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001B1 -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001B1
KR101668001B1 KR1020140168867A KR20140168867A KR101668001B1 KR 101668001 B1 KR101668001 B1 KR 101668001B1 KR 1020140168867 A KR1020140168867 A KR 1020140168867A KR 20140168867 A KR20140168867 A KR 20140168867A KR 101668001 B1 KR101668001 B1 KR 101668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in
container
fix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4776A (ko
Inventor
김형곤
Original Assignee
김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곤 filed Critical 김형곤
Priority to KR1020140168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001B1/ko
Publication of KR20160064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0Manholes; Inspection openings; Cov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컨테이너와, 컨테이너의 개방면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에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상기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 잠금장치가 마련된 적재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어 개방시 컨테이너에 대한 도어의 개방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유닛과,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컨테이너에 대해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지시키도록 도어에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도어 잠금장치의 핸들과 각도유지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핸들의 조작력을 각도유지유닛에 전달하여 각도유지유닛을 작동시키는 전달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는 도어를 필요한 각도만큼 열어서 고정시킬 수 있어서 주변의 차량이나 행인에게 지장을 주지 않으며, 나아가 안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Special vehicle door fixing apparatus of the container}
본 발명은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차의 컨테이너에 물건을 하역할 때 컨테이너 도어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도어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탑차(특장차)에는 적재수단으로서 물건을 운송하기 위한 사각박스형의 컨테이너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컨테이너는 후방에 물건을 하역하기 위하여 양문형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양 도어의 경계부위에는 도어를 잠금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물건 하역시에는 록킹장치를 해제한 뒤 양문형 도어를 완전히 개방하여 하역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양문형 도어는 닫힌 상태로부터 약 270°만큼 완전 개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서 대개는 도어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하역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열려진 도어가 컨테이너의 양 옆으로 돌출되므로 주변을 지나는 행인이나 다른 차량 및 이륜차 등의 운송에 지장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추돌사고의 우려도 있으며, 주변에 벽이나 차량 등이 있으면 개방할 수 없고, 도어를 고정할 수 없어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이 높다.
또한, 도어 자체의 불량이나 바람의 영향으로 열려 있던 도어가 임의로 닫히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 경우 하역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부상도 염려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7617호 : 화물차용 적재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컨테이너 도어를 필요한 각도만큼 열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테이너의 도어 개방상태에서 출발조작을 감지시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개방면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에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상기 도어를 잠그기위한 도어 잠금장치가 마련된 적재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상기 도어의 개방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유닛과,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컨테이너에 대해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지시키도록 상기 도어에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핸들과 상기 각도유지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의 조작력을 상기 각도유지유닛에 전달하여 상기 각도유지유닛을 작동시키는 전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유지유닛은 상기 도어의 회동축선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컨테이너에 고정되는 핀 하우징과, 상기 핀 하우징에 상기 회동축선과 나란하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달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전달부재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핸들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핀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되는 고정핀이 마련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핀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힌지축에 고정되며, 상기 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핀과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환형의 가상 곡선을 따라 다수의 핀홀이 마련된 핀 홀더와, 상기 고정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핀이 상기 핀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각도유지유닛은 상기 핀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핀홀로부터 상기 고정핀을 강제 인출시키는 핀 인출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핀 인출부는 상기 핀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고정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핀 홀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고정부재를 간섭하여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핀 홀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시키되, 상기 핀 홀더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간섭상태가 해제되도록 형성된 간섭부가 마련된 인출부재와,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인출부재를 상기 핀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인출부재에 형성된 파지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핀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고정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설치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핀 홀더에 대향되는 측면에는 상기 고정핀이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관통되게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중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관통구에 대향되는 일측면에 상기 고정핀이 형성된 고정판을 구비하고, 상기 간섭부는 상기 관통구에 대향되는 일측면의 반대편인 타측면에 상기 고정판의 일측면이 안착되도록 상기 인출부재의 내측면에 상기 중공의 중심 측으로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간섭돌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핀 하우징은 외주면에 상기 파지부재가 관통될 수 있도록 인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출구는 상기 핀 하우징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양단부가 상기 인출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달부재는 일단이 연결유닛에 의해 상기 핸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상기 도어의 측면에 밀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핸들 및 핀 하우징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경로가 마련된 가이드관을 구비한다.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와이어와 고정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보다 더 큰 탄성계수를 갖는 제2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상기 도어에 인접된 컨테이너의 상하측에 각각 고정된 복수의 걸림고리와, 상기 걸림고리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상기 핸들이 설치된 로킹로드와, 상기 로킹로드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로킹로드의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고리에 걸리는 걸림쇠와, 상기 핸들에 대향되는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을 구속하는 구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핸들에 인접된 상기 컨테이너 또는 로킹로드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관의 단부가 고정된 설치플레이트와, 상기 설치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핸들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 상기 핸들에 간섭되는 접촉돌기가 마련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고정된 회동바를 구비하는 것이 바라직하다.
