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367B1 -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367B1
KR101918367B1 KR1020160170069A KR20160170069A KR101918367B1 KR 101918367 B1 KR101918367 B1 KR 101918367B1 KR 1020160170069 A KR1020160170069 A KR 1020160170069A KR 20160170069 A KR20160170069 A KR 20160170069A KR 101918367 B1 KR101918367 B1 KR 101918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ocking
claw
link
mai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280A (ko
Inventor
임용혁
변민형
탁문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19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26Output elements
    • E05B81/30Rotary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66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2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lock status, i.e. locked or unlocked cond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2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lock status, i.e. locked or unlocked condition
    • E05B81/7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lock status, i.e. locked or unlocked condition by sensing the state of the actua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013Electronic control of motors during manual wing operation
    • E05Y2800/1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베이스 플레이트; 제1로킹홈; 모터를 통해 동력을 공급받는 메인기어;
중앙부가 제1로킹홈을 중심으로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로킹홈이 형성되며,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클로우; 메인기어의 회동에 따라 연동하여 동력을 클로우에 전달하는 링크 어셈블리; 클로우의 움직임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클로우 로킹 어셈블리; 및 링크 어셈블리와 로킹 어셈블리의 회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TRUNK LATCH MODULE FOR VEHICLE}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트렁크의 잠금 및 해제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물건을 싣고 내리는 트렁크 도어나 사람이 승하차 하는 도어 엔진룸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후드가 있으며 각각의 도어에는 스트라이커와 잠금 및 해제되는 도어래치가 설치된다.
그 중에서도 트렁크의 개폐를 위해 설치되는 트렁크 래치의 경우, 사용자가 충분한 힘을 가하여 닫지 않은 경우 일반적으로 운전석에 탑승 후 계기판의 시그널을 보고 파악하게 되며, 다시 트렁크로 이동하여 개폐상태를 확인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파워트렁크 래치로 모터를 통해 트렁크를 완전 잠금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만, 기존에는 잠금과 개방을 위해서 각기 별도의 방향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2개의 모터가 소요되었으나 이는 부피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차체 내부에 탑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JP 2008-13932 A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면서도 트렁크 래치의 잠금 및 해제 기능을 모두 구현할 뿐만 아니라, 비상 개방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은 베이스 플레이트; 스트라이커가 삽입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하단에서 중앙부를 향해 만입되어 형성된 제1로킹홈; 제1로킹홈의 상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터를 통해 동력을 공급받는 메인기어; 중앙부가 제1로킹홈을 중심으로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에는 중앙부를 향해 만입되어 형성되되 스트라이커의 진입위치에 대향하도록 제2로킹홈이 형성되며,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클로우; 메인기어에 결합되고, 메인기어의 회동에 따라 연동하여 동력을 클로우에 전달하는 링크 어셈블리; 링크 어셈블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클로우의 움직임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클로우 로킹 어셈블리; 및 링크 어셈블리와 로킹 어셈블리의 회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버;를 포함하고, 모터의 동력에 의해 메인기어가 일측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링크 어셈블리 및 클로우 로킹 어셈블리가 클로우의 걸림돌기에 걸림으로써 클로우가 로킹 되고, 메인기어가 타측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링크 어셈블리 및 클로우 로킹 어셈블리가 클로우 걸림돌기에서 이탈함으로써 클로우가 언로킹 된다.
모터와 메인기어는 웜과 웜기어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클로우의 걸림돌기는 제1걸림돌기, 제2걸림돌기 및 제3걸림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링크 어셈블리는 메인기어를 가로질러 고정되고 메인기어의 회동에 따라 함께 연동하는 제1링크; 및 일단이 제1링크의 타단과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슬릿 돌기가 형성된 제2링크;로 구성될 수 있다.
