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415B1 -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 Google Patents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415B1
KR102208415B1 KR1020190067820A KR20190067820A KR102208415B1 KR 102208415 B1 KR102208415 B1 KR 102208415B1 KR 1020190067820 A KR1020190067820 A KR 1020190067820A KR 20190067820 A KR20190067820 A KR 20190067820A KR 102208415 B1 KR102208415 B1 KR 102208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loading box
link
plate
tr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1176A (ko
Inventor
장두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광티엔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광티엔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광티엔알
Priority to KR1020190067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415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05F15/659Control circui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05F15/662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트럭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적재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적재함과, 상기 트럭의 적재함 일측에 구비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모터와, 상기 적재함의 일측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슬라이딩모터의 전후방으로 이격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 한 쌍에 축으로 연결 구비되며, 전후방 및 내측에는 각각 기어로 형성되는 구동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형성되는 구동부는 구동체인으로 슬라이딩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슬라이딩축과, 상기 슬라이딩모터의 전후방에 각각 대칭 구비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링크모터와, 상기 적재함의 전후방에 각각 판형으로 형성되어 대칭 구비되며, 하부에는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어 반원형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각각 연장된 내측에는 장공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링크홈을 갖는 한 쌍의 링크가이드와, 상기 링크가이드의 링크홈 각각의 상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내측이 각각 링크가이드와 축 연결됨과 아울러 링크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 회전되며, 하부는 연장되어 링크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축 연결되는 링크가이드축을 갖는 다수개의 링크와, 상기 적재함의 전후방에 각각 판형으로 형성되어 대칭 구비되며, 각각의 외측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슬라이딩봉이 구비되고, 제1슬라이딩봉의 하부에는 각각 링크의 상부가 서로 이격되어 힌지 연결되는 제1슬라이딩판과, 상기 제1슬라이딩판의 타측에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적재함의 전후방에 각각 판형으로 형성되어 적재함에 대칭 연결 구비되며, 각각의 외측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슬라이딩봉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후방기어를 갖는 제2슬라이딩판과, 상기 적재함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은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후방기어에 전달하고, 각각의 상부에는 하부로 내입된 요철 형상을 갖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슬라이딩체인과, 상기 적재함의 상부에 다수개가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각각은 상하로 이격되어 다단으로 적층됨과 아울러 각각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계단 배열되고, 각각의 전후방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덮개와, 상기 덮개의 연장부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연장부가 마주하는 방향에는 각각 판형의 고정판이 구비되며, 고정판에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판이 형성되고, 연장판의 하부에는 각각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됨과 아울러 제1슬라이딩봉 및 제2슬라이딩봉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파이프 형상을 갖는 슬라이딩파이프가 구비되는 다수개의 슬라이딩구와, 상기 덮개의 연장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됨과 하부로 연장되어 슬라이딩체인의 걸림부에 걸림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걸림고리와, 상기 트럭에 구비되어 슬라이딩모터 및 링크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Opening and shutting assembly apparatus of truck cargobox}
