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545B1 -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545B1
KR102072545B1 KR1020180094793A KR20180094793A KR102072545B1 KR 102072545 B1 KR102072545 B1 KR 102072545B1 KR 1020180094793 A KR1020180094793 A KR 1020180094793A KR 20180094793 A KR20180094793 A KR 20180094793A KR 102072545 B1 KR102072545 B1 KR 102072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ocking latch
latch
push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정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성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성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성기업
Priority to KR1020180094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allowing simultaneous actuation of locking or unlocking elements and a handle, e.g.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an unlocking and an un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E05B77/38Cushion elements, elastic guiding elements or holding elements, e.g. for cushioning or damping the impact of the bolt against the striker during closing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0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sliding doors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의 구성은 전면부(24)에 록킹걸쇠 진입홀(24H)이 구비되고 상면부(22)에는 록킹래치 걸림편 출몰홀(22H)이 구비된 베이스 브라켓(20); 양면과 일단부로 연동된 록킹걸쇠 걸림홀(34)을 구비한 록킹래치 바디(32)와, 록킹래치 바디(32)의 타단부에서 돌출된 록킹래치 걸림편(32C)을 구비하며, 베이스 브라켓(20)의 전면에 래치 힌지부(30RH)를 매개로 록킹래치 바디(32)가 결합된 록킹래치(30); 록킹래치(30)를 래치 힌지부(30RH)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록킹래치 스프링(36);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에 힌지부(HG)를 매개로 결합되어 록킹래치(30)의 록킹래치 바디(32)의 하측 둘레부와 록킹걸쇠 걸림홀(34)과 하측 둘레부에 각각 걸려지는 푸시록킹 지지편(42); 푸시록킹 지지편(42)이 록킹래치 바디(32)의 하측 둘레부와 록킹걸쇠 걸림홀(34)과 상측 둘레부에 각각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44); 베이스 브라켓(20)에 장착된 구동모터(50); 구동모터(50)의 모터축에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베이스 브라켓(20)의 록킹래치 걸림편 출몰홀(22H)로 돌출된 록킹래치(30)의 록킹래치 걸림편(32C)을 밀어서 록킹래치(30)의 록킹걸쇠 걸림홀(34)에 차량의 탑승구에 구비된 록킹걸쇠(2)가 걸려지는 록킹상태로 전환시키는 링크 어셈블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Vehicle sliding door shock absorption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도어를 닫을 때에 구동모터 등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를 방지하도록 구현된 새로운 구성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합차는 보다 많은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차실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인원이 차실 내외로 용이하게 출입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된다. 슬라이딩 도어는 차체에 상하로 부착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되면서 승합차의 사이드 패널에 형성된 탑승 출입구를 개폐한다.
또한, 상기 승합차에는 슬라이딩 도어가 완전히 닫힌 위치에서 슬라이딩 도어를 착탈 가능하게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인 차량 슬라이딩 도어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는 록킹장치의 도어 래치와 래치 걸립편의 맞걸림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한편, 슬라이딩 도어에 구비된 레버를 당겨주면 록킹장치의 도어 래치와 래치 걸림편의 맞걸림이 해제되므로, 슬라이딩 도어를 열어줄 수 있게 된다. 슬라이딩 도어를 열기 위해 슬라이딩 도어에 구비된 이너 레버 또는 아웃터 레버를 당겨주면 록킹장치의 도어 래치와 래치 걸림편의 맞걸림이 해제되므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열어줄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슬라이딩 도어를 수동이 아니라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자동 도어 개폐장치를 장착한 승합차가 많이 있으며, 이러한 자동식 슬라이딩 도어 개폐용 승합차에는 자동으로 슬라이딩 도어의 열리고 닫히는 동작이 승합차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자동록킹장치에는 구동모터 등의 부품이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기존의 승합차용 자동식 슬라이딩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는 경우에 큰 충격력이 자동록킹장치의 구동모터 등에 가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고, 이처럼 슬라이딩 도어가 닫힐 때에 구동모터 등에 큰 충격력이 가해지면 승객의 안전에도 문제가 있고 구동모터 등의 부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긴다.
국내등록특허 제10-1154300호(2012년06월01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0380349호(2003년04월02일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도어를 닫을 때에 구동모터 등에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를 방지하도록 구현되고, 무거운 중량의 슬라이딩 도어를 작은 구동모터의 힘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부에 록킹걸쇠 삽입홀이 구비되고 적어도 상면부에는 록킹래치 걸림편 출몰홀이 구비된 베이스 브라켓; 양면과 일단부로 연동된 록킹걸쇠 걸림홀을 구비한 록킹래치 바디와, 상기 록킹래치 바디의 타단부에서 돌출된 록킹래치 걸림편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기 전면에 래치 힌지부를 매개로 상기 록킹래치 바디가 결합된 록킹래치; 상기 록킹래치를 상기 래치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록킹래치 스프링;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힌지부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록킹래치의 상기 록킹래치 바디의 하측 둘레부와 상기 록킹걸쇠 걸림홀과 하측 둘레부에 각각 걸려지는 푸시록킹 지지편;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이 상기 록킹래치 바디의 상기 하측 둘레부와 상기 록킹래치 걸림홀과 상기 상측 둘레부에 각각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장착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기 록킹래치 걸림편 출몰홀로 돌출된 상기 록킹래치의 상기 록킹래치 걸림편을 밀어서 상기 록킹래치의 상기 록킹걸쇠 걸림홀에 차량의 탑승 출입구에 구비된 록킹걸쇠가 걸려지는 록킹상태로 전환시키는 링크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은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록킹래치의 상기 록킹래치 바디가 힌지부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기 전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록킹래치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향회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은 상기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킹래치 바디의 상기 록킹걸쇠 삽입홀의 하부측 둘레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고, 승합차의 탑승 출입구에 구비된 록킹걸쇠가 상기 록킹래치의 상기 록킹래치 바디에 형성된 상기 록킹걸쇠 삽입홀에 1차로 걸려진 1차 록킹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은 