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7106A - 비상 용구 수용기 - Google Patents

비상 용구 수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7106A
KR20060127106A KR1020067015345A KR20067015345A KR20060127106A KR 20060127106 A KR20060127106 A KR 20060127106A KR 1020067015345 A KR1020067015345 A KR 1020067015345A KR 20067015345 A KR20067015345 A KR 20067015345A KR 20060127106 A KR20060127106 A KR 20060127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operation lever
fixed
opening
clos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5426B1 (ko
Inventor
히사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도큐 샤로우 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큐 샤로우 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큐 샤로우 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7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5Disconnecting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ools or spa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5/00Window arrangements peculiar to 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7/00Other furniture or furni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비상 용구인 해머(11)를 수용하는 비상 용구 수용기(1)는, 제1 회전 샤프트(23)에 고정된 개폐 커버(14)와, 제1 회전 샤프트(23)에 연결된 조작 레버(16)와, 조작 레버(16)와 제1 회전 샤프트(23)를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18)를 구비한다. 조작 레버(16)로부터는 제2 회전 샤프트(30)가 연장되어 있다. 연동 기구(18)는, 제2 회전 샤프트(30)에 고정되고 원호형의 캠면(36a)를 가지는 부채형의 캠(36)과, 제1 회전 샤프트(23)에 고정되고 캠(36)의 캠면(36)과 슬라이드 접촉되어 캠(36)에 종동하는 캠팔로워(37, cam follower)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작 레버(16)를 회전시켜도, 캠팔로워(37)가 캠(36)의 원호형의 캠면(36a)과 슬라이드 접촉중에는, 개폐 커버(14)는 열리지 않는다.
비상 용구, 록 기구, 록 해제 기구, 캠, 캠팔로워, 샤프트, 래치, 조작량 검지

Description

비상 용구 수용기{EMERGENCY TOOL CONTAINER}
본 발명은 비상 용구를 수용하는 비상 용구 수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은, 비상시에 대비하여 각종 비상 설비를 갖추고 있다. 예를 들면, 비상사태가 발생한 것을 승객이 승무원에게 통보하기 위한 비상 통보 장치나, 비상 시라도 차량 내에 필요한 조명을 확보하기 위한 조명 설비, 차량 내의 화재의 발생을 검지하고 통보하는 화재 통지 설비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차량의 측구체(gutler) 등의 수용 공간에는 비상 용구로서 소화기 등도 비치되어 있다. 또한, 외국에서는, 비상 용구로서 긴급 탈출 시에 유리창을 깨기 위한 해머가 장비되어 있는 철도 차량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 신안 등록 제3011173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이와 같은 비상 용구는 비상시에만 사용되어야 하지만, 비상 용구를 수용하는 수용기의 조작 레버가 승객에 의하여 불필요하게 조작되어, 개폐 커버가 쉽게 열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조작 레버가 불필요하게 조작되어도 개폐 커버가 쉽게 열리지 않는 비상 용구 수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용구 수용기는, 비상 용구를 수용하는 비상 용구 수용기로서, 제1 회전 샤프트에 고정된 개폐 커버와, 제1 회전 샤프트에 연결된 조작 레버와, 조작 레버의 조작량이 소정량이 될 때까지, 제1 회전 샤프트의 회전을 억제하는 연동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 용구 수용기에 의하면, 조작 레버가 불필요하게 조작되어도 소정량을 넘어서 조작되지 않는 한, 제1 회전 샤프트는 연동 기구에 의해 회전이 억제되므로, 개폐 커버는 열리지 않는다. 따라서, 조작 레버가 불필요하게 조작되어도, 개폐 커버는 쉽게 열리지 않는다.