본 발명은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럭의 적재함에 화물 또는 폐기물 등을 적재하고 운행할 시에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 또는 폐기물 등이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적재함에서 이탈되거나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하여 트럭의 운행중 낙하물로 인해 안전사고가 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적재함에 과도한 화물 또는 폐기물 등이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재함에 모래 등의 입자가 작은 화물 또는 폐기물 등을 적재할 시에도 모래 등이 바람에 의해 날려가는 것을 방지하여 적재물이 손실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덮개를 다단으로 형성하여 덮개를 열었을 시에도 덮개로 인해 주위를 지나가는 차량의 운행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자재(자갈, 모래, 흙 등), 쓰레기, 화물 또는 폐기물 등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트럭의 개폐장치는 운행시 적재함에 실린 적재물이 도로로 이탈 또는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재함의 상부 양측으로 각각 일측 모서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덮개와, 각각의 덮개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과하여 덮개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덮개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부피가 큰 적재물이 적재함에 실릴 경우 양측 덮개가 완전히 닫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이 적재함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덮개는 통상 철제 프레임에 천을 입인 구조로 되어 있어 적재물을 누르는 지지력이 약하기 때문에 트럭의 운행중 도로 사정이나 외부 충격으로 인해 진동이나 충격이 트럭의 적재함에 가해지면 그 외력에 의해 적재물이 덮개를 손상시키고 손상된 덮개로 인해 적재물이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적재물이 도로상에 떨어지게 되면 도로의 파손은 물론 미세먼지 등이 발생함으로 환경적으로 악영향을 주게 되며, 특히 주변의 행인 또는 운전자 등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심한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트럭 적재함의 상부측 개구부를 개폐하는 자동덮개장치에 있어서, 적재함의 상부면 전체가 덮히는 크기로 일체 형성되며, 양측 단부가 적재함의 양측 상부 모서리부에 밀착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양측 외면에 구비되는 다수 힌지와, 적재함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다수 힌지에 각각 결합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 상에 힌지 결합되며, 적재함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측 힌지를 중심으로 링크를 적재함의 전,후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덮개를 개폐시키며, 적재함의 측면부에 이격 설치된 링크 사이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0-0971687호에서와 같이 공지된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은 덮개를 개방하였을 시에 링크가 운전석 및 조수석의 문을 막도록 형성되어 덮개를 개방할 시에 운전자가 트럭에서 하차 또는 승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석 및 조수석 문을 열고 덮개를 개방할 시에는 운전석 및 조수석 문을 닫을 수 없어 외부의 먼지 등이 트럭의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 또한 있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은 덮개를 개방하였을 시에 덮개가 트럭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트럭의 주위를 운행하는 다른 차량이 덮개에 충돌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7168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트럭의 덮개를 개방하였을 시에 링크가 운전석 및 조수석의 문을 막지 않도록 형성하여 덮개를 개방할 시에도 운전자가 트럭에서 하차 또는 승차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덮개가 개방되었을 시에 덮개가 트럭의 전방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럭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적재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적재함과, 상기 트럭의 적재함 일측에 구비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모터와, 상기 적재함의 일측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슬라이딩모터의 전후방으로 이격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 한 쌍에 축으로 연결 구비되며, 전후방 및 내측에는 각각 기어로 형성되는 구동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형성되는 구동부는 구동체인으로 슬라이딩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슬라이딩축과, 상기 슬라이딩모터의 전후방에 각각 대칭 구비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링크모터와, 상기 적재함의 전후방에 각각 판형으로 형성되어 대칭 구비되며, 하부에는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어 반원형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각각 연장된 내측에는 장공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링크홈을 갖는 한 쌍의 링크가이드와, 상기 링크가이드의 링크홈 각각의 상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내측이 각각 링크가이드와 축 연결됨과 아울러 링크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 회전되며, 하부는 연장되어 링크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축 연결되는 링크가이드축을 갖는 다수개의 링크와, 상기 적재함의 전후방에 각각 판형으로 형성되어 대칭 구비되며, 각각의 외측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슬라이딩봉이 구비되고, 제1슬라이딩봉의 하부에는 각각 링크의 상부가 서로 이격되어 힌지 연결되는 제1슬라이딩판과, 상기 제1슬라이딩판의 타측에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적재함의 전후방에 각각 판형으로 형성되어 적재함에 대칭 연결 구비되며, 각각의 외측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슬라이딩봉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후방기어를 갖는 제2슬라이딩판과, 상기 적재함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은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후방기어에 전달하고, 각각의 상부에는 하부로 내입된 요철 형상을 갖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슬라이딩체인과, 상기 적재함의 상부에 다수개가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각각은 상하로 이격되어 다단으로 적층됨과 아울러 각각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계단 배열되고, 각각의 