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30556A2 - 트렁크용 래치장치 - Google Patents

트렁크용 래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30556A2
WO2018030556A2 PCT/KR2016/008730 KR2016008730W WO2018030556A2 WO 2018030556 A2 WO2018030556 A2 WO 2018030556A2 KR 2016008730 W KR2016008730 W KR 2016008730W WO 2018030556 A2 WO2018030556 A2 WO 201803055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tch
unit
link
base
fou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873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8030556A3 (ko
Inventor
탁문배
안기륜
황두언
박현태
이석범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6/00873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30556A2/ko
Publication of WO201803055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30556A2/ko
Publication of WO201803055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30556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05B81/2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by movement of the strik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tch device for a trunk, and relates to a latch device for a trunk that can be locked or unlocked automatically or manually even when using a single power source.
  • the latch device installed in the trunk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switch installed in the driver's seat or the trunk door.
  • the drive switch operates the drive unit to generate power, and the power of the drive unit rotates the latch gear that constrains the striker by rotating the foul.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tch device for a trunk that can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locked and unlocked using a single power source.
  • a latch device for a trunk includes: a base part mounted to a vehicle body and having a moving hole part for guiding movement of a striker; A latch part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part to restrain the striker entered through the moving hole part; A fouling unit rotatably installed in the base unit and engaged with the latch unit to restrict rotation of the latch unit; A link unit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unit, the link unit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 transmission part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part and connected to the link part; A lever pin part mounted to the link part and caught by the latch part; A cancel lever part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part and hung on the fouling part and the link part to guide the lever pin part; And a driving unit mounted to the base unit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transmission unit.
  • the latch part is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part, an insertion hole part into which the striker is inserted is formed, and the latch is restricted by the latch stopper part protruding from the base part and the rotation is restricted by the fouling part.
  • Body portion And a latch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atch body to be caught by the lever pin part.
  • the fouling body portion is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portion; A fouling catching part protruding from the fouling body part and caught on the fouling stopper part protruding from the base part; A foul stop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oul body portion toward the latch portion and hooking the latch portion to restrict rotation of the latch portion; And a fou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ouling body portion and being caught by the cancel lever portion.
  • the link unit includes a first link unit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unit; A second link unit having one end rotatably mounted on the first link unit and another end rotatably mounted on the transmission unit; And a third link part having one end rotatably mounted on the first link part and the other end mounted on the lever pin part.
  • the transfer unit is a transmission body portion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portion; A transmission link part formed on the transmission body par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link part; And a transmission guide part formed on the transmission body part and configured to transfer a driving force to the driving part.
  • the lever pin portion is a pin seating portion seated on the link portion; A lower pin protrus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pin seating portion to penetrate through the link portion and caught by the latch portion; And a pin-shaped protrus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pin seating portion and guided to the cancel lever portion.
  • the cancel lever portion is a cancel body portion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portion; A cancel link engag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cancel body portion and engaging the link portion; A cancellation foul catch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cancel body portion and catching the fouling portion; And a cancellation guide part extending from the cancel body part toward the latch part and guiding the lever pin part to move through the cancel body part.
  • the driving unit is mounted to the base portion and the driving motor unit driven as power is applied; A driving shaft part protruding from the driving motor part and rotating as the driving motor part is driven; A driving plate portion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driving shaft portion to rotate; And a driv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driving plate part and hanging on the transmission part to operate the transmission part.
  • the latch device for a tru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 an auto-open mode, a cinch mode, and a manual open mode.
  • the latch device for a tru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opted one power sour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and volume of parts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fuel economy.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atch device for a tru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atch unit in a latch device for a tru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ouling portion in a latch device for a tru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nk unit in a latch device for a tru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ransmission unit in a latch device for a tru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ever pin unit in a latch device for a tru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ncel lever part in a latch device for a tru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riving unit in a latch device for a tru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9 and 10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operating in the manual open mode in the latch device for a tru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 to 13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operating in the automatic opening mode in the latch device for a tru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4 to 17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operating in the latching mode in the latch device for a tru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trunk latch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art 10, a latch part 20, a fouling part 30, a link part 40, The transmission part 50, the lever pin part 60, the cancel lever part 70, and the drive part 80 are included.
  • the base portion 10 is mounted to the vehicle body.
  • the base portion 10 is formed with a moving hole 11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triker 100.
  • the latch unit 2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base unit 10. The latch unit 20 restrains the striker 100 entered through the moving hole 11.
  • the fouling portion 3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base portion 10 and engaged with the latch portion 20 to restrain the rotation of the latch portion 20.
  • the link unit 40 is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unit 10, and a plurality of link units 40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transmission part 50 is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part 10 and is connected to the link part 40.