또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출발조작신호가 수신되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부를 더 구비하고, 신호 처리부는 상기 컨테이너에 대해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검출하는 도어개폐감지센서와; 상기 탑차의 주차 및 출발 조작을 검출하는 주차/출발 조작감지부와; 상기 도어 개폐감지센서로부터 상기 도어가 개방상태로 감지되며 상기 주차/출발 조작 감지부로부터 출발 조작신호가 수신되면, 경고신호 출력부를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는 도어를 필요한 각도만큼 열어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하역작업시 도어가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주변의 차량이나 행인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가 설치된 컨테이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의 연결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의 측면도로서, 고정핀이 핀 홀에 고정된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의 측면도로서, 고정핀이 핀홀로부터 이탈된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의 측면도로서, 고정핀을 핀 인출부를 통해 고정핀을 핀홀로부터 이탈시킨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의 핀 인출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도어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모듈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트럭과 같은 차량의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도록 적재수단(10)이 설치되어 있다. 적재수단(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컨테이너(11)와, 상기 컨테이너(11)의 개방된 개방면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11)에 힌지축(1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1)에 대한 상기 도어(20)를 잠그기 위한 도어 잠금장치(1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도어 잠금장치(12)는 도어(20)에 인접된 컨테이너(11)의 상하측에 각각 고정된 걸림고리(13)와, 걸림고리(13)에 대향되는 위치의 도어(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로킹로드(14)와, 상기 로킹로드(14)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로킹로드(14)의 회전에 의해 각 걸림고리(13)에 걸리는 걸림쇠(미도시)와, 로킹로드(14)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핸들(15)과, 상기 핸들(15)에 대향되는 도어(20)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15)을 구속하는 구속부재(16)를 구비한다.
작업자가 도어(20)의 잠금상태를 해지할 경우, 핸들(15)을 상방으로 회동시켜 구속부재(16)로부터 분리한 다음, 핸들(15)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핸들(15)의 조작에 의해 로킹로드(14)로 회전하고, 걸림쇠는 걸림고리(13)로부터 구속상태가 해지되어 도어(20)는 개방된다. 작업자가 컨테이너(11)에 도어(20)를 잠글 경우, 핸들(15)을 도어(20) 측으로 인접되게 조작한다. 이때, 핸들(15)의 조작에 의해 로킹로드(14)는 회전하고, 걸림쇠는 걸림고리(13)에 구속된다. 다음으로 핸들(15)을 하방으로 회동시켜 구속부재(16)에 구속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20) 고정장치(100)는 상기 적재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어(20)의 개방시 컨테이너(11)에 대한 상기 도어(20)의 개방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유닛(200)과, 핸들(17)과 각도유지유닛(200) 사이에 설치되어 핸들(17)의 조작력을 각도유지유닛(200)에 전달하여 각도유지유닛(200)을 작동시키는 전달부재(300)를 구비한다.