로킹 어셈블리는 일단이 제1로킹홈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중앙부에서 제1로킹홈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연장부가 마련된 에러레버; 및 클로우와 접촉하는 제1레버와 링크어셈블리와 접촉하는 제2레버로 구성되고, 제1레버와 제2레버의 연결부분이 에러레버와 동일한 회전축 상에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에러레버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폴레버;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버는 일단부에는 에러레버의 연장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제2링크의 슬릿 돌기가 삽입되어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제1슬릿홈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클로우의 회전축을 따라 가이드레버가 회동하되 회전축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슬릿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트라이커가 제1로킹홈을 따라 삽입시 클로우의 제3돌기를 밀어 회동시키고 제2로킹홈이 제1로킹홈을 차단함으로써 1단 로킹이 될 수 있다.
1단 로킹이 완료시 제2링크의 타단은 제1걸림돌기에 걸리도록 위치되고, 폴레버는 제2걸림돌기에 위치될 수 있다.
메인기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 제2링크의 타단이 클로우의 제1걸림돌기를 밀어 폴레버가 제3걸림돌기에 걸릴 때까지 클로우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2단 로킹될 수 있다.
메인기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제1링크와 제2링크의 힌지연결부가 에러레버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이와 연동하여 폴레버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폴레버가 제3걸림돌기에서 이탈되어 해제됨에 따라 언로킹 될 수 있다.
에러레버에 부착된 제1센서를 통해 1단 로킹 상황을 감지하고, 모터를 동작제어하여 메인기어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제어하며, 베이스 플레이트에 클로우와 인접하여 마련된 제2센서를 통해 2단 로킹의 완료를 인식하고, 메인기어의 상단에 위치한 제3센서를 통해 메인기어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제어하여 제2링크의 타단이 클로우의 제2걸림돌기 위치에 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러레버의 타단에 힘을 가하여 에러레버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폴레버를 제3걸림돌기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비상열림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폴레버는 제2레버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에러레버의 연장부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레버;를 더 포함하고, 메인기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제1링크와 제2링크의 힌지연결부가 제3레버를 눌러 에러레버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이와 연동하여 폴레버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폴레버가 제3걸림돌기에서 이탈되어 해제됨에 따라 언로킹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에 따르면, 하나의 모터로 트렁크의 로킹 및 언로킹을 모두 구현할 수 있게 되며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차체 내부에 탑재함에 있어서도 유리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의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의 언로킹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의 로킹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의 비상 열림 기능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의 언로킹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의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의 언로킹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의 로킹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의 비상 열림 기능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은 베이스 플레이트(100); 스트라이커(10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00) 하단에서 중앙부를 향해 만입되어 형성된 제1로킹홈(103); 제1로킹홈(103)의 상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터를 통해 동력을 공급받는 메인기어(201); 중앙부가 제1로킹홈(103)을 중심으로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에는 중앙부를 향해 만입되어 형성되되 스트라이커(101)의 진입위치에 대향하도록 제2로킹홈(303)이 형성되며,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305)가 형성된 클로우(301); 메인기어(201)에 결합되고, 메인기어(201)의 회동에 따라 연동하여 동력을 클로우(301)에 전달하는 링크 어셈블리(400); 링크 어셈블리(4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클로우(301)의 움직임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클로우 로킹 어셈블리(500); 및 링크 어셈블리(400)와 클로우 로킹 어셈블리(500)의 회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버(600);를 포함하고, 모터의 동력에 의해 메인기어(201)가 일측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링크 어셈블리(400) 및 클로우 로킹 어셈블리(500)가 클로우(301)의 걸림돌기(305)에 걸림으로써 클로우(301)가 로킹 되고, 메인기어(201)가 타측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링크 어셈블리(400) 및 클로우 로킹 어셈블리(500)가 클로우(301) 걸림돌기(305)에서 이탈함으로써 클로우(301)가 언로킹 된다. 