  • the lever pin portion 60 mounted on the link portion 40 is caught by the latch portion 20.
  • the lever pin portion 60 pushes the latch portion 20 by the movement of the link portion 40 so that the latch portion 20 may rotate.
  • the cancel lever part 70 is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part 10, and is caught and moved by the fouling part 30 and the link part 40, and guides the lever pin part 60.
  • the driving unit 80 is mounted to the base unit 10 and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transmission unit 50.
  • the latch uni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tch body 21 and a latch protrusion 22.
  • the latch body portion 21 is rotatably mounted with the base portion 10, and the insertion hole portion 219 is formed to which the striker 100 is inserted and locked.
  • the latch body portion 21 is caught by the latch stopper portion 12 protruding from the base portion 10 to limit the rotation.
  • the latch body 21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moving hole 11 with reference to FIG. 2 and is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part 10 by penetrating through a fixed shaft fixed to the base part 10. Can be.
  • the restoring spring is mounted on the latch body 21 and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latch body 21 may rotate in the direction of the latch stopper 12.
  • the latch body 21 has a first latching jaw portion 211 that is restrained by the fouling portion 30 and the latch body portion 21 that is additionally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then restrained by the fouling portion 30.
  • the second latching jaw portion 212 may be formed.
  • the latch body 21 when the latch body 21 is additionally rotated counterclockwise by a restoring force, the latch body 21 may be caught by the latch stopper 12 to limit rotation.
  • the latch protrusion 22 protrudes from the latch body portion 21 so as to be caught by the lever pin 60 and movable.
  • the latch protrusion 22 may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80 from the latch body 21.
  • the fouling portion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uling body portion 31, fouling catching portion 32, fouling stopping portion 33, fouling projection ( 34).
  • the fouling body portion 31 is mounted to the base portion 10 so as to be rotatable.
  • the fouling body part 31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moving hole part 11 and is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part 10 by penetrating through a fixed shaft fixed to the base part 10. Can be.
  • the fouling body portion 31 may b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foul stopper portion 13 when the restoring spring is mounted and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 the fouling catching part 32 protrudes from the fouling body part 31, and is caught by the fouling stopper part 13 protruding from the base part 10, thereby limiting rotation.
  • the fouling body part 31 may be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by the restoring force, and the fouling catching part 32 may be caught by the fouling stopper part 13 to limit excessive rotation of the fouling body part 31.
  • the foul stop portion 33 protrudes from the foul body portion 31 toward the latch portion 20 and is caught by the latch portion 20 to restrain the rotation of the latch portion 20.
  • the foul stop 33 may be caught by the first latch catching jaw 211 or the second latch catching jaw 212 according to the rotation state of the latch body 21 to maintain the latch body 21. You can.
  • the foul protrusion 34 protrudes from the foul body portion 31 and is caught and moved by the cancel lever portion 70.
  • the foul protrusion part 34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oul catch part 32 and may be disposed on a movement path of the cancel lever part 70 which protrudes forward and rotates.
  • the link uni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ink unit 41, a second link unit 42, and a third link unit 43. do.
  • the first link portion 41 is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portion 10.
  • the first link part 41 is disposed above the fouling part 30, and is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part 10 by penetrating a fixed shaft fixed to the base part 10. Can be.
  • One end of the second link unit 42 is rotatably mounted to the first link unit 4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unit 42 is rotatably mounted.
  • one end of the second link unit 42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link unit 41 and pinned to each other based on FIG. 4.
  •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portion 42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transfer portion 41 and may be pinned to each other.
  • One end of the third link unit 43 is rotatably mounted to the first link unit 41,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unit 43 is mounted to the lever pin unit 60.
  • one end of the third link unit 43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link unit 41 and may be pinned to each other based on FIG. 4.
  • the lever pin part 60 may be mounted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part 43.
  • the transmission unit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ssion body portion 51, a transmission link portion 52, and a transmission guide portion 53.
  • the delivery body portion 51 is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portion 10.
  • the transmission body portion 51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econd link portion 42 with reference to FIG. 5, and is rotatable to the base portion 10 by penetrating through a fixed shaft fixed to the base portion 10. Can be mounted.
  • the transmission link portion 52 is formed on the transmission body portion 51 and is coupled to the link portion 40 so as to be rotatable.
  • the transmission link unit 52 may be pin-coupled wit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unit 42.
  • the transmission guide part 53 is formed in the transmission body part 51 and is caught by the driving part 80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 the transmission guide part 53 may form a curved hole to guide the driving part 80.
  • the lever pin part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n seating part 61, a pin lower protrusion part 62, and a pin-shaped protrusion part 63.
  • the pin seating portion 61 is seated on the link portion 40.