각도유지유닛(200)은 상기 도어(20)의 회동축선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컨테이너(11)에 고정되는 핀 하우징(210)과, 상기 핀 하우징(210)에 상기 회동축선과 나란하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달부재(300)에 연결되어 상기 전달부재(300)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핸들(17)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핀 하우징(210)에 대해 슬라이딩되는 고정핀(222)이 마련된 고정부재(220)와, 상기 고정핀(222)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힌지축(17)에 고정되며, 상기 핀 하우징(210)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고정핀(222)이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핀홀(231)이 마련된 핀 홀더(230)와, 상기 고정핀(222)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핀(222)이 상기 핀홀(2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핀 하우징(210)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고정부재(2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240)와, 상기 핀 하우징(210)에 설치되어 상기 핀홀(231)로부터 상기 고정핀(222)을 강제 인출시키는 핀 인출부(250)를 구비한다.
핀 하우징(210)은 컨테이너(11)에 고정되며, 내부에 고정부재(2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설치공간(213)이 형성된 본체(211)와, 상기 본체(211)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된 덮개(212)를 구비한다.
본체(211)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도어(20)의 힌지축(17) 상측의 컨테이너(11)에 고정된다. 이때, 본체(211)는 상하방향 중심선이 도어(20)의 회동축선과 일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211)는 컨테이너(11)에 대향되는 외주면에는 고정볼트에 의해 컨테이너(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플랜지부재(214)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211)의 하면에는 고정부재(220)의 고정핀(222)이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들은 도어(20)의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핀(222)과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환형의 가상 곡선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211)는 외주면에 후술되는 핀 인출부(250)의 파지부재(252)가 관통되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인출구(2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출구(215)는 본체(21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양단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체(211)의 상단 가장자리는 덮개(212)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단턱부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212)는 본체(211)의 상면에 설치되며, 후술되는 전달부재(300)의 와이어(3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삽입구(216)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212)는 하면 가장자리가 단턱부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본체(211)의 상부에 결합된다. 본체(211)의 상부에 결합된 덮개(212)의 상면에 고정링(217)이 설치되어 덮개(212)가 본체(2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고정링(217)은 일측이 절개되며, 본체(211)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금속성 소재로 형성된다. 덮개(212)의 상면에 외경을 축소시킨 고정링(217)을 안착시키면, 고정링(217)은 탄성에 의해 외경이 확장되도록 변형되어 본체(211)의 내벽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고정부재(220)는 본체(211)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판(221)과, 고정판(221)의 하면에 설치된 다수의 고정핀(222)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판(221)은 본체(211)의 내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상단부에 후술되는 전달부재(300)의 제2탄성부재(330)가 연결되는 연결봉(223)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봉(223)은 고정판(221)의 중앙부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며, 제2탄성부재(33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구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핀(222)은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본체(211)의 관통구에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에 대향되는 위치의 고정판(221) 하면에 고정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고정핀(222)이 4개가 고정판(221)에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고정핀(222)의 설치갯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일 수도 있다.
핀 홀더(230)는 본체(211) 하측의 힌지축(17)에 고정되며, 본체(211)의 외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힌지축(17)은 도어(20)의 가장자리에 인접된 컨테이너(11)에 고정된 브라켓(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20)에 고정된 경첩(18)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힌지축(17)은 상단이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핀 홀더(230)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핀 홀더(230)는 핀 하우징(210)으로부터 인출된 고정핀(222)이 삽입될 수 있도록 도어(20)의 회동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핀(222)과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환형의 가상 곡선을 따라 다수의 핀홀(2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홀(231)은 핀 홀더(23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탄성부재(240)는 하단이 고정판(221)의 상면에 지지되며, 상단은 덮개(212)의 하면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240)는 고정핀(222)이 핀 홀더(230)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고정판(22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핀 인출부(250)는 상기 핀 하우징(210)의 내부에 상기 고정부재(22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핀 홀더(2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고정부재(220)를 간섭하여 상기 고정부재(220)를 상기 핀 홀더(2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시키되, 상기 핀 홀더(230)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고정부재(220)에 대한 간섭상태가 해제되도록 형성된 간섭부가 마련된 인출부재(251)와,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인출부재(251)를 상기 핀 하우징(210)에 대해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인출부재(251)에 형성된 파지부재(252)를 구비한다.