모터와 메인기어(201)는 웜과 웜기어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은 모터의 힘을 웜과 웜기어를 통해 강화시키는 메인기어(201), 메인기어(201)의 일정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 또는 또다른 회전운동으로 전환시켜주는 링크 어셈블리(400), 스트라이커(101)를 로킹하는 클로우(301)와 클로우(301)의 로킹상태를 고정해주는 클로우 로킹 어셈블리(500) 및 링크 어셈블리(400)와 클로우 로킹 어셈블리(500)의 상대운동을 조율하는 가이드 레버(60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클로우(301)의 걸림돌기(305)는 제1걸림돌기(305a), 제2걸림돌기(305b) 및 제3걸림돌기(305c)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제1걸림돌기(305a)는 스트라이커(101)를 2단로킹하기 위해 클로우(301)를 최종위치까지 회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2걸림돌기(305b)는 1단 로킹상태를 고정해주는 역할을 하며, 제3걸림돌기(305c)는 2단 로킹상태를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링크 어셈블리(400)는 메인기어(201)를 가로질러 고정되고 메인기어(201)의 회동에 따라 함께 연동하는 제1링크(401); 및 일단이 제1링크(401)의 타단과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슬릿 돌기(405)가 형성된 제2링크(403);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링크(401)는 메인기어(201)에 고정결합되어 메인기어(201)의 회전과 함께 회전을 하게 된다. 제1링크(401)의 타단은 메인기어(201)의 외주면을 벗어나 돌출되는 형태이며 메인기어(201)의 외주면에서 절곡되어 제2링크(403)와 연결되어 있다. 제2링크(403)는 일단이 제1링크(401)와 연결되고 타단에는 슬릿 돌기(405)가 형성되어 가이드 레버(600)와 연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링크(401)와 제2링크(403)의 연결부위는 에러레버(501)와 접촉하여 밀어줌으로써 동력을 전달하고 이를 바탕으로 에러레버(501)는 회동하게 된다.
제2링크(403)의 타단은 제1링크(401)를 통하여 전달받은 회전력을 슬릿 돌기(405)를 통해 가이드 레버(600)에 전달하며, 후술하는 가이드 레버(600)의 제1슬릿홈(603)을 따라 이동하며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클로우 로킹 어셈블리(500)는 일단이 제1로킹홈(103)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중앙부에서 제1로킹홈(103)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연장부(503)가 마련된 에러레버(501); 및 클로우(301)와 접촉하는 제1레버(507)와 링크 어셈블리(400)와 접촉하는 제2레버(509)로 구성되고, 제1레버(507)와 제2레버(509)의 연결부분이 에러레버(501)와 동일한 회전축 상에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에러레버(501)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폴레버(505);로 구성될 수 있다.
에러레버(501)는 메인기어(201)와 링크 어셈블리(400)를 통해 전달된 회전력을 폴레버(505)를 통해 클로우(301)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폴레버(505)는 에러레버(501)와 회전축을 공유하며 에러레버(501)를 통해 전달된 힘을 통하여 클로우(301)는 밀어 회동시키거나 클로우(301)가 회동된 뒤에는 그 회동상태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에러레버(501)의 타단에 힘을 가하여 에러레버(50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폴레버(505)를 제3걸림돌기(305c)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비상열림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에러레버(501)는 비상상황에서 수동적으로 트렁크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비상해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적 키 역할을 수행한다.
도 4a 내지 도 4b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에러레버(501)의 타단에 힘을 가하여 에러레버(50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비상열림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에러레버(501)의 타단에 힘을 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며 폴레버(50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클로우(301)의 회동상태를 고정하던 것이 해제되므로 클로우(301)는 스트라이커(101)가 이탈될 수 있도록 개방하게 된다.