또한, 연동 기구는, 조작 레버로부터 연장되는 제2 회전 샤프트에 고정되고, 제2 회전 샤프트의 축선과 대략 동일한 중심에 형성된 원호형의 캠면을 가지는 선형의 캠과, 제1 회전 샤프트에 고정되고, 캠의 캠면과 슬라이드 접촉하여 캠에 종동하는 캠팔로워(cam follower)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조작 레버에 의해 제2 회전 샤프트를 회전시켜서, 캠팔로워가 캠의 원호형의 캠면과 슬라이드 접촉하고 있는 사이에는, 캠에 의해 캠팔로워의 자세가 유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캠팔로워에 고정되어 있는 제1 회전 샤프트는 회전이 억제되어 개폐 커버는 열리지 않는다. 또한, 캠팔로워가 캠의 캠면과 슬라이드 접촉하지 않게 될 때까지 조작 레버가 회전되면, 캠팔로워는 캠으로부터 이탈하기 때문에, 캠팔로워는 종동할 대상이 없어져서, 캠팔로워에 고정되어 있는 제1 회전 샤프트는 캠으로부터 해제된다. 이와 같이, 조작 레버가 불필요하게 조작되어도, 캠팔로워가 캠의 원호형의 캠면과 슬라이드 접촉하고 있는 한, 개폐 커버는 열리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비상 용구 수용기는, 제2 회전 샤프트에 고정된 스토퍼부와, 스토퍼부의 회동 범위 내에 선단부가 배치되고, 제2 회전 샤프트을 되밀어내기 가능하게 가압된 래치부를 가지는 록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록 기구를 채용함으로써, 조작 레버가 조작되어 제2 회전 샤프트가 회전되면, 제2 회전 샤프트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스토퍼부는, 래치부를 가압력에 대항하여 되밀어내면서, 최종적으로 스토퍼부는 래치부를 통과한다. 스토퍼부가 래치부를 통과하면, 래치부는 가압을 받지 않게 되므로 복귀한다. 그 결과, 조작 레버를 역회전시키려고 해도, 스토퍼부는 래치부에 의해 역회전이 억제되어 있으므로, 조작 레버를 회전시키기 전의 상태로 되돌릴 수 없다. 이와 같이, 일단, 개폐 커버가 열린 후에는, 조작 레버가 불필요하게 조작된 경우라도, 개폐 커버를 복귀시키지 못하고, 개폐 커버가 열린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고, 그에 따라 개폐 커버가 열린 흔적을 남길 수 있다.
또, 선단에 렌치 삽입구가 형성된 제3 회전 샤프트와, 제3 회전 샤프트에 고정되면서, 제3 회전 샤프트의 축선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암과, 제1 암의 회동 범위 내에서 제1 암과 맞닿도록 래치부에 고정되고, 제3 회전 샤프트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제1 암에 의해 가압되어 래치부를 되밀어내는 제2 암을 가지는 록 해제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록 해제 기구는, 록 기구에 있어서 스토퍼부가 래치부에 의해 록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록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렌치 삽입구에 렌치를 삽입하고, 상기 렌치를 회전시키면, 제3 회전 샤프트 및 제1 암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암은, 제2 암에 맞닿은 후에도, 제2 암을 계속적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제2 암에 고정된 래치부도, 가압력에 대항하여 되밀어내진다. 이같이 하여 래치부가 되밀어내지면, 스토퍼부의 역회전을 억제하지 않게 되므로, 스토퍼부는 역회전 가능해져서, 록 기구의 록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록 해제 기구에서는, 렌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렌치가 없으면 록 상태의 해제가 불가능하도록 하여, 개폐 커버가 열린 흔적을 은폐시키지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비상 용구 수용기에 있어서, 조작 레버의 조작량이 소정량이 된 것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 개폐 커버가 불필요하게 열린 경우라도, 개폐 커버가 열린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검지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검지 신호에 따라 경고를 발생시키면, 개폐 커버가 열린 것을 승객 또는 승무원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 커버는, 비상 용구를 부분적으로 덮는 크기이면 된다. 이 경우, 비상 용구는 부분적으로 개폐 커버로부터 노출되어 있어서, 어떤 비상 용구가 비상 용구 수용기에 수용되어 있는지를 이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비상 용구의 시인성(視認性)이 높아진다. 따라서, 비상시에 비상 용구를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용구 수용기가 설치된 철도 차량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비상 용구 수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나타낸 비상 용구 수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나타낸 비상 용구 수용기로부터 하우징이 떼어내진 상태를 나타낸 비상 용구 수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나타낸 비상 용구 수용기의 배면도이다.
