걸림고리(53) 부분에 의해 팔레트(P) 일측이 상부로 소정각도(α) 들려진 상태에서, 상기 팔레트(P)의 타측은 투입롤(55)이 적재층(13)에 접촉되면서 회전되어 진입 또는 토출이 용이토록 한다.
상기 제 3이송라인(43)은 전술된 바와 같이, 승하강 대차부(40)의 대차 프레임(42)에서, 제 2이송부(30)와 교차되지 않는 위치에서 제 1, 2적재타워(11, 12)를 향해 팔레트(P)를 좌, 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컨베이어이다.
또한, 상기 팔레트(P)를 제 1, 2적재타워(11, 12) 중 어느 곳으로 이송하느냐에 따라, 사전에 상기 클램프장치를 승하강 대차부(40)에서 적재대상 제 1, 2적재타워(11, 12) 반대편 위치에 옮겨 설치할 수 있음이다.(좌측의 제 1적재타워(11)로 팔레트(P)를 이송시키는 경우, 승하강 대차부(40)의 우측에 클램프 장치(50)를 설치하는 등) 이를위해, 상기 걸림고리(53)는 클램프 장치(5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도록 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의 제 1, 2적재타워(11, 12)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각각 일측으로 다수개가 연속설치되어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수의 제 1, 2적재타워(11, 12) 승강공간(14)으로 제 1이송부(20)가 이동되면서 팔레트(P)의 적재 및 인출에 사용될 수도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적재타워부 11: 제 1적재타워
12: 제 2적재타워 13: 적재층
14: 승강공간 20: 제 1이송부
21: 제 1이송라인 30: 제 2이송부
31: 제 2이송라인 40: 승하강 대차부
41: 공간부 42: 대차 프레임
43: 제 3이송라인 44: 투입 보조롤
45: 정렬롤 50: 클램프 장치
51: 하우징 52: 실린더부
53: 걸림고리 54: 중단
55: 투입롤
P: 팔레트 PL: 철판

Claims (7)

  1. 수직선상으로 다수의 적재층(13)으로 형성하는 제 1, 2적재타워(11, 12)가 상호간 대향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 1, 2적재타워(11, 12) 사이는 비어있는 승강공간(14)이 형성되는 적재타워부(10);
    상기 적재타워부(10) 최하단 전방에서 승강공간(14)에 대응설치되되, 다수의 철판(PL)이 적재되어 있는 팔레트(P)가 상부에 올려지며, 제 1이송라인(21)을 통해 상기 팔레트(P)를 승강공간(14)을 향해 전, 후로 이송시키는 제 1이송부(20);
    상기 승강공간(14) 최하단에 설치되어, 제 2이송라인(31)을 통해 제 1이송부(20)에서 이송된 팔레트(P)를 승강공간(14) 내부로 전, 후 이송시키는 제 2이송부(30);
    상기 승강공간(14)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팔레트(P)를 사전설정된 적재층(13)을 향해 승강시킨 후, 제 3이송라인(43)을 통해 두께 또는 색상별로 사전설정된 제 1, 2적재타워(11, 12) 중 하나로 좌, 우 이송시켜 적재시키는 승하강 대차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승하강 대차부(40)는
    상기 제 2이송부(30)와 동일위치에 정차시, 제 2이송부(30)가 빈공간에 위치되어 승하강 대차부(40)와 접촉되지 않도록, 중앙에 천공되는 공간부(41);
    상기 공간부(41)를 형성하며, 승강공간(14)에서 승하강되는 대차 프레임(42);
    상기 대차 프레임(42)의 좌, 우측 중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대차 프레임(42) 상면에 팔레트(P)가 올려지는 경우, 팔레트(P)의 일측을 고정시켜 승하강시 팔레트(P)의 이탈을 방지하는 클램프 장치(50);
    상기 대차 프레임(42)에서, 제 2이송부(30)와 교차되지 않는 위치에서 제 1, 2적재타워(11, 12)를 향해 팔레트(P)를 좌, 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3이송라인(4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승하강 대차부(40)는
    승강공간(14) 최하단에서, 상기 제 2이송부(30)와 동일수평선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더 낮게 설치된 후, 승강시 제 2이송부(30)의 외곽으로 돌출된 팔레트(P) 부분을 들어올리며 승강공간(14)에서 팔레트(P)를 승강시키며,
    상기 승하강 대차부(40)는
    상기 제 3이송라인(43)이 제 1, 2적재타워(11, 12)를 향해 팔레트(P)를 좌, 우로 이송가능한 형태로 설치되어, 전, 후 이송을 위한 제 1, 2이송라인과 이송방향이 상이토록 하며,
    상기 승하강 대차부(40)에서 제 2이송부(30)와 대응되는 일측 테두리에는, 팔레트(P)가 승하강 대차부(40) 중앙의 제 2이송부(30)로 원활히 이송되도록, 팔레트(P)의 저면과 접촉되어 진입방향을 향해 회전되는 다수의 투입보조롤(44)을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하고,
    상기 승하강 대차부(40)의 타측 테두리에는, 제 2이송부(30) 및 승하강 대차부(40) 상부로 이송된 팔레트(P)의 테두리가 접촉되며 좌, 우의 위치가 정렬되도록, 수직설치되어 좌, 우로 회전되는 다수의 정렬롤(45)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팔레트 자동적재타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치(50)는
    양단이 승하강 대차부(40)의 제 3이송라인(43)에 고정되어, 제 3이송라인(43)과 함께 좌, 우로 이동되는 하우징(51);
    상기 하우징(51)의 상단에 설치되는 실린더부(52);
    상기 하우징(51)에 중단(5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은 실린더부(52)에 연결되어 승, 하강되고, 타단은 승하강 대차부(40)에 올려진 팔레트(P)의 저면을 향해 절곡되는 걸림고리(5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팔레트 자동적재타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치(50)는
    상기 승하강 대차부(40)가 승강되는 제 1경우 및 제 1, 2적재타워(11, 12)를 향해 팔레트(P)를 좌, 우이송시키는 제 2경우, 실린더부(52)가 하강하면서 걸림고리(53)가 중단(54)을 기준으로 회동되면서 타단이 팔레트(P)의 저면에 걸려지도록 하여, 팔레트(P)가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팔레트 자동적재타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치(50)는
    상기 제 2경우에서,
    상기 걸림고리(53)가 팔레트(P) 저면에 회동되어 접촉시, 상기 걸림고리(53)가 걸려지는 팔레트(P) 저면을 승하강 대차부(40) 상면에서 이격되도록 상부로 들어올려지도록 하고, 상기 팔레트(P)는 걸림고리(53)가 걸리지 않은 반대편 양측저면에 투입롤(55)이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제 3이송라인(43)에 의해 팔레트(P)가 제 1, 2적재타워(11, 12) 중 사전설정된 적재층(13) 내부로 이송될시, 상기 걸림고리(53) 부분에 의해 팔레트(P) 일측이 들려진 상태에서, 상기 팔레트(P)의 타측은 투입롤(55)이 적재층(13)에 접촉되면서 회전되어 진입 또는 토출이 용이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팔레트 자동적재타워.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57174A 2020-05-13 2020-05-13 철판 팔레트 자동적재타워 KR102426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174A KR102426370B1 (ko) 2020-05-13 2020-05-13 철판 팔레트 자동적재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174A KR102426370B1 (ko) 2020-05-13 2020-05-13 철판 팔레트 자동적재타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989A KR20210138989A (ko) 2021-11-22
KR102426370B1 true KR102426370B1 (ko) 2022-07-29