전후방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덮개와, 상기 덮개의 연장부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연장부가 마주하는 방향에는 각각 판형의 고정판이 구비되며, 고정판에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판이 형성되고, 연장판의 하부에는 각각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됨과 아울러 제1슬라이딩봉 및 제2슬라이딩봉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파이프 형상을 갖는 슬라이딩파이프가 구비되는 다수개의 슬라이딩구와, 상기 덮개의 연장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됨과 하부로 연장되어 슬라이딩체인의 걸림부에 걸림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걸림고리와, 상기 트럭에 구비되어 슬라이딩모터 및 링크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는 트럭의 덮개를 개방하였을 시에도 링크가 운전석 및 조수석의 문을 막지 않아 운전자가 트럭에서 하차 또는 승차할 수 있으며, 운전석 및 조수석 문을 열고 덮개를 개방할 시에도 운전석 및 조수석 문을 닫을 수 있으므로 운전석 및 조수석으로 외부의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덮개로 적재함의 상부를 완벽하게 덮을 수 있기 때문에 적재물의 운송중 적재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덮개가 개방되었을 시에 덮개가 트럭에서 돌출되지 않으므로 타차량 등이 트럭의 주위를 운행하다 덮개에 추돌하는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가 열린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가 승강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의 일부분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구의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의 일부분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는 트럭(10)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적재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적재함(12)과, 상기 트럭(10)의 적재함(12) 일측에 구비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모터(14)와, 상기 적재함(12)의 일측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슬라이딩모터(14)의 전후방으로 이격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구(16)와, 상기 지지구(16) 한 쌍에 축으로 연결 구비되며, 전후방 및 내측에는 각각 기어로 형성되는 구동부(18)가 형성되고, 내측에 형성되는 구동부(18)는 구동체인(20)으로 슬라이딩모터(14)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슬라이딩축(22)과, 상기 슬라이딩모터(14)의 전후방에 각각 대칭 구비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링크모터(24)와, 상기 적재함(12)의 전후방에 각각 판형으로 형성되어 대칭 구비되며, 하부에는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어 반원형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각각 연장된 내측에는 장공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링크홈(26)을 갖는 한 쌍의 링크가이드(28)와, 상기 링크가이드(28)의 링크홈(26) 각각의 상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내측이 각각 링크가이드(28)와 축 연결됨과 아울러 링크모터(2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 회전되며, 하부는 연장되어 링크홈(2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축 연결되는 링크가이드축(30)을 갖는 다수개의 링크(32)와, 상기 적재함(12)의 전후방에 각각 판형으로 형성되어 대칭 구비되며, 각각의 외측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슬라이딩봉(34)이 구비되고, 제1슬라이딩봉(34)의 하부에는 각각 링크(32)의 상부가 서로 이격되어 힌지 연결되는 제1슬라이딩판(36)과, 상기 제1슬라이딩판(36)의 타측에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적재함(12)의 전후방에 각각 판형으로 형성되어 적재함(12)에 대칭 연결 구비되며, 각각의 외측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슬라이딩봉(38)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후방기어(40)를 갖는 제2슬라이딩판(42)과, 상기 적재함(12)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은 구동부(18)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후방기어(40)에 전달하고, 각각의 상부에는 하부로 내입된 요철 형상을 갖는 걸림부(44)가 구비되는 슬라이딩체인(46)과, 상기 적재함(12)의 상부에 다수개가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각각은 상하로 이격되어 다단으로 적층됨과 아울러 각각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계단 배열되고, 각각의 전후방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48)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덮개(50)와, 상기 덮개(50)의 연장부(48)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연장부(48)가 마주하는 방향에는 각각 판형의 고정판(52)이 구비되며, 고정판(52)에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판(54)이 형성되고, 연장판(54)의 하부에는 각각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됨과 아울러 제1슬라이딩봉(34) 및 제2슬라이딩봉(38)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파이프 형상을 갖는 슬라이딩파이프(56)가 구비되는 다수개의 슬라이딩구(58)와, 상기 덮개(50)의 연장부(48)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됨과 하부로 연장되어 슬라이딩체인(46)의 걸림부(44)에 걸림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걸림고리(60)와, 상기 트럭(10)에 구비되어 슬라이딩모터(14) 및 링크모터(24)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62)로 이루어진다.
먼저, 트럭(10)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적재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적재함(12)이 구비된다.
