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751B1 -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751B1
KR102206751B1 KR1020190171906A KR20190171906A KR102206751B1 KR 102206751 B1 KR102206751 B1 KR 102206751B1 KR 1020190171906 A KR1020190171906 A KR 1020190171906A KR 20190171906 A KR20190171906 A KR 20190171906A KR 102206751 B1 KR102206751 B1 KR 102206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ar wing
loading box
wing door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영
문경찬
Original Assignee
고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지영 filed Critical 고지영
Priority to KR1020190171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trucks or 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차의 적재함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상하로 구분하여 따로 형성하고, 상부의 리어윙도어를 상하방향으로 개폐부를 통해 자동으로 개폐하므로, 리어윙도어가 운행중 완전히 닫히지 않거나 잠금장치가 잠겨지지 않아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도어로 적재함의 하부를 개폐하며,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물건을 싣거나 내릴 때 쉽게 작업할 수 있고, 리어윙도어와 하부도어를 상하 방향으로 개폐하므로, 열린 상태에서도 통행에 방해가 되거나, 물건을 싣거나 내릴 때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탑차의 리어윙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탑차의 적재함을 상하방향으로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리어윙도어; 상기 리어윙도어를 개폐시키도록 적재함의 내측에 형성되는 개폐부; 상기 리어윙도어의 개방시 리어윙도어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리어윙도어의 하측에 형성되어 적재함의 후방 하측을 개폐시키는 하부도어; 상기 적재함의 후면에 형성되어 하부도어가 회동되도록 하며, 하부도어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하부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잠기도록 형성되는 잠금부 및 상기 개폐부 및 승강부의 작동을 제어하며, 센서를 통해 리어윙도어와 하부도어의 닫힘여부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Rear wing door and lower door automatic up and down switchgear of the truck}
본 발명은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탑차의 적재함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상하로 구분하여 따로 형성하고, 상부의 리어윙도어를 상하방향으로 개폐부를 통해 자동으로 개폐하므로, 리어윙도어가 운행중 완전히 닫히지 않거나 잠금장치가 잠겨지지 않아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도어로 적재함의 하부를 개폐하며,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물건을 싣거나 내릴 때 쉽게 작업할 수 있고, 리어윙도어와 하부도어를 상하 방향으로 개폐하므로, 열린 상태에서도 통행에 방해가 되거나, 물건을 싣거나 내릴 때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탑차의 리어윙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탑차(특장차)에는 적재수단으로서 물건을 운송하기 위한 사각박스형의 컨테이너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컨테이너는 후방에 물건을 하역하기 위하여 양문형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양 도어의 경계부위에는 도어를 잠금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물건 하역시에는 록킹장치를 해제한 뒤 양문형 도어를 완전히 개방하여 하역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양문형 도어는 닫힌 상태로부터 약 270°만큼 완전 개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서 대개는 도어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하역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열려진 도어가 컨테이너의 양 옆으로 돌출되므로 주변을 지나는 행인이나 다른 차량 및 이륜차 등의 운송에 지장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추돌사고의 우려도 있으며, 주변에 벽이나 차량 등이 있으면 개방할 수 없고, 도어를 고정할 수 없어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 자체의 불량이나 바람의 영향으로 열려 있던 도어가 임의로 닫히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어, 이 경우 하역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부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의 장금장치가 정상적으로 잠겨지지 않는 경우 주행중 도어가 열려 내부의 물건을 유실하거나 도어로 인해 다른 주행차량에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은 컨테이너와, 컨테이너의 개방면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에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상기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잠금장치가 마련된 적재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어 개방시 컨테이너에 대한 도어의 개방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유닛과,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컨테이너에 대해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지시키도록 도어에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도어 잠금장치의 핸들과 각도유지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핸들의 조작력을 각도유지유닛에 전달하여 각도유지유닛을 작동시키는 전달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도어를 양측으로 열게되므로, 각도를 조절하더라도, 통행에 불편함을 줄 수 있으며, 하역작업시 차량의 전면 또는 측면으로 이동해야 하는경우 문이 방해가 되어 이동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8001호(2016.10.14.)
