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914B1 - 차량용 도어래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914B1
KR101732914B1 KR1020140152442A KR20140152442A KR101732914B1 KR 101732914 B1 KR101732914 B1 KR 101732914B1 KR 1020140152442 A KR1020140152442 A KR 1020140152442A KR 20140152442 A KR20140152442 A KR 20140152442A KR 101732914 B1 KR101732914 B1 KR 101732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l
latch
base plate
gear
rotatably insta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2289A (ko
Inventor
오종철
노혁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2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914B1/ko
Publication of KR20160052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도어래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래치는: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이동홈부를 구비하며 도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와, 래치기어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제1이동홈부와 마주하는 제2이동홈부를 구비하는 보강플레이트 및 베이스플레이트와 보강플레이트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래치{DOOR LATCH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래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울과 래치기어를 지지하는 플레이트가 파울과 래치기어의 양측에 설치되어 구조강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도어래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를 잠그는 래치장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차체에 스트라이커가 고정되며, 도어에 파울과 래치기어를 포함한 래치장치가 설치된다. 도어에 설치된 래치장치는 도어와 함께 회전되어 스트라이커에 걸려서 도어의 회전을 구속한다.
도어용 래치장치는 인사이드 핸들, 아웃사이드 핸들 및 인사이드 노브 등의 작동에 따라 동작되며, 래치장치를 작동시키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종래에는 래치기어와 파울을 지지하는 플레이트가 래치기어와 파울의 일측에만 설치되므로 도어래치의 구조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413444호(2012.05.02 공개, 발명의 명칭: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울과 래치기어를 지지하는 플레이트가 파울과 래치기어의 양측에 설치되어 구조강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도어래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는: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이동홈부를 구비하며 도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와, 래치기어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제1이동홈부와 마주하는 제2이동홈부를 구비하는 보강플레이트 및 베이스플레이트와 보강플레이트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와 보강플레이트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울의 측면에 접하여 파울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울구속부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보강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하며 파울에 접하는 접촉돌기가 외측에 구비되는 파울구속몸체 및 파울구속몸체에서 연장되어 보강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외측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기어 형상의 몸체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와 보강플레이트의 재질은 스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와이어에 연결되는 입력부와, 입력부와 마주하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입력부에 걸려서 입력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해제레버 및 해제레버와 함께 회전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해제레버의 동력을 전달받아 몸체기어를 회전시키는 리프트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부를 따라 이동되며 해제레버와 리프트레버에 동시에 접하는 동작으로 해제레버의 동력을 리프트레버로 전달하는 잠금링크 및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해제레버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잠금링크를 이동시키는 잠금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는, 파울과 래치기어의 양측에 베이스플레이트와 보강플레이트가 설치되어 구조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파울과 래치기어를 포함한 주요부품들의 공차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액츄에이터부와 래치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에서 보강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한 요부구성이 하우징부의 하측으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와 파울의 상측으로 보강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에서 베이스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에서 안전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와 잠금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에서 잠금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에서 하우징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의 요부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부가 동작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부가 동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용 도어의 잠금에 사용되는 차량용 도어래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액츄에이터부와 래치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에서 