상기 트럭(10)의 적재함(12) 일측에 구비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슬라이딩모터(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모터(14)는 후술되는 제어부(62)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며,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모터(14)는 후술되는 덮개(5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적재함(12)의 일측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슬라이딩모터(14)의 전후방으로 이격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구(1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구(16) 한 쌍에 축으로 연결 구비되며, 전후방 및 내측에는 각각 기어로 형성되는 구동부(18)가 형성되고, 내측에 형성되는 구동부(18)는 구동체인(20)으로 슬라이딩모터(14)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슬라이딩축(2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축(22)은 지지구(16)에 의해 안정적으로 축회전 가능한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모터(14)의 전후방에 각각 대칭 구비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링크모터(2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링크모터(24)는 후술되는 제어부(62)의 신호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것이며, 링크모터(24)는 다수개의 링크(32) 중에서 일측에 구비되는 링크(32)의 회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상기 적재함(12)의 전후방에 각각 판형으로 형성되어 대칭 구비되며, 하부에는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어 반원형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각각 연장된 내측에는 장공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링크홈(26)을 갖는 한 쌍의 링크가이드(2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링크가이드(28)에 형성되는 링크홈(26)은 후술되는 링크(32)가 링크모터(24)에 의해 회전되는 각도를 제어하여 안전사고 및 링크(3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링크가이드(28)의 링크홈(26) 각각의 상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내측이 각각 링크가이드(28)와 축 연결됨과 아울러 링크모터(2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 회전되며, 하부는 연장되어 링크홈(2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축 연결되는 링크가이드축(30)을 갖는 다수개의 링크(3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링크(23)는 절곡 형성되는 것이며, 절곡되는 소정의 각도는 내각이 90~160°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90°이하 또는 160° 이상으로 내각이 형성될 시에는 후술되는 덮개(50)의 개폐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과 아울러 덮개(50)가 열렸을 시에도 운전석 또는 조수석 문을 개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적재함(12)의 전후방에 각각 판형으로 형성되어 대칭 구비되며, 각각의 외측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슬라이딩봉(34)이 구비되고, 제1슬라이딩봉(34)의 하부에는 링크(32)의 상부가 각각 서로 이격되어 힌지 연결되는 제1슬라이딩판(3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슬라이딩판(36)은 링크(32)의 작동에 따라 도 1 또는 도 2에서와 같이 승하강되는 것이며, 제1슬라이딩봉(34)은 후술되는 슬라이딩구(58)가 제1슬라이딩봉(34)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슬라이딩판(36)의 타측에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적재함(12)의 전후방에 각각 판형으로 형성되어 적재함(12)에 대칭 연결 구비되며, 각각의 외측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슬라이딩봉(38)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후방기어(40)를 갖는 제2슬라이딩판(4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슬라이딩판(42)에 구비되는 제2슬라이딩봉(38)은 전술된 제1슬라이딩봉(34)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슬라이딩구(58)가 제2슬라이딩봉(38)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슬라이딩판(42)은 적재함(12)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적재함(12)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은 구동부(18)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후방기어(40)에 전달하고, 각각의 상부에는 하부로 내입된 요철 형상을 갖는 걸림부(44)가 구비되는 슬라이딩체인(4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체인(46)은 구동부(18)의 회전력을 후방기어(40)에 전달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후술되는 덮개(50)에 구비되는 걸림고리(60)가 걸림부(44)에 걸림됨으로써, 구동부(18)의 회전력으로 덮개(50)가 일측에서 타측 또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부(44)는 후술되는 덮개(50)의 승하강에 따라 용이하게 걸림되거나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체인(46)의 상부 및 하부에는 슬라이딩체인(46)으로 이물질 등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막(72)이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적재함(12)의 상부에 다수개가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각각은 상하로 이격되어 다단으로 적층됨과 아울러 각각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계단 배열되고, 각각의 전후방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48)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덮개(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덮개(5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이며, 다단으로 적층됨과 아울러 각각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계단 배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50)에 형성되는 연장부(48)에는 후술되는 슬라이딩구(58)가 도 5에서와 같이 배열 구비되며, 슬라이딩구(58)로 인해 다수개로 형성되는 덮개(50)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계단 배열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덮개(50) 각각의 타측에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하부로 연장되어 적층된 다수개의 덮개(50)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합성수지재의 와이퍼(6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덮개(50)의 하부에는 덮개(50)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판형의 지지판(68)이 다수개 구비됨으로써, 판형으로 형성되는 덮개(50)의 모양이 안정적으로 유지 가능한 것이다.
상기 덮개(50)의 연장부(48)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연장부(48)가 마주하는 방향에는 각각 판형의 고정판(52)이 구비되며, 고정판(52)에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판(54)이 형성되고, 연장판(54)의 하부에는 각각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됨과 아울러 제1슬라이딩봉(34) 및 제2슬라이딩봉(38)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파이프 형상을 갖는 슬라이딩파이프(56)가 구비되는 다수개의 슬라이딩구(5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구(58)의 양측에는 합성수지재의 완충구(70)가 구비됨으로써, 충격으로 인한 손상 및 소음이 상쇄되는 것이다.
