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265B1 - 차량용 도어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잠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1265B1 KR101751265B1 KR1020150021210A KR20150021210A KR101751265B1 KR 101751265 B1 KR101751265 B1 KR 101751265B1 KR 1020150021210 A KR1020150021210 A KR 1020150021210A KR 20150021210 A KR20150021210 A KR 20150021210A KR 101751265 B1 KR101751265 B1 KR 1017512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rotation
- foul
- rotatably installed
- base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도어잠금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잠금장치는: 제1이동홈부를 구비하며 도어에 고정되는 베이스 하우징과, 베이스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와, 래치기어와 마주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과, 베이스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파울과 같은 파울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와, 와이어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면서 회전레버를 회전시키는 전달부와, 회전레버의 측면홈부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동작에 의해 전달부의 동력이 파울로 전달됨을 제어하는 잠금부 및 베이스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시 관성에 의해 회전되어 회전레버 또는 회전레버에 결합된 잠금부에 접하면서 회전레버와 함께 파울이 회전됨을 구속하는 안전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충돌할 때 도어가 개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승객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를 잠그는 래치장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차체에 스트라이커가 고정되며, 도어에 파울과 래치기어를 포함한 래치장치가 설치된다. 도어에 설치된 래치장치는 도어와 함께 회전되어 스트라이커에 걸려서 도어의 회전을 구속한다. 도어용 래치장치는 인사이드 핸들, 아웃사이드 핸들 및 인사이드 노브 등의 작동에 따라 동작되며, 래치장치를 작동시키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차량의 측면 충돌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차량의 도어가 열리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탑승자의 상해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41344호(2012.05.02 공개, 발명의 명칭: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이 충돌할 때 도어가 개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승객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잠금장치는: 제1이동홈부를 구비하며 도어에 고정되는 베이스 하우징과, 베이스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와, 래치기어와 마주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과, 베이스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파울과 같은 파울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와, 와이어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면서 회전레버를 회전시키는 전달부와, 회전레버의 측면홈부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동작에 의해 전달부의 동력이 파울로 전달됨을 제어하는 잠금부 및 베이스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시 관성에 의해 회전되어 회전레버 또는 회전레버에 결합된 잠금부에 접하면서 회전레버와 함께 파울이 회전됨을 구속하는 안전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울은, 베이스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울몸체와, 파울몸체에서 돌출되어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걸림돌기 및 파울몸체에서 베이스 하우징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측면홈부와 마주하는 일측에 위치하는 전달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레버는, 파울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몸체와, 회전레버몸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전달돌기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레버돌기 및 제1레버돌기와 마주하며 회전레버몸체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레버돌기와의 사이에 측면홈부를 형성하는 제2레버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달부는, 회전레버와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달몸체와, 전달몸체에서 돌출되어 와이어와 연결되는 연결돌기 및 전달몸체에서 돌출되며 연결돌기와 함께 회전되어 회전레버를 회전시키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잠금부는, 회전레버의 외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몸체 및 잠금몸체에서 돌출되어 측면홈부에 삽입되는 제1잠금돌기를 포함하며, 회전레버의 회전으로 회전레버의 측면홈부에 삽입된 제1잠금돌기도 같이 회전되며 전달돌기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레버는, 회전레버와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레버몸체와, 안전레버몸체에 연결되며 차량 충돌시 모멘트를 발생시켜 안전레버몸체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 및 안전레버몸체에서 돌출되며 회전부와 함께 회전되어 회전레버 또는 잠금부에 접하여 회전레버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레버몸체는 전달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부는, 안전레버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관성레버 및 관성레버에 연결되며 차량 충돌시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토퍼는, 관성레버와는 다른 방향으로 안전레버몸체에서 돌출되는 연장부재 및 연장부재의 일단에 연결되어 연장부재와 함께 회전되며 잠금부에 접하는 부분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톱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잠금장치는, 차량 충돌시 안전레버가 회전되어 파울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레버의 회전을 구속하므로, 차량이 충돌할 때 도어가 개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승객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잠금장치의 일측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잠금장치의 일측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잠금장치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잠금장치의 