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430A -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430A
KR20160066430A KR1020140170795A KR20140170795A KR20160066430A KR 20160066430 A KR20160066430 A KR 20160066430A KR 1020140170795 A KR1020140170795 A KR 1020140170795A KR 20140170795 A KR20140170795 A KR 20140170795A KR 20160066430 A KR20160066430 A KR 20160066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oor
pawl
pawl lever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3705B1 (ko
Inventor
최동욱
오종철
안기륜
노혁
박종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0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705B1/ko
Priority to US14/722,085 priority patent/US10415278B2/en
Priority to DE102015210439.7A priority patent/DE102015210439A1/de
Priority to CN201510315862.8A priority patent/CN106193847B/zh
Publication of KR20160066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E05B77/38Cushion elements, elastic guiding elements or holding elements, e.g. for cushioning or damping the impact of the bolt against the striker during closing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더 작은 힘으로도 차량용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는 차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배치된 도어핸들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작동 폴 레버; 가이드 홀을 포함하여 가이드 홀을 통하여 회전축에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작동 폴 레버가 일방향으로 회전 시 작동 폴 레버에서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가압되어 가이드 홀을 따라서 이동하는 지지 폴 레버; 및 지지 폴 레버가 제1 방향으로 이동 시, 지지 폴 레버에 구비된 지지부에 지지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것에 의하여 도어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클로 레버를 포함하고, 지지부는 지지 폴 레버가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DOOR LATCH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더 작은 힘으로도 차량용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도어(이하 도어라는 용어도 차량용 도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됨)는 자동차 등 차량의 탑승자가 차량에 승, 하차 하기 위하여 열고 닫는 문을 의미할 수 있다.
차량 탑승자 또는 승차자는 차량에 승, 하차 하기 위하여 손으로 도어핸들을 움직여 도어를 열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탑승자 또는 승차자가 도어를 손으로 열 때, 탑승자 또는 승차자는 도어핸들에 작용하는 소정의 저항력을 이기고 도어핸들을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도어핸들에 작용하는 저항력은 내부 장치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종래에는 차량용 도어핸들에 작용하는 이러한 저항력의 크기가 커서 문제되었다. 저항력으로 인하여 탑승자 또는 승차자가 때때로 차량용 도어를 여는데 필요 이상의 큰 힘을 가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어 문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더 작은 힘으로도 차량용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i치 장치는 차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배치된 도어핸들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작동 폴 레버; 가이드 홀을 포함하여 가이드 홀을 통하여 회전축에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작동 폴 레버가 일방향으로 회전 시 작동 폴 레버에서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가압되어 가이드 홀을 따라서 이동하는 지지 폴 레버; 및 지지 폴 레버가 제1 방향으로 이동 시, 지지 폴 레버에 구비된 지지부에 지지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것에 의하여 도어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클로 레버를 포함하고, 지지부는 지지 폴 레버가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는 작동 폴 레버, 작동 폴 레버가 일방향으로 회전 시 작동 폴 레버에서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가압되어 가이드 홀을 따라서 이동하는 지지 폴 레버, 지지 폴 레버에 구비된 지지부에 지지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것에 의하여 도어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클로 레버를 포함하고, 지지부는 지지 폴 레버가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더 작은 힘으로도 차량용 도어를 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열림 초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열림 중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열림 말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닫힘 초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닫힘 중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닫힘 말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비교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의 힘 평형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의 힘 평형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는 폴 리프팅 레버(110), 작동 폴 레버(120), 지지 폴 레버(130), 및 클로 레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폴 리프팅 레버(110)는 차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배치된 도어핸들(미도시)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레버일 수 있다. 도어핸들의 움직임에 따라 일방향(R) 또는 타방향(L)으로 회전할 수 있다.
작동 폴 레버(120)는 폴 리프팅 레버(110)에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다. 폴 리프팅 레버(110)와 작동 폴 레버(120)는 기어 결합에 의하여 서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톱니바퀴와 유사한 원리로 서로 회전 방향이 반대일 수 있다.