상기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킹래치 바디의 상기 록킹걸쇠 삽입홀 내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걸려지고,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록킹래치 걸림편 출홀홀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록킹래치의 상기 록킹래치 걸림편을 밀어서 상기 승합차의 상기 탑승 출입구에 구비된 상기 록킹걸쇠는 상기 록킹래치의 상기 록킹걸쇠 삽입홀의 내부로 들어가서 걸려진 2차 록킹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은 상기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킹래치 바디의 상기 록킹걸쇠 삽입홀의 상부측 둘레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은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기 록킹걸쇠 삽입홀은 전면 록킹걸쇠 삽입홀과 측면 록킹걸쇠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전면 패널에 구비된 도어 록킹걸쇠 결합홀은 전면 도어 록킹걸쇠 결합홀과 측면 도어 록킹걸쇠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기 전면 록킹걸쇠 삽입홀과 상기 측면 록킹걸쇠 삽입홀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기 전면 도어 록킹걸쇠 결합홀과 상기 측면 록킹걸쇠 결합홀과 각각 만나도록 정렬되고, 상기 록킹래치의 상기 록킹래치 바디가 힌지부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기 전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록킹래치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향회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록킹걸쇠 걸림홀이 하향 회동되는 한편, 록킹걸쇠 걸림홀의 록킹걸쇠 투입 개방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도어 록킹걸쇠 결합홀의 상기 측면 도어 록킹걸쇠 결합홀과 마주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은 상기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킹래치 바디의 상기 록킹걸쇠 삽입홀의 아래쪽 둘레부인 하부측 둘레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가 상기 탑승 출입구에 구비된 록킹걸쇠 쪽으로 전진하도록 슬라이딩되어 상기 록킹걸쇠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기 전면 도어 록킹걸쇠 결합홀과 상기 측면 록킹걸쇠 결합홀과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기 전면 록킹걸쇠 삽입홀과 상기 측면 록킹걸쇠 삽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록킹래치의 상기 록킹래치 바디에 형성된 상기 록킹걸쇠 삽입홀에 1차로 걸려진 1차 록킹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상기 록킹래치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1차로 상향 회동되는 한편, 상기 록킹래치 바디의 타단부로 돌출된 상기 록킹래치 걸림편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상면부에 형성된 록킹래치 걸림편 출몰홀의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은 상기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킹래치 바디의 상기 록킹걸쇠 삽입홀 내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걸려지고,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록킹래치 걸림편 출홀홀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록킹래치의 상기 록킹래치 걸림편을 밀어서 상기 록킹래치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연결된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더 상향 회동시켜서 2차 회동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록킹걸쇠 걸림홀의 록킹걸쇠 투입 개방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도어 록킹걸쇠 결합홀의 상기 측면 도어 록킹걸쇠 결합홀 영역을 벗어나서 상기 전면 도어 록킹 걸쇠 진입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승합차의 상기 탑승 출입구에 구비된 상기 록킹걸쇠는 상기 록킹래치의 상기 록킹걸쇠 삽입홀의 내부로 들어가서 걸려진 2차 록킹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은 상기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킹래치 바디의 상기 록킹걸쇠 삽입홀의 위쪽 둘레부인 상부측 둘레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회전 샤프트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연결된 베이스 링크; 상기 베이스 링크의 선단부에 힌지부를 매개로 기단부가 연결된 연결 링크; 상기 연결링크의 선단부에 힌지부를 매개로 기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기단부와 선단부 사이의 영역은 중간 힌지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면부에 연결된 록킹 가동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록킹 가동링크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기 록킹래치 걸림편 출몰홀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기 록킹래치의 상기 록킹래치 걸림편에 걸려지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래치의 상기 록킹래치 바디는, 금속재의 코어 바디; 상기 코어 바디의 외표면을 감싸는 플라스틱 재질의 바디 외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록킹래치 걸림편은 금속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금속재의 코어 바디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래치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일단부에 구비된 일측 와이어 스프링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타단부에 구비된 타측 와이어 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부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구비된 상부 보스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일측 와이어 스프링부는 상기 록킹래치에 연결되고, 상기 타측 와이어 스프링부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일단부에 구비된 일측 와이어 스프링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타단부에 구비된 타측 와이어 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부는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의 안쪽면으로 돌출된 보스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일측 와이어 스프링부는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에 연결되고, 상기 타측 와이어 스프링부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내부에는 이너 베이스 브라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이너 베이스 브라켓에는 힌지부를 매개로 푸시 레버가 결합되고, 상기 푸시 레버의 선단부는 이너 베이스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의 기단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의 기단부에는 연장 푸시 콘택트편이 구비되고, 상기 이너 베이스 브라켓에 레버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푸시 레버의 선단부에는 확장 푸시 레버편이 구비되어, 상기 확장 푸시 레버편과 상기 연장 푸시 콘택트편이 서로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 베이스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일단부에 구비된 일측 와이어 스프링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타단부에 구비된 타측 와이어 스프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부는 상기 푸시 레버를 상기 이너 베이스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상기 힌지부의 힌지핀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일측 와이어 스프링부는 상기 푸시 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타측 와이어 