타측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플레이트가 베이스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가 회전하면서 회전레버를 회전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과 이격된 래치기어가 회전되어 스크라이커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회전되어 잠금부에 접하면서 회전레버와 파울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회전되어 잠금부에 접하면서 회전레버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잠금장치의 일측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잠금장치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잠금장치의 타측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플레이트가 베이스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가 회전하면서 회전레버를 회전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과 이격된 래치기어가 회전되어 스크라이커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회전되어 잠금부에 접하면서 회전레버와 파울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회전되어 잠금부에 접하면서 회전레버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잠금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용 도어의 잠금에 사용되는 차량용 도어잠금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잠금장치의 일측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잠금장치의 일측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잠금장치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잠금장치의 타측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플레이트가 베이스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가 회전하면서 회전레버를 회전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과 이격된 래치기어가 회전되어 스크라이커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회전되어 잠금부에 접하면서 회전레버와 파울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회전되어 잠금부에 접하면서 회전레버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잠금장치(1)는, 제1이동홈부(12)를 구비하며 도어에 고정되는 베이스 하우징(10)과, 베이스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이동홈부(12)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100)를 구속하는 래치기어(30)와, 래치기어(30)와 마주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30)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30)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40)과, 베이스 하우징(10)을 사이에 두고 파울(40)과 같은 파울회전축(4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50)와, 와이어(105)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면서 회전레버(50)를 회전시키는 전달부(60)와, 회전레버(50)의 측면홈부(58)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동작에 의해 전달부(60)의 동력이 파울(40)로 전달됨을 제어하는 잠금부(70)와, 베이스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시 관성에 의해 회전되어 회전레버(50) 또는 회전레버(50)에 결합된 잠금부(70)에 접하면서 회전레버(50)와 함께 파울(40)이 회전됨을 구속하는 안전레버(80)를 포함한다.
베이스 하우징(10)은 제1이동홈부(12)를 구비하며 도어에 고정된다. 베이스 하우징(1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이동홈부(12)는 스트라이커(100)가 진입되는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플레이트(20)는 래치기어(30)와 파울(40)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 하우징(10)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제1이동홈부(12)와 마주하는 제2이동홈부(22)를 구비한다.
래치기어(30)는 베이스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이동홈부(12)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100)를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30)는, 래치몸체(32), 마운팅홈부(34), 제1걸림부(36), 제2걸림부(38)를 포함한다.
래치몸체(32)는 베이스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100)가 삽입되는 마운팅홈부(34)가 일측을 향하여 개구된 형상으로 설치된다. 마운팅홈부(34)는 래치몸체(32)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을 형성하며, 제1이동홈부(12)와 제2이동홈부(22)를 통하여 진입된 스트라이커(100)가 마운팅홈부(34)로 삽입된다.
제1걸림부(36)는 래치몸체(32)에서 돌출되며, 마운팅홈부(34)로 삽입된 스트라이커(100)가 다시 제1이동홈부(12)와 제2이동홈부(22)를 통해 외측으로 이탈됨을 구속한다.
제2걸림부(38)는 래치몸체(32)에서 돌출되며, 마운팅홈부(34)로 삽입되는 스트라이커(100)에 의해 회전되어 파울(40)에 걸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치몸체(32)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래치몸체(32)의 시계방향으로 제1걸림부(36)와 마운팅홈부(34)와 제2걸림부(38)가 차례로 위치한다. 제2걸림부(38)는 마운팅홈부(34)를 사이에 두고 제1걸림부(36)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파울(40)은 베이스 하우징(10)과 커버플레이트(2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30)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3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울(40)은 래치기어(30)와 마주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파울(40)은, 베이스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울몸체(42)와, 파울몸체(42)에서 돌출되어 래치기어(30)의 회전을 구속하는 걸림돌기(44) 및 파울몸체(42)에서 베이스 하우징(10)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측면홈부(58)와 마주하는 일측에 위치하는 전달돌기(46)를 포함한다.
파울몸체(42)는 제1이동홈부(12)를 사이에 두고 래치기어(30)와 대향되는 측에 설치되며, 파울회전축(48)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걸림돌기(44)는 파울몸체(42)에서 돌출되어 래치기어(3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돌기(44)는 파울몸체(42)에서 래치기어(3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스트라이커(100)와 함께 회전하는 래치기어(30)에 접촉되어 밀리거나, 제2걸림부(38)에 접하여 래치기어(30)의 회전을 구속한다.