인출부재(251)는 본체(211) 내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본체(211)의 외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고, 중앙에는 고정부재(2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관통되게 중공(25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중공(253)은 고정판(221)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간섭부는 상기 관통구에 대향되는 하면의 반대편인 상면에 상기 고정판(221)의 하면 가장자리가 안착되도록 상기 인출부재(251)의 내측면에 상기 중공(253)의 중심 측으로 돌출형성된 간섭돌기(255)를 구비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간섭돌기(255)는 인출부재(251)의 내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연장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간섭돌기(255)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개가 인출부재(251)의 내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파지부재(252)는 일단이 본체(211)의 인출구(215)에 대향되는 인출부재(251)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타단은 본체(211)의 인출구(215)를 통해 핀 하우징(2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작업자는 고정핀(222)을 핀 홀더(230)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파지부재(252)의 타단을 파지한 다음 인출구(215)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인출부재(251)는 상방으로 이동되며, 간섭돌기(255)에 의해 고정부재(220)는 인출부재(251)와 함께 상방으로 이동되어 고정핀(222)이 핀 홀더(230)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핀 인출부(2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12)의 상면에 설치되어 고정판(221)을 승강시키는 인출레버(35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인출레버(350)는 덮개(212)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인출레버(35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회동축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로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로드는 하단이 상기 고정판(22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작업자가 인출레버(350)를 하방으로 회동시 연결로드에 의해 고정부재(220)가 상측으로 이동된다.
전달부재(300)는 일단이 연결유닛(311)에 의해 상기 핸들(17)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220)에 연결되는 와이어(310)와, 상기 와이어(310)가 상기 도어(20)의 측면에 밀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20)에 고정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핸들(17) 및 핀 하우징(210)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상기 와이어(310)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경로가 마련된 가이드관(320)과, 와이어(310)와 고정부재(220) 사이에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330)와,
연결유닛(311)은 상기 핸들(17)에 인접된 로킹로드의 핸들 브라켓(19)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관(320)의 단부가 고정된 설치플레이트(312)와, 상기 설치플레이트(3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핸들(17)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 상기 핸들(17)에 간섭되는 접촉돌기(317)가 마련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와이어(310)의 단부가 고정된 회동바(313)를 구비한다.
설치플레이트(31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핸들 브라켓(19)에 고정된다. 상기 핸들 브라켓(19)은 핸들(17)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로킹로드(14)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설치플레이트(312)의 상단에는 가이드관(320)의 일단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제1설치판(31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설치판(314)은 설치플레이트(312)의 상단에, 도어(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도출되며, 중앙부에는 와이어(3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관(320)의 일단부는 제1설치판(314)의 상면 중앙부에 고정되며, 와이어(310)는 관통공을 통해 하방으로 돌출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설치플레이트(312)가 핸들 브라켓(19)에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설치플레이트(312)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핸들(15)에 인접된 도어(20) 또는 컨테이너(11)에 고정될 수도 있다.
회동바(313)는 중앙부가 설치플레이트(3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핸들(17)에 인접되도록 연장되고, 타단부는 제1설치판(314)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방으로 절곡되게 연장된다. 회동바(313)의 타단부에는 제2설치판(315)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2설치판(315)은 중앙에 와이어(310)가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마련되며, 하면에는 상기 와이어(310)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체(3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연결유닛(311)에 의해 와이어(310)는 핸들(17)에 직접연결되지 않더라도 핸들(17)의 회동에 의해 당김력이 인가되므로 핸들(17)을 조작을 하는 작업자에 의해 와이어(310)가 끊어지거나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기존의 핸들(17)에 용이하게 와이어(31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접촉돌기(317)는 하면이 핸들(17)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회동바(313)의 일단부에 도어(20)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된다. 상기 접촉돌기(317)에 의해 핸들(17)을 회동시 회동바(313)도 같이 회동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회동바(313)의 회동축에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접촉돌기(317)가 핸들(17)에 안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가이드관(320)은 일단이 제1설치판(314)의 상면에 고정되며, 타단은 덮개(212)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관(320)은 내부에 와이어(310)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경로가 마련되어 있다.
