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356B1 - 테이프릴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릴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356B1
KR101773356B1 KR1020160110625A KR20160110625A KR101773356B1 KR 101773356 B1 KR101773356 B1 KR 101773356B1 KR 1020160110625 A KR1020160110625 A KR 1020160110625A KR 20160110625 A KR20160110625 A KR 20160110625A KR 101773356 B1 KR101773356 B1 KR 101773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reel
bar code
unit
clamp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은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은일
Priority to KR1020160110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79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coupling elements, kinematic members, handles or elements to be externally grip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32Apparatus for placing on an insulating substrate, e.g. t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82Mar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56Clos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aining chips, dies or 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e.g. registration marks, alignment structures, wafer 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릴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급유닛(14)은 지지틀(26) 내측에 각기 요입홈(34)을 갖는 한개 이상의 선반(28)을 고정설치하여 구성하고 또 바코드리딩유닛(18)이 갖는 바코드리딩카메라(16)는 감속모터(38)와 연결된 볼스크류(40)에 의해 승강작동되게 하여 작업자가 단순히 테이프릴(30)을 선반(28)에 얹어주기만 하면 바코드리딩유닛(18)에 의한 바코드 리딩후 그 정보에 따라 이송유닛(22)이 갖는 클램프(20)가 바코드 리딩된 테이프릴(30)을 클램핑하여 보관틀(24)에 삽입해 주도록 하며, 더 나아가 공급유닛(14)의 각 선반(28) 인근에는 테이프릴(30)의 공급여부 및 보관해 주고자 하는 테이프릴(30)의 두께에 따라 이송유닛(22)이 갖는 클램프(20)의 클램핑폭을 결정하는 감지센서(32)를 부설하여 이송유닛(22)에 의한 이송작업시 오작동을 방지해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테이프릴 보관장치{TAPE REEL 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테이프릴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테이프릴의 공급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 공급된 테이프릴의 이송작업이 오작동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프릴은 길이가 긴 스트립형태의 캐리어테이프에 반도체소자를 수납하여서 된 것으로서, 이는 캐리어테이프에 수납된 반도체소자의 종류에 따라 바코드로 구분하여 다단의 보관실을 갖춘 보관틀에 삽입하여 보관해두고 필요시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테이프릴을 캐리어테이프에 수납된 반도체소자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보관틀에 보관해두고 필요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테이프릴 보관장치에 대하여 이미 특허출원 제10-2015-118089호 '테이프릴 개별공급기능을 갖는 테이프릴 보관장치'와 특허출원 제10-2016-0034976호 '바코드리딩을 위한 테이프릴 회전수단을 갖는 테이프릴 보관장치' 등을 제공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테이프릴 보관장치들은 작업자가 테이프릴을 공급유닛이 갖는 가늘고 긴 결합관에 일일이 끼워서 공급해 주어야 하므로 테이프릴 공급작업이 여간 까다롭고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을 뿐 아니라 이로 인하여 작업능률저하를 가져오게 되며, 더 나아가 공급유닛에 공급된 테이프릴을 클램핑하여 보관틀에 삽입하는 이송유닛의 클램프는 단순히 고정플레이트와 가동플레이트로 구성하여 보관해 주고자 하는 테이프릴의 두께에 관계없이 동일한 힘으로 클램핑하여 이송시켜주도록 함으로서, 보관하고자 하는 테이프릴의 두께에 따라 잦은 오작동을 유발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15-118089호 '테이프릴 개별공급기능을 갖는 테이프릴 보관장치' 특허출원 제10-2016-0034976호 '바코드리딩을 위한 테이프릴 회전수단을 갖는 테이프릴 보관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에 의한 테이프릴의 공급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가 있고 또 이송유닛이 갖는 클램프는 보관해 주고자 하는 테이프릴의 두께에 따라 최적의 힘으로 클램핑하여 이송시켜주도록 할 수가 있는 테이프릴 보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 테이프릴 보관장치는 작업자가 테이프릴을 단순히 공급유닛이 갖는 한개 이상의 선반에 얹어주기만 하면 바코드리딩유닛이 갖는 바코드리딩카메라가 공급유닛에 공급된 공급된 테이프릴의 바코드를 리딩하여 리딩된 바코드 정보에 따라 해당 테이프릴을 이송유닛이 갖는 클램프가 클램핑하여 보관틀에 삽입보관해 주도록 하되, 상기 이송유닛이 갖는 클램프는 고정플레이트에 대한 가동플레이트의 작동 폭이 공급유닛의 각 선반 인근에 높낮이조절 가능케 부설된 감지센서에 의해 주어지도록 하여 테이프릴의 두께에 따라 최적의 가압력으로 클램핑하여 이송시켜 주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테이프릴 보관장치는 작업자에 의한 테이프릴(30)의 공급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고 또 테이프릴(30)의 공급시간 단축으로 작업능률을 향상시켜줄 수가 있으며, 보관해 주고자 하는 테이프릴(30)의 종류별 두께변화시에도 이송유닛(22)이 갖는 클램프(20)의 오작동 우려가 없어 작업능률을 더욱 향상시켜 줄 수가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커버를 제거한 사시도
도 3 : 본 발명에 이용되는 공급유닛과 바코드리딩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 본 발명에 이용되는 공급유닛과 바코드리딩유닛을 보여주는 정면구성도
도 5 : 본 발명에 이용되는 공급유닛 및 이송유닛이 갖는 클램프를 보여주는 측단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바코드리딩유닛의 정단면구성도
도 7 : 본 발명에서 이송유닛이 갖는 클램프가 언클램핑상태로 공급유닛에 진입할 시를 보여주는 일부측면구성도
도 8 : 본 발명 도 7에서 클램프가 선반 상의 테이프릴을 클램핑할시를 보여주는 일부측면구성도
도 9 : 본 발명 도 8에서 클램프가 테이프릴을 클램핑한후를 보여주는 일부측면구성도
도 10 : 본 발명 도 9에서 테이프릴을 클램핑한 클램프의 후퇴시를 보여주는 일부측면구성도
도 11 : 본 발명 도 10에서 테이프릴을 클램핑한 클램프가 턴테이블에 의한 방향전환으로 보관틀과 마주할시를 보여주는 일부사시도
도 12 : 본 발명 도 11에서 클램프가 전진하여 테이프릴을 보관틀에 삽입할시를 보여주는 일부사시도
도 13 : 본 발명 도 12에서 클램프가 테이프릴을 보관틀에 삽입한후 후퇴할시를 보여주는 일부사시도
도 14 :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커버를 제거한 사시도
도 15 :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공급유닛과 바코드리딩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 : 본 발명 바코드리딩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구성도
도 17 : 본 발명 바코드리딩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단면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다만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동일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기술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커버를 제거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본체(10)의 내측 전방에 개폐판(1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공급유닛(14)을 설치고정하고, 상기 공급유닛(14)의 상부에는 바코드리딩카메라(16)를 갖는 바코드리딩유닛(18)을 설치하고, 공급유닛(14)의 후방에는 클램프(20)를 갖는 이송유닛(22)을 설치하고, 상기 이송유닛(22)이 갖는 클램프(20)의 작동거리 내에는 각기 다단의 보관실을 갖는 한대 이상의 보관틀(24)을 고정설치하며, 이들은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공급유닛과 바코드리딩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공급유닛과 바코드리딩유닛을 보여주는 정면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공급유닛 및 이송유닛이 갖는 클램프를 보여주는 측단면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이용되는 공급유닛(14)은 지지틀(26) 내측에 주문자의 요청에 따라 한개 이상의 선반(28)을 상하로 나란히 고정설치하고, 상기 각 선반(28) 인근에는 선반(28)에 대한 테이프릴(30)의 공급여부 및 이송유닛(22)이 갖는 클램프(20)의 작동폭을 제어하는 감지센서(32)를 부설하여 구성한다.