또한, 슬라이딩구(58)는 적재함(10)의 전후방에 대칭 구비되는 것이며, 슬라이딩구(58)로 인해 덮개(50)가 안정적으로 제1슬라이딩봉(34) 및 제2슬라이딩봉(38) 상에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구(58)의 슬라이딩파이프(56) 상에는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미도시된 베어링이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덮개(50)의 연장부(48)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됨과 하부로 연장되어 슬라이딩체인(46)의 걸림부(44)에 걸림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걸림고리(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걸림고리(60)는 걸림부(44)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것이며, 걸림고리(60)로 인해 슬라이딩체인(46)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또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회전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덮개(50)가 개폐되는 것이다.
상기 트럭(10)에 구비되어 슬라이딩모터(14) 및 링크모터(24)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6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62)는 후술되는 센서(66)의 신호를 전달받음과 아울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슬라이딩모터(14) 및 링크모터(24)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1슬라이딩판(36), 제2슬라이딩판(42), 링크홈(26)에는 각각 센서(66)가 구비되어 제어부(62)로 신호를 전송하며, 센서(66)의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62)의 신호에 따라 슬라이딩모터(14) 및 링크모터(24)의 회전이 제어된다.
이때, 상기 센서(66)는 근접센서 또는 리미트스위치 등이 사용되는 것이며, 제1슬라이딩판(36), 제2슬라이딩판(42), 링크홈(26)에 설치되어 덮개(50)의 위치, 링크(32)가 회전된 위치 등을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센서(66)로 인해 슬라이딩모터(14) 및 링크모터(24)의 오작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는 트럭(10)의 덮개(50)를 개방하였을 시에도 링크(32)가 운전석 및 조수석의 문을 막지 않아 운전자가 트럭(10)에서 하차 또는 승차할 수 있으며, 운전석 및 조수석 문을 열고 덮개(50)를 개방할 시에도 운전석 및 조수석 문을 닫을 수 있으므로 운전석 및 조수석으로 외부의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덮개(50)로 적재함(12)의 상부를 완벽하게 덮을 수 있기 때문에 적재물의 운송중 적재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덮개(50)가 개방되었을 시에 덮개(50)가 트럭(10)의 전방에서 돌출되지 않으므로 타차량 등이 트럭(10)의 주위를 운행하다 덮개(50)에 추돌하는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10 : 트럭 12 : 적재함
14 : 슬라이딩모터 16 : 지지구
18 : 구동부 20 : 구동체인
22 : 슬라이딩축 24 : 링크모터
26 : 링크홈 28 : 링크가이드
30 : 링크가이드축 32 : 링크
34 : 제1슬라이딩봉 36 : 제1슬라이딩판
38 : 제2슬라이딩봉 40 : 후방기어
42 : 제2슬라이딩판 44 : 걸림부
46 : 슬라이딩체인 48 : 연장부
50 : 덮개 52 : 고정판
54 : 연장판 56 : 슬라이딩파이프
58 : 슬라이딩구 60 : 걸림고리
62 : 제어부 64 : 와이퍼
66 : 센서 68 : 지지판
70 : 완충구

Claims (5)

  1. 트럭(10)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적재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적재함(12);
    상기 트럭(10)의 적재함(12) 일측에 구비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모터(14);
    상기 적재함(12)의 일측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슬라이딩모터(14)의 전후방으로 이격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구(16);
    상기 지지구(16) 한 쌍에 축으로 연결 구비되며, 전후방 및 내측에는 각각 기어로 형성되는 구동부(18)가 형성되고, 내측에 형성되는 구동부(18)는 구동체인(20)으로 슬라이딩모터(14)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슬라이딩축(22);
    상기 슬라이딩모터(14)의 전후방에 각각 대칭 구비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링크모터(24);
    상기 적재함(12)의 전후방에 각각 판형으로 형성되어 대칭 구비되며, 하부에는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어 반원형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각각 연장된 내측에는 장공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링크홈(26)을 갖는 한 쌍의 링크가이드(28);
    상기 링크가이드(28)의 링크홈(26) 각각의 상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내측이 각각 링크가이드(28)와 축 연결됨과 아울러 링크모터(2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 회전되며, 하부는 연장되어 링크홈(2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축 연결되는 링크가이드축(30)을 갖는 다수개의 링크(32);
    상기 적재함(12)의 전후방에 각각 판형으로 형성되어 대칭 구비되며, 각각의 외측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슬라이딩봉(34)이 구비되고, 제1슬라이딩봉(34)의 하부에는 각각 링크(32)의 상부가 서로 이격되어 힌지 연결되는 제1슬라이딩판(36);
    상기 제1슬라이딩판(36)의 타측에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적재함(12)의 전후방에 각각 판형으로 형성되어 적재함(12)에 대칭 연결 구비되며, 각각의 외측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슬라이딩봉(38)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후방기어(40)를 갖는 제2슬라이딩판(42);
    상기 적재함(12)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은 구동부(18)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후방기어(40)에 전달하고, 각각의 상부에는 하부로 내입된 요철 형상을 갖는 걸림부(44)가 구비되는 슬라이딩체인(46);