도 6은 개폐 커버가 열린 비상 용구 수용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회전 샤프트가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비상 용구 수용기에 적용되는 록 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비상 용구 수용기에 적용되는 록 해제 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비상 용구 수용기에 적용되는 록 해제 기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조작 레버가 조작되기 전의 조작 레버, 캠 및 캠팔로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조작 레버가 조작되기 전의 록 기구 및 록 해제 기구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은 조작 레버가 조작되기 전의 검지 기구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조작 레버가 오른쪽 방향으로 87˚ 회전되었을 때의 조작 레버, 캠 및 캠팔로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5는 조작 레버가 오른쪽 방향으로 87˚ 회전되었을 때의 록 기구 및 록 해제 기구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6은 조작 레버가 오른쪽 방향으로 87˚ 회전되었을 때의 검지 기구 상태 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7은 조작 레버가 오른쪽 방향으로 90˚ 회전되었을 때의 조작 레버, 캠 및 캠팔로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8은 조작 레버가 오른쪽 방향으로 90˚ 회전되었을 때의 록 기구 및 록 해제 기구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9는 조작 레버가 오른쪽 방향으로 90˚ 회전되었을 때의 검지 기구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0은 조작 레버가 조작되어 개폐 커버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 렌치의 헤드를 렌치 삽입구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1은 렌치 삽입구에 렌치의 헤드가 삽입되고, 렌치가 왼쪽 방향으로 회전 되었을 때의 록 해제 기구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2는 렌치 삽입구에 렌치의 헤드가 삽입되고, 렌치가 왼쪽 방향으로 회전 되었을 때의 조작 레버, 캠 및 캠팔로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3은 렌치 삽입구에 렌치의 헤드가 삽입되고, 렌치가 왼쪽 방향으로 회전 되었을 때의 검지 기구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4는 렌치 삽입구에 렌치의 헤드가 삽입되어 렌치가 왼쪽 방향으로 회전되고, 개폐 커버가 닫혀졌을 때의 조작 레버, 캠, 및 캠팔로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용구 수용기(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상 용구 수용기(1)는, 철도 차량(2) 내의 창부분(3) 상측에 있어서, 측구체(4)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비상 용구 수용기(1)는, 승객(7)이 손이 닿는 높이에서, 조작 시에 의자(8)가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상 용구 수용기(1)의 금속제 하우징(9)에는 비상 용구인 해머(11)를 수용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수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2)의 저면에는 해머(11)의 넥부분을 협지하기 위한 수지로 된 브래킷(10, bracket)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해머(11)는, 승객(7)이 사용하는 것으로서, 비상시에 브래킷(10)으로부터 떼어내어, 승객(7)이 차량(2)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창문부(3) 등을 깨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수용부(12)의 측벽면(12a)에 형성된 길고 가는 구멍(13)으로부터, 개폐 커버(14)를 여닫고, 상기 개폐 커버(14)가 해머(11)를 덮고 있다. 상기 개폐 커버(14)는, 해머(11)를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을 만큼의 폭을 가지고 있으므로, 해머(11)는 부분적으로 개폐 커버(14)로부터 노출된다. 따라서, 승객(7)이 비상 용구 수용기(1)에 수용되어 있는 비상 용구가 해머(11)인 것은 언뜻 봐서 알 수 있으므로 해머(11)의 시인성이 우수하다. 그러므로, 비상시에, 승객(7)은 해머(11)를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단, 개폐 커버(14)에 의해 해머(11)가 덮여있는 상태에서는, 해머(11)를 수용부(12)로부터 꺼낼 수 없을 만큼 개폐 커버(14)는 충분한 폭을 가지고 있다. 또, 개폐 커버(14)의 단부 중앙에는, 손가락으로 집는 정도의 크 기의 손잡이 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상 용구 수용기(1)에는, 조작 레버(16)가 설치되어 있고, 개폐 커버(14)는 조작 레버(16)와 연동되어 있다. 즉, 조작 레버(16)를 화살표 A와 같이 오른쪽 방향으로 약 90˚ 회전시키면, 개폐 커버(14)는, 화살표 B 및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13)을 통하여 하우징(9)의 내측으로 끌여들여져서 해머(11)를 꺼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 일단 개폐 커버(14)가 열리면, 조작 레버(16)는 록 상태가 되어, 승객(7)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렌치 삽입구(17)는, 상기 록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것이며, 렌치 삽입구(17)에 특수한 렌치를 삽입하여 조작함으로써, 록 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비상 용구 수용기(1) 내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 도 5는, 개폐 커버(14)를 닫은 상태에서, 하우징(9)을 떼어내었을 때의 비상 용구 수용기(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은 개폐 커버(14)가 열린 상태의 비상 용구 수용기(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9) 내에는, 조작 레버(16)와 개폐 커버(14)를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18)와, 개폐 커버(14)가 개구된 상태에서 조작 레버(16)를 록하는 록 기구(19)(도 8 참조)와, 상기 록 기구(19)에 의한 록 상태를 해제하는 록 해제 기구(21)(도 8 참조)와, 개폐 커버(14)가 개구된 것을 검지하는 검지 기구(검지 수단)(22)(도 13 참조)가 수용되어 있다.
