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603B1 - 크로스 랙과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및 크로스랙을 구비한 주차시스템 - Google Patents

크로스 랙과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및 크로스랙을 구비한 주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603B1
KR101231603B1 KR1020050087452A KR20050087452A KR101231603B1 KR 101231603 B1 KR101231603 B1 KR 101231603B1 KR 1020050087452 A KR1020050087452 A KR 1020050087452A KR 20050087452 A KR20050087452 A KR 20050087452A KR 101231603 B1 KR101231603 B1 KR 101231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pallet
support
cross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1590A (ko
Inventor
안원식
Original Assignee
안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원식 filed Critical 안원식
Publication of KR20060131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크로스 랙과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및 크로스 랙을 구비한 주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종횡방향의 랙이 교차한 크로스 랙과, 상기 크로스 랙에 기어 물림된 피니언을 이동 자주식 공간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공간의 축소 및 공간의 형태와 위치의 변경을 통하여 물품의 숫자 조절이 가능하고 입출하경로 및 소요시간의 장단 조절을 할 수 있으며, 공간 활용도가 높게 구성한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및 상기 물류시스템을 이용한 크로스 랙을 구비한 주차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물류시스템, 주차시스템, 크로스 랙, 팔레트, 적재기, 지지승강기

Description

크로스 랙과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및 크로스 랙을 구비한 주차시스템{Cross Rack, Material Handling System with The Cross Rack and Parking System with The Cross Rack}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시스템을 나타낸 전체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류시스템의 일부분만을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팔레트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팔레트가 지지대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팔레트의 종방향 부분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팔레트의 횡방향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홈 라인에 볼 캐스터가 위치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볼 캐스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홈 라인의 'T'형 교차지점을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홈 라인의 '+'형 교차지점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11a는 도 3에 도시된 크로스 랙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크로스 랙의 평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랙의 가이드 날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지지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팔레트의 랙으로 지지대의 피니언이 이동하면서 기어 물림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적재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걸이띠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걸이띠가 기둥과의 결합관계 및 기둥 하단에 걸이띠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지지승강기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시스템에 있어서, 지지대에 랙이 형성되고, 팔레트에 피니언이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 팔레트와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시스템에 상하역시스템을 구비하여 컨테이너를 선박에 선적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물류시스템 110 : 메인 기둥
120 : 입하대 130 : 입하기
140 : 출하대 141 : 출하기
200 : 팔레트 210 : 가이드 홈 라인
213 : 오목부 215 : 곡면
220, 340 : 크로스 랙 225 : 종렬 랙
226 : 횡렬 랙 230 : 위치표시기
251s : 돌기 229 : 가이드 날
300 : 지지대 301 : 프레임
302 : 보강대 310 : 볼 캐스터
311 : 볼 313 : 베어링
314 : 외륜 315 : 지지볼
317 : 하우징 320 : 종렬 피니언
321 : 종렬 보조 피니언 329 : 가이드 날
330 : 횡렬 피니언 332 : 횡렬 보조 피니언
371 : 위치표시기감지센서 400 : 적재기
410 : 기둥 415 : 와이어
421 : 걸이띠 423 : 블록
425 : 힌지 427 : 걸림턱
430 : 홈 460 : 지지대
500 : 지지승강기 510 : 위치표시감지센서
511 : 위치표시기 520 : 기둥
515 : 와이어 530 : 흔들림방지 기둥
540 : 승강지지대 550 : 모터
700 : 제어기 800 : 컨테이너 브리지
본 발명은 크로스 랙과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및 크로스 랙을 구비한 주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수직하게 교차한 크로스 랙을 따라 종횡방향으로 자주식 이동 가능한 팔레트를 구성함으로써, 팔레트의 올려진 물품 및 차량 등을 원하는 장소에 신속하게 옮길 수 있으며, 또한 팔레트의 자주식 이동에 따른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물류시스템은 창고 내에 물품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팔레트에 올려진 물품을 지게차 등으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지게차가 이동하여 물품을 이송한다. 따라서 창고 내에서 지게차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반드시 확보되어야 하며, 이런 통로는 물품을 위치할 수 있는 창고 구석구석까지 뻗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물품을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즉, 물품관리에 따른 공간 활용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게차와 같은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물품을 이송하기 때문에, 많은 물품을 단시간에 이송하기 위해서는 다수 대의 지게차가 필요하다는 단점과, 그러기 위해서는 통로의 확보가 더 넓어져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지면에 주차하는 주차장의 경우도 이와 동일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주차장에는 자동차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되어야 하며, 운전자가 직접 주차장 내에서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교통사고의 문제 및 지하 주차장의 경우에는 치안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종방향의 피니언과 횡방향의 피니언이 구비된 팔레트가 종횡방향으로 자주식 이동이 가능하도록 피니언과 기어 물림되어 팔레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크로스 랙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하고 있는 종래의 물류시스템 및 주차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크로스 랙을 이용하여 팔레트를 종횡방향으로 이송하는 물류시스템 및 주차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로스 랙은, 종렬 랙과, 상기 종렬 랙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하며 한 지점에서 상기 종렬 랙과 교차하는 횡렬 랙을 포함하며, 상기 종렬 랙과 횡렬 랙이 교차하는 지점은 평편한 구조로서, 평편한 교차지점에는 뿔 형태의 복수 개의 돌기들이 형성되되, 복수 개의 돌기들은 종방향으로 종렬 랙의 톱니 간격 그리고 횡방향으로 횡렬 랙의 톱니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은, 물품이 올려지며 저면에는 종횡방향으로 형성된 크로스 랙과 가이드 홈 라인이 형성된 팔레트와, 평면구조의 프레임 안쪽에 상기 팔레트의 크로스 랙과 기어 물림하는 종횡방향의 피니언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캐스터가 설치되어 상기 팔레트의 가이드 홈 라인에 위치하여 상기 팔레트가 종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 개의 지지대와, 평면적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지지대 중에서 어느 한 지지대의 측부에는 물품을 상기 팔레트에 올릴 수 있도록 설치된 입하대와, 평면적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지지대 중에서 다른 한 지지대의 측부에는 상기 팔레트에 올려진 물품을 내릴 수 있도록 설치된 출하대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 랙은 종렬 랙과, 상기 종렬 랙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하며 한 지점에서 상기 종렬 랙과 교차하는 횡렬 랙을 포함하며, 상기 종렬 랙과 횡렬 랙이 교차하는 지점은 평편한 구조로서, 평편한 교차지점에는 뿔 형태의 복수 개의 돌기들이 형성되되, 복수 개의 돌기들은 종방향으로 종렬 랙의 톱니 간격 그리고 횡방향으로 횡렬 랙의 톱니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팔레트의 저면에는 종렬의 가이드 홈 라인과 횡렬의 가이드 홈 라인이 형성되며, 종렬의 가이드 홈 라인과 횡렬의 가이드 홈 라인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부위의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스터가 상기 팔레트의 외측에서 상기 가이드 홈 라인 안쪽으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팔레트의 저면 가장자리에서 상기 가이드 홈 라인까지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는, 사각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안쪽에 설치되어 상기 팔레트와 상기 지지대가 상호 대응하게 정위치하였을 때에 상기 종렬 랙과 상기 횡렬 랙에 각각 기어 물림되는 종렬 피니언과 