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819A - 안전형 도어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안전형 도어잠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8819A KR20160148819A KR1020150085395A KR20150085395A KR20160148819A KR 20160148819 A KR20160148819 A KR 20160148819A KR 1020150085395 A KR1020150085395 A KR 1020150085395A KR 20150085395 A KR20150085395 A KR 20150085395A KR 20160148819 A KR20160148819 A KR 201601488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rotation
- foul
- rotatably installed
- proj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안전형 도어잠금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안전형 도어잠금장치는: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이동홈부를 구비하며 도어에 고정되는 베이스 하우징과, 베이스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와, 래치기어와 마주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과, 베이스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파울과 같은 파울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와, 와이어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회전레버를 회전시키는 전달부와, 회전레버의 측면홈부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동작에 의해 전달부의 동력이 파울로 전달됨을 제어하는 잠금부 및 베이스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시 관성에 의해 회전되어 측면홈부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잠금부를 가압하는 안전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형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충돌할 때 도어가 개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승객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형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를 잠그는 래치장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차체에 스트라이커가 고정되며, 도어에 파울과 래치기어를 포함한 래치장치가 설치된다. 도어에 설치된 래치장치는 도어와 함께 회전되어 스트라이커에 걸려서 도어의 회전을 구속한다. 도어용 래치장치는 인사이드 핸들, 아웃사이드 핸들 및 인사이드 노브 등의 작동에 따라 동작되며, 래치장치를 작동시키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차량의 측면 충돌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차량의 도어가 열리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탑승자의 상해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413444호(2012.05.02 공개, 발명의 명칭: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이 충돌할 때 도어가 개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승객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형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형 도어잠금장치는: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이동홈부를 구비하며 도어에 고정되는 베이스 하우징과, 베이스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와, 래치기어와 마주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과, 베이스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파울과 같은 파울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와, 와이어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회전레버를 회전시키는 전달부와, 회전레버의 측면홈부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동작에 의해 전달부의 동력이 파울로 전달됨을 제어하는 잠금부 및 베이스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시 관성에 의해 회전되어 측면홈부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잠금부를 가압하는 안전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울은, 베이스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울몸체와, 파울몸체에서 돌출되어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걸림돌기 및 파울몸체에서 베이스 하우징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측면홈부와 마주하는 일측에 위치하는 전달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레버는, 파울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몸체와, 회전레버몸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전달돌기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레버돌기와, 제1레버돌기와 마주하며 회전레버몸체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레버돌기와의 사이에 측면홈부를 형성하는 제2레버돌기 및 회전레버몸체에서 돌출되며 회전되는 전달부에 접하여 회전하면서 회전레버몸체와 제2레버돌기를 회전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달부는, 접촉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와이어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접촉부를 가압하는 제1전달부 및 제1전달부와 이격되며 제2와이어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접촉부를 가압하는 제2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전달부는, 접촉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전달몸체와, 제1전달몸체에서 돌출되어 제1와이어와 연결되는 제1연결돌기 및 제1전달몸체에서 돌출되며 제1연결돌기와 함께 회전되어 접촉부를 회전시키는 제1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전달부는, 접촉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전달몸체와, 제2전달몸체에서 돌출되어 제2와이어와 연결되는 제2연결돌기 및 제2전달몸체에서 돌출되며 제2연결돌기와 함께 회전되어 접촉부를 회전시키는 제2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잠금부는, 회전레버의 외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몸체 및 잠금몸체에서 돌출되어 측면홈부에 삽입되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전달돌기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제1잠금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레버는, 잠금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레버몸체와, 안전레버몸체에 연결되며 차량 충돌시 모멘트를 발생시켜 안전레버몸체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 및 안전레버몸체에서 돌출되며 회전부와 함께 회전되어 잠금부를 측면홈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파울의 회전을 구속하는 가압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부는, 안전레버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관성레버 및 관성레버에 연결되며 차량 충돌시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형 도어잠금장치는, 차량 충돌시 안전레버가 회전되어 잠금부를 측면홈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차량이 충돌할 때 도어가 개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승객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도어잠금장치의 