먼저, 개폐 커버(14)와 조작 레버(1)을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18)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커버(14)는, 평면부(14a)와 곡면부(14b)를 가지고, 평면부(14a)의 단부는, 제1 회전 샤프트(23)에 대해서 접선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곡면부(14b)의 중심선은, 대략 제1 회전 샤프트(23)의 축선과 일치하고 있다. 상기 제1 회전 샤프트(23)는, 베이스 판(24)에 고정된 한쌍의 샤프트 유지판(26, 26)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회전 샤프트(23)의 중앙에는, 코일 스프링(27)이 장착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27)의 양단(27a, 27a)은, 베이스 판(24)에 수직으로 설치된 한쌍의 L자형 금속 부재(28)의 상면(28a)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27)의 중앙에는, 스프링의 일부가 U자형으로 돌출된 설부(27b, 舌部)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설부(27b)는 개폐 커버(14)의 평면부(14a)의 내면과 접촉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개폐 커버(14)는 코일 스프링(27)에 의해 열 방향(도 2 및 도 6의 화살표 B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부(14a)의 후방에 있어서, 베이스 판(24)에는, 그 선단부가 V자형으로 절곡된 커버 지지체(29)가 세워져서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 지지체(29)의 선단부에는, 개폐 커버(14)가 회전되어 열렸을 때에 평면부(14a)와 맞닿아서 개폐 커버(14)의 회전을 억제하는 탄성체(29a)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조작 레버(16)에는, 제2 회전 샤프트(30)가 고정되고, 상기 제2 회전 샤프트(30)는, 제1 회전 샤프트(23)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고, 한쌍의 샤 프트 유지판(31, 3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2 회전 샤프트(30)의 단부에는, 샤프트 유지판(32)의 외측으로부터 와셔(33)가 끼워져 있고, 또한 너트(34)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 레버(16)가 제2 회전 샤프트(30)채로는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또, 제2 회전 샤프트(30)에는 코일 스프링(35)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35)의 일단(35a)은 제2 회전 샤프트(30)와 일체로 고정된 스토퍼부(38)의 설편(38a)에 접촉되고, 타단(도시하지 않음)은 베이스 판(24)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회전 샤프트(30)는, 상기 코일 스프링(35)에 의해, 조작 레버(16)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왼쪽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회전 샤프트(23)와 제2 회전 샤프트(30)를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18)에 있어서, 제2 회전 샤프트(30)의 단부 부근에는, 부채형의 캠(36)이 고정되고, 제1 회전 샤프트(23)의 단부 부근에는, 캠(36)에 종동하는 크랭크 형상이며 또한 블록 형상의 캠팔로워(37)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캠(36)은, 원호형의 캠면(36a)을 가지고 있고, 상기 캠면(36a)의 단부에는, 캠(36)의 가동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부(36b)가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회전 샤프트(23)로부터 돌출되는 캠팔로워면(37a)은, 캠면(36a) 상에 슬라이드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 레버(16)는, 제2 회전 샤프트(30)와 캠(36)과 캠팔로워(37)를 통하여 제1 회전 샤프트(23)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캠팔로워(37)에는, 제1 회전 샤프트(23)의 단부 부근에 있어서, 제1 회전 샤프트(23)의 축선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 림면(37b)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면(37b)은, 전술한 스토퍼부(36b)와 맞닿는다.
다음에, 록 기구(19)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 기구(19)는, 제2 회전 샤프트(30)에 고정된 블록형의 스토퍼부(38)와, 상기 스토퍼부(38)를 걸어서 멈추게 하는 래치부(39)로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부(38)는, 제2 회전 샤프트(30)의 축선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도록 돌출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부(38)의 선단부에 있어서, 래치부(39) 측의 둘레부(38b)에는, 모따기가 실시되어 있다.
이에 비해, 래치부(39)는, 베이스 판(24)에 대해서 평행으로 배치되고, 래치부(39)의 선단부(39a)는, 스토퍼부(38)의 회동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제2 회전 샤프트(30) 방향으로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선단부(39a)의 상측 둘레부에는 경사부(39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래치부(39)는, 베이스 판(24)에 수직으로 설치된 한쌍의 래치 지지부(41, 42)를 관통하고, 래치부(39)는 래치 지지부(41, 42)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상기 래치 지지부(41, 42)의 사이에 있어서, 앞쪽의 래치 지지부(41)와 맞닿는 스프링 멈춤판(44)이 래치부(39)에 고정되고, 래치부(39)의 후단에는, 스프링 접수판(46)이 장착되고, 스프링 멈춤판(44)과 스프링 접수판(46)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43)이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압축 스프링(43)가 래치부(39)를 계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래치부(39)의 후단에는, 소경 볼트(47)가 형성되어 있다. 