횡렬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들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스터는 볼 캐스터로서, 상면에는 가이드 홈 라인의 내측 상면과 접하여 자유 회전하는 볼이 위치하고, 측부에는 상기 가이드 홈 라인의 양측면과 접하여 자유 회전하는 베어링이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의 안쪽에 설치된 종렬 피니언과 횡렬 피니언은 구동부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 피니언 및 보조 피니언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크로스 랙과 상기 피니언에는 톱니의 측부로 돌출된 가이드 날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날은 그 단부가 수직하며 날카롭고, 상기 톱니 쪽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날은 동일 극으로 형성되어 상기 크로스 랙이 상기 피니언 측부로 근접해 오면, 척력에 의해 상기 피니언이 회전하면서 상기 피니언의 가이드 날 사이로 상기 크로스 랙의 가이드 날이 삽입되어 기어 물림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날에는 테플론이 코팅되며, 상기 크로스 랙이 상기 피니언 측부로 근접해 오면서 상기 피니언의 가이드 날과 상기 크로스 랙의 가이드 날이 접하여 미끄러지면서 상기 피니언이 회전 하여 기어 물림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와 상기 팔레트 중에 어느 한 쪽에는 위치표시기가 설치되고, 다른 한 쪽에는 위치표시기감지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지지대와 상기 팔레트가 상호 대응하여 정위치하였을 때에 상기 위치표시기감지센서에서 상기 위치표시기를 감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표시기감지센서에서 상기 위치표시기를 감지하고 전기적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전기적신호에 따라 제어기에서는 상기 피니언의 구동을 정지하거나 또는 상기 피니언을 구동시켜 상기 팔레트의 이동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에 대해 수직한 3개 이상의 기둥이 상기 지지대의 모서리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3개 이상의 기둥 내에 위치한 상기 팔레트가 상기 기둥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걸이띠에 걸려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둥에는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내부에 걸이띠가 위치하며, 상기 걸이띠의 상단은 와이어에 묶여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음에 따라 상기 걸이띠가 홈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이띠는 선단과 후단이 상호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블록들이 연결된 띠구조로서, 상기 블록에는 상기 기둥의 홈에 밖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팔레트의 저면을 지지하며 이동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적으로 배치된 상기 지지대들은 다층으로 배치되며, 상기 지지대 중에서 어느 한 지지대는 가장자리에 형성된 기둥을 따라 상하에 위치한 다른 층으로 이동 가능함에 따라, 상기 어느 한 지지대에 안착된 팔레트는 동일 층에서 다른 지지대가 위치한 4방향과 상기 어느 한 지지대를 따라 상하방향 즉 6방향으로 팔레트의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느 한 지지대는 그 모서리에 위치한 3개 이상의 수직 기둥과 접한 상태로 상하 이동하며, 상기 어느 한 지지대에 연결된 와이어를 상기 수직 기둥 상단에서 감거나 풀음에 따라 상기 지지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느 한 지지대의 모서리에는 흔들림방지 기둥이 고정되어 상기 수직 기둥과 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상기 어느 한 지지대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느 한 지지대와 그 옆에 위치한 지지대에는 위치표시기와 위치표시기감지센서가 각각 장착되어 상기 위치표시기감지센서가 상기 위치표시기를 감지하여 상기 지지대들이 동일 평면에 위치하였을 때에, 상기 어느 한 지지대의 상하 이동을 정지하거나 또는 이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하대의 측부에는 상기 입하대에 올려진 물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하기가 장착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하대의 측부에는 상기 출하대에 올려진 물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출하기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하기와 상기 출하기의 입력값에 따라 연산이 가능하며, 외부 원격제어기연결이 가능한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 개인 모바일을 이용하여 입출하신호를 제외한 물품정보입력과 요금정산을 제어기와 쌍방향 통신으로 처리가능한 모바일 무선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은, 물품이 올려지며 저면에는 종횡방향으로 피니언과 가이드 홈 라인이 형성된 팔레트와, 평면구조의 프레임 안쪽에 상기 팔레트의 피니언과 기어 물림하는 크로스 랙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캐스터가 설치되어 상기 팔레트의 가이드 홈 라인에 위치하여 상기 팔레트가 종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 개의 지지대와, 평면적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지지대 중에서 어느 한 지지대의 측부에는 물품을 상기 팔레트에 올릴 수 있도록 설치된 입하대와, 평면적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지지대 중에서 다른 한 지지대의 측부에는 상기 팔레트에 올려진 물품을 내릴 수 있도록 설치된 출하대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 랙은 종렬 랙과, 상기 종렬 랙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하며 한 지점에서 상기 종렬 랙과 교차하는 횡렬 랙을 포함하며, 상기 종렬 랙과 횡렬 랙이 교차하는 지점은 평편한 구조로서, 평편한 교차지점에는 뿔 형태의 복수 개의 돌기들이 형성되되, 복수 개의 돌기들은 종방향으로 종렬 랙의 톱니 간격 그리고 횡방향으로 횡렬 랙의 톱니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하대에는 컨테이너 브리지가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크로스 랙을 구비한 주차시스템은,차량이 올려지며 저면에는 종횡방향으로 랙과 가이드 홈 라인이 형성된 팔레트와, 평면구조의 프레임 안쪽에 상기 팔레트의 크로스 랙과 기어 물림하는 종횡방향의 피니언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캐스터가 설치되어 상기 팔레트의 가이드 홈 라인에 위치하여 상기 팔레트가 종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 개의 지지대와, 평면적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지지대 중에서 어느 한 지지대의 측부에는 차량을 상기 팔레트에 올릴 수 있도록 설치된 입차대와, 평면적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지지대 중에서 다른 한 지지대의 측부에는 상기 팔레트에 올려진 차량을 내릴 수 있도록 설치된 출차대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 랙은 종렬 랙과, 상기 종렬 랙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하며 한 지점에서 상기 종렬 랙과 교차하는 횡렬 랙을 포함하며, 상기 종렬 랙과 횡렬 랙이 교차하는 지점은 평편한 구조로서, 평편한 교차지점에는 뿔 형태의 복수 개의 돌기들이 형성되되, 복수 개의 돌기들은 종방향으로 종렬 랙의 톱니 간격 그리고 횡방향으로 횡렬 랙의 톱니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랙과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및 크로스 랙을 구비한 주차시스템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 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물류시스템에 대해 우선적으로 설명하고, 물류시스템 내에 한 구성요소인 본 발명의 크로스 랙은 물류시스템과 함께 연관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별도로 크로스 랙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시스템을 나타낸 전체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류시스템의 일부분만을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팔레트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팔레트가 지지대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팔레트의 종방향 부분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팔레트의 횡방향 부분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홈 라인에 볼 캐스터가 위치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볼 캐스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홈 라인의 'T'형 교차지점을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홈 라인의 '+'형 교차지점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한편 도 11a는 도 3에 도시된 크로스 랙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크로스 랙의 평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랙의 가이드 날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지지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팔레트의 랙으로 지지대의 피니언이 이동하면서 기어 물림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적재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걸이띠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걸이띠가 기둥과의 결합관계 및 기둥 하단에 걸이띠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에 도 시된 지지승강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시스템(100)은, 입하되는 물품이 위치하는 입하대(120)와, 입하 명령값을 입력하는 입하기(130)와, 저면에 크로스 랙(220)이 형성되며 물품이 올려지는 팔레트(200)들과, 동일 평면으로 배치되며 상면에 위치한 상기 팔레트(200)를 지지하면서 종횡렬로 팔레트(200)를 이동시키는 지지대(300)들과, 상기 팔레트(200)를 승하강시키는 지지승강기(500)와, 상기 팔레트(200)를 적재하는 적재기(400)와, 물품을 물류시스템(100)에서 출하하기 위한 출하대(140)와, 출하 명령값을 입력하는 출하기(141)와, 물류시스템(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700)를 포함한다.