일측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도어잠금장치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도어잠금장치의 일측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회전되어 잠금부가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도어잠금장치의 타측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플레이트가 베이스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잠금부를 가압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외부충격에 의해 회전되어 잠금부를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의 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잠금돌기가 측면홈부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도어잠금장치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도어잠금장치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회전되어 잠금부를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도어잠금장치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도어잠금장치의 일측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회전되어 잠금부가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도어잠금장치의 타측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플레이트가 베이스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잠금부를 가압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외부충격에 의해 회전되어 잠금부를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의 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잠금돌기가 측면홈부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도어잠금장치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도어잠금장치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회전되어 잠금부를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의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도어잠금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용 도어의 잠금에 사용되는 안전형 도어잠금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도어잠금장치의 일측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도어잠금장치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도어잠금장치의 일측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회전되어 잠금부가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도어잠금장치의 타측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플레이트가 베이스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잠금부를 가압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외부충격에 의해 회전되어 잠금부를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의 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잠금돌기가 측면홈부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도어잠금장치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도어잠금장치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가 회전되어 잠금부를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의 분해 사시도.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도어잠금장치(1)는, 스트라이커(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이동홈부(12)를 구비하며 도어에 고정되는 베이스 하우징(10)과, 베이스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이동홈부(12)를 통해 진입된 상기 스트라이커(100)를 구속하는 래치기어(30)와, 래치기어(30)와 마주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30)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30)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40)과, 베이스 하우징(10)을 사이에 두고 파울(40)과 같은 파울(40)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50)와, 와이어(90)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회전레버(50)를 회전시키는 전달부(60)와, 회전레버(50)의 측면홈부(56)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동작에 의해 전달부(60)의 동력이 파울(40)로 전달됨을 제어하는 잠금부(70) 및 베이스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시 관성에 의해 회전되어 측면홈부(56)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잠금부(70)를 가압하는 안전레버(80)를 포함한다.
베이스 하우징(10)은 스트라이커(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이동홈부(12)를 구비하며 도어에 고정된다. 베이스 하우징(1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이동홈부(12)는 스트라이커(100)가 진입되는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플레이트(20)는 래치기어(30)와 파울(40)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 하우징(10)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제1이동홈부(12)와 마주하는 제2이동홈부(22)를 구비한다.
래치기어(30)는 베이스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이동홈부(12)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100)를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30)는, 래치몸체(32), 마운팅홈부(34), 제1걸림부(36), 제2걸림부(38)를 포함한다.
래치몸체(32)는 베이스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100)가 삽입되는 마운팅홈부(34)가 일측을 향하여 개구된 형상으로 설치된다. 마운팅홈부(34)는 래치몸체(32)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을 형성하며, 제1이동홈부(12)와 제2이동홈부(22)를 통하여 이동되는 스트라이커(100)가 마운팅홈부(34)로 삽입된다.
제1걸림부(36)는 래치몸체(32)에서 돌출되며, 마운팅홈부(34)로 삽입된 스트라이커(100)가 다시 제1이동홈부(12)와 제2이동홈부(22)를 통해 외측으로 이탈됨을 구속한다.
제2걸림부(38)는 래치몸체(32)에서 돌출되며, 마운팅홈부(34)로 삽입되는 스트라이커(100)에 의해 회전되어 파울(40)에 걸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치몸체(32)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래치몸체(32)의 반시계방향으로 제1걸림부(36)와 마운팅홈부(34)와 제2걸림부(38)가 차례로 위치한다. 제2걸림부(38)는 마운팅홈부(34)를 사이에 두고 제1걸림부(36)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파울(40)은 베이스 하우징(10)과 커버플레이트(2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30)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3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울(40)은 래치기어(30)와 마주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파울(40)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울몸체(42)와, 파울몸체(42)에서 돌출되어 래치기어(30)의 회전을 구속하는 걸림돌기(44) 및 파울몸체(42)에서 베이스 하우징(10)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측면홈부(56)와 마주하는 일측에 위치하는 전달돌기(46)를 포함한다.