스프링부는 상기 이너 베이스 브라켓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는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로 탑승 출입구를 닫아줄 때에 슬라이딩 도어가 1차로 록킹걸쇠에 걸려지는 1차 록킹 상태로 전환되었다가 슬라이딩 도어가 1차로 록킹걸쇠에 걸려지는 2차 록킹 상태로 전환되는 완충 록킹 작용을 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도어를 닫을 때에 구동모터 등에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무거운 중량의 슬라이딩 도어를 작은 용량의 구동모터의 힘으로 원활하게 닫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의 주요부인 록킹래치의 일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와 차량에 장착되는 록킹걸쇠의 사시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록킹래치가 록킹걸쇠에 1차로 걸려진 1차 록킹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록킹래치가 록킹걸쇠에 2차로 걸려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록킹래치가 록킹걸쇠에 2차로 걸려진 2차 록킹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의 주요부인 록킹래치의 언록킹 상태를 내측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주요부인 록킹래치의 1차 록킹 상태를 내측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주요부인 록킹래치의 2차 록킹 상태를 내측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의 주요부인 록킹래치의 언록킹 상태를 정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주요부인 록킹래치의 1차 록킹 상태를 정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주요부인 록킹래치의 2차 록킹 상태를 정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의 주요부인 록킹래치의 언록킹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주요부인 록킹래치의 1차 록킹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록킹래치가 록킹걸쇠에 2차로 걸려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록킹래치가 록킹걸쇠에 2차로 걸려진 2차 록킹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의 주요부인 록킹래치의 언록킹 상태를 외측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주요부인 록킹래치의 1차 록킹 상태를 외측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주요부인 록킹래치의 2차 록킹 상태를 외측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는 베이스 브라켓(20)과,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에 구비된 록킹래치(30)와, 록킹래치 스프링(36)과, 푸시록킹 지지편(42)과,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44)과, 구동모터(50) 및 링크 어셈블리(6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은 상면부(22)와, 이 상면부(22)의 선단부에 연결된 전면부(24)와, 상기 상면부(22)와 전면부(24)에 연결된 외측면부(26)를 구비한다. 베이스 브라켓(20)의 전면부(24)에 록킹걸쇠 진입홀(24H)이 구비되고 베이스 브라켓(20)의 적어도 상면부(22)에는 록킹래치 걸림편 출몰홀(22H)이 구비된다. 상기 록킹래치 걸림편 출몰홀(22H)의 일부가 베이스 브라켓(20)의 외측면부(26)의 일부에도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은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록킹걸쇠 진입홀(24H)은 전면 록킹걸쇠 진입홀(24H)과 측면 록킹걸쇠 진입홀(24H)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전면부(24)의 앞에서 볼 때에 전면 록킹걸쇠 진입홀(24H)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전면부(24)의 내외표면으로 연통되고, 상기 측면 록킹걸쇠 진입홀(24H)은 베이스 브라켓(20)의 전면부(24)에 연결된 내측면부의 내외표면으로 연통된다. 측면 록킹걸쇠 진입홀(24H)이 전면 록킹걸쇠 진입홀(24H)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전면 패널에는 도어측 록킹걸쇠 결합홀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측 록킹걸쇠 결합홀은 전면 도어측 록킹걸쇠 결합홀과 측면 도어측 록킹걸쇠 결합홀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전면 패널의 앞에서 볼 때에 전면 도어측 록킹걸쇠 결합홀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전면 패널의 내외표면으로 연통되고, 상기 측면 도어측 록킹걸쇠 결합홀은 슬라이딩 도어의 전면 패널에 연결된 내측 패널의 내외표면으로 연통된다. 측면 도어측 록킹걸쇠 결합홀이 전면 도어측 록킹걸쇠 결합홀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이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베이스 브라켓(20)의 상기 전면 록킹걸쇠 진입홀(24H)과 측면 록킹걸쇠 진입홀(24H)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전면 도어측 록킹걸쇠 결합홀과 측면 록킹걸쇠 진입홀(24H)과 각각 만나도록 정렬된다.
상기 록킹래치(30)는 록킹래치 바디(32)와 록킹래치 걸림편(32C)을 구비한다.
상기 록킹래치 바디(32)는 내부에 록킹걸쇠 걸림홀(34)을 구비한다. 록킹걸쇠 걸림홀(34)은 록킹래치 바디(32)의 양면과 일단부로 연통된다. 록킹걸쇠 걸림홀(34)은 록킹래치(30)의 옆쪽에서 볼 때에 장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록킹래치(30)를 구성하는 록킹래치 바디(32)는 금속재의 코어 바디(32A)와, 이 코어 바디(32A)의 감싸는 플라스틱 재질의 바디 외피(32B)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 바디(32A) 자체에 상기 록킹걸쇠 걸림홀(34)이 구비되고, 상기 플라스틱 재질의 바디 외피(32B)가 코어 바디(32A)의 외표면을 감싸는 구조이다.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코어 바디(32A)가 플라스틱 재질의 바디 외피(32B)에 내장된 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록킹래치(30)의 록킹걸쇠 걸림홀(34)은 록킹래치 바디(32)의 일단부로 연통되어, 상기 록킹래치(30)의 일단부에 록킹걸쇠(2) 투입 개방부가 형성된다. 록킹걸쇠(2) 투입 개방부는 록킹걸쇠 걸림홀(34)의 내부와 연통된 입구가 된다.
상기 록킹래치 걸림편(32C)은 금속재로 이루어져서 금속재의 코어 바디(32A)에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상기 금속재의 코어 바디(32A)에 형성된 록킹걸쇠 걸림홀(34)은 코어 바디(32A)의 일단부로 연통되어 록킹걸쇠(2) 투입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록킹래치 걸림편(32C)은 코어 바디(32A)의 타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록킹래치 걸림편(32C)의 한쪽 측면부에는 걸림보조 오목홈(32SC)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전면부(24)에 래치 힌지부(30RH)를 매개로 상기 록킹래치 바디(32)가 결합된다. 록킹래치(30)가 래치 힌지부(30RH)를 매개로 베이스 브라켓(20)의 전면부(24)에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래치 힌지부(30RH)를 기준으로 베이스 브라켓(20)에서 록킹래치(30)가 회동된다.
상기 록킹래치 스프링(36)은 록킹래치(30)를 래치 힌지부(30RH)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킨다. 록킹래치 스프링(36)은 래치 힌지부(30RH)를 기준으로 록킹래치(30)가 베이스 브라켓(20)에서 하향 회동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것이다.
푸시록킹 지지편(42)이 베이스 브라켓(20)에 힌지부(HG)를 매개로 장착된다. 푸시록킹 지지편(42)은 록킹래치(30)를 구성하는 록킹래치 바디(32)의 하측 둘레부와 록킹걸쇠 걸림홀(34)의 하측 둘레부에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각각 탄성적으로 걸려지도록 구성된다. 록킹래치(30)가 래치 힌지부(30RH)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는 푸시록킹 지지편(42)이 록킹래치 바디(32)의 하측 둘레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고, 록킹래치(30)가 래치 힌지부(30RH)를 기준으로 후술하는 1차 상향 회동된 1차 록킹 상태에서는 상태에서는 푸시록킹 지지편(42)이 록킹래치(30)의 록킹걸쇠 걸림홀(34)에 탄성적으로 걸려지고, 록킹래치(30)가 래치 힌지부(30RH)를 기준으로 후술하는 2차 상향 회동된 2차 록킹 상태에서는 상태에서는 푸시록킹 지지편(42)이 록킹래치 바디(32)의 상측 둘레부에 탄성적으로 걸려지게 된다.