  • the pin seating part 61 may be seated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part 43.
  • the pin lower protrusion 62 extends downward from the pin seating portion 61 and penetrates through the link portion 40.
  • the pin lower protrusion 62 is caught by the latch portion 20.
  • the lower pin protrusion 62 may pass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unit 43.
  • the pin lower protrusion 62 may be press-fitted into the third link portion 43 to maintain a fixed state with the third link portion 43.
  • the pin lower protrusion 62 may be caught by the latch protrusion 22 to rotate the latch body 21 in a clockwise direction.
  • the pin-shaped protrusion 63 extends upward from the pin seating portion 61 and is guided to the cancel lever portion 70.
  • the pin-shaped protrusion 63 may pass through the cancel lever unit 70.
  • the cancel lever part 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ncel body part 71, a cancel link catch part 72, a cancel foul catch part 73, The cancel guide part 74 is included.
  • the cancel body portion 71 is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portion 10.
  • the cancel body part 71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foul body part 31, rotate coaxially with the foul body part 31, and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part 80.
  • the cancel link catching portion 72 extends from the canceling body portion 71 and catches the link portion 40.
  • the cancel link catching part 72 may protrude to the left rear of the cancel body part 71 based on FIG. 7.
  • the first link portion 41 positioned behind the cancel body portion 71 may be caught by the cancel link locking portion 72 to rotate the cancel body portion 71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moved to the left. .
  • the cancel foul catch portion 73 extends from the cancel body portion 71 and the foul portion 30 is caught.
  • the cancellation foul catching part 73 may protrude to the right rear of the cancel body part 71.
  • the foul protrusion part 34 may be caught by the cancel foul catch portion 73 to rotate the cancel body portion 71 in the clockwise direction.
  • the cancel guide portion 74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latch portion 20 from the cancel body portion 71 and guides the lever pin portion 60 to move therethrough.
  • the cancel guide part 74 has a length so as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latch part 20, and the pin guide hole part 741 is formed along the length of the cancel guide part 74 to form a pin-shaped protrusion. (62) can be guided.
  • a driving unit 80 includes a driving motor unit 81, a driving shaft unit 82, a driving plate unit 83, and a driving protrusion 84. Include.
  • the driving motor part 81 is mounted to the base part 10 and driven as power is applied.
  • the drive shaft portion 82 protrudes from the drive motor portion 81 and rotates as the drive motor portion 81 is driven.
  • a worm gear may be formed in the driving shaft 82.
  • the driving plate 83 is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10, and is engaged with the driving shaft 82 to rotate.
  • the driving plate 83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transmission unit 50, and a teeth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be a worm wheel engaged with the driving shaft 82.
  • the driving plate 83 may be rotated coaxially with the transfer body 51.
  • the driving protrusion 84 protrudes from the driving plate 83 and is caught by the transfer unit 50 to operate the transfer unit 50.
  • the driving protrusion 84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riving plate 83 and is inserted into the transmission guide portion 53, and as the driving plate 83 is rotated, the driving protrusion 84 is transferred to the transmission guide portion 53. It can be caught and rotate the transmission body 51.
  • 9 and 10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operating in the manual open mode in the latch device for a tru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atch unit 20 restrains the striker 100 (see FIG. 9)
  • the user directly pulls the lever for the trunk door.
  • the cancel lever part 7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the tension of the cable (see FIG. 10).
  • the cancel lever 7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cancel fouling part 73 is caught by the foul protrusion 34, and the foul body part 31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f the foul body portion 31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foul stop 33 is not interfered with the latch portion 20, the latch portion 2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the restoring force to strike the striker 100 Release the constraints.
  • 11 to 13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operating in the automatic opening mode in the latch device for a tru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 to 13 in a state in which the latch unit 20 restrains the striker 100 (see FIG. 11),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for the trunk door.
  • the driving unit 80 is driven to rotate the driving plate 83 in the clockwise direction
  • the link unit 40 is rotated and caught by the cancel link catching unit 72 (see FIG. 12).
  • the cancel lever 7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the cancellation foul catching portion 73 is caught by the foul protrusion 34 and the foul body portion.
  • 31 is rotated counterclockwise (see FIG. 13). If the foul body portion 31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foul stop 33 is not interfered with the latch portion 20, the latch portion 2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the restoring force to strike the striker 100 Release the constraints.
  • 14 to 17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operating in the latching mode in the latch device for a tru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atch portion 20 is supported by the latch stopper portion 12 in the trunk open state (see FIG. 14).
  • the fouling part 30 restrains the rotation of the latch part 20 and the insertion hole part.
  • the striker 100 is inserted into 219 to enter the one-step locking state (see FIG. 15).