파울몸체(42)는 제1이동홈부(12)를 사이에 두고 래치기어(30)와 대향되는 측에 설치되며, 파울회전축(48)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걸림돌기(44)는 파울몸체(42)에서 돌출되어 래치기어(3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돌기(44)는 파울몸체(42)에서 래치기어(3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스트라이커(100)와 함께 회전하는 래치기어(30)에 접촉되어 밀리거나, 제2걸림부(38)에 접하여 래치기어(30)의 회전을 구속한다.
전달돌기(46)는 파울몸체(42)에서 돌출되어 베이스 하우징(10)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회전레버(50)의 측면홈부(56)와 마주하는 일측에 위치한다. 베이스 하우징(10)에는 전달돌기(46)의 이동을 안내하는 원호 형상의 홀부가 구비된다.
파울회전축(48)은 베이스 하우징(10)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베이스 하우징(10)을 중심으로 파울회전축(48)의 일측에는 파울(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울회전축(48)의 타측에는 회전레버(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레버(50)는 베이스 하우징(10)을 사이에 두고 파울(40)과 같은 파울회전축(4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레버(50)는, 회전레버몸체(52), 제1레버돌기(53), 제2레버돌기(54), 커버돌기(55), 접촉부(57) 및 측면홈부(56)를 포함한다.
회전레버몸체(52)는 파울회전축(4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레버몸체(52)의 측면에는 전달부(60)에 걸리는 접촉부(57)가 돌출되므로, 전달부(60)가 회전되면서 회전레버몸체(52)를 가압하면, 회전레버몸체(52)는 전달부(60)와 함께 회전된다.
제1레버돌기(53)는 회전레버몸체(52)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전달돌기(46)의 상측(이하 도 1기준)에 위치한다. 제1레버돌기(53)는 회전레버몸체(52)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전달돌기(46)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다.
제2레버돌기(54)는 제1레버돌기(53)와 마주하며 회전레버몸체(52)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레버돌기(53)와의 사이에 측면홈부(56)를 형성한다. 제1레버돌기(53)와 제2레버돌기(54)의 사이에 형성된 측면홈부(56)를 통해 잠금부(70)의 제1잠금돌기(74)가 삽입되거나 이탈되면서 파울(40)의 회전을 제어한다.
제2레버돌기(54)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커버돌기(55)는 측면홈부(56)에 삽입되는 제1잠금돌기(74)의 상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제1잠금돌기(74)가 측면홈부(56)에서 이탈됨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접촉부(57)는 회전레버몸체(52)에서 돌출되며, 회전되는 전달부(60)에 접하여 회전하면서 회전레버몸체(52)와 제2레버돌기(54)를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부(60)는 와이어(90)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면서 회전레버(50)를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달부(60)는 와이어(90) 또는 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장치의 동력에 의해 이동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60)는 접촉부(57)와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와이어(92)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접촉부(57)를 가압하는 제1전달부(61)와, 제1전달부(61)와 이격되며 제2와이어(94)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접촉부(57)를 가압하는 제2전달부(66)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전달부(61)는 제1전달몸체(62), 제1연결돌기(63), 제1가압돌기(64)를 포함한다.