또한 공급유닛(14)이 갖는 선반(28)이 복수개로 이루어질 경우 최하부에 위치한 선반을 제외한 나머지 선반(28)에는 바코드리딩유닛(18)의 바코드리딩카메라(16)와 마주하는 위치에 요입홈(34)을 형성하여 바코드리딩카메라(16)가 상부선반(28)이 갖는 요입홈(34)을 통하여 하부 선반(28)에 안치된 테이프릴(30)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최하부 선반을 포함하여 각 선반(28)의 좌우받침부 사이에 갖는 연결부는 좌우받침부에 비해 낮게 형성하여 이송유닛(22)이 갖는 클램프(20)의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각 선반(28)의 인근에 부설되는 감지선세(32)는 조정장공과 고정볼트 등을 이용하여 보관하고자 하는 테이프릴(30)의 두께에 따라 높낮이조정가능케 연결설치하여 클램프(20)의 클램핑폭을 조정해줄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바코드리딩유닛의 정단면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바코드리딩유닛(18)은 공급유닛(14)의 상부일측에 수직고정되는 지지대(36)에 감속모터(38)와 연결된 볼스크류(40)와 엘엠가이드(42)를 나란히 연결설치하여 상기 볼스크류(40)가 갖는 너트와 엘엠가이드(42)가 갖는 가이드블럭 사이에 연결구를 이용하여 바코드리딩카메라(16)를 연결설치하여 상기 바코드리딩카메라(16)의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다만 바코드리딩유닛(18)은 반드시 공급유닛(14) 상에 연결설치해 주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공간이 허락할 경우 본체(12) 측에 연결설치해 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이송유닛이 갖는 클램프가 언클램핑상태로 공급유닛에 진입할 시를 보여주는 일부측면구성도로서, 공급유닛(14)의 후방에 갖는 이송유닛(22)은 본체(12)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턴테이블(44)과, 상기 턴테이블(44) 상에 감속모터와 연결된 볼스크류와 안내봉을 따라 승강작동하도록 연결설치되는 승강대(46)와, 상기 승강대(46)에 감속모터와 연결된 볼스크류와 엘엠가이드를 따라 수평작동하도록 연결설치되는 이동체(48) 및 상기 이동체(48)에 연결설치되는 클램프(20)로 구성된다.
다만 상기 이송유닛(22)이 갖는 클램프(20)는 이동체(48)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 아래에 감속모터와 연결된 볼스크류와 안내봉을 따라 집게작동하는 가동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외에도 공급유닛(14)에 공급된 테이프릴(30)을 클램핑하여 보관틀(24)에 삽입해주거나 또는 보관틀(24)에 삽입된 테이프릴(30)을 클램핑하여 인출해 주도록 구성된 것이면 모두 만족하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송유닛(22)이 갖는 클램프(20)의 작동거리 내에 고정설치되는 한대 이상의 보관틀(24)은 각기 상하로 다단의 보관실을 갖는 일반적인 것으로서, 이 역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어기는 자동화를 위한 일반적인 것으로서, 이 역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커버를 제거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바코드리딩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바코드리딩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정단면구성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바코드리딩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구성도로서, 바코드리딩유닛(18)이 갖는 바코드리딩카메라(16)를 감속모터(50)와 연결된 타이밍벨트(52)를 이용하여 승강작동시켜 줄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공급유닛(14)의 상부 타측에 수직고정되는 지지대(54)에 감속모터(50)와 연결된 타이밍벨트(52)와 안내봉(56)을 나란히 연결설치하고, 상기 안내봉(56)에 끼워지고 또 타이밍벨트(52)와 연결된 연결구에 바코드리딩카메라(16)를 연결고정하여 바코드리딩카메라(16)의 승강작동이 타이밍벨트(52)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공급유닛과 바코드리딩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본체(10)가 갖는 개폐판(12)을 개방하고, 공급유닛(14)이 갖는 한개 이상의 선반(28)에 단순히 테이프릴(30)을 얹어주기만 하면 바코드리딩유닛(18)이 갖는 바코드리딩카메라(16)가 상기 공급유닛(14)의 선반(28)에 공급된 테이프릴(30)의 바코드를 리딩하여 리딩된 바코드 정보에 따라 이송유닛(22)이 갖는 클램프(20)가 해당 테이프릴(30)을 클램핑하여 지정된 보관틀(24)이 갖는 다단의 보관실에 삽입하여 보관해 주게 된다.