한편, 물류시스템(100)의 지지대(300)들은 메인 기둥(110)에 의해 다층으로 구성되며, 물품은 지지승강기(500)에 의해 층간 이송이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물류시스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200)는 물품이 적재될 수 있게 직사각형 구조로서, 상면은 평편하며 저면에는 종렬과 횡렬 각각으로 복수의 가이드 홈 라인(210)이 형성된다. 또한 팔레트(200)의 저면 4모서리는 최외측에서 가이드 홈 라인(210) 안쪽으로 완만하게 유도하는 곡면(215)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차후에 설명하겠지만, 팔레트(200)가 이동함에 있어서, 지지대(300, 540)에 고정된 볼 캐스터(310)가 상기 팔레트(200)의 바깥쪽에서 상기 곡면(215)을 따라 가이드 홈 라인(210)으로 원활하게 진입해 들어간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홈 라인(210)은 그 단면을 보았을 때에, 가이드 홈 라인(210)의 안쪽에 위치한 볼 캐스터(310)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 7에서와 같이 가이드 홈 라인(210)의 내측 상면에는 오목부(213)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13)에 볼 캐스터(310)의 볼(311)이 위치한 상태로 볼 캐스터(310)가 가이드 홈 라인(210)을 따라 이동한다.
볼 캐스터(3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311)이 하우징(317)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하우징(317)에 구속되며, 하우징(317) 내부에 지지볼(315)들을 위치하여 상기 볼(311)이 자유 회전하도록 지지한다. 또한 하우징(317)의 외측면에는 베어링(313)이 장착되어 가이드 홈 라인(210)의 측면과 베어링(313)의 외륜(314)이 접하여 자유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팔레트(200)의 저면에 형성된 종렬의 가이드 홈 라인(210)과 횡렬의 가이드 홈 라인(210)은 복수의 지점에서 교차하는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T'형 및 '+'형 교차지점은 라운드 처리(217)되어 가이드 홈 라인(210)을 따라 이동하는 볼 캐스터(310)가 원활하게 진행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교차지점에 볼 캐스터(310)가 위치하였을 때에는 종횡의 어느 쪽 가이드 홈 라인(210)에도 속하지 않을 정도로, 상기 교차지점은 넓게 형성되어 볼 캐스터(310)의 진행방향 전환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도 9 및 도 10의 라운드 처리(217)된 부분이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215)은 팔레트(200)가 이동함에 있어서, 볼 캐스터(310)가 팔레트(200)의 가이드 홈 라인(210)으로 용이하게 진입하거나 가이드 홈 라인(210)에서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하도록 하여 충격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도 3 및 도 11a 및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200)의 저면에는 종렬 랙(225) 및 횡렬 랙(226)을 교차한 크로스 랙(220)이 형성된다. 크로스 랙(220)의 종렬 랙(225)과 횡렬 랙(226)은 최소 한 지점 이상에서 교차하게 된다. 그리고 종렬 랙(225)과 횡렬 랙(226)이 교차하는 지점은 평편한 구조로서, 평편한 교차지점에는 뿔 형태의 복수 개의 돌기(251s)들이 형성되되, 복수 개의 돌기(251s)들은 종방향으로 종렬 랙(225)의 톱니 간격만큼 이격되고 횡방향으로 횡렬 랙(226)의 톱니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종렬 랙(225)을 따라 이동하는 종렬 피니언(320)이 교차지점을 지나갈 수 있고, 또한 횡렬 랙(226)을 따라 이동하는 횡렬 피니언(330)도 교차지점을 지나갈 수 있다.
그리고 도 11a 및 11b와 도 12에 보이듯이, 종렬 랙(225)과 횡렬 랙(226)에 있어서, 교차지점의 전후에는 랙(225, 226)의 폭방향으로 가이드 날(229)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팔레트(200)가 이동함에 있어 팔레트(200)의 크로스 랙(220)은 지지대(300)에서 회전하는 피니언(320, 330)의 측면으로 진입하게 되는데, 이때, 가이드 날(229)이 피니언(320, 330)의 톱니와 톱니 사이로 진입하여 크로스 랙(220)이 피니언(320, 330)에 기어 물림되도록 안내한다. 즉, 팔레트(200)가 이동하면서 가이드 날(229)은 아이들(idle) 상태의 피니언(320, 330) 측면으로 근접하게 되고, 가이드 날(229)이 피니언(320, 330)의 톱니와 톱니의 사이에 끼워지게 되면, 팔레트(200)의 이동에 따라 아이들 회전하는 피니언(320, 330)은 1피치 이하로 회전하게 되면서(이때 피니언은 무동력상태임) 크로스 랙(220)의 톱니가 피니언(320, 330)의 톱 니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날(229)이 피니언(320, 330)을 회전시켜 기어 물림되도록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가이드 날(229)의 단부가 도 11a 및 도 11b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며 날카로우며, 상기 크로스 랙(220)의 중심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가이드 날(229)이 피니언(320, 330)의 톱니와 톱니 사이로 용이하게 진입해 들어갈 수 있게 구성한다.