본 발명은 탑차의 적재함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상하로 구분하여 따로 형성하고, 상부의 리어윙도어를 상하방향으로 개폐부를 통해 자동으로 개폐하므로, 리어윙도어가 운행중 완전히 닫히지 않거나 잠금장치가 잠겨지지 않아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도어로 적재함의 하부를 개폐하며,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물건을 싣거나 내릴 때 쉽게 작업할 수 있고, 리어윙도어와 하부도어를 상하 방향으로 개폐하므로, 열린 상태에서도 통행에 방해가 되거나, 물건을 싣거나 내릴 때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탑차의 리어윙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는, 탑차의 적재함을 상하방향으로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리어윙도어; 상기 리어윙도어를 개폐시키도록 적재함의 내측에 형성되는 개폐부; 상기 리어윙도어의 개방시 리어윙도어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리어윙도어의 하측에 형성되어 적재함의 후방 하측을 개폐시키는 하부도어; 상기 적재함의 후면에 형성되어 하부도어가 회동되도록 하며, 하부도어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하부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잠기도록 형성되는 잠금부 및 상기 개폐부 및 승강부의 작동을 제어하며, 센서를 통해 리어윙도어와 하부도어의 닫힘여부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윙도어는 적재함의 후방 상측을 덮도록 형성되며, 테두리를 따라 외부의 물 또는 이물질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체가 형성되고, 하단의 패킹체가 하부도어의 상측 일부를 덮도록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는 모터의 구동을 통해 실린더 내부의 회전체가 회전되어 실린더를 이송시키도록 형성되며,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모터 구동실린더로 이루어지며, 리어윙도어를 수평 방향으로 밀어 리어윙도어가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탑차의 적재함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상하로 구분하여 따로 형성하고, 상부의 리어윙도어를 상하방향으로 개폐부를 통해 자동으로 개폐하므로, 리어윙도어가 운행중 완전히 닫히지 않거나 잠금장치가 잠겨지지 않아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도어로 적재함의 하부를 개폐하며,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물건을 싣거나 내릴 때 쉽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어윙도어와 하부도어를 상하 방향으로 개폐하므로, 열린 상태에서도 통행에 방해가 되거나, 물건을 싣거나 내릴 때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의 리어윙도어와 하부도어가 개방된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의 적재함 후면 내측방향에서 리어윙도어와 하부도어가 닫힌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의 리어윙도어의 테두리에 패킹체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의 리어윙도어가 개폐부를 통해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의 개폐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의 잠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탑차의 적재함을 상단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힌지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리어윙도어(10);
상기 적재함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하단에서 힌지 회동개폐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도어(50)를 마련하고;
상기 리어윙도어(10)와 하부도어(50)가 각각 적재함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서 힌지회동되어 적재함을 닫을때에 상호 양끝단이 접촉되어 적재함을 폐쇄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리어윙도어(10)를 개폐시키도록 적재함의 내측에 형성되는 개폐부(20);
상기 리어윙도어(10)의 개방시 리어윙도어(10)를 지지하며, 개폐시에 길이가 증감되도록 적재함의 일측끝단부에 형성되는 지지부(30)를 마련하고;
상기 리어윙도어(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적재함의 후방 하측을 개폐시키는 하부도어(50);
상기 적재함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도어(50)가 적재함의 최하단에서 회동되도록 하며, 하부도어(50)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40);
상기 하부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잠기도록 형성되는 잠금부(60) 및
상기 개폐부(20) 및 승강부(40)의 작동을 제어하며, 센서를 통해 리어윙도어(10)와 하부도어(50)의 닫힘여부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압력센서 또는 자석센서로 이루어져 리어윙도어(10)와 하부도어(50)가 적재함의 입구에 밀착될 때의 압력 또는 서로 근접하는 자석의 자력을 통해 닫힘정도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센서의 감지값을 통해 상기 제어부에서 리어윙도어(10)가 닫혀지도록 입력스위치가 입력된 상태에서 센서에서 감지되는 닫힘 상태를 통해 리어윙도어(10)와 하부도어(50)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으면 운전석 내부에 구비되는 표시체를 통해 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조치를 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리어윙도어(10)는 적재함의 후방 상측을 덮도록 형성되며, 적재함의 테두리를 따라 패킹체(11)가 형성되고,