보강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한 요부구성이 하우징부의 하측으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와 파울의 상측으로 보강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에서 베이스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에서 안전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와 잠금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에서 잠금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에서 하우징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의 요부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부가 동작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부가 동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는, 동력을 공급하는 액츄에이터부(10)와, 스트라이커(190)의 이동을 구속하는 래치부(15)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부(10)의 내측에는 단수 혹은 복수 개의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래치부(15)를 조작하는 복수 개의 기어가 설치된다. 액츄에이터부(10)의 내부구성과 동작상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래치부(15)는 와이어(195)에 연결되어 동작되거나 액츄에이터부(10)의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될 수 있다. 또한 래치부(15)는 액츄에이터부(10)의 구동력을 전달받으므로 잠금부(140)가 동작되어 락위치나 언락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15)는, 베이스플레이트(20), 보강플레이트(30), 래치기어(40), 파울(50), 제1래치스토퍼(60), 제2래치스토퍼(62), 파울스토퍼(64), 스트라이커스토퍼(66), 회전가압부(67), 하우징부(70), 전달부(80), 잠금부(140), 안전부(170), 공용탄성부(180)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20)는 스트라이커(19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이동홈부(22)를 구비하며 도어에 고정된다. 베이스플레이트(2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이동홈부(22)는 스트라이커(190)가 진입되는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강플레이트(30)는 래치기어(40)와 파울(50)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플레이트(20)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제1이동홈부(22)와 마주하는 제2이동홈부(34)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20)와 보강플레이트(30)의 재질은 스틸(Steel)을 포함하므로, 비교적 하중이 많이 걸리는 래치기어(40)와 파울(50)을 포함한 차량용 도어래치(1)의 구조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차관리가 중요한 래치기어(40)와 파울(50)의 양측에 베이스플레이트(20)와 보강플레이트(30)가 설치되므로 파울(50)과 래치기어(40)를 포함한 주요부품들의 공차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차량용 도어래치(1)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플레이트(30)는 플레이트몸체(32), 제2이동홈부(34), 단차플레이트(36), 연결홈부를 포함하다. 판 형상의 플레이트 몸체의 내측에 제2이동홈부(34)가 구비되며, 단차플레이트(36)는 플레이트몸체(32)와 설정된 거리만큼 단차를 이루며 설치된다. 플레이트몸체(32)와 단차플레이트(36)의 사이에는 연결홀부(38)가 형성된다.
래치기어(40)는 베이스플레이트(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이동홈부(22)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190)를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40)는, 래치몸체(42), 마운팅홈부(44), 제1걸림부(46), 제2걸림부(48)를 포함한다.
래치몸체(42)는 베이스플레이트(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190)가 삽입되는 마운팅홈부(44)가 일측을 향하여 개구된 형상으로 설치된다. 마운팅홈부(44)는 래치몸체(42)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을 형성하며, 제1이동홈부(22)와 제2이동홈부(34)를 통하여 이동되는 스트라이커(190)가 마운팅홈부(44)로 삽입된다.
제1걸림부(46)는 래치몸체(42)에서 돌출되며, 마운팅홈부(44)로 삽입된 스트라이커(190)가 다시 제1이동홈부(22)와 제2이동홈부(34)를 통해 외측으로 이탈됨을 구속한다.
제2걸림부(48)는 래치몸체(42)에서 돌출되며, 마운팅홈부(44)로 삽입되는 스트라이커(190)에 의해 회전되어 파울(50)에 걸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치몸체(42)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래치몸체(42)의 시계방향으로 제1걸림부(46)와 마운팅홈부(44)와 제2걸림부(48)가 차례로 위치한다. 제2걸림부(48)는 마운팅홈부(44)를 사이에 두고 제1걸림부(46)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파울(50)은 베이스플레이트(20)와 보강플레이트(3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40)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4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울(50)은 래치기어(40)와 마주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50)은 베이스플레이트(20)와 보강플레이트(30)의 사이에 위치하며, 파울스토퍼(64)와 파울구속부(90)와 회전가압부(67)에 의해 가이드되어 회전이 제어된다. 또한 파울(50)은 어느 한 회전축에 중심이 관통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지 않고, 베이스플레이트(20)와 보강플레이트(30)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회전되므로 래치기어(40)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구속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50)은 파울몸체(52), 걸림돌기(54), 연장돌기(56)를 포함한다.
파울몸체(52)는 제1이동홈부(22)를 사이에 두고 래치기어(40)와 대향되는 측에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몸체(52)는 베이스플레이트(20)와 보강플레이트(30)의 사이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걸림돌기(54)는 파울몸체(52)에서 돌출되어 래치기어(4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돌기(54)는 파울몸체(52)에서 래치기어(4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스트라이커(190)와 함께 회전하는 래치기어(40)에 접촉되어 밀리거나, 제2걸림부(48)에 접하여 래치기어(40)의 회전을 구속한다.