이에 대해 피니언(320, 330)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320, 330)의 측면방향으로 가이드 날(329)이 형성되고, 크로스 랙(220)의 가이드 날(229)이 피니언(320, 330)으로 진입함에 있어 피니언(320, 330)의 톱니와 톱니 사이로 용이하게 진입해 들어오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니언(320, 330)의 가이드 날(329)과 크로스 랙(220)의 가이드 날(229)을 자석으로 구성하되, 가이드 날(229, 329)을 같은 극을 갖도록 구성하여 크로스 랙(220)의 가이드 날(229)이 피니언(320, 330)으로 근접할 때에 발생하는 척력으로 크로스 랙(220)의 가이드 날(229)이 피니언(320, 330)의 가이드 날(329)과 가이드 날(329) 사이로 진입해 들어가도록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는 피니언(320, 330)의 가이드 날(329)과 크로스 랙(220)의 가이드 날(229)에 마찰이 작은 테플론을 코팅하여 크로스 랙(220)의 가이드 날(229)이 피니언(320, 330)으로 접근하였을 때에 크로스 랙(220)의 가이드 날(229)이 피니언(320, 330)의 가이드 날(229)을 따라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진입해 들어갈 수 있게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팔레트(200) 저면에는 1개 이상의 위치표시기(230)가 부착되고, 각각의 지지대(300)에는 상기 위치표시기(230)를 인식할 수 있는 위치표시기감지센서(371)가 장착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200)의 하부에는 지지대(300)가 위치한다. 지지대(300)는 사각형의 프레임(301) 구조로, 사각형 프레임(301)의 안쪽에는 보강대(302)가 고정되어 프레임(301)을 보강한다. 또한 프레임(301)의 안쪽에 한 개 이상씩의 종렬 피니언(320)과 횡렬 피니언(330)이 장착된다. 그리고 프레임(30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피니언(320, 330)의 최상단점보다 높은 볼 캐스터(310)가 다수 개 장착된다. 여기에서 볼 캐스터(310)의 고정위치는 지지대(300)의 상부에 팔레트(200)를 안착하였을 때에, 볼 캐스터(310)가 팔레트(200)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 라인(210)에 삽입되는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이와 같이 지지대(300)의 상면에 팔레트(200)를 안착하였을 때에, 팔레트(200)의 랙(225, 226)과 지지대(300)에 장착된 피니언(320, 330)은 상호 기어 물림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한 기어 물림이 아닌 톱니들의 상단이 살짝 걸쳐진 상태로 피니언(320, 330)의 회전에 의해 팔레트(200)가 이동한다.
또한, 지지대(300)에는 종렬 피니언(320)과 횡렬 피니언(330)을 구동시키는 감속기를 구비한 모터(322)들이 장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체인 또는 연결기어로 종렬 피니언(320)끼리 횡렬 피니언(330)끼리 연결하여 모터(322)의 동력에 의해 같이 회전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22)가 연결되지 않은 종렬 보조 피니언(321) 및 횡렬 보조 피니언(332)이 아이들 상태로 팔레트 (200)를 지지하며 회전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종렬 보조 피니언(321) 및 횡렬 보조 피니언(332)은 팔레트(200) 및 팔레트(200)에 안착되는 물품의 중량에 따라 동력을 전달받거나 아니면 아이들 회전하게 설계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지지대에 안착된 팔레트가 이동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기(700)에서 지지대(300)에 장착된 종렬 피니언(320)을 구동시키면, 기어 물림된 종렬 랙(225)에 동력이 전달되어 팔레트(200)가 종렬로 이동한다.
종렬로 이동하는 팔레트(200)가 설정된 지점에 도착하면, 지지대(300)에 장착된 위치표시기감지센서(371)에서 팔레트(200)의 위치표시기(230)를 감지하고 팔레트(200)의 종렬 이동을 정지한다. 이와 같이 위치표시기감지센서(371)가 위치표시기(230)를 감지한 후, 팔레트(200)가 멈춰진 상태는 팔레트(200)와 지지대(300)가 정확히 대응해 위치한 정위치 상태로, 종렬 랙(225)과 종렬 피니언(320)이 기어 물림되고, 횡렬 랙(226)과 횡렬 피니언(330)이 기어 물림된 상태이다. 여기에서 팔레트(200)가 이동함에 있어 랙(225, 226)과 피니언(320, 330; 321, 332)의 기어 물림은 앞에서 설명한 각각의 가이드 날(229. 329)에 의해 안내되어 자연스럽게 기어 물림된다.
아래에서는 동일한 구성의 종횡렬 피니언(320, 330)과 종횡렬 보조 피니언(321, 332)을 종횡렬 피니언으로 통칭한다.
이후에, 제어기(700)에서 횡렬 피니언(330)을 구동시키면 팔레트(200)는 횡렬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팔레트(200)가 종렬 피니언(320)과 횡렬 피니언(330)을 통해 다른 지지대(300) 쪽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각 피니언(320, 330)은 종 렬 랙(225)과 횡렬 랙(226)이 교차하는 지점을 최소 한 번은 지나가게 된다.
또한, 팔레트(200)는 볼 캐스터(31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이동하는데, 상기 팔레트(200)와 상기 지지대(300)가 정위치하였을 때에, 볼 캐스터(310)는 종렬의 가이드 홈 라인(210)과 횡렬의 가이드 홈 라인(210)의 교차점에 위치하며, 팔레트(200)가 방향전환을 하였을 때에, 볼 캐스터(310) 또한 전에 이동하던 방향의 가이드 홈 라인(210)에서 다른 방향의 가이드 홈 라인으로 옮겨 이동한다.
따라서 위치표시기감지센서(371)가 팔레트(200)의 위치표시기(230)를 감지하였을 때에, 종렬 랙(225)과 횡렬 랙(226)에는 종렬 피니언(320)과 횡렬 피니언(330)이 기어 물림된 상태이면서, 볼 캐스터(310)는 가이드 홈 라인(210)의 교차점에 위치하여, 피니언(320. 330)의 구동에 의해 팔레트(200)가 진행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지지대(300)에는 종렬 피니언(320)과 횡렬 피니언(330) 뿐만 아니라, 보조 피니언(321, 332)도 함께 회전한다.