    상기 적재함(12)의 상부에 다수개가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각각은 상하로 이격되어 다단으로 적층됨과 아울러 각각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계단 배열되고, 각각의 전후방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48)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덮개(50);
    상기 덮개(50)의 연장부(48)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연장부(48)가 마주하는 방향에는 각각 판형의 고정판(52)이 구비되며, 고정판(52)에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판(54)이 형성되고, 연장판(54)의 하부에는 각각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됨과 아울러 제1슬라이딩봉(34) 및 제2슬라이딩봉(38)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파이프 형상을 갖는 슬라이딩파이프(56)가 구비되는 다수개의 슬라이딩구(58);
    상기 덮개(50)의 연장부(48)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됨과 하부로 연장되어 슬라이딩체인(46)의 걸림부(44)에 걸림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걸림고리(60);
    상기 트럭(10)에 구비되어 슬라이딩모터(14) 및 링크모터(24)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6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50) 각각의 타측에는 하부로 연장되어 적층된 다수개의 덮개(50)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와이퍼(64)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판(36), 제2슬라이딩판(42), 링크홈(26)에는 각각 센서(66)가 구비되어 제어부(62)로 신호를 전송하며, 센서(66)의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62)의 신호에 따라 슬라이딩모터(14) 및 링크모터(24)의 회전이 제어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50)의 하부에는 덮개(50)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판형의 지지판(68)이 다수개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구(58)의 양측에는 합성수지재의 완충구(70)가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KR1020190067820A 2019-06-10 2019-06-10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KR102208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820A KR102208415B1 (ko) 2019-06-10 2019-06-10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820A KR102208415B1 (ko) 2019-06-10 2019-06-10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176A KR20200141176A (ko) 2020-12-18
KR102208415B1 true KR102208415B1 (ko) 2021-01-28

Family

ID=74041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820A KR102208415B1 (ko) 2019-06-10 2019-06-10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4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841B1 (ko) 2014-10-28 2015-11-30 주식회사 대광티엔알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KR101765031B1 (ko) 2017-03-20 2017-08-04 주식회사 아이엠아이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687B1 (ko) 2010-01-15 2010-07-22 주식회사 대광티엔알 트럭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841B1 (ko) 2014-10-28 2015-11-30 주식회사 대광티엔알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KR101765031B1 (ko) 2017-03-20 2017-08-04 주식회사 아이엠아이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176A (ko) 2020-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1921B2 (en) Closure system for a vehicle
KR101222185B1 (ko) 화물차 적재함의 리어게이트 장치
KR101351538B1 (ko) 덮개 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적재함
EP2635745B1 (en) Road module for regulation of vehicle passability at a road section
KR101058325B1 (ko) 덤프트럭의 적재물 비산방지장치
KR101553232B1 (ko)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KR101579685B1 (ko) 화물차량용 윙바디
KR20150129434A (ko)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KR102208415B1 (ko)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US10661843B1 (en) Pickup truck with drop-down side panels
US20180274280A1 (en) Boot lid
KR101572841B1 (ko)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RU2010130475A (ru) Транспортная единица с ориентиру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автомобиля
US6273487B1 (en) Sliding floor panel in combination with articulating cargo door
KR102206751B1 (ko)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
KR20170128969A (ko) 쓰레기차량용 적재함커버의 도어 개폐장치
KR20080047750A (ko) 자동차용 데크 게이트 힌지 구조
KR0142816B1 (ko)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덮개판 자동개폐장치
KR101856174B1 (ko) 덤프트럭의 자동덮개
KR101582884B1 (ko) 적재함 덮개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적재함
KR200338239Y1 (ko) 폐기물 차량의 적재함 자동개폐장치
KR100197021B1 (ko) 화물차용 적재함의 적재물 수평 조절기구
JP7286900B2 (ja) 転車台
KR20190012402A (ko) 트럭 적재함의 덮개방법 및 그 장치.
KR100622730B1 (ko) 차량의 트렁크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