즉, 폴 리프팅 레버(110)가 반시계 방향으로 돌면 작동 폴 레버(120)는 시계 방향으로 돌게 될 수 있다. 또, 폴 리프팅 레버(110)가 시계 방향으로 돌면 작동 폴 레버(120)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게 될 수 있다. 작동 폴 레버(120)는 폴 리프팅 레버(1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에서는 작동 폴 레버(120)가 폴 리프팅 레버(110)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작동 폴 레버(120)는 그 자체로 차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배치된 도어핸들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레버일 수 있다. 즉, 폴 리프팅 레버(110)를 매개로 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도어핸들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한편, 작동 폴 레버(120)는 후술하는 지지 폴 레버(130)의 가이드 홀(135)에 따르는 움직임을 주도하는 레버일 수 있다. 작동 폴 레버(120)는 일방향(R1)으로 회전 시 지지 폴 레버(130)를 작동 폴 레버(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U)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가압부(123)는 지지 폴 레버(130)의 외형에 대응하는 대응면(125)을 구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더욱 원활한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지 폴 레버(130)는 가이드 홀(135)을 포함하여, 가이드 홀(135)을 통하여 회전축(131)에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지 폴 레버(130)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운동을 할 수도 있고, 동시에 가이드 홀(135)을 따라서 직선 이동을 할 수도 있다. 가이드 홀(135)에 따른 직선 이동은 W 방향이나 Q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일 수 있다.
작동 폴 레버(120)가 일방향(R1)으로 회전하면서 지지 폴 레버(130)를 작동 폴 레버(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U)으로 가압하면, 지지 폴 레버(130)는 가이드 홀(135)을 따라서 W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작동 폴 레버(120)에 의한 이러한 U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없어진다면, 지지 폴 레버(130)는 Q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클로 레버(140)는 지지 폴 레버(130)에 구비된 지지부(133)에 지지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것에 의하여 도어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레버일 수 있다. 클로 레버(140)에는 삽입홈(143)이 형성되어 있어, 도어가 장착되는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10)가 삽입될 수 있다.
클로 레버(140)가 회전이 제한되어 스트라이커(10)가 삽입홈(143)에 삽입된 채로 스트라이커(10)와 클로 레버(140)가 결합되어 있으면 도어는 닫힌 상태일 수 있다. 그 상태는 닫힘이 유지되는 상태일 수 있다.
그러나 클로 레버(140)가 일방향(R2)으로 회전함에 따라 스트라이커(10)가 삽입홈(143)으로부터 빠져나가 클로 레버(140)와 스트라이커(10)가 분리되면 도어가 열린 상태일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는 스트라이커(10)는 차체에 고정되어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과정에서 움직이지 않는 장치일 수 있다. 움직이는 것은 클로 레버(14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과정에서 스트라이커(10)가 O 방향(열리는 방향)이나 C 방향(닫히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 폴 레버(130)가 W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클로 레버(140)는 지지 폴 레버(130)에 구비된 지지부(133)에 지지되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어의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33)는 상기 작동 폴 레버(120)가 상기 지지 폴 레버(130)를 가압하는 방향(U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는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 인하여 더 작은 힘으로도 차량용 도어를 열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좀더 구제적으로 설명한다. 차량용 도어는 도어의 테두리에 차폐 고무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차폐 고무로 인하여 도어가 닫혔을 때 비나 눈, 먼지 등 외부의 이물질이 차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차폐 고무는 탄성을 가지는 탄성체로서, 도어와 차체 사이에 강한 압력으로 꽈 끼워져 있다. 그러므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는 열리는 방향으로 반력(도어 반력)을 받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스트라이커(10)가 움직이는 것으로 가정했으므로, 이러한 도어 반력은 도 1에서 F1으로 표시될 수 있다. 차가 닫힌 상태에서 스트라이커는 F1의 힘을 받고 있게 된다. F1의 작용으로 클로 레버(140)는 R2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는다. 그런데 이러한 클로 레버(140)를 지지 폴 레버(130)의 지지부(133)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지지하고 있으므로, 클로 레버(140)는 지지부(133)에 F2 반력을 가하게 된다.
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지지부(133)에 가해지는 F2의 힘(수직 항력)에 의해서 발생하는 클로 레버(140)와 지지부(133) 사이의 마찰력(Fpr)을 이기고 지지부(133)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작동력이 필요하다.