아래에서는 적재기(4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200)를 적재하는 적재기(400)는 지지대(300)와 동일한 구조이면서 동일 평면에 위치한 한 개의 지지대(460)를 가지며, 지지대(460)의 4모서리에는 기둥(410)이 위치하고 기둥(410)을 따라 걸이띠(42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적재기(400)의 지지대(460)에 안착된 팔레트(200)를 걸이띠(421)로 걸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적재기(400)는 물류시스템(100) 내부 또는 물류시스템(100)의 가장자리에 접하여 설치되며, 지지대(460)의 4모서리에 기둥(410)이 설치되며, 상 기 4기둥(410) 중에 최소 3기둥에는 상기 기둥(4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걸이띠(421)가 설치된다. 따라서 적재기(400)의 지지대(460)에 위치한 팔레트(200)는 상하로 이동하는 걸이띠(421)에 걸쳐져 상부로 이동하거나 상부에 위치한 팔레트(200)가 지지대(460)의 바닥으로 하강 한 후에 물류시스템(100)의 내부로 이동한다.
아래에서는 걸이띠(421)와 기둥(41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띠(421)는 선단과 후단이 상호 힌지 결합된 블록(423)에 걸림턱(427)이 형성된 구조로서, 기둥(4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43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한다. 이때, 걸림턱(427)은 기둥(410)의 홈(430) 밖으로 돌출된 상태로서, 팔레트(200)가 적재기(400)의 내부로 진입할 때에 걸림턱(427)은 진입하는 팔레트(200)의 하부에 위치하며, 팔레트(200)가 적재기(400)에 정지하였을 때에, 걸이띠(421)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면 걸림턱(427)에 걸친 팔레트(200)가 걸이띠(421)를 따라 상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다수 장의 팔레트(200)는 적재기(400)위에 걸림턱(427)들 사이의 간격만큼 떨어져 적재된다. 반대로 적재된 상태의 팔레트(200)에 있어서는, 걸이띠(421)를 하향으로 이동시키면 팔레트(200)는 적재기(400)의 지지대(460)에 안착되고, 이 상태에서 팔레트(200)를 물류시스템(100)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팔레트(200)의 이동관계는 지지대(460)의 피니언의 구동에 의해 이동한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410)의 하단은 지면과 수평하게 절곡된 상태로서, 걸이띠(421)가 내려오게 되면 지면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기둥(410)의 상부에는 걸이띠(421)의 상단에 묶인 와이어(415)를 감거나 풀어주는 모터가 설치되어 걸이띠(421)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걸이띠(421)의 걸림턱(427)에 걸쳐진 한 장 이상의 팔레트(200)를 상하로 이송한다. 상기 모터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지지승강기(500)의 모터(550)와 동일한 구성이다.
아래에서는 지지승강기(5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도 1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시스템(100) 중에는 지지승강기(500)가 위치한다. 지지승강기(500)는 지지대(300)와 같은 구조의 승강지지대(540)를 포함하며, 승강지지대(540)의 네 모서리에 승강용 기둥(520)이 세워진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둥(520)은 팔레트 적재기(400)의 기둥(410)과 같은 구조로서, 내부에 와이어(515)가 위치하여 승강지지대(540)의 모서리에 묶여지며, 와이어(515)의 상하 이동에 따라 승강지지대(540)가 상하방향으로 기둥(520)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기둥(520)은 팔레트(200)가 지지승강기(500)에 인입 또는 인출됨에 있어서 간섭되지 않도록 위치하며, 와이어(515)의 상단은 도 18에 도시된 모터(550)의 회전축에 감겨 있어 모터(550)의 구동에 따라 승강지지대(5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승강지지대(540)에 안착된 팔레트(200)는 물품이 안착된 상태로 상하방향 이동 가능하다. 이와 같은 승강지지대(540)는 물류시스템(100)이 다층으로 구성되었을 때에 물품 및 팔레트(200)를 층간 이송한다.
따라서 승강지지대(540)에 안착된 팔레트(200)는 승강지지대(540)의 측부에 위치한 4개의 지지대(300)를 향해 4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고, 더불어, 승강지지대(54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물류시스템(100)에 위치한 팔 레트(200)들은 승강지지대(540) 및 지지대(300)를 통해 6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한편, 승강지지대(540)의 4모서리에는 수직방향으로 흔들림방지 기둥(530)이 고정되어 기둥(520)과 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승강지지대(540)가 이동에 따라 흔들림을 방지한다. 따라서 물품이 올려진 팔레트(200)를 이동할 때에 물품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흔들림방지 기둥(530)은 아치형 또는 기타의 형태로 승강지지대(540)에 연장되어 부착된다.
한편, 지지승강기(50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지지승강기(500)의 승강지지대(540) 측면에 위치표시기(511)가 부착되고, 상기 위치표시기(511)가 지나는 지지대(300) 측면에는 위치표시기감지센서(510)가 부착된다. 따라서 지지대(300)에 설치된 위치표시기감지센서(510)에서 승강지지대(540)의 위치표시기(511)가 감지되면 층별 지지대(300)와 승강지지대(540)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 것으로서, 승강지지대(540)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승강지지대(540)에 안착된 팔레트(200)를 층별 물류시스템(100)의 내부로 평면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지지승강기(500)가 구성된 이유는, 단층구조의 물류시스템(100)이 기둥에 의해 다층으로 구성되었을 때에, 물품이 안착된 상태의 팔레트(200)를 다른 층으로 이송하기 위해서이다.
아래에서 출하예약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출하예약기는 통상의 입력장치로서, 물류시스템(100)이 설치된 건물 내외부에 다수로 고정 또는 이동식으로 제어기(700)에 유무선 연결될 수 있으며, 입하기(130)에서 발급된 입하증을 비롯하여 각종 거래내역, 송장 등의 물품 인식수단 입력기와 출하게이트 안내 등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출하정보 표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래에서 제어기(7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물류시스템의 제어기(700)는 물류시스템(100) 내부 또는 근접하여 위치하며 입출하기(130, 141)와 출하예약기와 유무선 연결되어 입력값을 연산하여 물류시스템(100)을 작동시키고, 모바일과 쌍방향 정보교환이 가능한 모바일 통신기와, 유무선 외부제어시스템 접속시스템과, 수동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모바일 입출하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모바일 입출하시스템은 작업자가 개인 모바일을 이용하여 물류시스템 통신기에 접속하여 문자 또는 음성신호로 쌍방향 물품정보를 교환하고 모바일을 이용한 요금 징수가 가능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물류시스템이 작동되는 관계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물류시스템(100)에 위치한 입하대(120) 위의 팔레트에 물품이 올라와 위치하고 입하 준비가 완료된 후 입하대(120) 바로 근접한 곳에 위치한 입하기(130)에 물품인식수단을 입력하고 입하예정시간을 입력한다.