제2탄성부재(330)는 하단이 고정판(221)의 연결봉(223)에 연결되며, 상단은 본체(211) 내로 인입된 와이어(310)에 고정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330)는 상기 제1탄성부재(240)보다 더 큰 탄성계수를 갖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제2탄성부재(330)는 고정판(221)과 와이어(310)를 각각 탄성적으로 지지하므로 핸들(17)을 통해 와이어(310)에 당김력이 인가시 완충작용을 하여 상기 당김력에 의해 고정판(221) 또는 와이어(310)에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도 5에는 핸들(17)의 조작에 따른 각도유지유닛(2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컨테이너(11)로부터 도어(20)를 개방할 경우, 작업자는 핸들(17)을 상방으로 회동시켜 핸들(17)을 구속부재로부터 분리하고,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핸들(17)에 연결되어 있던 와이어(310)에 당김력이 인가되고, 이 당김력에 의해 고정부재(220)는 핀 홀더(2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이동되어 고정핀(222)이 핀홀(231)로부터 분리된다. 작업자가 원하는 각도만큼 도어(20)를 개방한 다음 핸들(17)을 도어(20)에 밀착시키면 와이어(310)를 통해 전달되던 당김력이 해제되고, 고정판(221)은 제1탄성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고, 고정핀(222)은 핀홀(231)에 삽입된다. 고정핀(222)과 핀홀(231)더의 결합에 의해 도어(20)는 개방각도가 유지된다.
작업자가 핸들(17)을 사용하지 않고 도어(20)의 개방각을 조정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파지부재(252)의 타단을 파지한 다음 인출구(215)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인출부재(251)는 상방으로 이동되고, 간섭돌기(255)에 의해 고정부재(220)는 인출부재(251)와 함께 상방으로 이동되어 고정핀(222)이 핀 홀더(230)로부터 분리된다. 작업자가 도어(20)의 개방각도를 조절한 다음 파지부재(252)의 타단을 파지한 다음 인출구(215)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인출부재(251)는 하방으로 이동되고, 고정판(221)은 제1탄성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고, 고정핀(222)은 핀홀(231)에 삽입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100)는 도어를 필요한 각도만큼 열어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하역작업시 도어가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주변의 차량이나 행인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어(2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고,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출발조작을 하는 경우 경고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신호처리모듈을 도 1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신호 처리모듈(400)은 카메라(420), 메인 표시부(425), 도어개폐감지센서(430), 주차/출발조작 감지부(440), 도어열림 표시부(450), 경고신호 출력부(460) 및 제어부(470)를 구비한다.
카메라(420)는 도어(20)의 개폐상태 및 후방을 촬상할 수 있도록 컨테이터(11)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메인 표시부(420)는 카메라(420)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표시하며, 제어부(470)에 제어되어 표시하거나 카메라(420)의 가동에 연동되어 표시되도록 구축되면 된다.
도어개폐감지센서(430)는 컨테이너(11)에 대해 도어(20)의 개폐여부를 검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어개폐감지센서(430)는 도어(20)가 컨테이너(110)를 폐쇄시키는 위치에서 접점이 스위치 온되어 제어부(470)에 해당 신호를 전송하는 접점스위치를 적용할 수 있다.
주차/출발 조작 감지부(440)는 탑차의 주차 및 출발 조작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470)에 출력한다.
주차/출발 조작 감지부(440)는 사이드 브레이크(미도시)의 조작에 연동되는 신호를 제어부(470)에 제공하도록 사이드 브레이크가 브레이킹 위치로 도달될 때 제1신호 즉 주차 신호를 출력하고, 브레이킹을 해제하는 위치로 도달될 때 제2신호 즉, 출발조작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 열림 표시부(450)는 제어부(470)에 제어되어 도어열림 여부를 표시하고, 통상의 계기판에 마련된 도어열림 표시기에 연동되게 표시되게 접속시키면 된다.