제1전달몸체(62)는 접촉부(57)와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전달몸체(62)는 베이스 하우징(10)에 고정된 고정회전축(6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회전축(65)은 파울회전축(48)과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며, 베이스 하우징(10)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1연결돌기(63)는 제1전달몸체(62)에서 돌출되어 제1와이어(92)와 연결된다. 제1연결돌기(63)는 제1전달몸체(62)에서 직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단차를 형성하는 바 형상으로 제1전달몸체(6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1연결돌기(63)의 일단에 제1와이어(92)가 연결되므로, 제1와이어(92)의 이동으로 제1전달몸체(62)는 고정회전축(65)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1가압돌기(64)는 제1전달몸체(62)에서 돌출되며, 제1연결돌기(63)와 함께 회전되어 접촉부(57)를 회전시킨다. 제1가압돌기(64)는 제1전달몸체(62)에서 회전레버(5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와이어(92)가 당겨지는 동작에 의해 회전되어 회전레버몸체(52)의 제1접촉부(58)에 걸린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전달부(66)는 제2전달몸체(67), 제2연결돌기(68), 제2가압돌기(69)를 포함한다. 제2전달부(66)는 제1전달부(6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제2전달몸체(67)는 접촉부(57)와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전달몸체(67)는 제1전달몸체(62)와 수직을 이루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전달부(66)의 설치구조와 작동상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연결돌기(68)는 제2전달몸체(67)에서 돌출되어 제2와이어(94)와 연결된다. 제2연결돌기(68)는 제2전달몸체(67)에서 직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단차를 형성하는 바 형상으로 제2전달몸체(67)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2연결돌기(68)의 일단에 제2와이어(94)가 연결되므로, 제2와이어(94)의 이동으로 제2전달몸체(67)가 회전된다. 제2와이어(94)는 도어의 내측 손잡이에 연결된다.
제2가압돌기(69)는 제2전달몸체(67)에서 돌출되며, 제2연결돌기(68)와 함께 회전되어 접촉부(57)를 회전시킨다. 제2가압돌기(69)는 제2전달몸체(67)에서 회전레버(5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2와이어(94)가 당겨지는 동작에 의해 회전되어 회전레버몸체(52)의 제2접촉부(59)에 걸린다.
도 7 내지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70)는 회전레버(50)의 측면홈부(56)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동작에 의해 전달부(60)의 동력이 파울(40)로 전달됨을 제어하는 링크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70)는 잠금몸체(72)와 제1잠금돌기(74)와 제2잠금돌기(76)와 몸체돌기(78)와 가이드돌기(79)를 포함한다.
잠금몸체(72)는 회전레버(50)의 외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잠금몸체(72)는 상하 방향(도 3기준)으로 연장되며, 잠금몸체(72)는 외부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잠금돌기(74)는 잠금몸체(72)의 하부 측면에서 돌출되어 측면홈부(56)에 삽입되며, 회전부(82)의 회전에 의해 전달돌기(46)를 가압하여 회전시킨다. 잠금몸체(72)의 상측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제1잠금돌기(74)는 측면홈부(56)에 삽입되거나 이탈되어 파울(40)의 회전을 제어한다.
제2잠금돌기(76)는 잠금몸체(72)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며, 회전되는 안전레버(80)에 접하여 이동된다.
가이드돌기(79)는 제1잠금돌기(74)와 제2잠금돌기(76)의 사이에 위치하며, 잠금몸체(72)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직선안내홈부(14)로 삽입된다. 직선안내홈부(14)는 베이스 하우징(10)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므로, 가이드돌기(79)가 직선안내홈부(14)로 삽입되어 상하 이동을 안내받는다.
잠금몸체(72)의 상측으로 돌출된 몸체돌기(78)는 제3스프링(114)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잠금모체를 포함한 잠금부(70)는 제3스프링(114)에 의해 안전레버(80)가 설치된 방향으로 가압된다.
도 2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레버(80)는 베이스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시 관성에 의해 회전되어 측면홈부(56)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잠금부(70)를 가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레버(80)는, 안전레버몸체(81), 회전부(82), 가압레버(85), 연장레버(86), 지지회전축(88)을 포함한다.