지지부(133)를 직접 가압하여 이동시키려면 작동력은 마찰력(Fpr)만큼 커져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는 작동 폴 레버(120)를 도입하여 작동 폴 레버(120)의 회전을 통하여 지지부(133)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찰력(Fpr)보다 더 작은 작동력으로 도어를 열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의 작동 과정을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열림 초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열림 중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열림 말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에 의하여 도어가 열리는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최초 닫힘 상태 도 1에서 작동 폴 레버(120)가 지지 폴 레버(130)의 하단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는 유동 없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열림 초기 상태로 도 2를 참조하면, 도어핸들 작동 시 폴 리프팅 레버(110)가 일방향(R3 방향)으로 회전하며 기어로 연결된 작동 폴 레버(120)를 타방향(L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작동 초기에는 작동 폴 레버(120)가 지지 폴 레버(13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도 3은 열림 중기 상태로 도 3을 참조하면, 도어핸들을 충분히 당기면, 작동 폴 레버(120)가 타방향(L1 방향)으로 충분히 회전하여 더 이상 지지 폴 레버(130)를 지지하지 않게 된다. 이때, 클로 레버(140)의 반력을 받는 지지 폴 레버(130)는 회전 축의 가이드 홀(135)의 가이드 방향을 따라서 Q 방향으로 아래 방향으로 밀려나 이동 하게 된다. Q 방향은 작동 폴 레버(120)에 가까워지는 방향일 수 있다.
도 4는 열림 말기 상태로 도 4를 참조하면, 지지 폴 레버(130)가 충분히 아래로 밀려나게 되면, 클로 레버(140)는 지지부(133)에 의한 지지를 더 이상 받지 못하고 지지 폴 레버(130)의 구속에서 풀려나 도어가 열리는 방향인 R2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어는 열리게 된다.
도 4에서 스트라이커(10)가 삽입홈(143)을 빠져나가 클로 레버(140)와 스트라이커(10)는 서로 분리된 상태가 된다. 클로 레버(140)는 도어가 열린 후에도 계속적으로 R2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클로 레버(140)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어서 항상 R2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의 위치를 유지하려는 힘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도어핸들이 원위치로 돌아오면, 작동 폴 레버(12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면서 지지 폴 레버(130)를 위로 밀어 올리게 된다. 폴 리프팅 레버(110)에는 복원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도어핸들이 원위치로 돌아갈 시에 원위치로 돌아가게 되며, 작동 폴 레버(120)는 폴 리프팅 레버(110)와 연동하여 움직이므로 작동 폴 레버(120) 역시 도어핸들이 원위치로 돌아갈 시에 원위치로 복귀하려고 하게 된다(R1 방향).
작동 폴 레버(120)가 지지 폴 레버(130)를 위로 밀어 올릴 때, 지지 폴 레버(130)는 클로 레버(140)와의 접촉으로 더 이상 위로 올라가지 못하고 멈추어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는 폴 스프링 레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폴 스프링 레버(150)는 지지 폴 레버(130)의 지지부(133)가 클로 레버(140)의 회전축(14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지지 폴 레버(130)에 회전력을 가하는 레버일 수 있다. 지지 폴 레버(130)는 지지부(133)가 돌출하는 방향의 반대 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137)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 폴 레버(130)는 이 돌기부(137)를 통하여 폴 스프링 레버(150)로부터 회전력을 받을 수 있다.
클로 레버(140)와 접촉으로 더 이상 위로 올라가지 못하고 멈추어 선 지지 폴 레버(130)는 작동 폴 레버(120)와 폴 스프링 레버(150)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는 지지 폴 레버(130)가 움직일 때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기 위한 댐퍼(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댐퍼(160)는 소음을 방지하는 역할 이외에도 지지 폴 레버(13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5는 닫힘 초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닫힘 중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닫힘 말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에 의하여 도어가 닫히는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닫힘 초기 상태, 닫힘 중기 상태, 및 닫힘 말기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어가 닫힐 때 스트라이커(10)는 E 방향으로 이동한다. E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트라이커(10)는 클로 레버(140)의 삽입홈(143)에 삽입되고, 계속적으로 E 방향으로 이동한다.