상기 패킹체(11)는 외측이 'E'자 형상으로 2개의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리어윙도어(10)의 테두리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결합홈이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홈은 상기 패킹체(1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2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킹체(11)는 하부도어(50)의 상측 일부를 덮도록 하여 상기 하부도어(50)를 먼저 닫고 자동으로 리어윙도어(10)가 닫히도록 하여 패킹체(11)가 하부도어(50)를 덮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리어윙도어(10)를 닫은뒤 하부도어(50)를 닫아도 패킹체(11)가 하부도어(50)에 의해 눌려 외부의 이물질 또는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20)는 모터(21)의 구동을 통해 실린더(23) 내부의 회전체(22)가 회전되어 실린더(23)를 이송시켜, 길이가 증감되어 힌지개폐되도록 형성되며,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모터(21) 구동형의 실린더(23)로 이루어지며, 리어윙도어(10)를 수평 방향으로 밀어 리어윙도어(10)가 상하방향으로 힌지 개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탑차의 적재함을 상하방향으로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리어윙도어(10), 리어윙도어(10)를 개폐시키도록 적재함의 내측에 형성되는 개폐부(20), 리어윙도어(10)의 개방시 리어윙도어(1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30), 리어윙도어(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적재함의 후방 하측을 개폐시키는 하부도어(50), 적재함의 후면에 형성되어 하부도어(50)가 회동되도록 하며, 하부도어(50)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40), 하부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잠기도록 형성되는 잠금부(60) 및, 개폐부(20) 및 승강부(40)의 작동을 제어하며, 센서를 통해 리어윙도어(10)와 하부도어(50)의 닫힘여부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리어윙도어(10)는 탑차의 적재함을 상단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힌지 개폐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동시에 상기 적재함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힌지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도어(50)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도어(50)는 지면에서 적재함의 최하단부까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며, 상기 최하단에서 힌지 회동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지면까지 하강하여 물건을 싣고, 적재함의 최하단면까지 상승하고, 물건을 적재함에 적재시키고, 상기 최하단에서 힌지회동하여 상기 리어링도어(10)의 하부끝면과 대응되도록 접촉시켜서, 적재함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리어윙도어(10)와 하부도어(50)는 각각 상단 및 하단에서 힌지구동되어, 적재함을 닫을때에 상호 양끝단이 접촉되어 적재함을 폐쇄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윙도어(10)는 탑차의 적재함 후방 입구의 상측에 형성되어 입구의 상단에 힌지를 통해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입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며, 적재함의 후방 입구를 상측 절반만 전측에 형성되는 개폐부(20)를 통해 개폐한다.
삭제
이러한 상기 리어윙도어(10)의 개폐부(20) 반대측인 후측벽면에는 개방된 상태의 리어윙도어(10)를 지지하는 지지부(30)가 형성된다.
상기 리어윙도어(10)는 테두리를 따라 닫힌 상태에서 외부의 물 또는 이물질이 적재함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화는 패킹체(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패킹체(11)는 리어윙도어(1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결합되며, 외측이 'E'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패킹체(11)의 테두리를 감싸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된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패킹체(11)는 외측이 'E'자 형상으로 2개의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며, 상기 리어윙도어(10)의 테두리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결합홈이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홈은 상기 패킹체(1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2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E'자 형상의 2개의 요홈은 패킹 밀폐 기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패킹체(11)의 외측면은 내측보다 넓게 형성되어 리어윙도어(10)의 테두리와 적재함의 입구를 모두 덮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패킹체(11)의 하단은 하부도어(50)의 상측 일부를 덮도록 하여 하부도어(50)를 먼저 닫고 자동으로 리어윙도어(10)가 닫히도록 하여 패킹체(11)가 하부도어(50)를 덮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리어윙도어(10)를 닫은뒤 하부도어(50)를 닫아도 패킹체(11)가 하부도어(50)에 의해 눌려 외부의 이물질 또는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부(20)는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모터(21) 구동실린더(23)로 이루어지며, 리어윙도어(10)를 수평 방향으로 밀어 리어윙도어(10)가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한다.
상기 개폐부(20)는 적재함의 내부 상측의 일측에 모터(21)가 힌지로 결합되고, 타측단이 리어윙도어(10)에 힌지로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개폐부(20)의 작동으로 인해 리어윙도어(10)가 밀려 승강되어 상하방향으로 개폐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20)는 모터(21) 구동실린더(23) 외에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23)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한정된 적재함의 공간으로 인해 설치공간이 문제될 수 있으므로, 모터(21) 구동실린더(23)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20)는 모터(21)의 구동을 통해 실린더(23) 내부의 회전체(22)가 회전되어 실린더(23)를 이송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리어윙도어(10)에 설치되는 개폐부(20)의 반대측 벽면인 후측 벽면에는 지지부(30)가 형성되어 일측단이 적재함 벽면에 힌지로 결합되고, 타측단이 리어윙도어(10)의 상측에 힌지로 결합되어 리어윙도어(10)가 열린 상태에서 리어윙도어(10)를 지지하여 리어윙도어(10)가 중력에 의해 닫히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30)는 공압 서스펜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30)는 개폐부(20)를 통해 개방된 상태에서 개폐부(20)의 고자으오 인해 리어윙도어(10)가 갑자기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적재함의 입구인 후방 하측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하부도어(50)를 통해 개폐된다.