안전레버몸체(81)는 잠금부(70)와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안전레버몸체(81)는 베이스 하우징(10)에서 돌출된 지지회전축(8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부(82)는 안전레버몸체(81)에 연결되며, 차량 충돌시 모멘트를 발생시켜 안전레버몸체(81)와 함께 회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82)는, 안전레버몸체(8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관성레버(83) 및 관성레버(83)에 연결되며 차량 충돌시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돌출부재(84)를 포함한다. 관성레버(83)는 돌출부재(84)가 삽입되는 홈부를 측면에 구비한다. 돌출부재(84)의 크기와 형상은 차량 충돌시 관성에 의해 안전레버몸체(81)가 회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변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재(84)는 원기둥 형상의 스틸이 사용되며, 관성에 의한 회전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 다른 크기의 돌출부재(84)를 관성레버(83)에 결합하면 된다. 돌출부재(84)는 다단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관성레버(83)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관성레버(83)와 함께 회전된다.
가압레버(85)는 안전레버몸체(81)에서 돌출되며 회전부(82)와 함께 회전되어 잠금부(70)를 측면홈부(56)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파울(40)의 회전을 구속한다. 평상시 가압레버(85)는 잠금부(70)를 가압하지 않으며, 사고 발생시나 차량 전복시 충돌에 의한 관성으로 회전되어 잠금부(70)를 가압하여 잠금부(70)의 제1잠금돌기(74)가 회전레버(50)의 측면홈부(56)에서 이격된다.
연장레버(86)는 안전레버몸체(81)에서 돌출되며, 외측의 다른 부재에 연결되어 안전레버몸체(81)의 위치를 제어하거나, 회전부(82)와 함께 관성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다.
지지회전축(88)은 베이스 하우징(10)에서 축 형상으로 돌출되며, 안전레버몸체(81)를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안전레버몸체(81)는 지지회전축(88)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90)는 제1전달부(61)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92)와 제2전달부(66)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94)가 설치된다. 제1와이어(92)는 도어의 외측핸들에 연결되며 제2와이어(94)는 도어의 내측핸들에 연결된다.
고정회전축(65)의 외측에는 제1스프링(110)이 권선된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1스프링(110)은 제1전달부(61)를 반시계 방향(이하 도 2기준)으로 탄성지지한다. 제2스프링(112)은 회전레버몸체(52)의 축 형상 외측에 권선된 형상으로 설치되며 회전레버(50)를 시계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제3스프링(114)은 베이스 하우징(10)에서 돌출된 축에 권선된 형상으로 설치되며, 잠금부(70)를 안전레버(80)가 설치된 상측을 향하여 탄성 지지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도어잠금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3, 도 7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와이어(92)가 제1전달부(61)를 회전시키지 않고 제2와이어(94)가 제2전달부(66)를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파울(40)의 걸림돌기(44)에 걸려서 래치기어(30)의 회전이 구속되며, 스트라이커(100)는 마운팅홈부(34)의 내측에 위치한다.
차량에 외부충격이 전달되지 않거나 차량이 전복되지 않으면 안전레버(80)가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잠금돌기(74)가 측면홈부(56)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회전레버(50)와 함께 파울(40)이 회전된다.
도 4, 도 8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외부충격이 전달되거나 차량이 전복되면, 관성에 의해 관성레버(83)와 돌출부재(84)로 이루어진 회전부(82)가 회전된다. 회전부(82)의 회전으로 안전레버(80) 전체가 지지회전축(88)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가압레버(85)는 제2잠금돌기(76)의 측면에 접하여 제2잠금돌기(76)를 가압한다.