입력이 완료되면 입하대(120)의 팔레트가 물류시스템(100) 내부로 진입하고 진입이 끝나면 물류시스템(100) 하단에 들어있는 빈 팔레트가 비워진 입하대(120)로 이동한다.
한편, 팔레트가 입하대(120)에서 물류시스템(100) 내부(300a)로 이동할 때, 입하대의 지지대(300) 내부의 종렬 피니언(320)이 회전하면, 동시에 물류시스템 내부의 지지대(300a)의 종렬 피니언(320)도 회전하여 팔레트(200)를 전달받는다. 입하기(130)의 입하예정시간의 입력값에 따라 제어기(700)가 지정한 주차장소 ☆a의 위치까지의 산출경로가 정해진다. 이때 정해진 산출경로가 도 1의 화살표<1>일 경우에, 우선 지지대(300a)에서 지지대(300b)까지 상기 종렬이동을 연속하고, 지지대(300b)에 팔레트(200)가 도착하여 팔레트(200) 하단의 위치표시기(230)가 지지대(300)하단의 위치표시기감지센서(371)에 일치하면 지지대(300b)의 종렬 피니언이 동작을 멈춰 팔레트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지지대(300b)에서 지지대(300d)로 이동하는데, 지지대(300b)의 횡렬 피니언이 회전함과 동시에 그 진행방향의 지지대(300c)의 횡렬 피니언이 회전하면서 지지대(300b)에서 이송되는 팔레트를 받는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팔레트를 지지대(300d)까지 이동한다. 이때 지지대(300b)의 횡렬 피니언은 팔레트가 지지대(300c)에 정위치하였을 때에 정지한다.
또한, 상기 이동 중인 팔레트(200)가 물류시스템(100) 진입이 시작된 시점부터 ☆a의 위치까지, 팔레트의 이동경로에 놓여졌던 팔레트 P7, P8은 각각 ①과 ②, ③의 위치로 이동되며, 이동하는 팔레트와 간섭되는 것을 피한다.
한편 지지대(300d)에서 도착한 팔레트는 횡렬운동을 끝내고 후진 종렬이동을 하는데 그 이동방법 및 절차는 앞에서 설명한 진입순서의 역순으로 수행된다.
한편, 작업자가 출하를 위해 이동할 때 건물 내부에 다수 설치되어있는 출하예약기에 물품입력수단을 입력하여 출하게이트를 안내받고 지정 게이트로 이동한다. 이때 지정게이트가 도 1의 G1이면 G1에 설치된 출하기까지 작업자가 이동하는 동안 물류시스템의 ☆a팔레트도 제어기의 지정경로 화살표<2>를 따라 지지대(300e)를 지나 입차 시의 동작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b에 이동한다.
출하게이트 G1의 물류시스템에 도착한 작업자가 출하기에 물품인식수단을 입력하고, 요금정산을 끝내면 앞서 대기 중인 팔레트 P14, P13의 물품이 출하된 후 ☆b의 물품이 P14를 거쳐 출하구로 출하된다.
한편 제어기로부터 지정받은 물품위치가 도 1에 도시된 물류시스템의 상층 또는 하층일 경우에, 도 1에 도시된 물류시스템(100) 내부의 지지승강기(500a, 500b, 500c)의 지지대에 이동하여 지정된 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출하에 이용된 물류시스템(100)내의 빈 팔레트는 지지대(300)근처의 일정수량을 제외하고 물류시스템(100)에 접하여 설치된 팔레트 적재기(400a, 400b, 400c, 400d, 400e)에 적재되는데, 적재기의 지지대에 지지대(300f)의 팔레트가 횡렬 이동을 시작하면 적재기(400a)와 지지대(300f)의 두 횡렬 피니언이 동시에 작동하며, 팔레트가 적재기로 진입하여 정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적재기(400a)와 지지대(300f)의 횡렬 피니언(330)은 동시에 정지한다.
도 1에 도시된 적재기(400)에 팔레트(200)의 진입이 완료되면 도 15에 보이듯이 적재기의 걸이띠(421)가 적재기(400)로 진입해 온 팔레트(200)를 일정 간격으로 들어올린다. 반대로 입하물량이 많아지게 되면 역순으로 물류시스템(100) 안에 팔레트(200)를 유입할 수 있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물류시스템을 차량을 주차시키는 주차시스템으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은 입하기에서 발급된 주차증을 비롯하여 신분증, 신용카드, 모바일센서, 지문 등의 인식수단 입력기와 출하게이트 안내 등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출차정보 표시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주차시스템은 단지 앞에서 설명한 물류시스템과 비교하였을 때에, 물품을 대신하여 차량이 탑재된다는 것이 다르며, 그에 따른 입출력되는 정보가 차량에 관련된 정보일 뿐 다른 구성요소 및 작동관계를 동일하다.
앞에서 설명한 물류시스템 및 주차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에 피니언이 장착되고, 팔레트의 저면에 크로스 랙이 장착되어 피니언의 구동에 따라 팔레트가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240)이 팔레트(200)에 장착되고 랙(340)이 지지대(300)에 장착된 상태로 피니언(240)이 구동하더라도 팔레트(200)는 이동 가능하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시스템에 있어서, 지지대에 랙이 형성되고, 팔레트에 피니언이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 팔레트와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팔레트(200)의 저면에 피니언(240)이 장착된다. 여기에서 피니언(240)은 앞에서 설명한 구동 피니언 및 보조 피니언을 모두 포함하며,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위치한다.
그리고 지지대(300)의 상면에는 상기 팔레트(200)의 피니언(240)과 기어 물림하는 크로스 랙(340)이 장착된다. 그 외에 볼 캐스터(310) 및 가이드 홈 라인(210) 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팔레 트(200)에 장착된 피니언(240)이 모터(도 19에 도시안됨)에 의해 구동하게 되면 지지대(300)의 랙(34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종렬 랙과 횡렬 랙의 교차부분에서 방향이 전환 가능하다.
한편, 하역시스템을 구축한 물류시스템을 항만에 설치함으로써, 정박된 선박에 물품을 하역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시스템에 상하역시스템을 구비하여 컨테이너를 선박에 선적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접안시설이 구축된 항만과 컨테이너 선박에 물류시스템(100)을 설치한다. 그리고 출하대(140)에 상하역시스템으로 물류시스템(100)의 지지대의 구조를 갖춰 컨테이너가 이송되는 컨테이너 브리지(800)를 설치한다. 그러면 출하대(140)로 나온 물품은 컨테이너 브리지(800)를 통해 선박(810)의 상판에 설치된 물류시스템(100)에 이송되어 선적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류시스템은 보조이동수단이 필요 없는 자주식 물류시스템으로써, 기존의 물류시스템 보다 더 많은 물량을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류시스템에 따른 주차시스템의 경우에는 팔레트에 실린 차량을 이송하여 주차함으로써 같은 면적의 더 많은 차량을 주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류시스템은 종횡 전후진과 상하이동이 가능하므로 입출하가 더 빠르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물류시스템은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가 움직이는 지지대만 전동기가 작동하므로 기존 물류시설보다 전력 소모량이 작다.