연장돌기(56)는 파울몸체(52)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연장돌기(56)와 걸림돌기(54)는 설정된 각도로 설치되며, 연장돌기(56)의 양측에는 회전가압부(67)와 파울스토퍼(64)가 각각 위치한다.
제1래치스토퍼(60)는 래치기어(40)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래치기어(40)에 접하여 충격소음을 감소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래치스토퍼(60)는, 래치기어(40)가 스트라이커(190)의 구속을 해제하는 잠금해제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래치기어(40)의 제1걸림부(46)와 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래치기어(40)가 파울(50)과 이격되어 잠금해제위치로 회전되는 경우, 래치기어(40)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을 구속하기 위해 래치기어(40)가 정지되는 위치에 제1래치스토퍼(60)가 설치된다. 제1래치스토퍼(60)는 고무를 포함한 탄성 재질로 성형되며, 베이스플레이트(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래치스토퍼(62)는 래치기어(40)가 잠금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래치기어(40)와 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래치스토퍼(62)의 내측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베이스플레이트(20)에서 돌출된 돌기가 제2래치스토퍼(62)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제2래치스토퍼(62)는 베이스플레이트(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는 제2래치스토퍼(62)가 베이스플레이트(2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파울스토퍼(64)는 파울(50)의 연장돌기(56)와 파울구속부(90)의 사이에 설치되며, 연장돌기(56)의 측면에 접하여 파울(50)이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을 차단한다. 파울스토퍼(64)는 하우징부(70)에서 돌출된 돌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스트라이커스토퍼(66)는, 하우징부(70)의 내측에 삽입되며, 제1이동홈부(22)와 제2이동홈부(34)를 통하여 차량용 도어래치(1)의 내측으로 삽입된 스트라이커(190)에 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므로 스트라이커(190)에 의한 충격과 소음을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스토퍼(66)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몸체(71)에 삽입되는 동작에 의해 하우징몸체(71)에 고정된다.
하우징부(70)에 설치된 회전가압부(67)의 몸체는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며, 회전가압부(67)에서 돌출된 회전가압돌기(68)는 하우징부(70)의 하우징몸체(71)를 관통하여 파울(50)의 연장돌기(56) 측면에 접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가압스프링(69)의 일측은 하우징부(70)에 고정되며 가압스프링(69)의 타측은 회전가압부(67)의 몸체에 지지되므로, 회전가압부(67)를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탄성 지지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가압돌기(68)는 연장돌기(56)를 파울스토퍼(64)에 접하는 시계방향으로 탄성 가압된다.
하우징부(70)는 보강플레이트(30)와 액츄에이터부(10)의 사이에 위치하며, 보강플레이트(30)와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70)에는 전달부(80)와 잠금부(140)와 안전부(170)와 공용탄성부(180)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70)는, 하우징몸체(71), 입력지지축(73)과 받침지지축(74)을 포함하는 축부재(72), 회전지지축(75), 잠금지지축(76), 안내홈부(77), 래치가이드홀부(78)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몸체(71)는 사출 성형되며 보강플레이트(30)와 결합된다. 하우징몸체(71)에서 액츄에이터부(10)가 결합되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축부재(72)는 안전커버(172)의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안전패널(174)의 슬라이드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한다. 축부재(72)는 입력지지축(73)과 받침지지축(74)을 포함한다. 하우징몸체(71)의 상측으로 돌출된 입력지지축(73)에 입력부(1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받침지지축(74)도 입력지지축(73)과 같이 상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회전지지축(75)도 하우징몸체(7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해제레버(120)와 리프트레버(130)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해제레버(120)와 리프트레버(130)는 회전지지축(75)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잠금지지축(76)도 하우징몸체(7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된 공용탄성부(180)와 잠금부(140)의 잠금레버(160) 내측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잠금레버(160)는 잠금지지축(7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잠금지지축(76)과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안내홈부(77)는 상측이 개구된 형상의 장공을 구비하며, 안내홈부(77)의 내측에 잠금링크(150)의 제1링크돌기(154)가 삽입된다. 따라서 제1링크돌기(154)는 안내홈부(77)를 따라 직선 이동을 안내받는다.