제2잠금돌기(76)의 이동으로 잠금부(70)의 제1잠금돌기(74)는 측면홈부(56)에서 이탈되며, 외부 충격에 의해 회전레버(50)가 회전되어도 파울(40)의 회전은 구속된다.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이 제거된 후에는 제3스프링(114)의 스프링력에 의해 몸체돌기(78)가 원위치로 이동되므로 잠금부(70)의 제1잠금돌기(74)는 측면홈부(56)로 삽입되어 도어의 개폐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차량 충돌시 안전레버(80)가 회전되어 안전레버(80)의 측면홈부(56)에 삽입된 잠금부(70)를 이동시키므로 차량이 충돌할 때 도어가 개방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충돌시 안전레버(80)가 회전되어 잠금부(70)를 측면홈부(56)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차량이 충돌할 때 도어가 개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승객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용 도어의 잠금에 사용되는 안전형 도어잠금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도어가 아닌 다른 부재의 잠금에도 본 발명에 의한 안전형 도어잠금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안전형 도어잠금장치
10: 베이스 하우징 12: 제1이동홈부 14: 직선안내홈부 20: 커버플레이트 22: 제2이동홈부
30: 래치기어 32: 래치몸체 34: 마운팅홈부 36: 제1걸림부 38: 제2걸림부
40: 파울 42: 파울몸체 44: 걸림돌기 46: 전달돌기 48: 파울회전축
50: 회전레버 52: 회전레버몸체 53: 제1레버돌기 54: 제2레버돌기 55: 커버돌기 56: 측면홈부 57: 접촉부 58: 제1접촉부 59: 제2접촉부
60: 전달부 61: 제1전달부 62: 제1전달몸체 63: 제1연결돌기 64: 제1가압돌기 65: 고정회전축 66: 제2전달부 67: 제2전달몸체 68: 제2연결돌기 69: 제2가압돌기
70: 잠금부 72: 잠금몸체 74: 제1잠금돌기 76: 제2잠금돌기 78: 몸체돌기 79: 가이드돌기
80: 안전레버 81: 안전레버몸체 82: 회전부 83: 관성레버 84: 돌출부재 85: 가압레버 86: 연장레버 88: 지지회전축
90: 와이어 92: 제1와이어 94: 제2와이어
100: 스트라이커 110: 제1스프링 112: 제2스프링 114: 제3스프링
10: 베이스 하우징 12: 제1이동홈부 14: 직선안내홈부 20: 커버플레이트 22: 제2이동홈부
30: 래치기어 32: 래치몸체 34: 마운팅홈부 36: 제1걸림부 38: 제2걸림부
40: 파울 42: 파울몸체 44: 걸림돌기 46: 전달돌기 48: 파울회전축
50: 회전레버 52: 회전레버몸체 53: 제1레버돌기 54: 제2레버돌기 55: 커버돌기 56: 측면홈부 57: 접촉부 58: 제1접촉부 59: 제2접촉부
60: 전달부 61: 제1전달부 62: 제1전달몸체 63: 제1연결돌기 64: 제1가압돌기 65: 고정회전축 66: 제2전달부 67: 제2전달몸체 68: 제2연결돌기 69: 제2가압돌기
70: 잠금부 72: 잠금몸체 74: 제1잠금돌기 76: 제2잠금돌기 78: 몸체돌기 79: 가이드돌기
80: 안전레버 81: 안전레버몸체 82: 회전부 83: 관성레버 84: 돌출부재 85: 가압레버 86: 연장레버 88: 지지회전축
90: 와이어 92: 제1와이어 94: 제2와이어
100: 스트라이커 110: 제1스프링 112: 제2스프링 114: 제3스프링
Claims (9)
-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이동홈부를 구비하며 도어에 고정되는 베이스 하우징;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
상기 래치기어와 마주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상기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
상기 베이스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상기 파울과 같은 파울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
와이어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레버를 회전시키는 전달부;
상기 회전레버의 측면홈부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전달부의 동력이 상기 파울로 전달됨을 제어하는 잠금부; 및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시 관성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측면홈부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부를 가압하는 안전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도어잠금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울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울몸체;
상기 파울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걸림돌기; 및
상기 파울몸체에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측면홈부와 마주하는 일측에 위치하는 전달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도어잠금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는, 상기 파울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몸체;
상기 회전레버몸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달돌기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레버돌기;
상기 제1레버돌기와 마주하며 상기 회전레버몸체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레버돌기와의 사이에 상기 측면홈부를 형성하는 제2레버돌기; 및
상기 회전레버몸체에서 돌출되며, 회전되는 상기 전달부에 접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레버몸체와 상기 제2레버돌기를 회전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도어잠금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접촉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와이어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접촉부를 가압하는 제1전달부; 및
상기 제1전달부와 이격되며 제2와이어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접촉부를 가압하는 제2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도어잠금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달부는, 상기 접촉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전달몸체;
상기 제1전달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와이어와 연결되는 제1연결돌기; 및
상기 제1전달몸체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1연결돌기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접촉부를 회전시키는 제1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도어잠금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달부는, 상기 접촉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전달몸체;
상기 제2전달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와이어와 연결되는 제2연결돌기; 및
상기 제2전달몸체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2연결돌기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접촉부를 회전시키는 제2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도어잠금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회전레버의 외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몸체; 및
상기 잠금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측면홈부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전달돌기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제1잠금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도어잠금장치.