  • a separate sensor senses this, and the driving unit 80 is driven to rotate the driving plate 83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 the lever pin unit 60 pushes the latch unit 20 (see FIG. 16). For this reason, the latch part 20 is further rotated clockwise, and it becomes a two-step locking state.
  • the driving plate 83 is rotated clockwise to releas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lever pin 60 and the latch 20 (see FIG. 17).
  • the trunk latch device (1) when the trunk latch device (1) is operated in the destined mode and receives a release signal, the trunk latch device (1) is operated in the automatic open mode.
  • the latch device 1 for trunks may be in an auto-open mode, a cinching mode, and a manual open mode.
  • Trunk latch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opted one power sour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and volume of parts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fuel economy.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렁크용 래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장착되어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홀부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홀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부와,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부에 맞물려 래치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부와,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복수개가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링크부와,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링크부에 연결되는 전달부와, 링크부에 장착되고 래치부에 걸리는 레버핀부와,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파울부와 링크부에 걸려 이동되며 레버핀부를 안내하는 캔슬레버부와,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전달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하나의 동력원으로 트렁크 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트렁크용 래치장치
본 발명은 트렁크용 래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동력원을 이용하더라도 트렁크의 잠금 및 잠금해제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트렁크용 래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렁크에 설치되는 래치장치는 운전석 또는 트렁크 도어에 설치된 구동스위치의 조작으로 동작된다. 구동스위치는 구동부를 동작시켜 동력을 발생시키며, 구동부의 동력은 파울을 회전시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를 회전시킨다.
종래에는 모터와 같은 복수개의 구동부가 동력을 제공함에 따라 트렁크의 개방, 잠김 등이 구현되므로, 복수개의 모터 사용으로 인해 부피가 커지고 무게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50652호(2005.05.31 공개, 발명의 명칭 : 구동장치 및 도어클로저)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동력원을 이용하더라도 트렁크의 잠금 및 잠금해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트렁크용 래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는: 차체에 장착되어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홀부가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홀부를 통해 진입된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부에 맞물려 상기 래치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복수개가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링크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링크부에 연결되는 전달부; 상기 링크부에 장착되고, 상기 래치부에 걸리는 레버핀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파울부와 상기 링크부에 걸려 이동되며, 상기 레버핀부를 안내하는 캔슬레버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달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치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삽입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되는 래치스토퍼부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파울부에 걸려 회전이 구속되는 래치몸체부; 및 상기 래치몸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레버핀부에 걸리는 래치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울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파울몸체부; 상기 파울몸체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되는 파울스토퍼부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는 파울걸림부; 상기 파울몸체부에서 상기 래치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래치부에 걸려 상기 래치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멈춤부; 및 상기 파울몸체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캔슬레버부에 걸려 이동되는 파울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링크부; 상기 제1링크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전달부에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링크부; 상기 제1링크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레버핀부에 타단부가 장착되는 제3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달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전달몸체부; 상기 전달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달링크부; 및 상기 전달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에 걸려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핀부는 상기 링크부에 안착되는 핀안착부; 상기 핀안착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링크부를 관통하고, 상기 래치부에 걸리는 핀하돌기부; 및 상기 핀안착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캔슬레버부에 안내되는 핀상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캔슬레버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캔슬몸체부; 상기 캔슬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링크부가 걸리는 캔슬링크걸림부; 상기 캔슬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파울부가 걸리는 캔슬파울걸림부; 및 상기 캔슬몸체부에서 상기 래치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레버핀부가 관통되어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캔슬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부; 상기 구동모터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구동모터부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축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구동축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구동판부; 및 상기 구동판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전달부에 걸려 상기 전달부를 작동시키는 구동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는 자동오픈 모드, 신칭모드가 가능하고, 매뉴얼 오픈 모드가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는 하나의 동력원이 채택되어, 부품수와 부피를 줄여 제조비용과 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에서 래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에서 파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에서 링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에서 전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에서 레버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에서 캔슬레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에서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에서 매뉴얼오픈 모드로 작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에서 자동오픈 모드로 작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에서 신칭모드로 작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1)는 베이스부(10)와, 래치부(20)와, 파울부(30)와, 링크부(40)와, 전달부(50)와, 레버핀부(60)와, 캔슬레버부(70)와, 구동부(8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는 차체에 장착된다. 베이스부(10)에는 스트라이커(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홀부(11)가 형성된다. 래치부(20)는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래치부(20)는 이동홀부(11)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100)를 구속한다.
파울부(30)는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부(20)에 맞물려 래치부(20)의 회전을 구속한다. 링크부(40)는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복수개가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전달부(50)는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링크부(40)에 연결된다. 링크부(40)에 장착되는 레버핀부(60)는 래치부(20)에 걸린다. 이로 인해, 링크부(40)의 이동으로 레버핀부(60)가 래치부(20)를 밀어내어 래치부(20)가 회전될 수 있다.
