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746B1 -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746B1
KR101480746B1 KR1020130114559A KR20130114559A KR101480746B1 KR 101480746 B1 KR101480746 B1 KR 101480746B1 KR 1020130114559 A KR1020130114559 A KR 1020130114559A KR 20130114559 A KR20130114559 A KR 20130114559A KR 101480746 B1 KR101480746 B1 KR 101480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sensing unit
sensing
pawl
stri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4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희
Original Assignee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도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4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0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sli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트라이커가 1단 및 2단으로 잠기는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스트라이커가 진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브라켓; 브라켓에 래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스트라이커가 진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래치; 래치 타측에 배치되어 래치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 1 감지부; 브라켓에 폴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래치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부; 및 걸림부 일측에 배치되어 걸림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 2 감지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A lock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많은 인원이 탑승하게 되는 승합차에는, 차실의 내외부로 승하차하는 승객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도어에는 도어 개폐를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는데, 종래에는 사용자가 승차하여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시, 운전석에서는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상태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승합차에서 하차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트라이커가 1단 및 2단으로 잠기는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가 진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래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스트라이커가 진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래치; 상기 래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래치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 1 감지부; 상기 브라켓에 폴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래치(120)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 2 감지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는, 제 1 감지부 및 제 2 감지부가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상태의 확인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래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걸림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가 오픈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가 1단 잠금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가 2단 잠금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들은 다소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음을 알려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래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걸림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에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이하 , '잠금장치(100)' 로 지칭함)는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미도시)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잠금장치(100)는 브라켓(110), 래치(120), 제 1 감지부(130), 걸림부(140) 및 제 2 감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10)은 일측에 개구부(11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스트라이커(200)가 브라켓(110) 내측으로 진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스트라이커(200)는 통상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구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한편, 래치(120)는 브라켓(110)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래치(120)는 브라켓(110)에 래치 축(1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래치 축(121)에는 스프링(S)이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S)은 래치(120)의 회전을 원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래치(120)는 스프링(S)의 반발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래치(120)의 일측에는 스트라이커(200)가 안착되기 위한 결합홈(120b)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트라이커(200)는 결합홈(120b)에 안착될 수 있다. 즉, 결합홈(120b)에 스트라이커(200)가 안착됨으로써 스트라이커(200)가 구속될 수 있다.
이때, 래치(120)에는 충격흡수 홀(120c)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트라이커(200)가 래치(120)에 안착되기 직전, 스트라이커(200)와 접촉되는 래치(120)의 접촉면에 충격흡수 홀(120c)이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고). 즉, 래치(120)는 충격흡수 홀(120c)에 의해 스트라이커(200)와의 충격을 소정 정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래치(120)와 후술할 폴(142)의 일단에는 스토퍼(120a, 142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래치(120)와 폴(142)이 서로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잠금장치(100)가 2차 잠금 상태인 경우, 스토퍼(120a, 142a)가 서로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래치(120)와 폴(142)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또한, 래치(120)의 상면에는 돌출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할 제 1 감지부(130)와 관련하여 부연 설명키로 한다.
제 1 감지부(130)는 래치(1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감지부(130)는 래치(120)의 상측에 돌출부(122)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 1 감지부(130)는 래치(120)의 상측에 돌출부(122)와 비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감지부(130)는 제 1 감지핀(131) 및 제 1 스위치(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감지핀(131)은 돌출부(122)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스위치(132)는 제 1 감지핀(131)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래치(120)의 회전에 따라 돌출부(122)가 제 1 감지핀(131)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 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잠금장치(100)가 오픈된 경우와, 스트라이커(200)가 잠금장치(100)로 진입되어 잠금장치(100)가 1단 잠금상태로 전환된 경우, 돌출부(122)는 제 1 스위치(132)를 가압할 수 있다. 이후, 스트라이커(200)가 잠금장치(100)로 완전하게 진입되어 잠금장치(200)가 2단 잠금상태로 전환될 경우, 래치(1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제 1 스위치(132)는 돌출부(122)로의 가압이 해제될 수 있다.