전달돌기(46)는 파울몸체(42)에서 돌출되어 베이스 하우징(10)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회전레버(50)의 측면홈부(58)와 마주하는 일측에 위치한다. 베이스 하우징(10)에는 전달돌기(46)의 이동을 안내하는 원호 형상의 홀부가 구비된다.
파울회전축(48)은 베이스 하우징(10)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베이스 하우징(10)을 중심으로 파울회전축(48)의 일측에는 파울(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울회전축(48)의 타측에는 회전레버(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레버(50)는 베이스 하우징(10)을 사이에 두고 파울(40)과 같은 파울회전축(4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레버(50)는, 회전레버몸체(52), 제1레버돌기(54), 제2레버돌기(56), 측면홈부(58)를 포함한다.
회전레버몸체(52)는 파울회전축(4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레버몸체(52)의 측면에는 전달부(60)에 걸리는 돌기가 돌출되므로, 전달부(60)가 회전되면서 회전레버몸체(52)를 가압하면, 회전레버몸체(52)는 전달부(60)와 함께 회전된다.
제1레버돌기(54)는 회전레버몸체(52)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전달돌기(46)의 상측(이하 도 1기준)에 위치한다. 제1레버돌기(54)는 회전레버몸체(52)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전달돌기(46)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레버돌기(56)는 제1레버돌기(54)와 마주하며 회전레버몸체(52)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레버돌기(54)와의 사이에 측면홈부(58)를 형성한다. 제1레버돌기(54)와 제2레버돌기(56)의 사이에 형성된 측면홈부(58)를 통해 잠금부(70)의 제1잠금돌기(74)가 삽입되거나 이탈되면서 파울(40)의 회전을 제어한다.
제2레버돌기(56)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커버돌기(57)는 측면홈부(58)에 삽입되는 제1잠금돌기(74)의 상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제1잠금돌기(74)가 측면홈부(58)에서 이탈됨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달부(60)는 와이어(105)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면서 회전레버(50)를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달부(60)는 와이어(105) 또는 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장치의 동력에 의해 이동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60)는 전달몸체(62), 연결돌기(64), 가압돌기(66)를 포함한다.
전달몸체(62)는 회전레버(50)와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달몸체(62)는 베이스 하우징(10)에 고정된 고정회전축(8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회전축(88)은 파울회전축(48)과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며, 베이스 하우징(10)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된다.
연결돌기(64)는 전달몸체(62)에서 돌출되어 와이어(105)와 연결된다. 연결돌기(64)는 전달몸체(62)에서 직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단차를 형성하는 바 형상으로 전달몸체(6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연결돌기(64)의 일단에 와이어(105)가 연결되므로, 와이어(105)의 이동으로 전달몸체(62)는 고정회전축(88)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가압돌기(66)는 전달몸체(62)에서 돌출되며, 연결돌기(64)와 함께 회전되어 회전레버(50)를 회전시킨다. 가압돌기(66)는 전달몸체(62)에서 회전레버(5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와이어(105)가 당겨지는 동작에 의해 회전되어 회전레버몸체(52)에 걸린다.
잠금부(70)는 회전레버(50)의 측면홈부(58)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동작에 의해 전달부(60)의 동력이 파울(40)로 전달됨을 제어하는 링크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70)는 잠금몸체(72)와 제1잠금돌기(74)와 제2잠금돌기(76)를 포함한다.
잠금몸체(72)는 회전레버(50)의 외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잠금몸체(72)는 상하 방향(도 3기준)으로 연장되며, 잠금몸체(72)는 외부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잠금돌기(74)는 잠금몸체(72)의 하부 측면에서 돌출되어 측면홈부(58)에 삽입된다. 회전레버(50)의 회전으로 회전레버(50)의 측면홈부(58)에 삽입된 잠금부(70)의 제1잠금돌기(74)도 같이 회전되므로, 제1잠금돌기(74)가 전달돌기(46)를 가압하여 회전시킨다. 잠금몸체(72)의 상측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제1잠금돌기(74)는 측면홈부(58)에 삽입되거나 이탈되어 파울(40)의 회전을 제어한다.