래치가이드홀부(78)는 잠금지지축(76)을 중심으로 원호 형상의 홀을 형성한다. 따라서 공용탄성부(180)의 제1연장부재(184)는 래치가이드홀부(78)를 통하여 래치기어(40)의 측면에 걸리므로, 래치기어(40)와 파울(50)이 같은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가압한다.
전달부(80)는 와이어(195)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으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파울(50)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허용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80)는 파울구속부(90), 입력부(100), 가압부재(110), 해제레버(120), 리프트레버(130)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20) 또는 베이스플레이트(20)와 보강플레이트(3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울(50)의 측면에 접하여 파울(5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구속부(90)는, 파울구속몸체(92)와 몸체기어(96)를 포함한다.
파울구속몸체(92)는, 베이스플레이트(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베이스플레이트(20)와 보강플레이트(30)의 사이에 위치하며, 파울(50)에 접하는 접촉돌기(94)가 외측에 구비된다. 접촉돌기(94)는 파울(50)의 측면에 접하여 파울(50)의 회전을 구속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울구속몸체(92)는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파울(50)과 접촉돌기(94)와 래치기어(40)는 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몸체기어(96)는 파울구속몸체(92)에서 연장되어 보강플레이트(3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외측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기어 형상으로 형성된다. 몸체기어(96)는 리프트레버(130)에 맞물려서 회전되는 기어를 구비하며, 몸체기어(96)와 리피트기어는 원호 형상의 외측에 기어가 형성된다.
도 6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0)는 파울구속부(90)의 외측을 위치하는 하우징부(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와이어(195)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입력부(100)는 하우징몸체(71)의 상측으로 돌출된 입력지지축(7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입력몸체(102)와, 입력몸체(102)에서 연장되어 와이어(195)에 연결되는 입력돌기(104)를 포함한다. 입력부(100)는 가압부재(110)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와이어(195)의 이동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가압부재(110)는 입력부(100)의 외측에 권선되는 스프링이며, 가압부재(110)의 일측은 입력부(100)의 몸체에 지지되며, 가압부재(110)의 타측은 해제레버(120)의 해제돌기(126)에 지지된다. 따라서 해제레버(120)는 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해제레버(120)는 입력부(100)와 마주하며 하우징부(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입력부(100)에 걸려서 입력부(1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레버(120)는 해제몸체(122), 내측홈부(124), 해제돌기(126)를 포함한다.
해제몸체(122)는 리프트레버(130)의 리프트몸체(132)와 함께 하우징부(70)의 회전지지축(7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리프트몸체(132)의 상측에 해제몸체(122)가 위치한다.
내측홈부(124)는 해제몸체(122)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을 형성하며, 잠금링크(150)의 제2링크돌기(156)가 내측홈부(124)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해제돌기(126)는 해제몸체(122)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가압부재(110)의 타측을 지지하므로, 해제돌기(126)와 함께 해제레버(120)는 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리프트레버(130)는 해제레버(120)와 함께 회전지지축(7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해제레버(120)의 동력을 전달받아 몸체기어(96)를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레버(130)는, 리프트몸체(132), 리프트돌기(134), 리프트기어(136)를 포함한다.
리프트몸체(132)는 해제몸체(122)의 하측에 위치하며, 회전지지축(7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리프트돌기(134)는 리프트몸체(13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홈부(124)의 하측에 위치하며, 내측홈부(124)로 잠금링크(150)의 제2링크돌기(156)가 삽입되는 경우, 제2링크돌기(156)의 하측에 리프트돌기(134)가 접하여 해제레버(120)의 동력을 전달받는다.
리프트기어(136)는 리프트몸체(132)의 하측에 위치하며, 파울구속부(90)의 몸체기어(96)에 맞물리는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리프트기어(136)가 회전되는 경우, 리프트기어(136)에 맞물려 있는 몸체기어(96)가 회전되면서 파울(5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잠금부(140)는 전달부(80)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동작에 의해 전달부(80)의 동력전달을 제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140)는 잠금링크(150)와 잠금레버(160)를 포함한다.