-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레버는, 상기 잠금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레버몸체;
상기 안전레버몸체에 연결되며, 차량 충돌시 모멘트를 발생시켜 상기 안전레버몸체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안전레버몸체에서 돌출되며,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잠금부를 상기 측면홈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파울의 회전을 구속하는 가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도어잠금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안전레버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관성레버; 및
상기 관성레버에 연결되며, 차량 충돌시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도어잠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5395A KR20160148819A (ko) | 2015-06-16 | 2015-06-16 | 안전형 도어잠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5395A KR20160148819A (ko) | 2015-06-16 | 2015-06-16 | 안전형 도어잠금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8819A true KR20160148819A (ko) | 2016-12-27 |
Family
ID=57736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5395A KR20160148819A (ko) | 2015-06-16 | 2015-06-16 | 안전형 도어잠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4881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365565B2 (en) * | 2019-02-19 | 2022-06-21 | Hyundai Motor Company | Motor-driven door latch for vehicle |
-
2015
- 2015-06-16 KR KR1020150085395A patent/KR2016014881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365565B2 (en) * | 2019-02-19 | 2022-06-21 | Hyundai Motor Company | Motor-driven door latch for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60979B1 (ko) | 2단 해제용 후드래치 | |
KR101434980B1 (ko) | 래치장치 | |
KR101610499B1 (ko) |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 |
KR101560969B1 (ko) | 후드래치장치 | |
KR101662900B1 (ko) | 차량용 후드래치 | |
KR101541251B1 (ko) | 자동차용 후드래치 | |
KR101542689B1 (ko) | 자동차용 후드 래치장치 | |
KR101751265B1 (ko) | 차량용 도어잠금장치 | |
JP2018159261A (ja) | ガードロック装置 | |
KR20160148819A (ko) | 안전형 도어잠금장치 | |
KR101774525B1 (ko) | 자동차용 후드래치 | |
KR101732914B1 (ko) | 차량용 도어래치 | |
KR101643468B1 (ko) |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 |
KR101573144B1 (ko) | 더블풀 후드래치 | |
KR101662903B1 (ko) | 차량용 후드래치 | |
KR101603836B1 (ko) |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 |
KR102187596B1 (ko) |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 | |
KR101585766B1 (ko) |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장치 | |
KR20160021401A (ko) | 차량용 후드래치 | |
KR101732915B1 (ko) | 차량용 래치장치 | |
KR101825391B1 (ko) | 후드래치 장치 | |
KR101542692B1 (ko) | 차량용 후드래치 | |
KR20160034506A (ko) | 2단 해제용 후드래치 | |
KR101615823B1 (ko) | 측면 충돌시 도어열림 방지형 래치장치 | |
KR101595332B1 (ko) |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