경고신호 출력부(460)는 제어부(470)에 제어되어 경고신호를 예를 들면 경고음을 출력한다.
제어부(470)는 도어(20)가 개방된 상태로 감지되면 도어열림표시부(450)를 통해 도어 개방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되게 처리한다.
또한, 제어부(470)는 도어 개폐감지센서(430)로부터 도어(20)가 개방상태로 감지되며 주차/출발 조작 감지부(440)로부터 출발 조작신호가 수신되면, 경고신호 출력부(460)를 통해 경고신호가 출력되게 처리한다.
또한, 제어부(470)는 주차/출발 조작 감지부(440)로부터 주차신호 또는 후진기어로 조작되거나 도어개폐 감지센서(430)로부터 도어(20)가 개방된 상태로 판단되면, 카메라(420)를 가동하여 촬상된 영상을 메인 표시부(425)에 표시되게 처리한다.
이러한 신호 처리모듈(400)에 의하면, 도어(20)가 개방된 상태로 출발조작시 운전자에게 도어 개방상태를 인지시킬 수 있어 사고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적재수단
11: 컨테이너
12: 도어 잠금장치
13: 걸림고리
14: 로킹로드
15: 핸들
16: 구속부재
100: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200: 각도유지유닛
210: 핀 하우징
220: 고정부재
230: 핀 홀더
240: 제1탄성부재
250: 핀 인출부
300: 전달부재
310: 와이어
320: 가이드관
330: 제2탄성부재

Claims (10)

  1.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개방면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에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상기 도어를 잠그기위한 도어 잠금장치가 마련된 적재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상기 도어의 개방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유닛과;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컨테이너에 대해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지시키도록 상기 도어에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핸들과 상기 각도유지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의 조작력을 상기 각도유지유닛에 전달하여 상기 각도유지유닛을 작동시키는 전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유지유닛은
    상기 도어의 회동축선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컨테이너에 고정되는 핀 하우징과,
    상기 핀 하우징에 상기 회동축선과 나란하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달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전달부재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핸들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핀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되는 고정핀이 마련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핀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힌지축에 고정되며, 상기 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핀과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환형의 가상 곡선을 따라 다수의 핀홀이 마련된 핀 홀더와,
    상기 고정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핀이 상기 핀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유지유닛은 상기 핀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핀홀로부터 상기 고정핀을 강제 인출시키는 핀 인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 인출부는
    상기 핀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고정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핀 홀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고정부재를 간섭하여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핀 홀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시키되, 상기 핀 홀더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간섭상태가 해제되도록 형성된 간섭부가 마련된 인출부재와,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인출부재를 상기 핀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인출부재에 형성된 파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고정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설치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핀 홀더에 대향되는 측면에는 상기 고정핀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관통되게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중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관통구에 대향되는 일측면에 상기 고정핀이 형성된 고정판을 구비하고,
    상기 간섭부는 상기 관통구에 대향되는 일측면의 반대편인 타측면에 상기 고정판의 일측면이 안착되도록 상기 인출부재의 내측면에 상기 중공의 중심 측으로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간섭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핀 하우징은 외주면에 상기 파지부재가 관통될 수 있도록 인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출구는 상기 핀 하우징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양단부가 상기 인출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6. 삭제
  7.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개방면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에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상기 도어를 잠그기위한 도어 잠금장치가 마련된 적재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상기 도어의 개방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유닛과;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컨테이너에 대해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지시키도록 상기 도어에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핸들과 상기 각도유지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의 조작력을 상기 각도유지유닛에 전달하여 상기 각도유지유닛을 작동시키는 전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유지유닛은
    상기 도어의 회동축선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컨테이너에 고정되는 핀 하우징과,