제2잠금돌기(76)는 잠금몸체(72)의 상부 측면에서 돌출되어 직선안내홈부(14)로 삽입된다. 직선안내홈부(14)는 베이스 하우징(10)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며, 제2잠금돌기(76)가 직선안내홈부(14)로 삽입되어 상하 이동이 안내된다.
안전레버(80)는 베이스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시 관성에 의해 회전되어 회전레버(50) 또는 회전레버(50)에 결합된 잠금부(70)에 접하면서 회전레버(50)와 함께 파울(40)이 회전됨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80)는, 안전레버몸체(81), 회전부(82), 스토퍼(85), 고정회전축(88)을 포함한다.
안전레버몸체(81)는 회전레버(50)와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안전레버몸체(81)는 전달부(6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회전축(8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부(82)는 안전레버몸체(81)에 연결되며, 차량 충돌시 모멘트를 발생시켜 안전레버몸체(81)와 함께 회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82)는, 안전레버몸체(8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관성레버(83) 및 관성레버(83)에 연결되며 차량 충돌시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돌출부재(84)를 포함한다. 관성레버(83)는 "ㄱ"자 형상으로 굽어져서 안전레버몸체(81)에 연결되며, 관성레버(83)의 굽어진 부분에 돌출부재(84)가 연결된다. 돌출부재(84)의 크기와 형상은 차량 충돌시 관성에 의해 안전레버몸체(81)가 회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변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재(84)는 원기둥 형상의 스틸이 사용되며, 관성에 의한 회전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 다른 크기의 돌출부재(84)를 관성레버(83)에 결합하면 된다.
스토퍼(85)는 안전레버몸체(81)에서 돌출되며, 회전부(82)와 함께 회전되어 회전레버(50) 또는 잠금부(70)에 접하여 회전레버(50)의 회전을 구속한다. 평상시 스토퍼(85)는 측면홈부(58)의 외측에 있으며, 사고 발생시나 차량 전복시 충돌에 의한 관성으로 회전되어 측면홈부(58)에 삽입된 잠금부(70)의 측면에 접하여 잠금부(70)의 회전을 구속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85)는 관성레버(83)와는 다른 방향으로 안전레버몸체(81)에서 돌출되는 연장부재(86)와, 연장부재(86)의 일단에 연결되어 연장부재(86)와 함께 회전되며 잠금부(70)에 접하는 부분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톱돌기(87)를 포함한다. 스톱돌기(87)는 연장부재(86)의 하측으로 굽어져서 다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커버돌기(57)와 간섭됨 없이 측면홈부(58)에 삽입된 제1잠금돌기(74)의 측면에 접하여 제1잠금돌기(74)의 회전을 구속한다.
전달부(60)의 외측에는 별도의 회전구속부(90)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구속부(90)는 전달부(60)의 전달몸체(62)와 가압돌기(66)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구속부(90)는 회전구속몸체(92)와 회전구속돌기(94)를 포함한다. 회전구속몸체(92)는 회전레버(50)와 접할 때 발생되는 소음과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합성수지를 재료로 성형될 수 있다. 회전구속몸체(92)는 전달몸체(62)와 가압돌기(66)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고정회전축(88)의 외측에는 제1스프링(110)과 제2스프링(112)이 권선되며, 제1스프링(110)은 안전레버(80)를 반시계방향(이하 도 3기준)으로 탄성 지지하며, 제2스프링(112)은 전달부(60)를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파울회전축(48)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3스프링(113)은 회전레버(50)를 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잠금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05)가 전달부(60)를 회전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는, 파울(40)의 걸림돌기(44)에 걸려서 래치기어(30)의 회전이 구속되며, 스트라이커(100)는 마운팅홈부(34)의 내측에 위치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충격없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와이어(105)가 당겨지면서 전달부(60)를 회전시키면, 전달부(60)는 회전하면서 회전레버(50)를 회전시킨다. 회전레버(50)의 회전으로 회전레버(50)의 측면홈부(58)에 삽입된 잠금부(70)의 제1잠금돌기(74)도 같이 회전된다. 제1잠금돌기(74)가 회전되면서 파울(40)이 전달돌기(46)를 가압하므로, 파울(40)도 파울회전축(48)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래치기어(30)와 이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울(40)과 이격된 래치기어(30)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며, 래치기어(30)의 마운팅홈부(34)에 있는 스트라이커(100)는 래치기어(30)의 외측으로 이동되므로 래치기어(30)의 구속이 해제된다.