상기 하부도어(50)는 적재함 입구 양측에 형성되는 승강부(40)를 통해 승강되며, 승강부(40)에 힌지로 결합되어 회동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개폐된다.
이러한 상기 하부도어(50)는 개방된 상태에서 승강부(40)를 통해 승강되어 짐을 쉽게 싣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40)는 하부도어(50)의 전후방향 양측에 다단으로 형성되어 길이조절을 통해 하부도어(50)를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 적재함의 중앙을 기점으로 상부와 하부는 상부가 후방으로 좀더 돌출되도록 단차가 형성되는데 이는 하부도어(50)가 닫힐때 리어윙도어(10)의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하부도어(50)에는 잠금부(60)가 형성되어 승강부(40)에 형성되는 고정고리(61)에 삽입 고정됨으로 인해 하부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잠겨져 운행중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잠금부(60)는 당김레버 형상으로 형성되어 레버 손잡이가 고정고리(61)에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회전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60)는 슬라이드 잠금장치로 형성되어 하부도어(50)가 닫힐때 고정고리(61)를 통해 밀려 고정고리(61)에 삽입되고, 탄성체를 통해 다시 슬라이드되어 고정고리(61)에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별도로 형성되는 버튼을 통해 슬라이드 잠금장치가 밀려 하부도어(50)측으로 삽입되어 하부도어(5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부(20) 및 승강부(40)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통해 작동이 제어되며, 이를 위해 적재함의 입구측에 입력스위치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입력스위치의 입력을 통해 승강부(40)와 개폐부(2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어윙도어(10)와 하부도어(50)에는 열림을 감지하는 센서가 형성되어 적재함의 입구와 리어윙도어(10) 및 하부도어(50)가 완전히 밀착되어 닫혀진 것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센서는 압력센서 또는 자석센서로 이루어져 리어윙도어(10)와 하부도어(50)가 적재함의 입구에 밀착될 때의 압력 또는 서로 근접하는 자석의 자력을 통해 닫힘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센서의 감지값을 통해 제어부에서 리어윙도어(10)가 닫혀지도록 입력스위치가 입력된 상태에서 센서에서 감지되는 닫힘 상태를 통해 리어윙도어(10)와 하부도어(50)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으면 운전석 내부에 구비되는 표시체를 통해 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 및 자력센서의 감지값을 통하여, 닫힌 상태에서의 닫힘정도를 상기 감지값을 통하여, 운전석의 표시체에 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탑차의 적재함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상하로 구분하여 따로 형성하고, 상부의 리어윙도어를 상하방향으로 개폐부를 통해 자동으로 개폐하므로, 리어윙도어가 운행중 완전히 닫히지 않거나 잠금장치가 잠겨지지 않아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도어로 적재함의 하부를 개폐하며,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물건을 싣거나 내릴 때 쉽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어윙도어와 하부도어를 상하 방향으로 개폐하므로, 열린 상태에서도 통행에 방해가 되거나, 물건을 싣거나 내릴 때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물질 부착 방지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 가공용 레이저 조사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 리어윙도어 11 : 패킹체
20 : 개폐부 21 : 모터
22 : 회전체 23 : 실린더
30 : 지지부 40 : 승강부
50 : 하부도어
60 : 잠금부 61 : 고정고리

Claims (3)

  1. 탑차의 적재함을 상단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힌지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리어윙도어(10);
    상기 적재함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며, 상기 하단에서 힌지 회동개폐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도어(50)를 마련하고;
    상기 리어윙도어(10)와 하부도어(50)가 각각 적재함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서 힌지회동되어 적재함을 닫을때에 상호 양끝단이 접촉되어 적재함을 폐쇄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리어윙도어(10)를 개폐시키도록 적재함의 내측에 형성되는 개폐부(20);
    상기 리어윙도어(10)의 개방시 리어윙도어(10)를 지지하며, 개폐시에 길이가 증감되도록 적재함의 일측끝단부에 형성되는 지지부(30)를 마련하고;
    상기 리어윙도어(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적재함의 후방 하측을 개폐시키는 하부도어(50);
    상기 적재함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도어(50)가 적재함의 최하단에서 회동되도록 하며, 하부도어(50)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40);
    상기 하부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잠기도록 형성되는 잠금부(60) 및
    상기 개폐부(20) 및 승강부(40)의 작동을 제어하며, 센서를 통해 리어윙도어(10)와 하부도어(50)의 닫힘여부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압력센서 또는 자석센서로 이루어져 리어윙도어(10)와 하부도어(50)가 적재함의 입구에 밀착될 때의 압력 또는 서로 근접하는 자석의 자력을 통해 닫힘 정도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센서의 감지값을 통해 상기 제어부에서 리어윙도어(10)가 닫혀지도록 입력스위치가 입력된 상태에서 센서에서 감지되는 닫힘 상태를 통해 리어윙도어(10)와 하부도어(50)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으면 운전석 내부에 구비되는 표시체를 통해 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조치를 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리어윙도어(10)는 적재함의 후방 상측을 덮도록 형성되며, 적재함의 테두리를 따라 패킹체(11)가 형성되고;