또한, 본 발명의 주차시스템은 기존의 주차장 및 지하주차장 내로 운전자가 들어가지 않아도 됨에 따라 교통사고의 문제 및 치안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류시스템은 입하에서 출하까지 자동 제어기로 가동 되므로 관리 인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류시스템은 어느 한 지지대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고정난 지지대를 우회하여 물품을 보관 및 관리함으로써, 공간 활용도가 높으며 입출하가 신속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류시스템은 다른 보조 이동수단이 불필요하므로 입출하 지점을 늘이는 것만으로도 대규모 물량을 동시에 입출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류시스템은 제어기 고장 발생시 외부 원격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류시스템은 출하대에 컨테이너 브리지를 설치하여 정박된 선박에 물품을 용이하게 선적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크로스 랙과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및 크로스 랙을 구비한 주차시스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7)

  1. 종렬 랙과,
    상기 종렬 랙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하며 한 지점에서 상기 종렬 랙과 교차하는 횡렬 랙을 포함하며,
    상기 종렬 랙과 횡렬 랙이 교차하는 지점은 평편한 구조로서, 평편한 교차지점에는 뿔 형태의 복수 개의 돌기들이 형성되되, 복수 개의 돌기들은 종방향으로 종렬 랙의 톱니 간격 그리고 횡방향으로 횡렬 랙의 톱니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
  2. 물품이 올려지며 저면에는 종횡방향으로 형성된 크로스 랙과 가이드 홈 라인이 형성된 팔레트와,
    평면구조의 프레임 안쪽에 상기 팔레트의 크로스 랙과 기어 물림하는 종횡방향의 피니언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캐스터가 설치되어 상기 팔레트의 가이드 홈 라인에 위치하여 상기 팔레트가 종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 개의 지지대와,
    평면적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지지대 중에서 어느 한 지지대의 측부에는 물품을 상기 팔레트에 올릴 수 있도록 설치된 입하대와,
    평면적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지지대 중에서 다른 한 지지대의 측부에는 상기 팔레트에 올려진 물품을 내릴 수 있도록 설치된 출하대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 랙은 종렬 랙과, 상기 종렬 랙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하며 한 지점에서 상기 종렬 랙과 교차하는 횡렬 랙을 포함하며, 상기 종렬 랙과 횡렬 랙이 교차하는 지점은 평편한 구조로서, 평편한 교차지점에는 뿔 형태의 복수 개의 돌기들이 형성되되, 복수 개의 돌기들은 종방향으로 종렬 랙의 톱니 간격 그리고 횡방향으로 횡렬 랙의 톱니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의 저면에는 종렬의 가이드 홈 라인과 횡렬의 가이드 홈 라인이 형성되며, 종렬의 가이드 홈 라인과 횡렬의 가이드 홈 라인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부위의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가 상기 팔레트의 외측에서 상기 가이드 홈 라인 안쪽으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팔레트의 저면 가장자리에서 상기 가이드 홈 라인까지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사각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안쪽에 설치되어 상기 팔레트와 상기 지지대가 상호 대응하게 정위치하였을 때에 상기 종렬 랙과 상기 횡렬 랙에 각각 기어 물림되는 종렬 피니언과 횡렬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들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6.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는 볼 캐스터로서, 상면에는 가이드 홈 라인의 내측 상면과 접하여 자유 회전하는 볼이 위치하고, 측부에는 상기 가이드 홈 라인의 양측면과 접하여 자유 회전하는 베어링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안쪽에 설치된 종렬 피니언과 횡렬 피니언은 구동부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 피니언 및 보조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랙과 상기 피니언에는 톱니의 측부로 돌출된 가이드 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날은 그 단부가 수직하며 날카롭고, 상기 톱니 쪽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날은 동일 극으로 형성되어 상기 크로스 랙이 상기 피니언 측부로 근접해 오면, 척력에 의해 상기 피니언이 회전하면서 상기 피니언의 가이드 날 사이로 상기 크로스 랙의 가이드 날이 삽입되어 기어 물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날에는 테플론이 코팅되며, 상기 크로스 랙이 상기 피니언 측부로 근접해 오면서 상기 피니언의 가이드 날과 상기 크로스 랙의 가이드 날이 접하여 미끄러지면서 상기 피니언이 회전하여 기어 물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와 상기 팔레트 중에 어느 한 쪽에는 위치표시기가 설치되고, 다른 한 쪽에는 위치표시기감지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지지대와 상기 팔레트가 상호 대응하여 정위치하였을 때에 상기 위치표시기감지센서에서 상기 위치표시기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표시기감지센서에서 상기 위치표시기를 감지하고 전기적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전기적신호에 따라 제어기에서는 상기 피니언의 구동을 정지하거나 또는 상기 피니언을 구동시켜 상기 팔레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대해 수직한 3개 이상의 기둥이 상기 지지대의 모서리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3개 이상의 기둥 내에 위치한 상기 팔레트가 상기 기둥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걸이띠에 걸려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에는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내부에 걸이띠가 위치하며, 상기 걸이띠의 상단은 와이어에 묶여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음에 따라 상기 걸이띠가 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띠는 선단과 후단이 상호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블록들이 연결된 띠구조로서, 상기 블록에는 상기 기둥의 홈에 밖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팔레트의 저면을 지지하며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17. 제2항에 있어서,
    평면적으로 배치된 상기 지지대들은 다층으로 배치되며, 상기 지지대 중에서 어느 한 지지대는 가장자리에 형성된 기둥을 따라 상하에 위치한 다른 층으로 이동 가능함에 따라, 상기 어느 한 지지대에 안착된 팔레트는 동일 층에서 다른 지지대가 위치한 4방향과 상기 어느 한 지지대를 따라 상하방향 즉 6방향으로 팔레트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한 지지대는 그 모서리에 위치한 3개 이상의 수직 기둥과 접한 상태로 상하 이동하며, 상기 어느 한 지지대에 연결된 와이어를 상기 수직 기둥 상단에서 감거나 풀음에 따라 상기 지지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한 지지대의 모서리에는 흔들림방지 기둥이 고정되어 상기 수직 기둥과 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상기 어느 한 지지대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한 지지대와 그 옆에 위치한 지지대에는 위치표시기와 위치표시기감지센서가 각각 장착되어 상기 위치표시기감지센서가 상기 위치표시기를 감지하여 상기 지지대들이 동일 평면에 위치하였을 때에, 상기 어느 한 지지대의 상하 이동을 정지하거나 또는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하대의 측부에는 상기 입하대에 올려진 물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하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22. 제2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출하대의 측부에는 상기 출하대에 올려진 물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출하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입하기와 상기 출하기의 입력값에 따라 연산이 가능하며, 외부 원격제어기연결이 가능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 류시스템.