캔슬레버부(70)는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파울부(30)와 링크부(40)에 걸려 이동되며, 레버핀부(60)를 안내한다. 구동부(80)는 베이스부(10)에 장착되고, 전달부(5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에서 래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20)는 래치몸체부(21)와 래치돌기부(22)를 포함한다.
래치몸체부(21)는 베이스부(10)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스트라이커(100)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될 수 있는 삽입홀부(219)가 형성된다. 래치몸체부(21)는 베이스부(10)에서 돌출되는 래치스토퍼부(12)에 걸려 회전이 제한된다. 일 예로, 래치몸체부(21)는 도 2를 기준으로 이동홀부(11)의 우측에 배치되고, 베이스부(10)에 고정되는 고정축에 관통되어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치몸체부(21)에는 복원스프링이 장착되어 외력이 제거되면 래치스토퍼부(1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래치몸체부(21)에는 파울부(30)에 구속되는 제1래치걸림턱부(211)와, 래치몸체부(21)가 추가적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된 후 파울부(30)에 구속되는 제2래치걸림턱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래치몸체부(21)가 복원력에 의해 추가적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래치스토퍼부(12)에 걸려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래치돌기부(22)는 레버핀부(60)에 걸려 이동이 가능하도록 래치몸체부(21)에서 돌출된다. 일 예로, 래치돌기부(22)는 래치몸체부(21)에서 구동부(8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에서 파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부(30)는 파울몸체부(31)와, 파울걸림부(32)와, 파울멈춤부(33)와, 파울돌기부(34)를 포함한다.
파울몸체부(31)는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도 3을 기준으로 파울몸체부(31)는 이동홀부(11)의 좌측에 배치되고, 베이스부(10)에 고정되는 고정축에 관통되어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파울몸체부(31)에는 복원스프링이 장착되어 외력이 제거되면 파울스토퍼부(13)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파울걸림부(32)는 파울몸체부(31)에서 돌출되고, 베이스부(10)에서 돌출되는 파울스토퍼부(13)에 걸려 회전이 제한된다. 일 예로, 복원력에 의해 파울몸체부(3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파울걸림부(32)가 파울스토퍼부(13)에 걸려 파울몸체부(31)의 과도한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파울멈춤부(33)는 파울몸체부(31)에서 래치부(20) 방향으로 돌출되고, 래치부(20)에 걸려 래치부(20)의 회전을 구속한다. 일 예로, 파울멈춤부(33)는 래치몸체부(21)의 회전 상태에 따라 제1래치걸림턱부(211) 또는 제2래치걸림턱부(212)에 걸려 래치몸체부(21)가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파울돌기부(34)는 파울몸체부(31)에서 돌출되고, 캔슬레버부(70)에 걸려 이동된다. 일 예로, 도 3을 기준으로 파울돌기부(34)는 파울걸림부(32)의 반대방향에 배치되고, 전방으로 돌출되어 회전되는 캔슬레버부(70)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에서 링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40)는 제1링크부(41)와, 제2링크부(42)와, 제3링크부(43)를 포함한다.
제1링크부(41)는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도 4를 기준으로 제1링크부(41)는 파울부(30)의 상방에 배치되고, 베이스부(10)에 고정되는 고정축에 관통되어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2링크부(42)는 제1링크부(41)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전달부(50)에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도 4를 기준으로 제2링크부(42)의 일단부는 제1링크부(41)의 상단부 전면에 배치되어 서로 핀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링크부(42)의 타단부는 전달부(41)의 저면에 배치되어 서로 핀 결합될 수 있다.
제3링크부(43)는 제1링크부(41)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레버핀부(60)에 타단부가 장착된다. 일 예로, 도 4를 기준으로 제3링크부(43)의 일단부는 제1링크부(41)의 하단부 전면에 배치되어 서로 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3링크부(43)의 타단부에는 레버핀부(60)가 장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에서 전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50)는 전달몸체부(51)와, 전달링크부(52)와, 전달가이드부(53)를 포함한다.
전달몸체부(51)는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도 5를 기준으로 제2링크부(42)의 전방에 전달몸체부(51)가 배치되고, 베이스부(10)에 고정되는 고정축에 관통되어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전달링크부(52)는 전달몸체부(51)에 형성되고, 링크부(4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일 예로, 전달링크부(52)는 제2링크부(42)의 타단부와 핀 결합될 수 있다.