도 9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외부충격이 전달되지 않거나 차량이 전복되지 않으면 안전레버(80)가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잠금돌기(74)가 측면홈부(58)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회전레버(50)와 함께 파울(40)이 회전된다.
도 8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외부충격이 전달되거나 차량이 전복되면, 관성에 의해 관성레버(83)와 돌출부재(84)로 이루어진 회전부(82)가 회전된다. 회전부(82)의 회전으로 안전레버(80) 전체가 고정회전축(88)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스토퍼(85)의 스톱돌기(87)는 제1잠금돌기(74)의 측면에 접하여 제1잠금돌기(74)의 회전을 구속한다. 따라서 외부 충격 등으로 와이어(105)가 당겨지는 경우에도, 회전레버(50)와 함께 회전하는 제1잠금돌기(74)의 회전이 구속되므로 파울(40)의 회전을 구속하여 도어 열림을 방지할 수 있다.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이 제거된 후에는 제1스프링(110)의 스프링력에 의해 스톱돌기(87)가 제1잠금돌기(74)에서 이격되므로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어 도어의 개폐가 정상적으로 동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충돌시 안전레버(80)가 회전되어 파울(40)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레버(50)의 회전을 구속하므로, 차량이 충돌할 때 도어가 개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승객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용 도어의 잠금에 사용되는 차량용 도어잠금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도어가 아닌 다른 부재의 잠금에도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어잠금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차량용 도어잠금장치
10: 베이스 하우징 12: 제1이동홈부 14: 직선안내홈부 20: 커버플레이트 22: 제2이동홈부
30: 래치기어 32: 래치몸체 34: 마운팅홈부 36: 제1걸림부 38: 제2걸림부
40: 파울 42: 파울몸체 44: 걸림돌기 46: 전달돌기 48: 파울회전축
50: 회전레버 52: 회전레버몸체 54: 제1레버돌기 56: 제2레버돌기 57: 커버돌기 58: 측면홈부
60: 전달부 62: 전달몸체 64: 연결돌기 66: 가압돌기
70: 잠금부 72: 잠금몸체 74: 제1잠금돌기 76: 제2잠금돌기
80: 안전레버 81: 안전레버몸체 82: 회전부 83: 관성레버 84: 돌출부재 85: 스토퍼 86: 연장부재 87: 스톱돌기 88: 고정회전축
90: 회전구속부 92: 회전구속몸체 94: 회전구속돌기 100: 스트라이커 105: 와이어 110: 제1스프링 112: 제2스프링 113: 제3스프링
10: 베이스 하우징 12: 제1이동홈부 14: 직선안내홈부 20: 커버플레이트 22: 제2이동홈부
30: 래치기어 32: 래치몸체 34: 마운팅홈부 36: 제1걸림부 38: 제2걸림부
40: 파울 42: 파울몸체 44: 걸림돌기 46: 전달돌기 48: 파울회전축
50: 회전레버 52: 회전레버몸체 54: 제1레버돌기 56: 제2레버돌기 57: 커버돌기 58: 측면홈부
60: 전달부 62: 전달몸체 64: 연결돌기 66: 가압돌기
70: 잠금부 72: 잠금몸체 74: 제1잠금돌기 76: 제2잠금돌기
80: 안전레버 81: 안전레버몸체 82: 회전부 83: 관성레버 84: 돌출부재 85: 스토퍼 86: 연장부재 87: 스톱돌기 88: 고정회전축
90: 회전구속부 92: 회전구속몸체 94: 회전구속돌기 100: 스트라이커 105: 와이어 110: 제1스프링 112: 제2스프링 113: 제3스프링
Claims (9)
- 제1이동홈부를 구비하며 도어에 고정되는 베이스 하우징;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
상기 래치기어와 마주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상기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
상기 베이스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상기 파울과 같은 파울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
와이어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레버를 회전시키는 전달부;
상기 회전레버의 측면홈부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전달부의 동력이 상기 파울로 전달됨을 제어하는 잠금부; 및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시 관성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회전레버 또는 상기 회전레버에 결합된 상기 잠금부에 접하면서 상기 회전레버와 함께 상기 파울이 회전됨을 구속하는 안전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레버는, 상기 회전레버와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레버몸체;
상기 안전레버몸체에 연결되며, 차량 충돌시 모멘트를 발생시켜 상기 안전레버몸체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안전레버몸체에서 돌출되며,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회전레버 또는 상기 잠금부에 접하여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잠금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울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울몸체;
상기 파울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걸림돌기; 및
상기 파울몸체에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측면홈부와 마주하는 일측에 위치하는 전달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잠금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는, 상기 파울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몸체;
상기 회전레버몸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달돌기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레버돌기; 및