  24. 제2항에 있어서,
    운전자 개인 모바일을 이용하여 입출하신호를 제외한 물품정보입력과 요금정산을 제어기와 쌍방향 통신으로 처리가능한 모바일 무선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25. 물품이 올려지며 저면에는 종횡방향으로 피니언과 가이드 홈 라인이 형성된 팔레트와,
    평면구조의 프레임 안쪽에 상기 팔레트의 피니언과 기어 물림하는 크로스 랙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캐스터가 설치되어 상기 팔레트의 가이드 홈 라인에 위치하여 상기 팔레트가 종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 개의 지지대와,
    평면적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지지대 중에서 어느 한 지지대의 측부에는 물품을 상기 팔레트에 올릴 수 있도록 설치된 입하대와,
    평면적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지지대 중에서 다른 한 지지대의 측부에는 상기 팔레트에 올려진 물품을 내릴 수 있도록 설치된 출하대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 랙은 종렬 랙과, 상기 종렬 랙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하며 한 지점에서 상기 종렬 랙과 교차하는 횡렬 랙을 포함하며, 상기 종렬 랙과 횡렬 랙이 교차하는 지점은 평편한 구조로서, 평편한 교차지점에는 뿔 형태의 복수 개의 돌기들이 형성되되, 복수 개의 돌기들은 종방향으로 종렬 랙의 톱니 간격 그리고 횡방향으로 횡렬 랙의 톱니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26. 제2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출하대에는 컨테이너 브리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27. 차량이 올려지며 저면에는 종횡방향으로 랙과 가이드 홈 라인이 형성된 팔레트와,
    평면구조의 프레임 안쪽에 상기 팔레트의 크로스 랙과 기어 물림하는 종횡방향의 피니언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캐스터가 설치되어 상기 팔레트의 가이드 홈 라인에 위치하여 상기 팔레트가 종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 개의 지지대와,
    평면적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지지대 중에서 어느 한 지지대의 측부에는 차량을 상기 팔레트에 올릴 수 있도록 설치된 입차대와,
    평면적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지지대 중에서 다른 한 지지대의 측부에는 상기 팔레트에 올려진 차량을 내릴 수 있도록 설치된 출차대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 랙은 종렬 랙과, 상기 종렬 랙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하며 한 지점에서 상기 종렬 랙과 교차하는 횡렬 랙을 포함하며, 상기 종렬 랙과 횡렬 랙이 교차하는 지점은 평편한 구조로서, 평편한 교차지점에는 뿔 형태의 복수 개의 돌기들이 형성되되, 복수 개의 돌기들은 종방향으로 종렬 랙의 톱니 간격 그리고 횡방향으로 횡렬 랙의 톱니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랙을 구비한 주차시스템.
KR1020050087452A 2005-06-16 2005-09-20 크로스 랙과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및 크로스랙을 구비한 주차시스템 KR101231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892 2005-06-16
KR20050051892 2005-06-16
KR1020050061484 2005-07-08
KR20050061484 2005-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590A KR20060131590A (ko) 2006-12-20
KR101231603B1 true KR101231603B1 (ko) 2013-02-08

Family

ID=3781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452A KR101231603B1 (ko) 2005-06-16 2005-09-20 크로스 랙과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및 크로스랙을 구비한 주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6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6921B (zh) * 2015-03-25 2017-12-22 韩晓钢 一种平面移动式停车设备应用的停车动力平台
CN114834836B (zh) * 2020-04-27 2023-11-03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啮合适配机构及物流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3006A (ja) 1983-10-25 1985-05-24 Shunichiro Kurosaki 駐車場,倉庫等への搬入,出装置
JPS6233977A (ja) 1985-08-06 1987-02-13 有限会社 鈴木合金 駐車場装置
KR970001789A (ko) * 1995-06-16 1997-01-24 이항재 자동차용 주차 플레이트 이송장치
KR20050041232A (ko) * 2003-10-30 2005-05-04 황태홍 주차설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3006A (ja) 1983-10-25 1985-05-24 Shunichiro Kurosaki 駐車場,倉庫等への搬入,出装置
JPS6233977A (ja) 1985-08-06 1987-02-13 有限会社 鈴木合金 駐車場装置
KR970001789A (ko) * 1995-06-16 1997-01-24 이항재 자동차용 주차 플레이트 이송장치
KR20050041232A (ko) * 2003-10-30 2005-05-04 황태홍 주차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590A (ko)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4932B2 (ja) コンテナ物流処理装置
JP2008266011A (ja) 微小昇降積載台を具えたドーリと立体収納棚
CN113734676A (zh) 一种新型高速路应急物料仓储系统
US20220127113A1 (en) Method and elevator arrangement
KR101231603B1 (ko) 크로스 랙과 크로스 랙을 구비한 물류시스템 및 크로스랙을 구비한 주차시스템
JP2008231898A (ja) 地下駐車設備
FI89699C (fi) Anordning foer hantering av pappersrullar i en anlaeggning, saosom tryckeri
FI80862C (fi) Anordning foer hantering av pappersrullar i en anlaeggning, saosom tryckeri.
JP3164204B2 (ja) 物品保管棚用の物品搬送装置
JP2660602B2 (ja) 自動倉庫
JPH0818649B2 (ja) 建築工事用資機材の搬送装置
JP6693299B2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及びピッキング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0100408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JP3710212B2 (ja) 3縦列型昇降式駐車装置
JPH09150918A (ja) コンテナの立体格納設備
JPH0313403A (ja) コンテナ貯蔵設備の入出庫制御方法
JP2747370B2 (ja) 搬入出装置付き管体格納設備
JP4670314B2 (ja) 立体保管庫
JP2674564B2 (ja) 機械式駐車場の運転方法及び機械式駐車場
JPH0617637B2 (ja) 立体駐車場
JP2018002324A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JPS61286465A (ja) パレツト利用の立体格納装置
JPH036754Y2 (ko)
JPS62164972A (ja) 多段多列多層式格納装置
JP3608677B2 (ja) 機械式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