즉, 제 1 감지부(130)는 돌출부(122)의 가압여부를 감지함으로써 래치(120)의 회전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걸림부(140)는 전술한 브라켓(110)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걸림부(140)는 폴 축(14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잇다. 또한, 걸림부(140)는 전술한 래치(1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걸림부(140)는 폴(142) 및 레버(143)를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고).
폴(142)은 폴 축(141)의 하부에 관통되어 브라켓(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폴 축(141)에는 스프링(S)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폴(142)은 스프링(S)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폴(142)은 스프링(S)의 반발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폴(142)은 래치(12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트라이커(200)가 래치(120)에 의해 구속될 시, 래치(120)는 래치 축(121)에 배치된 스프링(S)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폴(142)은 래치(120)와 서로 상반되는 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힘이 작용됨으로써 래치(12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한편, 레버(143)는 폴 축(142)의 상부에 관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폴 축(14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레버(143)는 폴 핀(P)으로 폴(140a)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143)는 폴(142)의 회전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폴 핀(P)은 기계부품의 간단한 체결이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핀에 해당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또한, 레버(143)는 후술할 제 2 감지부(150)를 가압할 수 있다. 또는 레버(143)는 제 2 감지부(150)를 가압해제 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제 2 감지부(150)와 관련하여 부연 설명키로 한다.
제 2 감지부(150)는 걸림부(14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감지부(150)는 제 2 감지핀(151) 및 제 2 스위치(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감지핀(151)은 레버(143)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스위치(152)는 제 2 감지핀(151)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142)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레버(143)가 폴(142)의 회전에 따라 제 2 감지핀(151)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 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잠금장치(100)가 오픈된 경우, 레버(143)는 제 2 감지핀(151)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감지핀(151)은 제 2 스위치(152)를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잠금장치(100)가 1단 또는 2단 잠금상태로 전환될 경우, 폴(142)이 시계 방향으로 소정 정도 회전되어 제 1 감지핀(152)의 가압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감지핀(151)에 의해 가압되던 제 2 스위치(152)의 가압이 해제될 수 있다.
즉, 제 2 감지부(150)는 레버(143)의 가압여부를 감지함으로써 걸림부(140)의 회전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잠금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가 오픈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스트라이커(200)가 잠금장치(100)로 진입되기 전 상태의 경우(오픈상태), 래치(120)에 형성된 돌출부(122)가 제 1 감지핀(131)을 가압한다.
또한, 폴(142)은 래치(120)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142)에 형성된 스토퍼(142a)가 래치(120)의 제 1 접촉부(A)에 접촉되어 래치(120)를 구속한다. 이에 따라, 폴(142)의 회전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레버(143)가 제 2 감지핀(151)를 가압한다.
즉, 제 1 감지핀(131) 및 제 2 감지핀(151)은 각각 제 1 스위치(132) 및 제 2 스위치(152)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감지부(130) 및 제 2 감지부(150)는 제 1 스위치(132) 및 제 2 스위치(132)가 on 상태임을 ECU(미도시)에 전송하고, 이로써, 운전자는 슬라이딩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잠금장치(100)의 1단 잠금상태에 대해서는 이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가 1단 잠금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스트라이커(200)가 개구부(110a)를 따라 잠금장치(100) 내측으로 진입된다.
스트라이커(200)가 잠금장치(100) 내측으로 진입되면, 래치(120)가 시계 방향으로 소정 정도 회전됨과 동시 결합홈(120b)에 스트라이커(200)가 안착된다. 이에 따라, 제 1 접촉부(A)에 접촉되어 있던 폴(142)이 시계 방향으로 소정 정도 회전된다. 이후, 래치(120)의 제 2 접촉부(B)가 폴(142)에 형성된 절곡부(C)와 접촉되어 래치(120)의 회전이 구속된다.