전달가이드부(53)는 전달몸체부(51)에 형성되고, 구동부(80)에 걸려 구동력을 전달한다. 일 예로, 전달가이드부(53)는 곡선형 홀을 형성하여 구동부(80)를 안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에서 레버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핀부(60)는 핀안착부(61)와, 핀하돌기부(62)와, 핀상돌기부(63)를 포함한다.
핀안착부(61)는 링크부(40)에 안착된다. 일 예로, 핀안착부(61)는 제3링크부(43)의 타단부에 안착될 수 있다.
핀하돌기부(62)는 핀안착부(6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링크부(40)를 관통한다. 이러한 핀하돌기부(62)는 래치부(20)에 걸린다. 일 예로, 핀하돌기부(62)는 제3링크부(43)의 타단부를 관통할 수 있다. 이때, 핀하돌기부(62)는 제3링크부(43)에 압입되어 제3링크부(43)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핀하돌기부(62)는 래치돌기부(22)에 걸려 래치몸체부(2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핀상돌기부(63)는 핀안착부(6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캔슬레버부(70)에 안내된다. 일 예로, 핀상돌기부(63)는 캔슬레버부(70)를 관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에서 캔슬레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슬레버부(70)는 캔슬몸체부(71)와, 캔슬링크걸림부(72)와, 캔슬파울걸림부(73)와, 캔슬가이드부(74)를 포함한다.
캔슬몸체부(71)는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도 7을 기준으로 캔슬몸체부(71)는 파울몸체부(31)의 전방에 배치되고, 파울몸체부(31)와 동축상에서 회전되며, 구동부(80)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캔슬링크걸림부(72)는 캔슬몸체부(71)에서 연장되고 링크부(40)가 걸린다. 일 예로, 도 7을 기준으로 캔슬링크걸림부(72)는 캔슬몸체부(71)의 좌측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캔슬몸체부(71)의 후방에 위치되는 제1링크부(41)는 좌측으로 이동될 때 캔슬링크걸림부(72)에 걸려 캔슬몸체부(71)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캔슬파울걸림부(73)는 캔슬몸체부(71)에서 연장되고, 파울부(30)가 걸린다. 일 예로, 도 7을 기준으로 캔슬파울걸림부(73)는 캔슬몸체부(71)의 우측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파울몸체부(3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파울돌기부(34)가 캔슬파울걸림부(73)에 걸려 캔슬몸체부(7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캔슬가이드부(74)는 캔슬몸체부(71)에서 래치부(20) 방향으로 연장되고, 레버핀부(60)가 관통되어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일 예로, 도 7을 기준으로 캔슬가이드부(74)는 래치부(2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길이를 가지며, 캔슬가이드부(74)의 길이를 따라 핀가이드홀부(741)가 형성되어 핀상돌기부(62)를 안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에서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80)는 구동모터부(81)와, 구동축부(82)와, 구동판부(83)와, 구동돌기부(84)를 포함한다.
구동모터부(81)는 베이스부(10)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된다. 구동축부(82)는 구동모터부(81)에서 돌출되고, 구동모터부(81)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된다. 일 예로, 구동축부(82)에는 웜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판부(83)는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구동축부(82)와 맞물려 회전된다. 일 예로, 도 8을 기준으로 구동판부(83)는 전달부(50)의 전방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치열이 형성되어 구동축부(82)와 맞물리는 웜휠이 될 수 있다. 구동판부(83)는 전달몸체부(51)와 동축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구동돌기부(84)는 구동판부(83)에서 돌출되고, 전달부(50)에 걸려 전달부(50)를 작동시킨다. 일 예로, 구동돌기부(84)는 구동판부(83)의 배면에서 돌출되어 전달가이드부(53)에 삽입되고, 구동판부(83)가 회전됨에 따라 구동돌기부(84)가 전달가이드부(53)에 걸려 전달몸체부(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에서 매뉴얼오픈 모드로 작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래치부(20)가 스트라이커(100)를 구속한 상태에서(도 9 참조), 사용자가 직접 트렁크 도어용 레버를 잡아당긴다. 이때, 케이블이 트렁크 도어용 레버와 캔슬레버부(70)를 연결하므로, 케이블의 장력에 의해 캔슬레버부(70)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도 10 참조). 캔슬레버부(70)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캔슬파울걸림부(73)가 파울돌기부(34)에 걸려 파울몸체부(3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파울몸체부(3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파울멈춤부(33)가 래치부(20)와 간섭되지 않으므로, 래치부(20)는 복원력에 의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트라이커(100)의 구속을 해제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에서 자동오픈 모드로 작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래치부(20)가 스트라이커(100)를 구속한 상태에서(도 11 참조), 사용자가 트렁크 도어용 스위치를 조작한다. 이로 인해, 구동부(80)가 구동되어 구동판부(8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링크부(40)가 회전되면서 캔슬링크걸림부(72)에 걸린다(도 12 참조). 상기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구동판부(8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캔슬레버부(70)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캔슬파울걸림부(73)가 파울돌기부(34)에 걸려 파울몸체부(3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도 13 참조). 파울몸체부(3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파울멈춤부(33)가 래치부(20)와 간섭되지 않으므로, 래치부(20)는 복원력에 의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트라이커(100)의 구속을 해제한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에서 신칭모드로 작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트렁크가 개방된 상태에서 래치부(20)는 래치스토퍼부(12)에 지지된다(도 14 참조). 상기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스트라이커(100)가 이동홀부(11)로 진입하여 래치부(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파울부(30)가 래치부(20)의 회전을 구속하고 삽입홀부(219)에 스트라이커(100)가 삽입되어 1단계 록킹 상태가 된다(도 15 참조). 1단계 록킹 상태가 되면 별도의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구동부(80)가 구동되어 구동판부(83)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구동판부(83)에 의해 링크부(40)가 회전되면서 레버핀부(60)가 래치부(20)를 밀어낸다(도 16 참조). 이로 인해, 래치부(20)가 추가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2단계 록킹 상태가 된다. 2단계 록킹 상태가 되면, 구동판부(8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레버핀부(60)와 래치부(20)간의 간섭을 해제한다(도 17 참조).