래치부(39)의 보디부와 소경 볼트(47) 사이에 형성된 단차부(39d)에는, 래치부(39)의 축선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돌출되는 암(제2 암)(48)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암(48)은, 와셔(49)를 통하여 소경 볼트(47)와 너트(50)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래치부(39)의 기단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래치부(39)는, 압축 스프링(43)에 의해 제2 회전 샤프트(30)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래치부(39)를 가압하는 수단은 압축 스프링(43)이므로, 래치부(39)를 가압력에 대항하여 되밀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록 해제 기구(21)는, 래치부(39)의 상측에 있어서 제2 회전 샤프트(30)에 대해서 평행으로 배치된 제3 회전 샤프트(52)와, 상기 제3 회전 샤프트(52)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고정된 암(제1 암)(53)과, 래치부(39)에 고정된 암(제2 암)(48)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회전 샤프트(52)의 선단부(52a), 보디부(52b) 및 후단부(52c)는, 베이스 판(24)에 수직으로 설치된 샤프트 유지판(54, 56, 57)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3 회전 샤프트(52)의 후단부(52c)에는 볼트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부(52c)에는 와셔(58, 59)가 장착되고, 또한 너트(61)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와셔(58)와 샤프트 유지판(57) 사이에는 약간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3 회전 샤프트(52)는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샤프트 유지판(56)에는, 제3 회전 샤프트(52)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되는 암(53)에 의해, 암(48)이 밀려나오게 된다. 중앙의 샤프트 유지판(56)에는, 상기 암(48)의 후퇴를 규제하는 스토퍼판(56a)이, 암(48)에 대해서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 유지판(54)에는, 제3 회전 샤프트(52)의 선단부(52a)의 단면을 덮도록, 구멍(62a)을 가지는 커버(62)가 작은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3 회전 샤프트(52)의 선단부(52a)에는, 렌치 삽입구(17)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62)의 구멍(62a)을 통해, 렌치 삽입구(17)에 특수 렌치를 끼울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53)과 장착 링(53a)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 링(53a)은 제3 회전 샤프트(52)의 보디부(52b)에 장착되고 또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암(53)은, 제3 회전 샤프트(52)의 축선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 회전 샤프트(52)에는, 코일 스프링(64)이 장착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64)의 일단(64a)은 샤프트 유지판(57)에 고정되고, 타단(64b)은 암(53)에 맞닿아 있다. 그러므로, 제3 회전 샤프트(52)는, 코일 스프링(64)에 의해, 조작 레버(16)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오른쪽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이다. 그러나, 샤프트 유지판(57)으로부터 제3 회전 샤프트(52)의 축선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돌출된 스토퍼부(66)에 암(53)이 맞닿음으로써, 제3 회전 샤프트(52)의 오른쪽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래치부(39)의 후단부에 고정된 암(48)은, 상기 암(53)의 회동 범위 내에서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지 기구(검지 수단)(22)는, 리미트 스위치(67)와, 제2 회전 샤프트(30)에 고정된 작동판(68)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미트 스위치(67)는 샤프트 유지판(31)과 일체로 형성된 장착대(69)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67)의 하면으로부터는, 굴림대(71)를 가지는 종동체(72)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67)는, 굴림대(71)가 상측으로 가압된 것을, 종동체(72)를 통하여 검지하는 장치이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회전 샤프트(30)에는 작동판(68)이 고정되고, 상기 작동판(68)의 선단부(68a)는 경사져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16)가 회전될 때, 상기 작동판(68)은 제2 회전 샤프트(30)와 함께 회전되어, 선단부(68a)의 경사면이 리미트 스위치(67)의 굴림대(71)에 맞닿도록, 작동판(68)은 제2 회전 샤프트(30)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철도 차량(2)은, 도 3에 나타낸 리미트 스위치(67)의 출력을 승무원실까지 전달하는 전기 계통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비상 용구 수용기(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16)를 회전시키기 전에는, 조작 레버(16)는 수평으로 연장되고, 캠(36)의 캠면(36a)에는 캠팔로워(37)의 걸림면(37b)이 맞닿고, 캠팔로워(37)의 걸림면(37b)에는 캠(36)의 스토퍼부(36b)가 맞닿아 있다. 이 때,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회전 샤프트(30)에 고정된 스토퍼부(38)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 있다. 래치부(39)는, 압축 스프링(43)에 의해 제2 회전 샤프트(30)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지만, 암(48)이 장착 링(53a)에 맞닿아 있으므로, 래치부(39)는 정지되어 있다. 또,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회전 샤프트(30)에 고정된 작동판(68)은 수평으로 연장되고, 리미트 스위치(67)의 굴림대(71)에는 닿지 않고 있다.
이 상태에서, 도 2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16)를 오른쪽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회전 각도가 87˚ 이내에서는, 캠팔로워(37)의 캠팔로워면(37a)이 캠(36)의 원호형의 캠면(36a)과 슬라이드 접촉하고 있으므로, 캠(36)에 의해 캠팔로워(37)의 자세가 유지되고 있다. 그러므로, 캠팔로 워(37)에 고정되어 있는 제1 회전 샤프트(23)의 회전이 억제되어 개폐 커버(14)는 열리지 않는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16)를 오른쪽 방향으로 더 회전시켜서, 그 회전 각도가 87˚에 이르면, 캠팔로워(37)의 캠팔로워면(37a)은 캠(36)의 캠면(36a)에 슬라이드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캠팔로워(37)는 캠(36)으로부터 이탈된다다. 그러면, 캠팔로워(37)는 종동하는 대상을 잃게 되어, 캠팔로워(37)에 고정되어 있는 제1 회전 샤프트(23)는 캠(36)으로부터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회전 샤프트(23)는 코일 스프링(27)(도 6 참조)의 가압에 의해 회전되고, 개폐 커버(14)가 열린다. 이 때, 도 2에 나타낸 2점 쇄선과 같이, 개폐 커버(14)는 손잡이 구멍(15)을 집을 수 있는 정도로, 구멍(13)으로부터 약간 돌출된다.