상기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44)은 푸시록킹 지지편(42)이 록킹래치 바디(32)의 하측 둘레부와 록킹걸쇠 걸림홀(34)과 상기 상측 둘레부에 각각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게 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에는 구동모터(50)가 장착된다. 베이스 브라켓(20)의 상면부(22) 저면에 감속기어 박스가 장착되고, 감속기어 박스에 감속기어가 내장되고, 상기 감속기어 박스에 구동모터(50)가 장착되어, 상기 구동모터(50)가 베이스 브라켓(20)에 장착된 구조가 된다. 상기 구동모터(50)의 모터축에 동축적으로 결합된 구동기어가 상기 감속기어에 치합된다. 상기 감속기어에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상면부(22)를 관통한 회전 샤프트가 구비된다. 상기 감속기어와 구동모터(50)의 모터축에 동축적으로 장착된 구동기어가 동력전달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구동모터(50)의 모터축에는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링크 어셈블리(60)가 연결된다. 상기 링크 어셈블리(60)는 베이스 브라켓(20)의 상면부(22)에 형성된 록킹래치 걸림편 출몰홀(22H)로 돌출된 상기 록킹래치(30)의 록킹래치 걸림편(32C)을 밀어서 록킹래치(30)의 록킹걸쇠 걸림홀(34)에 차량의 탑승구에 구비된 록킹걸쇠(2)가 걸려지는 록킹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
상기 링크 어셈블리(60)는 베이스 링크(62)와 연결 링크(64) 및 록킹 가동링크(66)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링크(62)는 상기 감속기어군의 최전방 감속기어의 중심부에 동축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상면부(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회전 샤트트에 연결된다. 베이스 링크(62)의 기단부와 선단부 사이의 영역이 상기 회전 샤프트에 연결된다. 따라서, 베이스 링크(62)가 구동모터(50)의 모터축에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연결된 구조를 취한다. 베이스 링크(62)는 베이스 브라켓(20)의 상면부(22)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연결 링크(64)의 기단부는 힌지부(HG)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 링크(62)의 선단부에 연결된다. 연결 링크(64)는 베이스 브라켓(20)의 상면부(22)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록킹 가동링크(66)는 기단부와 선단부 사이의 영역이 중간 힌지부(HG)에 의해 베이스 브라켓(20)의 상면부(22)에 연결된다. 상기 록킹 가동링크(66)의 기단부는 상기 연결 링크(64)의 선단부에 힌지부(HG)를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록킹 가동링크(66)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록킹래치 걸림편 출몰홀(22H)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록킹래치(30)의 록킹래치 걸림편(32C)에 걸려지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록킹 가동링크(66)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걸림 연장 링크편(66A)이 구비되어, 상기 걸림 연장 링크편(66A)이 베이스 브라켓(20)의 록킹래치 걸림편 출몰홀(22H)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록킹래치(30)의 록킹래치 걸림편(32C)에 걸려지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걸림 연장 링크편(66A)의 선단부에는 걸림 콘택트 링크돌편(66CP)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상면부(22) 바깥면에는 스위치(68)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68)의 일측에는 스위칭 버튼이 구비된다. 상기 록킹 가동링크(66)의 일부가 상기 스위치(68)의 상기 스위칭 버튼을 누를 수 있는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록킹 가동링크(66)의 걸림 연장 링크편(66A)에는 상기 걸림 콘택트 링크돌편(66CP)과 반대되는 단부에 상기 스위치(68)의 스위칭 버튼을 누를 수 있는 버튼 푸시 링크돌편(66BP)이 구비된다.
상기 록킹래치 스프링(36)은 코일 스프링부와 일측 와이어 스프링부 및 타측 와이어 스프링부를 구비한 코일 스프링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록킹래치 스프링(36)을 구성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일단부에 일측 와이어 스프링부가 연결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외주면 밖으로 연장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타단부에 타측 와이어 스프링부가 연결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외주면 밖으로 연장된다.
상기 록킹래치 스프링(36)의 코일 스프링부는 록킹래치(30)의 안쪽면에 돌출된 보스(BS)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일측 와이어 스프링부는 록킹래치(30)에 연결되고, 상기 타측 와이어 스프링부는 베이스 브라켓(20)에 연결된다.
상기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44)은 코일 스프링부와 일측 와이어 스프링부 및 타측 와이어 스프링부를 구비한 코일 스프링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44)을 구성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일단부에 일측 와이어 스프링부가 연결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외주면 밖으로 연장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타단부에 타측 와이어 스프링부가 연결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외주면 밖으로 연장된다.
상기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44)의 코일 스프링부는 푸시록킹 지지편(42)의 안쪽면으로 돌출된 보스(BS)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일측 와이어 스프링부는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에 연결되고, 상기 타측 와이어 스프링부는 베이스 브라켓(20)에 연결된다.
상기 록킹래치(30)가 래치 힌지부(30RH)를 기준으로 베이스 브라켓(20)에서 하향회동된 상태에서는 푸시록킹 지지편(42)은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래치 바디(32)의 록킹걸쇠 진입홀(24H)의 하부측 둘레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상기 록킹래치 바디(32)의 하부측 둘레부에 돌출된 하부 래치 걸림돌부에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의 바깥면에서 상기 록킹래치(30) 쪽으로 돌출된 푸시 돌출편(42PS)이 걸려진다.
승합차의 탑승구에 구비된 록킹걸쇠(2)가 록킹래치(30)를 구성하는 록킹래치 바디(32)의 록킹걸쇠 진입홀(24H)에 1차로 걸려진 1차 록킹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은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래치 바디(32)의 록킹걸쇠 진입홀(24H) 내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걸려진다.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의 바깥면에서 상기 록킹래치(30) 쪽으로 돌출된 푸시돌출편이 록킹래치 바디(32) 내부의 록킹걸쇠 진입홀(24H)의 내표면에 탄성적으로 걸려진다.