한편, 트렁크용 래치장치(1)가 신칭모드로 작동되다가 해제신호를 수신하면, 트렁크용 래치장치(1)는 자동오픈 모드로 작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1)는 자동오픈 모드, 신칭모드가 가능하고, 매뉴얼 오픈 모드가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1)는 하나의 동력원이 채택되어, 부품수와 부피를 줄여 제조비용과 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차체에 장착되어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홀부가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홀부를 통해 진입된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부에 맞물려 상기 래치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복수개가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링크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링크부에 연결되는 전달부;
    상기 링크부에 장착되고, 상기 래치부에 걸리는 레버핀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파울부와 상기 링크부에 걸려 이동되며, 상기 레버핀부를 안내하는 캔슬레버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달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용 래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삽입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되는 래치스토퍼부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파울부에 걸려 회전이 구속되는 래치몸체부; 및
    상기 래치몸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레버핀부에 걸리는 래치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용 래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울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파울몸체부;
    상기 파울몸체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되는 파울스토퍼부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는 파울걸림부;
    상기 파울몸체부에서 상기 래치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래치부에 걸려 상기 래치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멈춤부; 및
    상기 파울몸체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캔슬레버부에 걸려 이동되는 파울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용 래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링크부;
    상기 제1링크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전달부에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링크부;
    상기 제1링크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레버핀부에 타단부가 장착되는 제3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용 래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전달몸체부;
    상기 전달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달링크부; 및
    상기 전달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에 걸려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용 래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핀부는
    상기 링크부에 안착되는 핀안착부;
    상기 핀안착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링크부를 관통하고, 상기 래치부에 걸리는 핀하돌기부; 및
    상기 핀안착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캔슬레버부에 안내되는 핀상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용 래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캔슬레버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캔슬몸체부;
    상기 캔슬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링크부가 걸리는 캔슬링크걸림부;
    상기 캔슬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파울부가 걸리는 캔슬파울걸림부; 및
    상기 캔슬몸체부에서 상기 래치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레버핀부가 관통되어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캔슬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용 래치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부;
    상기 구동모터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구동모터부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축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구동축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구동판부; 및
    상기 구동판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전달부에 걸려 상기 전달부를 작동시키는 구동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용 래치장치.