잠금링크(150)는 하우징부(70)를 따라 이동되며, 해제레버(120)와 리프트레버(130)에 동시에 접하는 동작으로 해제레버(120)의 동력을 리프트레버(130)로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링크(150)는 링크몸체(152), 제1링크돌기(154), 제2링크돌기(156)를 포함한다.
링크몸체(152)는 하우징부(70)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며,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링크몸체(152)의 일측은 하우징부(70)의 안내홈부(77)에 위치하며, 링크몸체(152)의 타측은 내측홈부(124)로 삽입되거나 이탈된 상태로 설치된다.
제1링크돌기(154)는 링크몸체(152)에서 돌출되어 하우징부(70)에 구비된 안내홈부(77)를 따라 이동되며, 공용탄성부(180)의 제2연장부재(186)에 걸려서 언락위치로 가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링크돌기(154)는 링크몸체(152)의 상하 양측으로 돌출되며, 링크몸체(152)의 하측으로 돌출된 제1링크돌기(154)는 안내홈부(77)로 삽입되어 직선 이동된다. 또한 링크몸체(152)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1링크돌기(154)는 잠금레버(160)에 걸려서 락위치로 이동된다.
락위치는 잠금링크(150)의 제1링크돌기(154)가 안내홈부(77)의 상측에 위치하고, 제2링크돌기(156)는 내측홈부(124)의 외측으로 이탈된 상태이다. 이러한 경우, 와이어(195)가 입력부(100)를 회전시켜도, 해제레버(120)의 동력을 리프트레버(130)로 전달하기 위한 제2링크돌기(156)가 해제레버(120)의 외측으로 이탈되므로 파울(50)은 회전되지 않는다.
언락위치는 잠금링크(150)의 제1링크돌기(154)가 안내홈부(77)의 하측에 위치하고, 제2링크돌기(156)는 내측홈부(124)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이다. 이러한 경우, 와이어(195)가 입력부(100)를 회전시키면, 해제레버(120)의 동력을 리프트레버(130)로 전달되면서 제2링크를 회전시키며, 제2링크는 해제레버(120)의 해제돌기(126)를 회전시키므로 파울(50)이 회전된다.
제2링크돌기(156)는 링크몸체(152)에서 제1링크돌기(154)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며, 해제레버(120)와 리프트레버(130)에 동시에 접하여 해제레버(120)의 동력을 리프트레버(130)로 전달한다.
잠금레버(160)는 하우징부(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해제레버(12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잠금링크(150)를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160)는 잠금레버몸체(162)와 잠금돌기(164)를 포함한다.
잠금레버몸체(162)는 공용탄성부(180)와 함께 잠금지지축(76)에 설치되므로, 잠금레버몸체(162)는 잠금지지축(76)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잠금레버몸체(162)는 잠금지지축(76)에서 래치부(15)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잠금레버몸체(162)의 상측에 제1링크돌기(154)가 걸린다. 잠금돌기(164)는 잠금레버몸체(162)의 일측에 연결되며, 액츄에이터부(10)에 구비된 기어에 잠금레버(160)가 연결된다. 따라서 잠금레버(160)는 액츄에이터부(10)의 동작에 의해 회전된다.
안전부(170)는 잠금부(140)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 이동되어 잠금부(140)를 락위치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부(170)는, 전달부(80)를 사이에 두고 하우징부(70)에 결합되는 안전커버(172)와, 안전커버(172)의 외측으로 돌출된 축부재(72)가 삽입되는 장공 형상의 가이드홀부(176)를 구비하며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 안전커버(172)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안전패널(174)과, 안전패널(174)에서 연장되어 잠금레버(160)의 측면에 위치하며 안전패널(174)이 이동할때 잠금레버(160)를 락위치로 이동시키는 안전돌기(178)를 포함한다.
안전커버(172)는 하우징부(70)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안전커버(172)의 외측으로 축부재(72)가 돌출된다.