상기 링크 어셈블리(60)는 구동모터(50)의 작동에 의해 베이스 브라켓(20)의 록킹래치 걸림편 출몰홀(22H)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록킹래치(30)의 록킹래치 걸림편(32C)을 밀어서 상기 승합차의 탑승구에 구비된 록킹걸쇠(2)는 록킹래치(30)의 록킹걸쇠 진입홀(24H)의 내부로 들어가서 걸려진 2차 록킹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은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래치 바디(32)의 록킹걸쇠 진입홀(24H)의 상부측 둘레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걸려진다. 상기 록킹래치 바디(32)의 상부측 둘레부에 돌출된 하부 래치 걸림돌부에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의 바깥면에서 상기 록킹래치(30) 쪽으로 돌출된 푸시돌출편이 걸려진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내부에는 이너 베이스 브라켓(21)이 더 구비된다. 이너 베이스 브라켓(21)은 베이스 브라켓(20)의 내측 패널에 인접 배치되는 이너 내측 베이스 브라켓편(21A)과, 상기 이너 내측 베이스 브라켓편(21A)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전면부(24)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이너 전면 베이스 브라켓편(21B)을 구비하며, 상기 이너 전면 베이스 브라켓편(21B)이 리벳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에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전면부(24)에 리벳 형태의 래치 힌지핀의 선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래치 힌지핀은 록킹래치(30)에 구비된 보스(BS)를 관통하여 상기 이너 전면 베이스 브라켓편(21B)에 래치 힌지핀이 연결된다. 상기 록킹래치(30)의 보스(BS)와 상기 리벳 형태의 래치 힌지핀은 상기 록킹래치(30)가 베이스 브라켓(20)의 전면부(24)에서 상하 회동되는 래치 힌지부(30RH)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전면부(24)에 리벳 형태의 푸시록킹 힌지핀의 선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푸시록킹 힌지핀은 푸시록킹 지지편(42)에 구비된 보스(BS)를 관통하여 상기 이너 전면 베이스 브라켓편(21B)에 푸시록킹 힌지핀의 기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의 보스(BS)와 상기 리벳 형태의 푸시록킹 힌지핀은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이 베이스 브라켓(20)의 전면부(24)에서 상하 회동되는 푸시록킹 힌지부(HG)를 구성한다.
상기 이너 베이스 브라켓(21)에는 레버 힌지부(HG)를 매개로 푸시 레버(23)가 결합되고, 상기 푸시 레버(23)의 선단부는 이너 베이스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푸시록킹 지지편(42)의 기단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상기 레버 힌지부(HG)는 이너 내측 베이스 브라켓편(21A)에 고정된 레버 힌지핀과, 상기 푸시 레버(23)의 양면을 관통하며 상기 레버 힌지핀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레버 힌지홀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의 기단부에는 연장 푸시 콘택트편(42EC)이 구비된다. 연장 푸시 콘택트편(42EC)은 푸시록킹 지지편(42)의 한쪽 측단부에서 볼 때에 푸시록킹 지지편(42)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연장된다.
또한, 상기 푸시 레버(23)의 선단부에는 확장 푸시 레버편(23EC)이 구비된다. 상기 푸시 레버(23)의 확장 푸시 레버편(23EC)과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의 연장 푸시 콘택트편(42EC)이 서로 접촉된다. 상기 푸시 레버(23)의 확장 푸시 레버편(23EC)의 상면에 푸시록킹 지지편(42)의 연장 푸시 콘택트편(42EC)이 접촉된다.
상기 이너 베이스 스프링(25)은 코일 스프링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일단부에 구비된 일측 와이어 스프링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타단부에 구비된 타측 와이어 스프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부는 푸시 레버(23)를 이너 베이스 브라켓(2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상기 레버 힌지부(HG)의 레버 힌지핀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일측 와이어 스프링부는 푸시 레버(23)에 연결되고, 상기 타측 와이어 스프링부는 이너 베이스 브라켓(21)에 연결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가 탑승구를 닫을 때에 슬라이딩 도어를 완충된 상태로 닫아서 록킹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슬라이딩 도어를 닫아서 록킹상태롤 전환하는 과정을 편의상 언록킹 상태와 1차 록킹 상태 및 2차 록킹 상태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언록킹 상태>
언록킹 상태를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가 열려있거나 열러줄 수 있는 상태이다. 언록킹 상태에서는 록킹래치(30)가 래치 힌지부(30RH)를 기준으로 하향회동된 상태이다. 록킹래치(30)가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는 록킹걸쇠 걸림홀(34)은 눕혀져 있는 상태로 되는 한편, 상기 록킹걸쇠 걸림홀(34)의 록킹걸쇠(2) 투입 개방부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에 형성된 록킹걸쇠 진입홀(24H)의 측면 록킹걸쇠 진입홀(24H) 및 슬라이딩 도어의 전면 패널에 구비된 도어측 록킹걸쇠 결합홀의 측면 도어측 록킹걸쇠 결합홀과 마주하는 영역에 배치된다. 언록킹 상태에서는 상기 승합차의 탑승구에 구비된 록킹걸쇠(2)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기 도어측 록킹걸쇠 결합홀과 베이스 브라켓(20)의 록킹걸쇠 진입홀(24H)로 들어와서 상기 록킹래치(30)의 상기 록킹걸쇠(2) 투입 개방부로 진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언록킹 상태에서 푸시록킹 지지편(42)은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래치 바디(32)의 록킹걸쇠 진입홀(24H)의 아래쪽 둘레부인 하부측 둘레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좀더 정확하게는 상기 록킹래치 바디(32)의 하부측 둘레부에 돌출된 하부 래치 걸림돌부에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의 바깥면에서 록킹래치(30) 쪽으로 돌출된 푸시돌출편이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걸려진다.
<1차 록킹 상태>
상기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가 탑승구를 닫아주기 위하여 승합차의 탑승구에 있는 록킹걸쇠(2) 쪽으로 전진하도록 슬라이딩되어 상기 록킹걸쇠(2)가 슬라이딩 도어의 상기 전면 도어측 록킹걸쇠 결합홀과 측면 도어측 록킹걸쇠 결합홀과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전면 록킹걸쇠 진입홀(24H)과 측면 록킹걸쇠 진입홀(24H) 및 상기 록킹래치(30)의 록킹걸쇠(2) 투입 개방부를 지난 다음, 록킹래치(30)의 록킹래치 바디(32)에 형성된 록킹걸쇠 진입홀(24H)에 1차로 걸려진 1차 록킹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1차 록킹 상태에서는 록킹래치(30)가 래치 힌지부(30RH)를 기준으로 1차로 상향 회동되어, 상기 록킹걸쇠(2)가 1차로 록킹래치(30)의 록킹걸쇠 걸림홀(34)에 걸려진다.