    상기 핀 하우징에 상기 회동축선과 나란하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달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전달부재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핸들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핀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되는 고정핀이 마련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핀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힌지축에 고정되며, 상기 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핀과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환형의 가상 곡선을 따라 다수의 핀홀이 마련된 핀 홀더와,
    상기 고정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핀이 상기 핀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부재는 일단이 연결유닛에 의해 상기 핸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상기 도어의 측면에 밀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핸들 및 핀 하우징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경로가 마련된 가이드관을 구비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와이어와 고정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보다 더 큰 탄성계수를 갖는 제2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8.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개방면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에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상기 도어를 잠그기위한 도어 잠금장치가 마련된 적재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상기 도어의 개방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유닛과;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컨테이너에 대해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지시키도록 상기 도어에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핸들과 상기 각도유지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의 조작력을 상기 각도유지유닛에 전달하여 상기 각도유지유닛을 작동시키는 전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유지유닛은
    상기 도어의 회동축선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컨테이너에 고정되는 핀 하우징과,
    상기 핀 하우징에 상기 회동축선과 나란하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달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전달부재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핸들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핀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되는 고정핀이 마련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핀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힌지축에 고정되며, 상기 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핀과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환형의 가상 곡선을 따라 다수의 핀홀이 마련된 핀 홀더와,
    상기 고정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핀이 상기 핀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부재는 일단이 연결유닛에 의해 상기 핸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상기 도어의 측면에 밀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핸들 및 핀 하우징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경로가 마련된 가이드관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상기 도어에 인접된 컨테이너의 상하측에 각각 고정된 복수의 걸림고리와, 상기 걸림고리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상기 핸들이 설치된 로킹로드와, 상기 로킹로드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로킹로드의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고리에 걸리는 걸림쇠와, 상기 핸들에 대향되는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을 구속하는 구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핸들에 인접된 상기 컨테이너 또는 로킹로드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관의 단부가 고정된 설치플레이트와,
    상기 설치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핸들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 상기 핸들에 간섭되는 접촉돌기가 마련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고정된 회동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9.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개방면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에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상기 도어를 잠그기위한 도어 잠금장치가 마련된 적재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상기 도어의 개방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유닛과;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컨테이너에 대해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지시키도록 상기 도어에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핸들과 상기 각도유지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의 조작력을 상기 각도유지유닛에 전달하여 상기 각도유지유닛을 작동시키는 전달부재와;
    상기 컨테이너에 대해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검출하는 도어개폐감지센서와;
    탑차의 주차 및 출발 조작을 검출하는 주차/출발 조작감지부와;
    상기 도어 개폐감지센서로부터 상기 도어가 개방상태로 감지되며 상기 주차/출발 조작 감지부로부터 출발 조작신호가 수신되면, 경고신호 출력부를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유지유닛은
    상기 도어의 회동축선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컨테이너에 고정되는 핀 하우징과,
    상기 핀 하우징에 상기 회동축선과 나란하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달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전달부재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핸들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핀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되는 고정핀이 마련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핀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힌지축에 고정되며, 상기 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핀과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환형의 가상 곡선을 따라 다수의 핀홀이 마련된 핀 홀더와,