상기 제1레버돌기와 마주하며 상기 회전레버몸체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레버돌기와의 사이에 상기 측면홈부를 형성하는 제2레버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잠금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회전레버와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달몸체;
상기 전달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연결돌기; 및
상기 전달몸체에서 돌출되며, 상기 연결돌기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회전레버를 회전시키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잠금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회전레버의 외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몸체; 및
상기 잠금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측면홈부에 삽입되는 제1잠금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으로 상기 회전레버의 상기 측면홈부에 삽입된 상기 제1잠금돌기도 같이 회전되며 상기 전달돌기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잠금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레버몸체는 상기 전달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잠금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안전레버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관성레버; 및
상기 관성레버에 연결되며, 차량 충돌시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잠금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관성레버와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안전레버몸체에서 돌출되는 연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부재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잠금부에 접하는 부분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톱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잠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1210A KR101751265B1 (ko) | 2015-02-11 | 2015-02-11 | 차량용 도어잠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1210A KR101751265B1 (ko) | 2015-02-11 | 2015-02-11 | 차량용 도어잠금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8931A KR20160098931A (ko) | 2016-08-19 |
KR101751265B1 true KR101751265B1 (ko) | 2017-07-11 |
Family
ID=56874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1210A KR101751265B1 (ko) | 2015-02-11 | 2015-02-11 | 차량용 도어잠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126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15275B2 (en) | 2016-04-15 | 2019-09-17 | Hyundai Motor Company | Trunk latch module for vehicle |
WO2018235970A1 (ko) * | 2017-06-19 | 2018-12-27 | 평화정공 주식회사 | 차량용 래치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87454A (ja) * | 2011-10-14 | 2013-05-13 | Ansei:Kk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
2015
- 2015-02-11 KR KR1020150021210A patent/KR1017512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87454A (ja) * | 2011-10-14 | 2013-05-13 | Ansei:Kk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8931A (ko) | 2016-08-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60979B1 (ko) | 2단 해제용 후드래치 | |
KR101434980B1 (ko) | 래치장치 | |
KR101806565B1 (ko) |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 |
JP4136835B2 (ja) | 自動車の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 |
KR101560969B1 (ko) | 후드래치장치 | |
KR101806564B1 (ko) |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 |
KR101751265B1 (ko) | 차량용 도어잠금장치 | |
KR101542689B1 (ko) | 자동차용 후드 래치장치 | |
KR101595331B1 (ko) | 보행자 보호를 위한 후드래치 장치 | |
KR101662900B1 (ko) | 차량용 후드래치 | |
KR101774525B1 (ko) | 자동차용 후드래치 | |
KR101643468B1 (ko) |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 |
KR101732914B1 (ko) | 차량용 도어래치 | |
KR101585766B1 (ko) |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장치 | |
KR101541251B1 (ko) | 자동차용 후드래치 | |
KR101613018B1 (ko) | 차량용 후드래치 | |
WO2015015997A1 (ja) |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 |
KR101595332B1 (ko) |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 |
KR101662903B1 (ko) | 차량용 후드래치 | |
KR101603836B1 (ko) |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 |
KR101542692B1 (ko) | 차량용 후드래치 | |
KR101585771B1 (ko) | 차량용 후드래치 | |
KR20160148819A (ko) | 안전형 도어잠금장치 | |
KR20160034506A (ko) | 2단 해제용 후드래치 | |
KR101732915B1 (ko) | 차량용 래치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