가이드 레버(600)는 일단부에는 에러레버(501)의 연장부(503)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가이드 돌기(601)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제2링크(403)의 슬릿 돌기(405)가 삽입되어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제1슬릿홈(603)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클로우(301)의 회전축을 따라 가이드레버 회동하되 회전축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슬릿홈(605);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버(600)의 일단부는 부채꼴 형상으로 부채꼴의 호를 따라 제1슬릿홈(603)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부채꼴 호의 반지름 방향을 따라 제2슬릿홈(605)이 형성되어 있다. 제1슬릿홈(603)의 상방에는 가이드 돌기(601)가 형성되어 에러레버(501)의 연장부(503)를 따라 이동하고 제1슬릿홈(603)에는 제2링크(403)의 슬릿돌기가 삽입되어 이동하며, 제2슬릿홈(605)은 클로우(301)의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에러레버(501) 제2링크(403) 및 클로우(301)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운동관계를 조절하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스트라이커(101)가 제1로킹홈(103)을 따라 삽입시 클로우(301)의 제3돌기를 밀어 회동시키고 제2로킹홈(303)이 제1로킹홈(103)을 차단함으로써 1단 로킹이 될 수 있다. 1단 로킹이 완료시 제2링크(403)의 타단은 제1걸림돌기(305a)에 걸리도록 위치되고, 폴레버(505)는 제2걸림돌기(305b)에 위치될 수 있다. 메인기어(20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 제2링크(403)의 타단이 클로우(301)의 제1걸림돌기(305a)를 밀어 폴레버(505)가 제3걸림돌기(305c)에 걸릴 때까지 클로우(301)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2단 로킹될 수 있다.
종래에는 클로우(301)를 통한 로킹을 구현함에 있어서 내부의 링크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하여 모터의 힘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함에 따라 로킹 및 언로킹의 메커니즘을 모두 구현하지 못하고 각각의 회동방향에 복수개의 모터를 구비하여 기능을 구비하였다. 다만 이러한 경우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의 패키징에 어려움이 생겨 차체에 장착하는데 많은 어려움과 불리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모터를 통하여 트렁크 래치의 로킹과 언로킹을 모두 구현함으로써 원가의 절감 및 패키징의 유리 장착공간 확보의 용이성의 증가등 다양한 효과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클로우(301)의 회전중심에는 토션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통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클로우(301)는 기본적으로 제1로킹홈(103)을 개방상태로 만들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킹 메커니즘을 살펴보면, 스트라이커(101)가 제1로킹홈(103)에 삽입되어 들어오면서 클로우(301)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며 1단 로킹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 레버(600)의 가이드 돌기(601), 제1슬릿홈(603) 및 제2슬릿홈(605)의 상대운동의 결과 제2링크(403)의 타단은 클로우(301)의 제1걸림돌기(305a)에 폴레버(505)는 제2걸림돌기(305b)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통해 1단 로킹 상태가 고정되게 된다.
이때 메인기어(201)가 반시계방향으로 계속 회동하게 되면 제2링크(403)의 타단부가 가이드 레버(600)의 제1슬릿홈(603)을 따라 이동하며 클로우(301)의 제1걸림돌기(305a)를 밀게 되고, 이를 통해 클로우(301)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클로우(301)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로킹홈(103)은 클로우(301)에 의하여 완전 폐쇄되며, 폴레버(505)는 제2걸림돌기(305b)를 이탈하여 제3걸림돌기(305c)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2단 로킹상태가 고정되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메인기어(20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제1링크(401)와 제2링크(403)의 힌지연결부가 에러레버(50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이와 연동하여 폴레버(50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폴레버(505)가 제3걸림돌기(305c)에서 이탈되어 해제됨에 따라 언로킹 될 수 있다.