이때, 폴 핀(P)으로 폴(142)에 고정된 레버(143)는 폴(142)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레버(14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제 2 감지핀(151)을 가압하고 있던 레버(143)의 가압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제 2 감지핀(151)에 의해 가압되던 제 2 스위치(152)의 가압이 해제됨으로써, 제 2 감지부(150)는 제 2 스위치(152)가 off 상태임을 상기 ECU에 전송한다.
즉, 제 1 감지부(130)는 여전히 제 1 스위치(132)가 on 상태임을 상기 ECU에 전송하고, 제 2 감지부(150)는 제 2 스위치(152)가 off 상태임을 전송함에 따라, 운전자는 슬라이딩 도어가 1단 잠김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잠금장치(100)의 2단 잠금상태에 대해서는 이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가 2단 잠금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잠금상태에서 스트라이커(200)가 잠금장치(100) 내측으로 더 진입될 경우, 결합홈(120b)에 안착된 스트라이커(200)가 잠금장치(100) 내측으로 더 진입된다. 이때, 폴(142)에 의해 구속되어 있던 래치(120)가 시계 방향으로 소정 정도 회전된다. 이후, 폴(142)에 형성된 스토퍼(142a)와 래치(120)에 형성된 스토퍼(120a)가 접촉하면서, 래치(120)의 회전이 다시 구속된다.
이때, 래치(120)가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됨에 따라, 제 1 감지부(130)를 가압하고 있던 돌출부(122)의 가압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제 1 감지핀(152)에 의해 가압되던 제 1 스위치(132)의 가압이 해제됨으로써, 제 1 감지부(130)는 제 1 스위치(132)가 off 상태임을 상기 ECU에 전송한다.
즉, 제 1 감지부(130) 및 제 2 감지부(150)는 off 상태의 신호를 상기 ECU에 전송하게 되고, 이로써, 운전자는 슬라이딩 도어가 2단 잠김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100)는 제 1 감지부(130) 및 제 2 감지부(150)가 래치(120) 및 걸림부(140)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110: 브라켓
110a: 개구부 120: 래치
120a, 142a: 스토퍼 120b: 결합홈
120c: 충격방지 홀 121: 래치 축
122: 돌출부 130: 제 1 감지부
131: 제 1 스위치 132: 제 1 감지핀
140: 걸림부 141: 폴 축
142: 폴 143: 레버
150: 제 2 감지부 151: 제 2 스위치
152: 제 2 감지핀 200: 스트라이커
A: 제 1 접촉부 B: 제 2 접촉부
C: 절곡부 S: 스프링
P: 폴 핀

Claims (7)

  1. 스트라이커(200)가 1단 및 2단으로 잠기는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200)가 진입하기 위한 개구부(110a)가 형성된 브라켓(110);
    상기 브라켓(110)에 래치 축(1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스트라이커(200)가 진입되는 결합홈(120b)이 형성된 래치(120);
    상기 래치(120)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래치(120)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 1 감지부(130);
    상기 브라켓(110)에 폴 축(14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래치(120)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부(140); 및
    상기 걸림부(140)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140)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 2 감지부(150);를 포함하되,
    오픈 상태시, 상기 제 1 감지부(130)는 상기 래치(120)에 의해 가압되어 스위칭 온(on) 되고, 상기 제 2 감지부(150)는 상기 걸림부(140)에 의해 가압되어 스위칭 온(on) 되며,
    1단 잠긍 상태시, 상기 제 1 감지부(130)는 스위칭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 2 감지부(150)는 상기 걸림부(14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스위칭 오프(off)되며,
    2단 잠금 상태시, 상기 제 1 감지부(130)는 상기 래치(12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스위칭 오프(off)되고, 상기 제 2 감지부(150)는 스위칭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2 감지부(130, 150)의 온/오프(on/off) 신호를 통해, 상기 오픈 상태, 1단 잠금 상태 및 2단 잠금 상태를 각각 검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120)는, 일측에 상기 제 1 감지부(130)를 가압하는 돌출부(122)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부(130)는,
    상기 돌출부(122)에 의해 가압 또는 가압해제되는 제 1 감지핀(131); 및
    상기 제 1 감지핀(131)에 의해 가압 또는 가압해제되는 제 1 스위치(132)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40)는,
    상기 폴 축(141)의 하부에 관통되어 상기 브라켓(110)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120)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시키는 폴(142); 및