전술한 동작 상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16)가 불필요하게 조작되어도, 조작 레버(16)의 회전 각도가 87˚에 이를 때까지는, 캠팔로워(37)가 캠(36)의 원호형의 캠면(36a)과 슬라이드 접촉하고 있으므로, 개폐 커버(14)는 열리 않게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16)가 불필요하게 조작되어도, 개폐 커버(14)는 쉽게 열리지 않게 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16)를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는 동안, 스토퍼부(38)는, 제2 회전 샤프트(30)와 함께 회전되고, 스토퍼부(38)의 모따기된 둘레부(38b)가 래치부(39)의 경사부(39b)에 맞닿는다. 또한, 조작 레버(16)는, 오른쪽 방향으로 계속 회전되기 때문에, 둘레부(38b)가 경사부(39b)에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스토퍼부(38)는 압축 스프링(43)에 의한 가압력에 대항하여 래치부(39)를 되밀어낸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16)의 회전 각도가 87˚에 가까워지면, 스토퍼부(38)는, 둘레부(38b)와 반대측의 둘레부(38c)에서, 래치부(39)의 선단부(39a)의 하측 둘레부(39c)와 접촉한 상태가 된다.
또한, 조작 레버(16)를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작동판(68)은, 도 13에 나타낸 수평으로 연장된 상태로부터, 제2 회전 샤프트(30)를 중심으로 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16)의 회전 각도가 87˚에 가까워지면, 작동판(68)의 선단부(68a)의 경사면이, 리미트 스위치(67)의 굴림대(71)에 맞닿고, 종동체(72)를 상측으로 가압한다. 리미트 스위치(67)는, 종동체(72)가 가압된 것을 검지하여, 검지 신호를 승무원실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개폐 커버(14)가 열리면, 이것이 리미트 스위치(67)에 의해 검지되어 승무원실에 전해진다. 따라서, 승무원은 개폐 커버(14)가 열린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16)를 87˚ 이상 회전시키면, 캠(36)은 캠팔로워(37)로부터 완전히 이격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16)의 회전 각도가 87˚를 넘었을 때에는, 스토퍼부(38)는 래치부(39)를 통과하고 있으므로, 래치부(39)는 가압을 받지 않게 되어 압축 스프링(43)의 가압에 의해 복귀한다. 그 결과, 조작 레버(16)를 역회전시키려고 해도, 스토퍼부(38)는 래치부(39)에 의해 역회전이 억제되어 조작 레버(16)를 원래 상태로 되돌릴 수 없다. 이와 같이, 일단 개폐 커버(14)가 열린 후에는, 조작 레버(16)가 불필요하 게 조작된 경우라도, 개폐 커버(14)를 복귀시킬 수 없기 때문에, 개폐 커버(14)가 열린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고, 그에 따라 개폐 커버(14)가 열린 흔적이 남게 된다.
또,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16)가 87˚를 초과하여 회전되면, 작동판(68)은 오른쪽 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리미트 스위치(67)의 굴림대(71) 및 종동체(72)를 더 밀어올린다. 이 사이에, 리미트 스위치(67)는, 조작 레버(16)가 조작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검지 신호를 승무원실에 계속적으로 전송한다.
이상과 같이, 조작 레버(16)를 87˚ 이상 회전시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팔로워(37)는 캠(36)으로부터 이탈되고, 제1 회전 샤프트(23)는 코일 스프링(28)의 가압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제1 회전 샤프트(23)의 회전에 의해, 캠팔로워(37)는 후방으로 경사져서, 개폐 커버(14)는 열린 상태가 된다. 또한, 제2 회전 샤프트(30)에 고정된 스토퍼부(38)는 래치부(39)에 의해 걸린 상태가 되어, 조작 레버(16)는 록 상태가 된다.
다음에, 록 기구(19)에 의해 조작 레버(16)가 록된 상태를, 록 해제 기구(21)에 의해 해제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 해제 기구(21)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특수 렌치(74)를 사용한다. 상기 특수 렌치(74)의 헤드는, 일반적인 렌치의 헤드와는 상이한 특수한 형상을 하고 있어, 일반 렌치로는 제3 회전 샤프트(52)를 회전시킬 수 없다.