    상기 고정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핀이 상기 핀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상태를 촬상할 수 있도록 된 카메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감지되면 도어열림표시부를 통해 도어 개방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되게 처리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메인 표시부에 표시되게 처리하며,
    상기 주차/출발 조작감지부는 사이드 브레이크의 조작에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로 주차 또는 출발조작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KR1020140168867A 2014-11-28 2014-11-28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KR101668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867A KR101668001B1 (ko) 2014-11-28 2014-11-28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867A KR101668001B1 (ko) 2014-11-28 2014-11-28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776A KR20160064776A (ko) 2016-06-08
KR101668001B1 true KR101668001B1 (ko) 2016-10-28

Family

ID=56193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867A KR101668001B1 (ko) 2014-11-28 2014-11-28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00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157A (ko) 2017-01-12 2018-07-20 윈텍정보(주) 적재함 도어 잠금 장치 및 적재함 도어 잠금 시스템
KR102011501B1 (ko) * 2018-10-11 2019-08-16 민홍규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
KR102021113B1 (ko) 2019-01-16 2019-09-11 김중기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
KR102046639B1 (ko) 2018-11-28 2019-11-20 주식회사 신세계특장 탑차의 리어도어 개방유지장치
KR102173080B1 (ko) * 2020-06-16 2020-11-02 오성섭 잠금장치를 구비한 특장차용 도어
KR102206751B1 (ko) 2019-12-20 2021-01-22 고지영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
KR20220102783A (ko) 2021-01-14 2022-07-21 홍연옥 차량용 캐빈형 도어락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582B1 (ko) * 2018-06-21 2019-01-07 (주)탑플렉스 특장차의 도어 개폐장치
CN109353711B (zh) * 2018-12-27 2023-09-19 中车长江车辆有限公司 冷藏集装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5045A (ja) * 1999-06-07 2001-02-27 Taisei Seisakusho:Kk 自動車の荷物室の扉用開閉具
JP2003082919A (ja) 2001-09-12 2003-03-19 Isono Body:Kk 車両用荷室扉
KR101123053B1 (ko) * 2010-07-21 2012-03-16 이일영 도어 스토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8863A (ja) * 1994-09-05 1996-03-22 Toshiba Corp 扉のロック構造
KR20080027617A (ko) 2006-09-25 2008-03-28 (주)비브 화물차용 적재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5045A (ja) * 1999-06-07 2001-02-27 Taisei Seisakusho:Kk 自動車の荷物室の扉用開閉具
JP2003082919A (ja) 2001-09-12 2003-03-19 Isono Body:Kk 車両用荷室扉
KR101123053B1 (ko) * 2010-07-21 2012-03-16 이일영 도어 스토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157A (ko) 2017-01-12 2018-07-20 윈텍정보(주) 적재함 도어 잠금 장치 및 적재함 도어 잠금 시스템
KR102011501B1 (ko) * 2018-10-11 2019-08-16 민홍규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
KR102046639B1 (ko) 2018-11-28 2019-11-20 주식회사 신세계특장 탑차의 리어도어 개방유지장치
KR102021113B1 (ko) 2019-01-16 2019-09-11 김중기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
KR102206751B1 (ko) 2019-12-20 2021-01-22 고지영 탑차의 리어윙도어 및 하부도어 자동 상하 개폐장치
KR102173080B1 (ko) * 2020-06-16 2020-11-02 오성섭 잠금장치를 구비한 특장차용 도어
KR20220102783A (ko) 2021-01-14 2022-07-21 홍연옥 차량용 캐빈형 도어락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776A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001B1 (ko)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US9267315B2 (en) Door safety locking apparatus
US11174663B2 (en) Exterior door handle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US20070262603A1 (en) Power tailgate anti-theft system
KR101408991B1 (ko)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KR20160072976A (ko) 자동차의 도어래치 장치
KR100694448B1 (ko) 도어 래치의 디텐트 스위치 내장 구조
JP2000314256A (ja) 自動車用開閉体のロック装置
AU2006303343A1 (en) Danger detector
KR101573144B1 (ko) 더블풀 후드래치
US11702871B2 (en) Method for unlocking a hood of a vehicle
JP6845709B2 (ja) 鉄道車両用ドア装置、鉄道車両用ドア装置を備えた鉄道車両、非常用ドア解錠装置及びロック機構により施錠されたドア本体を解錠する方法
CN111267964B (zh) 用于紧急逃生的车辆的引擎盖的打开设备
KR101480746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150124850A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장치
JP2002524681A (ja) 自動車の始動・ロック/ロック解除装置
KR100946142B1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US20200131811A1 (en) Cover for side door release handle
JP2006290193A (ja) 非常用具収容装置
CN111688554A (zh) 用于汽车的儿童座椅
KR101382960B1 (ko) 실내 1단 및 2단 해제를 위한 후드 래치 장치
EP0489923B1 (en) Retractor for seat belt
KR101798204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294483B1 (ko) 차량용 트렁크를 이용한 경고알림 구조
RU207215U1 (ru) Запорно-пломб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