클로우(301)에는 토션스프링 등으로 통하여 기본적으로 제1로킹홈(103)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클로우(301)의 회동상태를 고정하는 폴레버(505)만 해제하면 언로킹 상태가 된다. 이때 메인기어(20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링크(401)와 제2링크(403)의 힌지결합부가 에러레버(501)를 반시계방향으로 밀어내어 회동시키고 이와 연동하는 폴레버(505)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클로우(30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에러레버(501)에 부착된 제1센서(701)를 통해 1단 로킹 상황을 감지하고, 모터를 동작제어하여 메인기어(20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제어하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클로우(301)와 인접하여 마련된 제2센서(703)를 통해 2단 로킹의 완료를 인식하고, 메인기어(201)의 상단에 위치한 제3센서(705)를 통해 메인기어(201)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제어하여 제2링크(403)의 타단이 클로우(301)의 제2걸림돌기(305b) 위치에 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트렁크가 사용자에 의하여 충분한 힘으로 닫히지 않은 경우, 그 상태를 제1센서(701) 내지 제3센서(705)를 통하여 파악하고 추가적인 모터 구동을 통하여 2단 로킹상태로 제어한다.
폴레버(505)는 제2레버(509)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에러레버(501)의 연장부(503)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레버(511);를 더 포함하고, 메인기어(20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제1링크(401)와 제2링크(403)의 힌지 연결부가 제3레버(511)를 눌러 에러레버(50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이와 연동하여 폴레버(50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폴레버(505)가 제3걸림돌기(305c)에서 이탈되어 해제됨에 따라 언로킹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바와 같이 메인기어(201)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클로우(301)의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으나, 보단 간단하게 폴레버(505)에 제3레버(511)를 추가적으로 마련하여 언로킹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메인기어(20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링크(401)와 제2링크(403)의 힌지결합부가 제3레버(511)를 눌러 에러레버(501)를 반시계방향으로 밀어내어 회동시키고 이와 연동하는 폴레버(505)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클로우(30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베이스 플레이트 101 : 스트라이커
103 : 제1로킹홈 201 : 메인기어
301 : 클로우 303 : 제2로킹홈
305 : 걸림돌기 305a : 제1걸림돌기
305b : 제2걸림돌기 305c : 제3걸림돌기
400 : 링크 어셈블리 401 : 제1링크
403 : 제2링크 405 : 슬릿 돌기
500 : 클로우 로킹 어셈블리 501 : 에러레버
503 : 연장부 505 : 폴레버
507 : 제1레버 509 : 제2레버
511: 제3레버 600 : 가이드 레버
601 : 가이드 돌기 603 : 제1슬릿홈
605 : 제2슬릿홈 701 : 제1센서
703 : 제2센서 705 : 제3센서

Claims (13)

  1. 베이스 플레이트;
    스트라이커가 삽입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하단에서 중앙부를 향해 만입되어 형성된 제1로킹홈;
    제1로킹홈의 상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터를 통해 동력을 공급받는 메인기어;
    중앙부가 제1로킹홈을 중심으로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에는 중앙부를 향해 만입되어 형성되되 스트라이커의 진입위치에 대향하도록 제2로킹홈이 형성되며,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클로우;
    메인기어에 결합되고, 메인기어의 회동에 따라 연동하여 동력을 클로우에 전달하는 링크 어셈블리;
    일단이 제1로킹홈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중앙부에서 제1로킹홈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연장부가 마련된 에러레버 및 클로우와 접촉하는 제1레버와 링크어셈블리와 접촉하는 제2레버로 구성되고, 제1레버와 제2레버의 연결부분이 에러레버와 동일한 회전축 상에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에러레버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폴레버로 구성되어, 메인기어와 링크 어셈블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클로우의 움직임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클로우 로킹 어셈블리; 및
    링크 어셈블리와 로킹 어셈블리의 회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버;를 포함하고,
    모터의 동력에 의해 메인기어가 일측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링크 어셈블리 및 클로우 로킹 어셈블리가 클로우의 걸림돌기에 걸림으로써 클로우가 로킹 되고, 메인기어가 타측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링크 어셈블리 및 클로우 로킹 어셈블리가 클로우 걸림돌기에서 이탈함으로써 클로우가 언로킹되는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모터와 메인기어는 웜과 웜기어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클로우의 걸림돌기는 제1걸림돌기, 제2걸림돌기 및 제3걸림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링크 어셈블리는
    메인기어를 가로질러 고정되고 메인기어의 회동에 따라 함께 연동하는 제1링크; 및
    일단이 제1링크의 타단과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슬릿 돌기가 형성된 제2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가이드 레버는