먼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수 렌치(74)의 헤드를 렌치 삽입구(17) 에 삽입 장착하고, 특수 렌치(74)를 왼쪽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약 90˚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회전 샤프트(52) 및 암(53)이 왼쪽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암(53)은 암(48)에 맞닿은 후에도, 암(48)을 계속적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암(48)에 고정된 래치부(39)는, 압축 스프링(43)에 의한 가압력에 대항하여 되밀어내어진다. 이같이 하여 래치부(39)가 되밀어내어지면, 스토퍼부(38)의 역회전을 억제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스토퍼부(38)가 고정된 제2 회전 샤프트(30)는, 코일 스프링(35)의 가압력에 의해 역회전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상기 제2 회전 샤프트(30)에 고정된 캠(36)이 캠팔로워(37)의 걸림 면(37b)에 맞닿으므로, 결국, 제2 회전 샤프트(30)의 회전은 3˚에서 정지한다. 이 때, 제2 회전 샤프트(30)에 고정된 스토퍼부(38)도 3˚ 왼쪽 방향으로 회전되어 정지되지만,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부(38)의 선단에 의해 래치부(39)의 돌출이 억제되므로, 록 해제 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된다. 이 때,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판(68)은, 리미트 스위치(67)의 굴림대(71)에 아직도 접촉한 상태이므로, 리미트 스위치(67)로부터의 출력은 승무원실에 계속적으로 송신된다.
그 후,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커버(14)의 손잡이 구멍(15)을 손가락으로 집어서, 개폐 커버(14)를 화살표 D 방향으로 당긴다. 그러면, 개폐 커버(14)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1 회전 샤프트(23)가 회전되므로, 캠팔로워(37)도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캠팔로워(37)의 걸림면(37b)이 캠(36)에 슬라이드 접촉되고, 캠팔로워(37)는 수직으로 세워지고, 최종적으로는 캠(36)은 캠팔로워(37)로부터 해제된다. 그러면,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36)이 고정된 제2 회전 샤프트(30)는, 코일 스프링(35)의 가압력에 의해, 조작 레버(16)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왼쪽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된다. 그에 따라, 조작 레버(16) 및 캠(36)도 왼쪽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개폐 커버(14)를 닫힌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개폐 커버(14)가 닫힌 상태로 복귀하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회전 샤프트(30)에 고정된 스토퍼부(38)도,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복귀한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판(68)도 리미트 스위치(67)의 굴림대(71)로부터 떨어져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록 해제 기구(21)에 의해 해제되기 위해서는, 특수 렌치(74)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특수 렌치(74)를 소지하지 않은 승객이 록 상태를 해제할 수 없도록 하고, 개폐 커버(14)가 열린 흔적을 은폐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상 용구 수용기(1)는 철도 차량(2) 내에 설치되어 있지만, 버스나 구민 회관, 공항 등의 공공 시설에 설치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상 용구 수용기(1)는, 긴급 시 탈출용의 해머(11)를 수용하고 있지만, 소화기나 피난 사다리등, 그 외의 비상 용구를 수용할 수도 있다. 또, 비상 용구인 해머(11)를 부분적으로 덮는 개폐 커버(14)는, 비상시에 주위로부터 눈에 띄는 색채, 예를 들면 적색으로 도장하여 두면 좋다. 이로써, 해머(11)가 저장되어 있는 장소의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가 불필요하게 조작되더라도 개폐 커버는 쉽게 열리지 않는다.

Claims (6)

  1. 비상 용구를 수용하는 비상 용구 수용기에 있어서,
    제1 회전 샤프트에 고정된 개폐 커버와,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에 연결된 조작 레버와,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량이 소정량이 될 때까지,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회전을 억제하는 연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용구 수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조작 레버로부터 연장되는 제2 회전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회전 샤프트의 축선과 대략 동일한 중심으로 형성된 원호형의 캠면을 가지는 부채형의 캠과,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캠의 캠면과 슬라이드 접촉하여 상기 캠에 종동하는 캠팔로워(cam follow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용구 수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샤프트에 고정된 스토퍼부와,
    상기 스토퍼부의 회동 범위 내에 선단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회전 샤프트 를 향해 되밀어내기 가능하도록 가압된 래치부를 가지는 록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용구 수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선단에 렌치 삽입구가 형성된 제3 회전 샤프트와,
    상기 제3 회전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제3 회전 샤프트의 축선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암과,
    상기 제1 암의 회동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암에 맞닿도록 상기 래치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3 회전 샤프트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상기 제1 암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래치부를 되밀어내는 제2 암을 가지는 록 해제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용구 수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량이 상기 소정량이 된 것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용구 수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커버는, 상기 비상 용구를 부분적으로 덮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용구 수용기.