    상기 패킹체(11)는 외측이 'E'자 형상으로 2개의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리어윙도어(10)의 테두리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결합홈이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홈은 상기 패킹체(1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2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킹체(11)는 하부도어(50)의 상측 일부를 덮도록 하여 상기 하부도어(50)를 먼저 닫고 자동으로 리어윙도어(10)가 닫히도록 하여 패킹체(11)가 하부도어(50)를 덮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리어윙도어(10)를 닫은뒤 하부도어(50)를 닫아도 패킹체(11)가 하부도어(50)에 의해 눌려 외부의 이물질 또는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20)는 모터(21)의 구동을 통해 실린더(23) 내부의 회전체(22)가 회전되어 실린더(23)를 이송시켜, 길이가 증감되어 힌지개폐되도록 형성되며,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모터(21) 구동형의 실린더(23)로 이루어지며, 리어윙도어(10)를 수평 방향으로 밀어 리어윙도어(10)가 상하방향으로 힌지 개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90171906A 2019-12-20 2019-12-20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 KR102206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906A KR102206751B1 (ko) 2019-12-20 2019-12-20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906A KR102206751B1 (ko) 2019-12-20 2019-12-20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751B1 true KR102206751B1 (ko) 2021-01-22

Family

ID=7430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906A KR102206751B1 (ko) 2019-12-20 2019-12-20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7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722A (ko) 2021-10-28 2023-05-08 짐캐리 주식회사 자동 잠금 방식의 적재함 개폐 장치 및 방법
KR102592170B1 (ko) 2023-03-23 2023-10-19 정회빈 탑차 적재함용 도어 자동개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89U (ja) * 1991-06-25 1993-01-14 株式会社北村製作所 貨物自動車のリフト装置
JP2003082919A (ja) * 2001-09-12 2003-03-19 Isono Body:Kk 車両用荷室扉
KR101668001B1 (ko) 2014-11-28 2016-10-28 김형곤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KR20180118647A (ko) * 2016-03-04 2018-10-31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윙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89U (ja) * 1991-06-25 1993-01-14 株式会社北村製作所 貨物自動車のリフト装置
JP2003082919A (ja) * 2001-09-12 2003-03-19 Isono Body:Kk 車両用荷室扉
KR101668001B1 (ko) 2014-11-28 2016-10-28 김형곤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KR20180118647A (ko) * 2016-03-04 2018-10-31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윙 개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722A (ko) 2021-10-28 2023-05-08 짐캐리 주식회사 자동 잠금 방식의 적재함 개폐 장치 및 방법
KR102592170B1 (ko) 2023-03-23 2023-10-19 정회빈 탑차 적재함용 도어 자동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6751B1 (ko)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
US6217097B1 (en) Power operated tailgate
US5056847A (en) Vehicle door operating mechanism
RU2730284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багажного отсе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промышл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US7631921B2 (en) Closure system for a vehicle
US20030146648A1 (en) Service vehicle
WO2010146567A1 (en) Container handling arrangement
US10532774B2 (en) Vehicle liftgate with dual stowable hoists
JP7162808B2 (ja) 貨物自動車の荷箱の上扉、荷室形成用構造体および貨物自動車
KR20200125161A (ko) 탑차
KR101553232B1 (ko)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US201003259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osing An Access To A Vehicle
US20070222258A1 (en) Escape hatch
KR101295519B1 (ko)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
KR20140101137A (ko) 덤프형 적재함의 도어 자동개폐-잠금구조
KR20210023120A (ko)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
US2102110A (en) Vehicle body
KR101771431B1 (ko)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덮개장치
EP2218600A2 (en) Door mechanism for the cargo box of a truck or trailer
KR100383982B1 (ko) 화물차의 캐빈 틸팅장치
KR101537003B1 (ko)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KR101758738B1 (ko) 차량용 적재함 도어의 개폐 시스템
KR20090069674A (ko) 화물적재함 도어의 상·하 자동개폐장치
KR20160040756A (ko) 트럭 탑재용 덤프장치
KR102655592B1 (ko) 적재함 높이 가변형 탑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