안전패널(174)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안전패널(174)의 일측은 하우징부(7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차량의 측면 충돌시 충격을 전달받는다. 안전패널(174)의 내측에는 장공 형상의 가이드홀부(176)가 구비되며, 안전커버(172)의 외측으로 돌출된 축부재(72)가 가이드홀부(176)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축부재(72)와 가이드홀부(176)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가이드홀부(176)는 안전패널(174)의 이동방향을 따라 장공을 형성하므로, 안전커버(172)의 외측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안전패널(174)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안전돌기(178)는 안전패널(174)에서 연장되어 잠금레버(160)의 하측에 접한다. 따라서 안전부(170)가 외부 충격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잠금돌기(164)에 밀려서 잠금레버(16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잠금링크(150)는 락위치로 이동된다.
공용탄성부(180)는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은 래치기어(40)에 연결되며 타측은 잠금부(140)에 연결되어 래치기어(40)와 잠금부(140)를 각각 탄성 지지한다. 또한 공용탄성부(180)는 하우징부(70)에서 돌출된 잠금지지축(76)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탄성부(180)는, 잠금지지축(76)의 외측에 권선되는 코일 스프링 형상의 탄성몸체(182)와, 탄성몸체(182)에서 연장되어 래치기어(40)의 측면에 걸리며 래치기어(40)를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연장부재(184)와, 탄성몸체(182)에서 연장되어 잠금링크(150)에 걸리며 잠금링크(150)를 해제레버(120)에 접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연장부재(186)를 포함한다.
제1연장부재(184)는 원호 형상으로 홀을 형성하는 래치가이드홀부(78)를 통해 래치기어(40)의 측면에 걸리므로, 래치기어(40)가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래치기어(40)에 접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2연장부재(186)는 잠금링크(150)의 제1링크돌기(154) 상측에 걸리며, 제1링크돌기(154)를 하측으로 가압하므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제1링크도릭는 안내홈부(77)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언락상태에서 래치기어(40)의 회전이 해제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어의 손잡이를 당기면 와이어(195)가 당겨지게 되며, 와이어(195)에 연결된 입력부(100)가 회전된다. 입력부(100)가 회전되면서 해제레버(120)에 걸리므로, 해제레버(120)는 입력부(100)와 반대되는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해제레버(120)가 회전되면서, 해제레버(120)의 내측홈부(124)에 삽입된 제2링크돌기(156)도 같이 회전되며, 제2링크돌기(156)는 리프트레버(130)의 리프트돌기(134)를 가압하므로 해제레버(120)와 리프트레버(130)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리프트레버(130)의 리프트기어(136)에 맞물려 있는 파울구속부(90)의 몸체기어(96)가 회전되므로, 파울(50)의 측면에 접한 상태로 설치된 파울구속부(90)의 접촉돌기(94)도 회전하면서 파울(50)과 이격되므로, 파울(50)은 래치기어(4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따라서 래치기어(40)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래치기어(40)가 회전되면서 래치기어(40)에 구속된 스트라이커(190)도 제1이동홈부(22)를 따라 래치부(15)의 외측으로 이동되므로 스트라이커(190)의 잠김이 해제된다.
락상태에서 래치기어(40)의 회전이 해제되지 않는 상태를 설명한다. 사용자의 조작이나 차량의 제어장치의 제어신호로 액츄에이터부(10)가 동작된다. 액츄에이터부(10)의 동작으로 잠금레버(160)가 회전되며, 잠금레버(160)에 걸린 제1링크돌기(154)가 안내홈부(77)를 따라 이동되어 안내홈부(77)의 상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2링크돌기(156)는 내측홈부(124)에서 이격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의 손잡이를 당기면 와이어(195)가 당겨지게 되며, 와이어(195)에 연결된 입력부(100)가 회전된다. 입력부(100)가 회전되면서 해제레버(120)에 걸리므로, 해제레버(120)는 입력부(100)와 반대되는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해제레버(120)는 제2링크돌기(156)에 접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되므로, 해제레버(120)만 회전할 뿐 리프트레버(130)는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리프트레버(130)와 기어 연결된 파울구속부(90)도 회전되지 않으므로 파울(50)과 래치기어(40)는 회전되지 않는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시 자동으로 락상태가 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차량의 측면 충돌시 도어의 측면으로 압력이 가해지면서 하우징부(70)의 외측으로 돌출된 안전패널(174)이 상측으로 이동된다. 안전패널(174)의 돌출방향과 이동방향은 차량의 측면 충격시 충격이 전달되는 방향을 통계를 낸 후, 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최적의 위치를 설정한다.