KR1020067015345A 2004-02-02 2005-01-28 비상 용구 수용기 KR100795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25816A JP4526274B2 (ja) 2004-02-02 2004-02-02 非常用具収容器
JPJP-P-2004-00025816 2004-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106A true KR20060127106A (ko) 2006-12-11
KR100795426B1 KR100795426B1 (ko) 2008-01-17

Family

ID=3482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345A KR100795426B1 (ko) 2004-02-02 2005-01-28 비상 용구 수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726752B1 (ko)
JP (1) JP4526274B2 (ko)
KR (1) KR100795426B1 (ko)
ES (1) ES2648214T3 (ko)
WO (1) WO20050734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8683B2 (ja) * 2005-04-12 2011-07-20 東急車輛製造株式会社 非常用具収容装置
JP4184412B1 (ja) * 2007-06-22 2008-11-19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点検蓋の開閉制御システム
CN102867381A (zh) * 2012-08-31 2013-01-09 樊荣 一种车用逃生锤防盗报警装置
JP6845709B2 (ja) * 2017-02-16 2021-03-2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鉄道車両用ドア装置、鉄道車両用ドア装置を備えた鉄道車両、非常用ドア解錠装置及びロック機構により施錠されたドア本体を解錠する方法
JP7031027B2 (ja) * 2021-01-07 2022-03-0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鉄道車両用ドア装置、鉄道車両用ドア装置を備えた鉄道車両及び非常用ドア解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7822A (en) * 1961-12-18 1962-12-11 Standard Fire Hose Company Fire extinguisher cabinet
JPS4998000U (ko) * 1972-12-12 1974-08-23
JPS5716612Y2 (ko) * 1979-05-18 1982-04-07
JPH0321689U (ko) * 1989-07-06 1991-03-05
JPH0717764Y2 (ja) * 1989-07-14 1995-04-2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ローラタペット
JP2585184B2 (ja) * 1993-10-22 1997-02-26 株式会社北正 緊急脱出用ハンマー
JP3005743U (ja) * 1994-06-28 1995-01-10 株式会社芋谷工業 自動車用窓ガラス割り具
DE4428087C2 (de) * 1994-08-09 1998-02-19 Happich Fahrzeug & Ind Teile Nothammer zum Einschlagen von Glasscheiben mit Diebstahlschutz
JP3021504U (ja) * 1995-08-09 1996-02-27 株式会社芋谷工業 自動車用窓ガラス割り具
JP3021689U (ja) * 1995-08-17 1996-02-27 株式会社芋谷工業 自動車用窓ガラス割り具
FR2746019A1 (fr) * 1996-03-15 1997-09-19 Weber Marcel Conteneur protege-extincteur a corps cylindrique et pleine ouverture
JP3906602B2 (ja) * 1999-04-07 2007-04-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ラッチ機構
NL1019205C2 (nl) * 2001-10-22 2003-04-23 Innoessentials B V Samenstel houder van een noodhamer en een wandhou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5426B1 (ko) 2008-01-17
EP1726752B1 (en) 2017-09-20
WO2005073490A1 (ja) 2005-08-11
JP4526274B2 (ja) 2010-08-18
JP2005213984A (ja) 2005-08-11
ES2648214T3 (es) 2017-12-29
EP1726752A1 (en) 2006-11-29
EP1726752A4 (en)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426B1 (ko) 비상 용구 수용기
US20140041421A1 (en) Lock with magnetically actuated latch movement preventing member
US10017964B2 (en) Latch mechanism for an exit device
US5556140A (en) Door handle assembly with emergency-unlocking function
KR20090064954A (ko) 화물차량의 안전 공구함
CN211407830U (zh) 一种安全锁扣
KR20190099471A (ko) 차량용 폐쇄 장치
JP4338691B2 (ja) 錠付扉装置
KR101480746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GB2415739A (en) Door jamb assembly selectively blocking swing door
US11668121B2 (en) Motor-driven door latch for vehicle
KR100528846B1 (ko) 인출 회전 조작형 문짝용 로크 핸들장치
JP2006290193A (ja) 非常用具収容装置
JPH08282277A (ja) スナッチロック装置
JP2003227141A (ja) 締付けロック装置
JP2014194124A (ja) 打掛け錠
JPH07229596A (ja) 安全装置及びスイッチ
JP3197691U (ja) 解錠ボタンを有する錠前装置
HU223850B1 (hu) Berendezés egy szelep késleltetett működtetésére
JP3181192U (ja)
JP2006028944A (ja) 開閉装置
JPH0218207Y2 (ko)
JPH0720296Y2 (ja) 内蔵型引き戸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2012214977A (ja) 錠装置
JPH0712574Y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