Family

ID=7871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174A KR102426370B1 (ko) 2020-05-13 2020-05-13 철판 팔레트 자동적재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3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990B1 (ko) * 2017-02-06 2019-01-07 최수혁 철판 적재타워
JP2019001548A (ja) * 2017-06-18 2019-01-10 Biデザイン合同会社 パレット、板材分離支援装置、板材載置装置、及びそのパレットを収納する板材搬出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387B1 (ko) * 2018-01-17 2020-02-11 최종율 철판 로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990B1 (ko) * 2017-02-06 2019-01-07 최수혁 철판 적재타워
JP2019001548A (ja) * 2017-06-18 2019-01-10 Biデザイン合同会社 パレット、板材分離支援装置、板材載置装置、及びそのパレットを収納する板材搬出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989A (ko)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3013A (en) Apparatus of applying skids of grating structure and removing the same
JPS6071402A (ja) 箱型定形貨物格納設備
KR102426370B1 (ko) 철판 팔레트 자동적재타워
JP3375464B2 (ja) 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及びエレベータ式自走縦重列立体駐車設備
KR20110000864A (ko) 적재함용 화물 운반장치
KR101231603B1 (ko) 크로스 랙과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및 크로스랙을 구비한 주차시스템
JPS6134354Y2 (ko)
CN213504261U (zh) 一种立体式智能化仓储
CN213976184U (zh) 一种气体钢瓶储运装卸系统
KR102253061B1 (ko) 드럼 전도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창고시스템
US3083840A (en) Turnove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216406326U (zh) 一种带缓存区的双托盘式立体停车库
JPS63300100A (ja) 重量物運搬装置
JP4670314B2 (ja) 立体保管庫
JP2011073865A (ja) 立体倉庫及びその入庫方法
JP5038828B2 (ja) 箱状体の荷下ろし方法
JP3006344B2 (ja) 立体駐車装置
WO2014208217A1 (ja) 自動倉庫及びその運転方法
JPH0628483Y2 (ja) コンテナクレーンのガイド装置
JPH0532617U (ja) 立体駐車装置
JP3554414B2 (ja) 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の制御方法
JPH04254673A (ja) パレット交換装置付き車両搬送台車
JPH10147408A (ja) コンテナ立体貯蔵装置
JP2012047004A (ja) 連立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H0670347B2 (ja) 立体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