안전패널(174)과 함께 안전돌기(178)가 이동하면서 잠금레버(16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잠금레버(160)에 걸린 제1링크돌기(154)가 안내홈부(77)를 따라 이동되어 안내홈부(77)의 상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2링크돌기(156)는 내측홈부(124)에서 이격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와이어(195)가 당겨지게 되면, 와이어(195)에 연결된 입력부(100)가 회전된다. 입력부(100)가 회전되면서 해제레버(120)에 걸리므로, 해제레버(120)는 입력부(100)와 반대되는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해제레버(120)는 제2링크돌기(156)에 접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되므로, 해제레버(120)만 회전할 뿐 리프트레버(130)는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리프트레버(130)와 기어 연결된 파울구속부(90)도 회전되지 않으므로 파울(50)과 래치기어(40)는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 도어가 열리는 현상이 방지되어 탑승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탑승자가 도어를 통하여 탈출할 때에는 안전패널(174)이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므로 잠금부(140)는 언락위치로 이동하므로 도어의 손잡이를 조작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파울(50)과 래치기어(40)의 양측에 베이스플레이트(20)와 보강플레이트(30)가 설치되어 구조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파울(50)과 래치기어(40)를 포함한 주요부품들의 공차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측면충돌시 안전패널(174)과 함께 안전돌기(178)가 이동되어 잠금부(140)의 위치를 락상태로 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도어가 열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용탄성부(180)의 일측과 타측이 래치기어(40)와 잠금링크(150)를 각각 탄성지지하여 스프링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용 도어의 잠금에 사용되는 차량용 도어래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도어가 아닌 다른 부재의 잠금에도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어래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차량용 도어래치 10: 액츄에이터부 15: 래치부
20: 베이스플레이트 22: 제1이동홈부 30: 보강플레이트 32: 플레이트몸체 34: 제2이동홈부 36: 단차플레이트 38: 연결홀부
40: 래치기어 42: 래치몸체 44: 마운팅홈부 46: 제1걸림부 48: 제2걸림부
50: 파울 52: 파울몸체 54: 걸림돌기 56: 연장돌기
60: 제1래치스토퍼 62: 제2래치스토퍼 64: 파울스토퍼 66: 스트라이커스토퍼
67: 회전가압부 68: 회전가압돌기 69: 가압스프링
70: 하우징부 71: 하우징몸체 72: 축부재 73: 입력지지축 74: 받침지지축 75: 회전지지축 76: 잠금지지축 77: 안내홈부 78: 래치가이드홀부
80: 전달부 90: 파울구속부 92: 파울구속몸체 94: 접촉돌기 96: 몸체기어
100: 입력부 102: 입력몸체 104: 입력돌기 110: 가압부재
120: 해제레버 122: 해제몸체 124: 내측홈부 126: 해제돌기
130: 리프트레버 132: 리프트몸체 134: 리프트돌기 136: 리프트기어
140: 잠금부 150: 잠금링크 152: 링크몸체 154: 제1링크돌기 156: 제2링크돌기 160: 잠금레버 162: 잠금레버몸체 164: 잠금돌기
170: 안전부 172: 안전커버 174: 안전패널 176: 가이드홀부 178: 안전돌기
180: 공용탄성부 182: 탄성몸체 184: 제1연장부재 186: 제2연장부재
190: 스트라이커 195: 와이어

Claims (6)

  1.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이동홈부를 구비하며 도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
    상기 래치기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이동홈부와 마주하는 제2이동홈부를 구비하는 보강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상기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울의 측면에 접하여 상기 파울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구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울구속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파울에 접하는 접촉돌기가 외측에 구비되는 파울구속몸체; 및
    상기 파울구속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외측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기어 형상의 몸체기어;를 포함하며,
    와이어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으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파울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허용하는 전달부;
    상기 전달부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전달부의 동력전달을 제어하는 잠금부; 및
    상기 잠금부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 이동되어 상기 잠금부를 락위치로 이동시키는 안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울의 측면에 접하여 상기 파울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구속부;
    상기 파울구속부의 외측을 위치하는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와 마주하며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입력부에 걸려서 상기 입력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해제레버; 및