한편, 록킹래치 바디(32)의 타단부로 돌출된 록킹래치 걸림편(32C)은 베이스 브라켓(20)의 상기 상면부(22)에 형성된 록킹래치 걸림편 출몰홀(22H)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링크 어셈블리(60)를 형성하는 록킹 가동링크(66)가 록킹래치(30)의 록킹래치 걸림편(32C)을 밀어줄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록킹래치 걸림편 출몰홀(22H)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록킹래치(30)의 록킹래치 걸림편(32C)이 상기 록킹 가동링크(66)에 걸려지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록킹 가동링크(66)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걸림 연장 링크편(66A)이 구비되어, 상기 걸림 연장 링크편(66A)이 베이스 브라켓(20)의 록킹래치 걸림편 출몰홀(22H)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록킹래치(30)의 록킹래치 걸림편(32C)에 걸려지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1차 록킹 상태에서는 푸시록킹 지지편(42)은 상기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래치 바디(32) 내부에 형성된 록킹걸쇠 진입홀(24H) 내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걸려진다. 좀더 정확하게는 상기 록킹래치 바디(32)의 록킹걸쇠 걸림홀(34)의 내표면에 푸시록킹 지지편(42)의 바깥면에서 록킹래치(30) 쪽으로 돌출된 푸시돌출편이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걸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2차 록킹상태>
상기 1차 록킹상태에서 구동모터(50)의 작동에 의해 링크 어셈블리(60)가 래치 힌지부(30RH)를 기준으로 록킹래치(30)를 더 상향회동시켜서 2차 록킹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링크 어셈블리(60)는 구동모터(50)의 작동에 의해 베이스 브라켓(20)의 록킹래치 걸림편 출몰홀(22H)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록킹래치(30)의 록킹래치 걸림편(32C)을 밀어서 록킹래치(30)가 상기 베이스 브라켓(20)과 연결된 래치 힌지부(30RH)를 기준으로 더 상향 회동시켜서 2차 회동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록킹래치(30)가 2차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는 승합차의 탑승구에 구비된 록킹걸쇠(2)가 록킹래치(30)의 록킹걸쇠 걸림홀(34)에 완전히 걸려지는 2차 록킹 상태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회전하면 구동기어와 감속기어군에 의해 상기 회전 샤트트가 회전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가 회전하면 상기 베이스 링크(62)가 회동하여 연결 링크(64)와 록킹 작동링크를 힌지부(HG)를 기준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록킹 작동링크가 베이스 브라켓(20)의 상면부(22)에 형성된 록킹래치 걸림편 출몰홀(22H) 바깥쪽으로 나와 있는 록킹래치(30)의 록킹래치 걸림편(32C)을 밀어준다. 좀더 정확하게는 상기 구동모터(50)의 모터축 회전에 의해 베이스 링크(62)와 연결 링크(64) 및 록킹 작동링크가 힌지부(HG)들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록킹래치 걸림편(32C)의 한쪽 측면부에 구비된 걸림보조 오목홈(32SC)에 상기 록킹 작동링크의 걸림 연장 링크편(66A) 선단부에 구비된 걸림 콘택트 링크돌편(66CP)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 작동링크가 록킹래치(30)의 록킹래치 걸림편(32C)을 밀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에서 록킹래치(30)를 1차 록킹 상태보다 더 위쪽으로 상향 회동시킨다.
한편, 상기 록킹 어셈블리의 베이스 링크(62)와 연결 링크(64) 및 록킹 가동링크(66)가 회동하는 2차 록킹 상태로 전환 과정에서는 상기 록킹 가동링크(66)의 걸림 연장 링크편(66A)에 구비된 버튼 푸시 링크돌편(66BP)이 상기 스위치(68)의 스위칭 버튼을 누른 상태가 해제되어 스위칭 버튼이 스위치(68)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모터(50)에 모터축을 회전시키는 전원을 인가하므로, 상기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계속회전하여 베이스 링크(62)와 연결 링크(64) 및 록킹 가동링크(66)가 힌지부(HG)를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하므로, 상기 스위치(68)의 스위칭 버튼이 눌려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2차 록킹 상태의 전환 동작을 계속하게 된다.
록킹 작동링크가 록킹래치(30)의 록킹래치 걸림편(32C)을 밀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에서 록킹래치(30)를 1차 록킹 상태보다 더 위쪽으로 상향 회동시키면, 상기 록킹래치(30)의 록킹걸쇠 걸림홀(34)은 1차 록킹 상태에서보다 더 위쪽으로 세워져서 상기 록킹걸쇠(2) 투입 개방부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에 형성된 록킹걸쇠 진입홀(24H)과 슬라이딩 도어에 구비된 도어측 록킹걸쇠 결합홀의 측면 도어측 록킹걸쇠 결합홀 영역을 벗어나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전면 록킹걸쇠 진입홀(24H)과 슬라이딩 도어의 전면 도어 록킹 걸쇠 진입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승합차의 탑승구에 구비된 록킹걸쇠(2)는 록킹래치(30)의 상기 록킹걸쇠 진입홀(24H)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서 걸려진 2차 록킹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2차 록킹 상태에서는 록킹래치(30)의 록킹래치 걸림편(32C)은 베이스 브라켓(20)의 록킹래치(30) 출몰홀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이동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2차 록킹 상태에서는 푸시록킹 지지편(42)이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래치 바디(32)의 록킹걸쇠 진입홀(24H)의 위쪽 둘레부인 상부측 둘레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좀더 정확하게는 상기 록킹래치 바디(32)의 상부측 둘레부에 돌출된 상부 래치 걸림돌부에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의 바깥면에서 록킹래치(30) 쪽으로 돌출된 푸시돌출편이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걸려진다.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이 록킹래치(30)의 상부측 둘레부에 걸려지는 작용과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2차 록킹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록킹 어셈블리의 베이스 링크(62)와 연결 링크(64) 및 록킹 가동링크(66)의 회동에 의해 상기 2차 록킹 상태로 완전히 전환된 이후에는 록킹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베이스 링크(62)와 연결 링크(64) 및 록킹 가동링크(66)는 원래의 위치로 회동 복귀(즉, 언록킹 상태에서 있던 위치로 회동 복귀)하여 상기 록킹 가동링크(66)의 걸림 연장 링크편(66A)에 구비된 버튼 푸시 링크돌편(66BP)이 다시 상기 스위치(68)의 스위칭 버튼을 눌러주어서 상기 스위치(68)에서 구동모터(50)의 모터축 회전을 위한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스위치(68)에서 구동모터(50)의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와 같은 2차 록킹 상태로 전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는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로 탑승구를 닫아줄 때에 슬라이딩 도어가 1차로 록킹걸쇠(2)에 걸려지는 1차 록킹 상태로 전환되었다가 슬라이딩 도어가 1차로 록킹걸쇠(2)에 걸려지는 2차 록킹 상태로 전환되는 완충 록킹 작용을 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도어를 닫을 때에 구동모터(50) 등에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무거운 중량의 슬라이딩 도어를 작은 용량의 구동모터(50)의 힘으로 원활하게 닫히도록 할 수 있다. 1차 록킹 상태에서 구동모터(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링크 어셈블리(60)가 회동하여 작은 구동모터(50)의 힘에 의해서 록킹래치(30)를 밀어서 래치 힌지부(30RH)를 기준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승합차의 록킹걸쇠(2)가 록킹래치(30)의 록킹걸쇠 걸림홀(34)에 원활하게 걸리도록 하므로, 비교적 작은 용량의 구동모터(50)만으로도 비교적 무거운 중량의 슬라이딩 도어를 원활하게 록킹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2차 록킹 상태로 전환된 다음에 슬라이딩 도어를 다시 열어주려면, 상기 이너 베이스 브라켓(21)에 레버 힌지부(HG)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푸시 레버(23)에 의해 상기 1차 록킹 상태와 2차 록킹 상태를 해제한다.