    상기 폴 축(141)의 상부에 관통되고, 상기 제 2 감지부(150)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레버(143);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버(143)는 폴 핀(P)으로 상기 폴(142)에 고정되어 상기 폴(142)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래치(120) 및 상기 폴(142)에는 각각 스토퍼(120a, 142a)가 구비되는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감지부(150)는,
    상기 레버(143)에 의해 가압 또는 가압해제되는 제 2 감지핀(151); 및
    상기 제 2 감지핀(151)에 의해 가압 또는 가압해제되는 제 2 스위치(152);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20130114559A 2013-09-26 2013-09-26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480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559A KR101480746B1 (ko) 2013-09-26 2013-09-26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559A KR101480746B1 (ko) 2013-09-26 2013-09-26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746B1 true KR101480746B1 (ko) 2015-01-09

Family

ID=5258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559A KR101480746B1 (ko) 2013-09-26 2013-09-26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7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7948A (zh) * 2018-06-14 2019-12-24 一德金属工业股份有限公司 电动式门闩控制装置
KR102072545B1 (ko) * 2018-08-14 2020-02-03 주식회사 아성기업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102B1 (ko) * 1993-04-20 1997-05-02 미쓰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폐쇄기구를 구비한 도어 잠금장치
JP4163490B2 (ja) * 2002-11-07 2008-10-08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102B1 (ko) * 1993-04-20 1997-05-02 미쓰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폐쇄기구를 구비한 도어 잠금장치
JP4163490B2 (ja) * 2002-11-07 2008-10-08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7948A (zh) * 2018-06-14 2019-12-24 一德金属工业股份有限公司 电动式门闩控制装置
CN110607948B (zh) * 2018-06-14 2020-12-01 一德金属工业股份有限公司 电动式门闩控制装置
KR102072545B1 (ko) * 2018-08-14 2020-02-03 주식회사 아성기업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1953B2 (en) Integrated inertial lock and latch for console lid
US20140312632A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US10087661B2 (en) Vehicle panel handle assembly
US8833810B2 (en) Vehicle door handle apparatus
US20080111381A1 (en) Apparatus for blocking the movement of an inertially activated component
US10626640B2 (en) Vehicle door operation device
US8998332B2 (en) Locking device for a fold-over backrest of a seat
JP2013536905A (ja) 自動車における慣性質量体を備えるドアハンドル
US10934759B2 (en) Vehicular opening/closing body control device
KR20140090212A (ko) 다중-부품 포올을 갖는 록킹 장치
US20210363793A1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door
KR20160064776A (ko)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US20160108653A1 (en) Detent mechanism for a motor vehicle component
KR101480746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160045344A (ko) 측면 충돌시 도어 열림이 방지되는 구조 및 그 방법
US7758122B2 (en) Locking device
US9739077B2 (en) Linear rotating link switch actuation
KR100694448B1 (ko) 도어 래치의 디텐트 스위치 내장 구조
JP2014510206A (ja) フラップまたはドア用のロック
KR20160037000A (ko) 차량용 후드래치
US20170342751A1 (en) Opening control device
JP2013133640A (ja) 車両用開閉体の検知機能付ロックシステム
KR20060127106A (ko) 비상 용구 수용기
JP5213190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2017053119A (ja) フードラッチ装置のラッ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