    일단부에는 에러레버의 연장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제2링크의 슬릿 돌기가 삽입되어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제1슬릿홈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클로우의 회전축을 따라 가이드레버가 회동하되 회전축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슬릿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스트라이커가 제1로킹홈을 따라 삽입시 클로우의 제3돌기를 밀어 회동시키고 제2로킹홈이 제1로킹홈을 차단함으로써 1단 로킹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8. 청구항 7에 있어서,
    1단 로킹이 완료시 제2링크의 타단은 제1걸림돌기에 걸리도록 위치되고, 폴레버는 제2걸림돌기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9. 청구항 8에 있어서,
    메인기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 제2링크의 타단이 클로우의 제1걸림돌기를 밀어 폴레버가 제3걸림돌기에 걸릴 때까지 클로우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2단 로킹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10. 청구항 6에 있어서,
    메인기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제1링크와 제2링크의 힌지연결부가 에러레버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이와 연동하여 폴레버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폴레버가 제3걸림돌기에서 이탈되어 해제됨에 따라 언로킹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에러레버에 부착된 제1센서를 통해 1단 로킹 상황을 감지하고, 모터를 동작제어하여 메인기어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제어하며, 베이스 플레이트에 클로우와 인접하여 마련된 제2센서를 통해 2단로킹의 완료를 인식하고, 메인기어의 상단에 위치한 제3센서를 통해 메인기어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제어하여 제2링크의 타단이 클로우의 제2걸림돌기 위치에 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에러레버의 타단에 힘을 가하여 에러레버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폴레버를 제3걸림돌기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비상열림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13. 청구항 6에 있어서,
    폴레버는 제2레버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에러레버의 연장부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레버;를 더 포함하고,
    메인기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제1링크와 제2링크의 힌지연결부가 제3레버를 눌러 에러레버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이와 연동하여 폴레버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폴레버가 제3걸림돌기에서 이탈되어 해제됨에 따라 언로킹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KR1020160170069A 2016-04-15 2016-12-14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KR101918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139 2016-04-15
KR20160046139 2016-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280A KR20170119280A (ko) 2017-10-26
KR101918367B1 true KR101918367B1 (ko) 2018-11-14

Family

ID=6003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069A KR101918367B1 (ko) 2016-04-15 2016-12-14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15275B2 (ko)
KR (1) KR101918367B1 (ko)
CN (1) CN1072997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58112A1 (en) * 2016-09-01 2018-03-01 AISIN Technical Center of America, Inc. Vehicle door closing and releasing apparatus
US11131127B2 (en) * 2016-12-19 2021-09-28 Kiekert Ag Motor vehicle door latch
US11859416B2 (en) * 2017-11-15 2024-01-02 Magna BOCO GmbH Latch assembly with power release and dual stage cinch function
DE102018107210A1 (de) * 2018-03-27 2019-10-02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ss
CN108590385B (zh) * 2018-06-04 2023-07-21 伟速达(中国)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带三级锁位的电动吸合锁机构
KR20200048955A (ko) * 2018-10-31 2020-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 랫치 장치
CN110528975B (zh) * 2018-11-09 2021-04-02 湖南海博瑞德电智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一体式上吸锁的解锁方法和上锁方法
JP2022064378A (ja) 2020-10-14 2022-04-26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作動伝達構造、及び当該構造を備えた検出装置並びに当該検出装置を備えた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CN114086838B (zh) * 2021-12-07 2022-08-19 桂林电子科技大学 用于狭小空间多模式解锁的扁款应急门锁及其控制总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9677B2 (ja) * 1993-12-13 1998-04-15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用扉のロック装置
JP2009249836A (ja) * 2008-04-02 2009-10-29 Mitsuba Corp 車両用ドア自動閉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18621B1 (fr) * 1981-12-21 1986-03-14 Kiekert Gmbh Co Kg Serrure pour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DE3725075C1 (de) * 1987-07-29 1988-08-18 Kiekert Gmbh Co Kg Kraftfahrzeugtuerverschluss