물론, 상기 푸시 레버(23)에는 슬라이딩 도어에 구비된 오프닝 손잡이에 도어용 푸시 레버(23)가 연결되고, 상기 도어용 푸시 레버(23)는 상기 푸시 레버(23)를 밀어줄 수 있는 상태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오프닝 손잡이를 당겨주면 상기 도어용 푸시레버가 상기 푸시 레버(23)를 레버 힌지부(HG)를 기준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푸싱록킹 지지편을 밀어줌으로써 상기 록킹래치(30)의 록킹걸쇠 걸림홀(34)에서 록킹걸쇠(2)가 빠질 수 있는 언록킹 상태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 록킹걸쇠 20. 베이스 브라켓
21. 이너 베이스 브라켓 21A. 이너 내측 베이스 브라켓편
21B. 이너 전면 베이스 브라켓편 22. 상면부
22H. 록킹래치 걸림편 출몰홀 23. 푸시 레버
23EC. 확장 푸시 레버편 24. 전면부
24H. 록킹걸쇠 진입홀 25. 이너 베이스 스프링
26. 외측면부 30. 록킹래치
30RH. 래치 힌지부 32. 록킹래치 바디
32A. 코어 바디 32B. 바디 외피
32C. 록킹래치 걸림편 32SC. 걸림보조 오목홈
34. 록킹걸쇠 걸림홀 36. 록킹래치 스프링
42. 푸시록킹 지지편 42EC. 연장 푸시 콘택트편
44.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 50. 구동모터
60. 링크 어셈블리 62. 베이스 링크
64. 연결 링크 66. 록킹 가동 링크
66A. 걸림 연장 링크편 66BP. 버튼 푸시 링크 돌편
66CP. 걸림 콘택트 링크 돌편 68. 스위치

Claims (10)

  1. 전면부(24)에 록킹걸쇠 진입홀(24H)이 구비되고 적어도 상면부(22)에는 록킹래치 걸림편 출몰홀(22H)이 구비된 베이스 브라켓(20);
    양면과 일단부로 연동된 록킹걸쇠 걸림홀(34)을 구비한 록킹래치 바디(32)와, 상기 록킹래치 바디(32)의 타단부에서 돌출된 록킹래치 걸림편(32C)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상기 전면에 래치 힌지부(30RH)를 매개로 상기 록킹래치 바디(32)가 결합된 록킹래치(30);
    상기 록킹래치(30)를 상기 래치 힌지부(30RH)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록킹래치 스프링(36);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에 힌지부(HG)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록킹래치(30)의 상기 록킹래치 바디(32)의 하측 둘레부와 상기 록킹걸쇠 걸림홀(34)의 하측 둘레부에 각각 걸려지는 푸시록킹 지지편(42);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이 상기 록킹래치 바디(32)의 상기 하측 둘레부와 상기 록킹걸쇠 걸림홀(34)의 상측 둘레부에 각각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44);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에 장착된 구동모터(50);
    상기 구동모터(50)의 모터축에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상기 록킹래치 걸림편 출몰홀(22H)로 돌출된 상기 록킹래치(30)의 상기 록킹래치 걸림편(32C)을 밀어서 상기 록킹래치(30)의 상기 록킹걸쇠 걸림홀(34)에 차량의 탑승구에 구비된 록킹걸쇠(2)가 걸려지는 록킹상태로 전환시키는 링크 어셈블리(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은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록킹래치(30)의 상기 록킹래치 바디(32)가 힌지부(HG)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상기 전면부(24)에 결합되어,
    상기 록킹래치(30)가 상기 힌지부(HG)를 기준으로 하향회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은 상기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킹래치 바디(32)의 상기 록킹걸쇠 진입홀(24H)의 하부측 둘레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고,
    승합차의 탑승구에 구비된 록킹걸쇠(2)가 상기 록킹래치(30)의 상기 록킹래치 바디(32)에 형성된 상기 록킹걸쇠 진입홀(24H)에 1차로 걸려진 1차 록킹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은 상기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킹래치 바디(32)의 상기 록킹걸쇠 진입홀(24H) 내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걸려지고,
    상기 링크 어셈블리(60)는 상기 구동모터(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상기 록킹래치 걸림편 출몰홀(22H)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록킹래치(30)의 상기 록킹래치 걸림편(32C)을 밀어서 상기 승합차의 상기 탑승구에 구비된 상기 록킹걸쇠(2)는 상기 록킹래치(30)의 상기 록킹걸쇠 진입홀(24H)의 내부로 들어가서 걸려진 2차 록킹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은 상기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킹래치 바디(32)의 상기 록킹걸쇠 진입홀(24H)의 상부측 둘레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에 상기 힌지부(HG)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의 바깥면에는 푸시 돌출편(42PS)이 구비되어, 상기 록킹래치(30)가 상기 래치 힌지부(30RH)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의 상기 푸시 돌출편(42PS)이 상기 록킹걸쇠 진입홀(24H)의 하부측 둘레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록킹걸쇠(2)가 상기 록킹래치 바디(32)의 상기 록킹걸쇠 진입홀(24H)에 1차로 걸려진 1차 록킹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의 상기 푸시 돌출편(42PS)이 상기 록킹래치 바디(32)의 상기 록킹걸쇠 진입홀(24H) 내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걸려지고, 상기 록킹걸쇠(2)가 상기 록킹래치(30)의 상기 록킹걸쇠 진입홀(24H)의 내부로 들어가서 걸려진 2차 록킹 상태로 전환될 때에는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의 상기 푸시 돌출편(42PS)이 상기 록킹래치 바디(32)의 상기 록킹걸쇠 진입홀(24H)의 상부측 둘레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60)는,
    회전 샤프트가 상기 구동모터(50)의 모터축에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연결된 베이스 링크(62);
    상기 베이스 링크(62)의 선단부에 힌지부(HG)를 매개로 기단부가 연결된 연결 링크(64);
    상기 연결 링크(64)의 선단부에 힌지부(HG)를 매개로 기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기단부와 선단부 사이의 영역은 중간 힌지부(HG)에 의해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상면부(22)에 연결된 록킹 가동링크(6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록킹 가동링크(66)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상기 록킹래치 걸림편 출몰홀(22H)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기 록킹래치(30)의 상기 록킹래치 걸림편(32C)에 걸려지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래치(30)의 상기 록킹래치 바디(32)는,
    금속재의 코어 바디(32A);