삽입홈(143)에 삽입된 채로 E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는 스트라이커(10)에 의하여 클로 레버(140)는 L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7에서 도시되는 상태까지 스트라이커(10)에 의해 클로 레버(140)가 L2 방향으로 회전하고 나면 클로 레버(140)와 접촉되어 있던 지지 폴 레버(130)가 작동 폴 레버(120)에 의하여 가압력을 받아 클로 레버(14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작동 폴 레버(120)가 일방향(R1)으로 회전하며 지지 폴 레버(130)를 작동 폴 레버(120)에서 멀어지는 방향(U)으로 가압력을 가하고 그에 따라 지지 폴 레버(130)가 가이드 홀(135)을 따라서 W 방향으로 이동하며, 지지 폴 레버(130)는 원래의 닫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폴 스프링 레버(150)는 R3 방향으로 회전하며 지지 폴 레버(130)에 회전력을 가하고, 그에 따라 지지 폴 레버(130)의 지지부(133)는 클로 레버(140)의 회전축(14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지부(133)는 클로 레버(140)를 지지할 수 있는 닫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어가 완전히 닫힌 이후에 E 방향으로의 진행을 멈춘 스트라이커(10)는 도어 반력을 받게 되고(도 1의 F1 참조), 이에 의하여 클로 레버(140)는 다시 R2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지지부(133)에 가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133)는 최초 닫힘 상태에서와 마찬가지로 클로 레버(140)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힘 평형 관계식을 통한 정량적 설명]
도 8은 비교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의 힘 평형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어 반력을 Fseal 이라고 하고 탑승자 또는 승차자가 도어를 열기 위해 필요한 힘(작동력)을 Fpo 라고 했을 때 힘 평형 또는 토크 평형 관계를 이용하여 Fseal 과 Fpo 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Fseal ×L1 = Fp ×L2 ---(1), Fpo × L4 = Fpr × L3 ---(2), Fpr = Fp × μ(마찰 계수) ---(3) 의 세 식을 정리하면, 도 8에서와 같은 Fseal 과 Fpo 의 관계식이 도출될 수 있다.
여기서 작동력(Fpo)은 도어 반력(Fseal)에 의해 클로 레버(140)가 폴 레버(180)에 작용하는 힘인 Fp 반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Fpr)을 이기고 폴 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의 힘 평형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서도, 도어 반력을 Fseal 이라고 하고 탑승자 또는 승차자가 도어를 열기 위해 필요한 힘(작동력)을 Fpo 라고 했을 때, 도 8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힘 평형 또는 토크 평형 관계를 이용하여 Fseal 과 Fpo 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의하여 구해진 관계식을 비교해 볼 때, 도 8의 비교예에서 구한 작동력(Fpo)보다 도 9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에 의한 작동력(Fpo)이 sinθ의 비율만큼 더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θ가 19.471도일 때 sinθ는 약 1/3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작동력(Fpo)은 비교예에서의 작동력(Fpo)보다도 1/3만큼 작아질 수 있다. 이 말은 곧 탑승자 또는 승차자가 1/3만큼 작은 힘으로도 동일한 도어를 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렇게 더 작은 힘으로도 도어를 열수 있게 작동력(Fpo)이 줄어드는 이유는 FMP의 반력이 FPIN과 FSP의 두 힘으로 분산되기 때문이다(도 9 참조). 또한 이렇게 힘이 분산될 수 있는 이유는 지지 폴 레버(130)에 추가적으로 작동 폴 레버(120)를 적용하고, 작동 폴 레버(120)가 지지 폴 레버(130)를 가압하는 방향(Fsp)과 다른 방향으로 지지부(133)가 돌출하여 클로 레버(140)를 지지하기 때문이다.
실시예 2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 2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달리 아웃 레버를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참고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또는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상당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는 아웃 레버(2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웃 레버(270)는 도어의 바깥 쪽에 위치하는 아웃 사이드 핸들(미도시)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레버이고, 아웃 레버(270)가 작동 시 폴 리프팅 레버(110)가 회전할 수 있다. 아웃 레버(270)는 아웃 사이드 핸들과 폴 리프팅 레버(110)를 매개하는 레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는 이러한 아웃 레버(270)를 더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도어 래치 장치를 차량 안쪽의 도어 핸들과 차량 바깥 쪽에 있는 아웃 사이드 핸들 각각을 이용해서 작동 시킬 수 있게 된다.