이때 바코드리딩유닛(18)이 갖는 바코드리딩카메라(16)는 감속모터(38)와 연결된 볼스크류(40)와 엘엠가이드(42)를 따라 승강작동하고 또 상기 바코드리딩카메라(16)는 공급유닛(14)의 직상부에서 상기 공급유닛(14)의 각 선반(28)이 갖는 요입홈(34)을 향하고 있어 공급유닛(14)의 선반(28)을 다단으로 형성해 주더라도 바코드리딩카메라(16)가 각 선반(28)에 공급된 테이프릴(30)에 차례로 근접하여 바코드를 리딩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공급유닛(14)의 각 선반(28)에 공급된 테이프릴(30)들 중 최상부 테이프릴(30)이 갖는 바코드를 바코드리딩유닛(18)이 리딩한후 그 정보에 따라 이송유닛(22)이 갖는 클램프(20)가 클램핑할시 상기 클램프(20)는 감속모터와 연결된 볼스크류에 의해 작동하는 가동플레이트가 고정플레이트로부터 벌어진 상태로 공급유닛(14)이 갖는 지지틀(26) 내부로 깊숙이 진입하여 바코드리딩된 선반(28) 상의 테이프릴(30)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게 되며, 이후 가동플레이트가 작동하여 해당 테이프릴(30)을 클램프(20)가 클램핑하여 이송시켜주도록 하게 되는데, 이때 해당 선반(28)에 대한 테이프릴(30)의 공급여부는 그 선반(28)의 인근에 부설된 감지센서(32)가 감지하게 되고 또 클램프(20)는 고정플레이트에 대한 가동플레이트의 작동폭이 감지센서(32)에 의해 주어지게 되므로 작업전 보관해 주고자 하는 테이프릴(30)의 두께에 따라 선반(28)에 대한 감지센서(32)의 높낮이를 조정해 주게 되면 이송유닛(22)이 갖는 클램프(20)는 상시 최적의 가압력으로 테이프릴(30)을 클램핑하여 이송시켜 줄 수가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13은 공급유닛(14)의 각 선반(28)에 공급된 테이프릴(30)을 이송유닛(22)이 갖는 클램프(28)가 클램핑하여 보관틀(24)이 갖는 다단의 보관실에 삽입하여 보관해줄 시를 보여주고 있다.
즉, 바코드리딩유닛(18)이 갖는 바코드리딩카메라(16)가 승강작동하여 공급유닛(14)의 선반(28) 상에 공급된 테이프릴(30)과 근접하여 바코드를 리딩하게 되면 리딩된 바코드 정보에 따라 이송유닛(22)이 갖는 승강대(46)의 상승과 상기 승강대(46)로부터 이동체(48)의 전진 및 상기 이동체(48)가 갖는 클램프(20)의 작동으로 바코드리딩된 테이프릴(30)을 클램핑하게 된다.
또한 클램프(20)를 통하여 바코드리딩된 테이프릴(30)을 클램핑한 이송유닛(22)은 이동체(48)에 의한 클램프(20)의 후퇴와 턴테이블(44)에 의한 회전 및 승강대(46)에 의한 승강작동으로 상기 클램프(20)가 클램핑하고 있는 테이프릴(30)을 선택된 보관틀(24)이 갖는 보관실과 마주하도록 한 상태에서 이동체(48)에 의한 전진 및 클램프(20)의 언클램핑작동으로 선택된 보관실 내에 삽입한후 복귀하도록 하는 작동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단순히 테이프릴(30)을 공급유닛(14)이 갖는 다단의 선반(28)에 얹어주기만 하면 바코드리딩유닛(18)이 갖는 바코드리딩카메라(16)가 승강작동하여 바코드를 리딩하고 또 리딩된 바코드 정보에 따라 이송유닛(22)이 갖는 클램프(20)가 해당 테이프릴(30)을 클램핑하여 선택된 보관틀(24)이 갖는 보관실에 삽입해 주도록 할 수가 있게 되므로 작업자에 의한 테이프릴(30)의 공급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되며, 더 나아가 공급유닛(14)에 공급된 테이프릴(30)을 이송유닛(22)이 갖는 클램프(20)가 클램핑하여 이송시켜줄시 종류별 테이프릴(30)의 두께차이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감지센서(32)를 이용한 클램프(20)의 클램핑폭 조정으로 상시 최적의 가압력으로 클램핑하여 이송시켜 줄 수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 권리범위는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는 자명한 것이다.