    상기 코어 바디(32A)의 외표면을 감싸는 플라스틱 재질의 바디 외피(32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록킹래치 걸림편(32C)은 금속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금속재의 코어 바디(32A)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래치 스프링(36)은 코일 스프링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일단부에 구비된 일측 와이어 스프링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타단부에 구비된 타측 와이어 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부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에 구비된 상부 보스(BS)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일측 와이어 스프링부는 상기 록킹래치(30)에 연결되고, 상기 타측 와이어 스프링부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록킹 작동 스프링(44)은 코일 스프링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일단부에 구비된 일측 와이어 스프링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타단부에 구비된 타측 와이어 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부는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의 안쪽면으로 돌출된 보스(BS)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일측 와이어 스프링부는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에 연결되고, 상기 타측 와이어 스프링부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내부에는 이너 베이스 브라켓(2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이너 베이스 브라켓(21)에는 힌지부(HG)를 매개로 푸시 레버(23)가 결합되고, 상기 푸시 레버(23)의 선단부는 이너 베이스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의 기단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록킹 지지편(42)의 기단부에는 연장 푸시 콘택트편(42EC)이 구비되고, 상기 이너 베이스 브라켓(21)에 레버 힌지부(HG)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푸시 레버(23)의 선단부에는 확장 푸시 레버편(23EC)이 구비되어, 상기 확장 푸시 레버편(23EC)과 상기 연장 푸시 콘택트편(42EC)이 서로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베이스 스프링(25)은 코일 스프링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일단부에 구비된 일측 와이어 스프링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타단부에 구비된 타측 와이어 스프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부는 상기 푸시 레버(23)를 상기 이너 베이스 브라켓(2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상기 힌지부(HG)의 힌지핀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일측 와이어 스프링부는 상기 푸시 레버(23)에 연결되고, 상기 타측 와이어 스프링부는 상기 이너 베이스 브라켓(21)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
KR1020180094793A 2018-08-14 2018-08-14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 KR102072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793A KR102072545B1 (ko) 2018-08-14 2018-08-14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793A KR102072545B1 (ko) 2018-08-14 2018-08-14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545B1 true KR102072545B1 (ko) 2020-02-03

Family

ID=69626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793A KR102072545B1 (ko) 2018-08-14 2018-08-14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5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349B1 (ko) 2001-08-22 2003-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KR20120045096A (ko) * 2010-10-29 2012-05-09 주식회사 리한도어 차량용 도어래치
KR101154300B1 (ko) 2010-09-29 2012-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 컨트롤러
KR101480746B1 (ko) * 2013-09-26 2015-01-09 대동도어 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160066430A (ko) * 2014-12-02 2016-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KR101732596B1 (ko) * 2017-01-23 2017-05-04 주식회사 오토앤로봇 슬라이딩도어에 구비되는 파워락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349B1 (ko) 2001-08-22 2003-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KR101154300B1 (ko) 2010-09-29 2012-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 컨트롤러
KR20120045096A (ko) * 2010-10-29 2012-05-09 주식회사 리한도어 차량용 도어래치
KR101480746B1 (ko) * 2013-09-26 2015-01-09 대동도어 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160066430A (ko) * 2014-12-02 2016-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KR101732596B1 (ko) * 2017-01-23 2017-05-04 주식회사 오토앤로봇 슬라이딩도어에 구비되는 파워락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8610B2 (en) Door latch assembly of vehicle
US10100560B2 (en) Console for vehicle interior
US8646816B2 (en) Multistage door lock
JP4130020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盤開閉装置
KR20020037464A (ko)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시스템
EP1205619A1 (en) Locking controller of a sliding door
JP2017193943A (ja) 車両用シンチングラッチ組立体
KR101154300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 컨트롤러
EP2792829A2 (en) Vehicle door latch system
US20070138813A1 (en) Hold-open lock structure of sliding door
US8998277B2 (en) Outside handle for sliding door
CN112776572A (zh) 用于车辆的滑动/摆动复合车门
US11674340B2 (en) Rear emergency handle
KR102072545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
JP2009249836A (ja) 車両用ドア自動閉鎖装置
KR100303367B1 (ko) 자동차용 도어래치 어셈블리
TWM487341U (zh) 汽車門鎖的解鎖機構
KR100840141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JPH09303001A (ja) 自動車用ドア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ロック装置
JP6975698B2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装置
KR100535766B1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KR200482334Y1 (ko) 냉장 및 냉동고 도어용 도어록장치
JP3146820B2 (ja) 自動販売機の扉ロック機構
JP6643178B2 (ja) ロック解除機構
TWI512181B (zh) 汽車門鎖的解鎖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