차량의 바깥에 있는 탑승자는 아웃 사이드 핸들을 조작하여 차량을 열 수 있다. 아웃 사이드 핸들을 당겨서 아웃 레버(270)를 작동 시키면 그에 따라 폴 리프팅 레버(110)가 R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R방향으로 회전하는 폴 리프팅 레버(110)는 작동 폴 레버(120)를 L1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도어를 여는 작동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작동 폴 레버(120) 이후의 도어를 여는 과정은 실시예 1에서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스트라이커
110: 폴 리프팅 레버
120: 작동 폴 레버
121: 회전축
123: 가압부
125: 대응면
130: 지지 폴 레버
131: 회전축
133: 지지부
135: 가이드 홀
137: 돌기부
140: 클로 레버
141: 회전축
143: 삽입홈
150: 폴 스프링 레버
151: 회전축
160: 댐퍼
270: 아웃 레버

Claims (10)

  1. 차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배치된 도어핸들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작동 폴 레버;
    가이드 홀을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 홀을 통하여 회전축에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작동 폴 레버가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작동 폴 레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서 이동하는 지지 폴 레버; 및
    상기 지지 폴 레버가 상기 가압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서 이동 시, 상기 지지 폴 레버에 구비된 지지부에 지지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도어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클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작동 폴 레버가 상기 지지 폴 레버를 가압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폴 레버는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지지 폴 레버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 폴 레버의 외형에 대응하는 대응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로 레버에는 상기 도어가 장착되는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폴 레버가 타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지지 폴 레버는 상기 작동 폴 레버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클로 레버는 상기 지지부에 의한 지지가 풀려 상기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 폴 레버의 상기 지지부가 상기 클로 레버의 회전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 폴 레버에 회전력을 가하는 폴 스프링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 폴 레버는 상기 폴 스프링 레버로부터 회전력을 받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폴 레버가 움직일 때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기 위한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폴 레버는 상기 차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배치된 도어핸들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폴 리프팅 레버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폴 리프팅 레버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폴 리프팅 레버와 상기 작동 폴 레버는 기어 결합에 의하여 서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폴 리프팅 레버는 상기 도어의 바깥 쪽에 위치하는 아웃사이드 핸들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아웃 레버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KR1020140170795A 2014-12-02 2014-12-02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KR101673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795A KR101673705B1 (ko) 2014-12-02 2014-12-02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US14/722,085 US10415278B2 (en) 2014-12-02 2015-05-26 Door latch device for vehicle
DE102015210439.7A DE102015210439A1 (de) 2014-12-02 2015-06-08 Türriegel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CN201510315862.8A CN106193847B (zh) 2014-12-02 2015-06-10 用于车辆的门锁栓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795A KR101673705B1 (ko) 2014-12-02 2014-12-02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430A true KR20160066430A (ko) 2016-06-10
KR101673705B1 KR101673705B1 (ko) 2016-11-07

Family

ID=55967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795A KR101673705B1 (ko) 2014-12-02 2014-12-02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15278B2 (ko)
KR (1) KR101673705B1 (ko)
CN (1) CN106193847B (ko)
DE (1) DE1020152104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545B1 (ko) * 2018-08-14 2020-02-03 주식회사 아성기업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9376A1 (de) * 2016-06-07 2017-12-07 Magna Closures Inc. Fahrzeugverschluss-Verriegelungsanordnung mit Doppelklinken-Verriegelungsmechanismus
CN107642284A (zh) * 2017-10-31 2018-01-30 无锡瑞林控制软件有限公司 汽车侧门锁传动装置
US10864831B2 (en) * 2019-01-11 2020-12-15 Kiekert Ag Motor vehicle latch, in particular, backrest latch on a motor vehicle seat
CN114458109B (zh) * 2022-02-17 2023-05-30 杭州锐信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具有雪载功能的侧门锁传动机构及实施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4512A (ja) * 2004-11-25 2006-06-08 Mitsubishi Motors Corp ドアラッチ装置