DE4311786C2 (de) * 1993-04-09 1995-04-27 Kiekert Gmbh Co Kg Kraftfahrzeugtürverschluß, der eine Schließ- und Öffnungshilfe mit motorischem Antrieb aufweist
DE19533193A1 (de) * 1995-09-08 1997-03-13 Kiekert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raftfahrzeugverschlusses mit ortsfestem Anschlagelement für ein Abtriebselement
US6422615B1 (en) * 1998-07-20 2002-07-23 Mannesmann Vdo Ag Closure device with shutting aid
GB0208434D0 (en) * 2002-04-12 2002-05-22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Latch arrangement
KR20040098934A (ko) 2003-05-16 2004-1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의 록킹시스템
DE10327997A1 (de) 2003-06-21 2005-01-1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oss für Türen oder Klappen an Fahrzeugen
JP4755544B2 (ja) 2006-07-03 2011-08-24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FR2911897B1 (fr) * 2007-01-30 2012-10-12 Valeo Securite Habitacle Serrure electrique perfectionnee pour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FR2916788B1 (fr) * 2007-06-01 2013-02-15 Valeo Securite Habitacle Serrure electrique a assistance de fermeture pour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EP2294425B1 (en) * 2008-05-23 2013-05-22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Biomarkers for myocardial ischemia
JP4625889B2 (ja) * 2008-07-08 2011-02-02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ラッチ装置
GB0822529D0 (en) * 2008-12-10 2009-01-14 Chevalier John P Latch
DE102011012999A1 (de) 2011-03-04 2012-09-06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schloss
KR101732914B1 (ko) 2014-11-04 2017-05-08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래치
KR101732915B1 (ko) 2014-11-04 2017-05-08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래치장치
KR101751265B1 (ko) 2015-02-11 2017-07-11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잠금장치
KR101795252B1 (ko) * 2016-05-11 201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WO2018030556A2 (ko) * 2016-08-09 2018-02-15 평화정공 주식회사 트렁크용 래치장치
KR101836696B1 (ko) * 2016-09-12 2018-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래치장치
KR20180071434A (ko) * 2016-12-19 2018-06-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KR20180071435A (ko) * 2016-12-19 2018-06-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9677B2 (ja) * 1993-12-13 1998-04-15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用扉のロック装置
JP2009249836A (ja) * 2008-04-02 2009-10-29 Mitsuba Corp 車両用ドア自動閉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99799A (zh) 2017-10-27
CN107299799B (zh) 2020-09-08
US10415275B2 (en) 2019-09-17
KR20170119280A (ko) 2017-10-26
US20170298661A1 (en)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367B1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KR101795252B1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US10214945B2 (en) Door latch assembly for motor vehicles
US7770946B2 (en) Door lock device for vehicle
US7125057B2 (en) Lock mechanism
CN108999500B (zh) 具闩锁机构和带重置装置的外侧释放机构的闭合闩锁组件
US9617761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JP4972803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2000027515A (ja) 動力支援式閉鎖装置
JP2018168689A (ja) 無段差開放操作部
US20240110411A1 (en) Latch assembly with power release and dual stage cinch function
WO2009151008A1 (ja) ドアロック装置
US4843849A (en) Door lock mechanism for a motor vehicle
US9016734B2 (en) Closing device comprising a detent spring
WO2006019191A1 (en) Vehicle door lock device
JP3835606B2 (ja) 電気錠
JP4953711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10745948B2 (en) Vehicular closure latch assembly having double pawl latch mechanism
JP4673797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20140096188A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US9945161B2 (en) Lock system for dual vehicle closures
JP4599641B2 (ja) 車両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6596738B2 (ja) ドアクローズ装置
JP4875422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021055493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