(10)--본체 (12)--개폐판
(14)--공급유닛 (16)--바코드리딩카메라
(18)--바코드리딩유닛 (20)--클램프
(22)--이송유닛 (24)--보관틀
(26)--지지틀 (28)--선반
(30)--테이프릴 (32)--감지센서
(34)--요입홈 (36)--지지대
(38)--감속모터 (40)--볼스크류
(42)--엘엠가이드 (44)--턴테이블
(46)--승강대 (48)--이동체
(50)--감속모터 (52)--타이밍벨트
(54)--지지대 (56)--안내봉

Claims (6)

  1. 본체(10)의 내측 전방에 설치되어 지지틀(26) 내측에 형성되는 한개 이상의 선반(28)을 통하여 테이프릴(30)을 공급하는 공급유닛(14)과, 상기 공급유닛(14) 상부에 설치되어 바코드리딩카메라(16)를 통하여 공급유닛(14)에 공급된 테이프릴(30)의 바코드를 리딩하는 바코드리딩유닛(18)과, 턴테이블(44) 상에서 감속모터와 연결된 볼스크류와 안내봉을 따라 승강작동하는 승강대(46)와, 상기 승강대(46)로부터 감속모터와 연결된 볼스크류와 엘엠가이드를 따라 수평작동하는 이동체(48) 및 상기 이동체(48)에 연결설치되는 클램프(20)로 이루어져 공급유닛(14) 후방에 설치되는 이송유닛(22)과, 상기 이송유닛(22)이 갖는 클램프(20)의 작동거리 내에 고정설치되는 한대 이상의 보관틀(24)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하되, 상기 공급유닛(14)이 갖는 선반(28)은 복수개로서 최하부 선반을 제외한 나머지 선반(28)에 각기 바코드리딩유닛(18)이 갖는 바코드리딩카메라(16)와 마주하는 위치에 요입홈(34)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릴 보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14)이 갖는 각 선반(28) 인근에 이송유닛(22)이 갖는 클램프(20)의 클램핑폭을 결정하는 감지센서(32)를 부설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릴 보관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10625A 2016-08-30 2016-08-30 테이프릴 보관장치 KR101773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625A KR101773356B1 (ko) 2016-08-30 2016-08-30 테이프릴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625A KR101773356B1 (ko) 2016-08-30 2016-08-30 테이프릴 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356B1 true KR101773356B1 (ko) 2017-08-31

Family

ID=5976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625A KR101773356B1 (ko) 2016-08-30 2016-08-30 테이프릴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3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7846A (ko) 2022-06-03 2023-12-12 김명훈 테이프릴의 바코드라벨 부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930Y1 (ko) * 2002-04-15 2002-07-13 경신공업 주식회사 표면실장장치의 릴 자재 보관함
KR101651111B1 (ko) * 2015-08-21 2016-08-25 주식회사 은일 테이프릴 개별공급기능을 갖는 테이프릴 보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930Y1 (ko) * 2002-04-15 2002-07-13 경신공업 주식회사 표면실장장치의 릴 자재 보관함
KR101651111B1 (ko) * 2015-08-21 2016-08-25 주식회사 은일 테이프릴 개별공급기능을 갖는 테이프릴 보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7846A (ko) 2022-06-03 2023-12-12 김명훈 테이프릴의 바코드라벨 부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09647B (zh) 一种视觉定位的料件自动排板设备
US20170347505A1 (en) Automated inserting device for workpiece assembly
JP5418825B2 (ja) 物品移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スタッカークレーン
KR102080555B1 (ko)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
CN213201408U (zh) 一种弹夹式上料装置
US20110253686A1 (en) Laser Processing Machines and Methods
KR101651111B1 (ko) 테이프릴 개별공급기능을 갖는 테이프릴 보관장치
KR101773356B1 (ko) 테이프릴 보관장치
US20180312349A1 (en) Pallet Changing System for a Machine Tool
TWI403447B (zh) 零件移送裝置及方法
KR20240016418A (ko) 컨테이너 적재 하역 장치, 저장 시스템 및 컨테이너 인출 드롭 방법
JP6446899B2 (ja) 移載装置
JP2003341845A (ja) 部品供給装置
CN105414476B (zh) 一种微波芯片注蜡机
KR101734102B1 (ko) 릴 스토리지 장치
KR20220097764A (ko) 적재물에 따라 수납 위치 설정이 가능한 스태커형 자동적재창고
US9469424B2 (en) Packaging device
JP7032914B2 (ja) パレット処理装置
CN207293508U (zh) 指纹模组收料机
KR101778995B1 (ko) 바코드리딩을 위한 테이프릴 회전수단을 갖는 테이프릴 보관장치
KR101667972B1 (ko) 테이프릴 개별공급기능을 갖는 테이프릴 보관장치
US20230406636A1 (en) Taking-out apparatus, taking-out system, and conveyance shelf
JP6886166B2 (ja) 工具交換装置及び交換方法
JP2006124112A (ja) 材料棚装置及び板材加工システム
CN110745530A (zh) 一种物料传输自动线及其自动进出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