KR20100125642A (ko) * 2009-05-21 2010-12-01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래치장치
KR101220394B1 (ko) * 2011-12-07 2013-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록킹 어셈블리
KR101434980B1 (ko) * 2013-10-08 2014-08-27 평화정공(주) 래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4511A (en) * 1968-03-04 1970-04-07 Perry E Allen Electric lock release
FR2372299B1 (ko) * 1976-11-30 1979-03-23 Cerdan Jacques
US4334704A (en) * 1980-03-31 1982-06-15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Automobile door locking mechanism
US4763936A (en) * 1986-10-20 1988-08-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wer operated door latch
US4936611A (en) * 1988-02-03 1990-06-26 Magna International Inc. Hood latch
JPH0723658B2 (ja) * 1988-12-21 1995-03-15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用ロック機構
DE19547727A1 (de) * 1995-12-20 1997-06-26 Vdo Schindling Einrichtung zum Entriegeln von Türen
DE19650136B4 (de) * 1996-12-03 2006-06-29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Türschloß o. dgl. mit Freilauf
US6547291B1 (en) * 2001-01-26 2003-04-15 Midway Products Group, Inc. Latch assembly for vehicle hood
DE102004040157B3 (de) 2004-08-19 2006-07-1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oss für Türen oder Klappen an Fahrzeugen
KR100694453B1 (ko) 2006-06-16 2007-03-12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파워 클로징 래치
DE102007003948A1 (de) * 2006-11-22 2008-05-29 Kiekert Ag Schlosseinheit mit mehrteiliger Sperrklinke
GB0703597D0 (en) * 2007-02-23 2007-04-04 Meritor Technology Inc Latch assembley
US8596694B2 (en) 2008-09-04 2013-12-03 Magna Closures S.P.A. Vehicle latch with secondary engagement between cam and auxiliary pawl
DE102008048712A1 (de) 2008-09-24 2010-03-25 Kiekert Ag Schlosseinheit mit Mehrklinken-Gesperre
US8235428B2 (en) 2009-07-14 2012-08-07 Kiekert Ag Lock unit having a slotted pawl
EP3567196A1 (en) * 2010-02-05 2019-11-13 Magna Closures SpA Vehicular latch with double pawl arrangement
DE102011010797A1 (de) * 2011-02-09 2012-08-09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1010816A1 (de) 2011-02-09 2012-08-09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JP5948786B2 (ja) 2011-10-14 2016-07-06 株式会社アンセイ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4512A (ja) * 2004-11-25 2006-06-08 Mitsubishi Motors Corp ドアラッチ装置
KR20100125642A (ko) * 2009-05-21 2010-12-01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래치장치
KR101220394B1 (ko) * 2011-12-07 2013-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록킹 어셈블리
KR101434980B1 (ko) * 2013-10-08 2014-08-27 평화정공(주) 래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545B1 (ko) * 2018-08-14 2020-02-03 주식회사 아성기업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완충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60541A1 (en) 2016-06-09
US10415278B2 (en) 2019-09-17
DE102015210439A1 (de) 2016-06-02
CN106193847B (zh) 2020-02-21
CN106193847A (zh) 2016-12-07
KR101673705B1 (ko) 2016-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705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US9534429B2 (en) Latch apparatus
US10648204B2 (en) Latch for a door of a motor vehicle
KR20140138611A (ko) 작동 장치
JPH06200669A (ja) 発条緊張し得る開放レバーを備えた自動車扉閉鎖装置
KR101918367B1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US10767396B2 (en) Vehicular latch assembly with latch mechanism having pop-off sound reduction
US20180252007A1 (en) Safety device for bonnets comprising an electric drive and lockable actuator
US10190342B2 (en) Door lock mechanism for vehicle
US20060273090A1 (en) Lid device
JP2009249836A (ja) 車両用ドア自動閉鎖装置
KR101795383B1 (ko) 테일게이트의 팝업구조
JP5298302B2 (ja) ドアチェック装置
WO2015070720A1 (zh) 一种二级锁闭装置、漏斗车底门及漏斗车
US20190352944A1 (en) Handle comprising a movable lock cylinder unit
KR102054588B1 (ko) 글로브 박스
US11680430B2 (en) Linear cinching spindle
WO2016084292A1 (ja) ポップアップ装置
EP2407618A1 (en) Snap-closing device for doors
KR20160039715A (ko)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조
KR20160059312A (ko) 트렁크용 래치장치
KR101075705B1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레버의 커버장치
KR101743004B1 (ko) 전동차량의 윈도우 개폐 장치
EP3061894B1 (en) Automatic safety lock
US20200056405A1 (en) Inside release spring for vehicle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