PCT/KR2016/008730 2016-08-09 2016-08-09 트렁크용 래치장치 WO2018030556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8730 WO2018030556A2 (ko) 2016-08-09 2016-08-09 트렁크용 래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8730 WO2018030556A2 (ko) 2016-08-09 2016-08-09 트렁크용 래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0556A2 true WO2018030556A2 (ko) 2018-02-15
WO2018030556A3 WO2018030556A3 (ko) 2018-04-05

Family

ID=6116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8730 WO2018030556A2 (ko) 2016-08-09 2016-08-09 트렁크용 래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030556A2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89103A1 (en) * 2015-09-29 2017-03-30 Magna Closures S.P.A. One motor latch assembly with power cinch and power release having soft opening function
US20180171677A1 (en) * 2016-12-19 2018-06-21 Hyundai Motor Company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US20180171679A1 (en) * 2016-12-19 2018-06-21 Hyundai Motor Company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US20190226247A1 (en) * 2017-11-15 2019-07-25 Magna BOCO GmbH Latch assembly with power release and dual stage cinch function
US10415275B2 (en) * 2016-04-15 2019-09-17 Hyundai Motor Company Trunk latch module for vehicle
CN110528975A (zh) * 2018-11-09 2019-12-03 湖南海博瑞德电智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一体式上吸锁的解锁方法和上锁方法
WO2021067845A1 (en) * 2019-10-04 2021-04-08 Triteq Lock And Security, Llc Lock
US11008786B2 (en) * 2017-06-02 2021-05-18 Hyundai Motor Company Trunk lid latch assembly for vehicle
US20210363790A1 (en) * 2020-05-22 2021-11-25 Shiroki Corporation Lock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61247A1 (de) * 1999-02-17 2000-08-24 Huf Huelsbeck & Fuerst Gmbh Türschloss,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KR100489095B1 (ko) * 2002-12-06 200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스위치 기능을 갖춘 트렁크의 래치조립체
KR100605034B1 (ko) * 2004-07-27 2006-08-01 평화정공 주식회사 룸램프 스위치구조를 가진 트렁크 리드래치
KR100812524B1 (ko) * 2007-06-26 2008-03-12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KR101273515B1 (ko) * 2012-02-16 2013-06-17 (주)세화공업 자동차 트렁크 리드 랫치 어셈블리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89103A1 (en) * 2015-09-29 2017-03-30 Magna Closures S.P.A. One motor latch assembly with power cinch and power release having soft opening function
US11162284B2 (en) * 2015-09-29 2021-11-02 Magna Closures S.P.A. One motor latch assembly with power cinch and power release having soft opening function
US10415275B2 (en) * 2016-04-15 2019-09-17 Hyundai Motor Company Trunk latch module for vehicle
US20180171677A1 (en) * 2016-12-19 2018-06-21 Hyundai Motor Company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US20180171679A1 (en) * 2016-12-19 2018-06-21 Hyundai Motor Company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US10808433B2 (en) * 2016-12-19 2020-10-20 Hyundai Motor Company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US10920464B2 (en) * 2016-12-19 2021-02-16 Hyundai Motor Company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US11008786B2 (en) * 2017-06-02 2021-05-18 Hyundai Motor Company Trunk lid latch assembly for vehicle
US20190226247A1 (en) * 2017-11-15 2019-07-25 Magna BOCO GmbH Latch assembly with power release and dual stage cinch function
US11859416B2 (en) * 2017-11-15 2024-01-02 Magna BOCO GmbH Latch assembly with power release and dual stage cinch function
CN110528975B (zh) * 2018-11-09 2021-04-02 湖南海博瑞德电智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一体式上吸锁的解锁方法和上锁方法
CN110528975A (zh) * 2018-11-09 2019-12-03 湖南海博瑞德电智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一体式上吸锁的解锁方法和上锁方法
WO2021067845A1 (en) * 2019-10-04 2021-04-08 Triteq Lock And Security, Llc Lock
US20210363790A1 (en) * 2020-05-22 2021-11-25 Shiroki Corporation Lock device
US11512507B2 (en) * 2020-05-22 2022-11-29 Aisin Corporation Lock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0556A3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30556A2 (ko) 트렁크용 래치장치
JP2582178B2 (ja) フードロック装置
US6394511B1 (en) Automotive vehicle decklid latch system
US9163435B2 (en) Closure system for emergency release of a trunk compartment, especially a front trunk compartment
US7780207B2 (en) Automotive door latch system
US10626640B2 (en) Vehicle door operation device
US11555338B2 (en) Vehicle door latch apparatus
WO2014092232A1 (ko) 휠체어 고정장치
JP4444315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の中継操作装置
WO2012165866A2 (ko) 레버형 손잡이 및 레버형 손잡이용 로크 부재
CN212002747U (zh) 对车门的打开或关闭顺序没有限制的锁定装置及使用该锁定装置的车辆
KR101255562B1 (ko) 도어 래치 통합 링크 장치
JP4910218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KR101209605B1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스냅백 방지 장치
JP4384821B2 (ja) 建設機械用エアコン装置の外気導入口カバーの開閉装置
CN114156693A (zh) 电缆模块、车辆和车辆制造方法
WO2011065633A1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WO2014030855A1 (ko) 2단 출몰 구조를 갖는 튜블러형 래치
WO2018235970A1 (ko) 차량용 래치장치
WO2009096749A2 (ko) 방화용 도어 릴리즈장치
US20200181954A1 (en) Opening apparatus of a hood of a vehicle for emergency escape
WO2018199608A1 (ko) 자동차 트레이용 지센서
WO2019135610A1 (ko) 듀얼 브레이크를 갖는 줄자
KR100323422B1 (ko)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
KR100419732B1 (ko)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9127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9127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