    상기 해제레버와 함께 회전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해제레버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파울구속부를 회전시키는 리프트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재질은 스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와이어에 연결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와 마주하며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입력부에 걸려서 상기 입력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해제레버; 및
    상기 해제레버와 함께 회전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해제레버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몸체기어를 회전시키는 리프트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해제레버와 상기 리프트레버에 동시에 접하는 동작으로 상기 해제레버의 동력을 상기 리프트레버로 전달하는 잠금링크; 및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해제레버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링크를 이동시키는 잠금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
KR1020140152442A 2014-11-04 2014-11-04 차량용 도어래치 KR101732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442A KR101732914B1 (ko) 2014-11-04 2014-11-04 차량용 도어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442A KR101732914B1 (ko) 2014-11-04 2014-11-04 차량용 도어래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289A KR20160052289A (ko) 2016-05-12
KR101732914B1 true KR101732914B1 (ko) 2017-05-08

Family

ID=56024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442A KR101732914B1 (ko) 2014-11-04 2014-11-04 차량용 도어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9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5970A1 (ko) * 2017-06-19 2018-12-27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래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5275B2 (en) 2016-04-15 2019-09-17 Hyundai Motor Company Trunk latch module for vehicle
CN108457541B (zh) * 2018-02-12 2023-12-15 北京艾斯泰克科技有限公司 一种双滑轨导向结构及包含其的车门内把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0390A (ja) * 2005-10-04 2007-04-19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2010031503A (ja) 2008-07-28 2010-02-12 Shiroki Corp ドアロック装置の静震構造
KR101382913B1 (ko) * 2012-09-05 2014-04-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2단 링크 후드 래치 장치
KR101434980B1 (ko) * 2013-10-08 2014-08-27 평화정공(주) 래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0390A (ja) * 2005-10-04 2007-04-19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2010031503A (ja) 2008-07-28 2010-02-12 Shiroki Corp ドアロック装置の静震構造
KR101382913B1 (ko) * 2012-09-05 2014-04-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2단 링크 후드 래치 장치
KR101434980B1 (ko) * 2013-10-08 2014-08-27 평화정공(주) 래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5970A1 (ko) * 2017-06-19 2018-12-27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래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289A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979B1 (ko) 2단 해제용 후드래치
EP2028334B1 (en) 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
KR101434980B1 (ko) 래치장치
KR20180071435A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KR102097056B1 (ko)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KR101732914B1 (ko) 차량용 도어래치
CN112888831A (zh) 用于机动车的锁、特别是可电操纵的机动车锁
JP6794712B2 (ja) 車両開閉体操作装置
KR101212591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101732915B1 (ko) 차량용 래치장치
KR101643468B1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KR101615823B1 (ko) 측면 충돌시 도어열림 방지형 래치장치
US9791885B2 (en) Rotating-lever-position-holding device
KR101541251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
KR101603836B1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KR101573144B1 (ko) 더블풀 후드래치
KR101751265B1 (ko) 차량용 도어잠금장치
KR20160021401A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751264B1 (ko) 트렁크용 래치장치
KR101825391B1 (ko) 후드래치 장치
KR101662903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653055B1 (ko) 자동차용 래치장치
KR20160041465A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KR20160148819A (ko) 안전형 도어잠금장치
KR101683346B1 (ko) 차량용 도어래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