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9715A -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조 - Google Patents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715A
KR20160039715A KR1020140132251A KR20140132251A KR20160039715A KR 20160039715 A KR20160039715 A KR 20160039715A KR 1020140132251 A KR1020140132251 A KR 1020140132251A KR 20140132251 A KR20140132251 A KR 20140132251A KR 20160039715 A KR20160039715 A KR 20160039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outside handle
guide groove
outside
do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도원
강보람
권상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2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9715A/ko
Publication of KR20160039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7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으로 당겨지면 후크가 레버를 이동시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조에 있어서, 일단은 도어패널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의 내측에는 후크가 형성된 아웃사이드핸들;과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에 고정되며 가이드홈이 형성된 핸들암; 및 일단은 상기 가이드홈의 형상을 따라 활주 가능하도록 핸들암에 결합되고 타단은 차체에 연결되는 걸림핀;을 포함하고 걸림핀의 일단이 가이드홈 내에서 상대적으로 외측에 형성된 턱에 안착될 때 아웃사이드핸들은 도어패널에서 상대적으로 매립된 위치에 놓이며, 상기 걸림핀의 일단이 가이드홈의 내측으로 이동됐을 때 후크가 레버에 근접하도록 아웃사이드핸들은 도어패널에서 상대적으로 돌출된 위치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아웃사이드핸들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매립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차량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도어의 디자인 설계시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조{Structure of outside handle}
본 발명은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정차 또는 주행 시 매립(은폐)되어 차량 외관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오염 및 바람소리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에는 개폐를 위해 인사이드핸들과 아웃사이드핸들이 각각 장착된다. 상기 인사이드핸들은 차량의 실내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며, 아웃사이드핸들은 실외측에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이 중, 아웃사이드핸들은 운전자가 차량 외부에서 도어를 개방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도 1a 를 참조하여 종래의 아웃사이드핸들(1)이 장착되는 구조 설명하면, 탑승자가 손가락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도어패널(2)에서 아웃사이드핸들(1)이 장착되는 위치에는 소정의 깊이로 파인 홈(2a)이 형성되고 그 홈(2a)의 외측으로 아웃사이드핸들(1)이 장착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열쇠 또는 리모컨 등을 통해 도어의 잠금장치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사이드핸들(1)을 외측으로 잡아당기면(또는 아웃사이드핸들에 결합된 버튼을 누르면), 후크(1a)가 외측으로 당겨져 레버(3)를 조작하고, 상기 레버(3)의 조작에 따라 도어래치(미도시)가 해제되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아웃사이드핸들(1)이 돌출된 구조는 차량의 고속 주행시 공기 흐름을 방해하여 바람소리를 유발할 수 있었으며, 먼지 또는 흙탕물 등에 의해 오염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도어의 개방이 필요한 경우에만 돌출되고, 주행 또는 주차 중에는 도어 패널 내부에 매립될 수 있는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측으로 당겨지면 후크가 레버를 이동시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조에 있어서, 일단은 도어패널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의 내측에는 후크가 형성된 아웃사이드핸들;과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에 고정되며 표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핸들암; 및 일단은 상기 가이드홈의 형상을 따라 활주 가능하도록 핸들암에 결합되고 타단은 차체에 연결되는 걸림핀;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핀의 일단이 가이드홈 내에서 상대적으로 외측에 형성된 턱에 안착될 때 아웃사이드핸들은 도어패널에서 상대적으로 매립된 위치에 놓이며, 상기 걸림핀의 일단이 가이드홈의 내측으로 이동됐을 때 후크가 레버에 근접하도록 아웃사이드핸들은 도어패널에서 상대적으로 돌출된 위치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이 매립된 위치에 놓인 상태일 때,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의 외측 표면은 도어패널의 외측 표면과 평탄하게 배치된다.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장착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이 매립된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내측으로 가압됐을 때 걸림핀이 턱에서 이탈하고,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이 매립된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내측으로 가압됐을 때 걸림핀이 턱으로 안착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홈은 경사(傾斜) 또는 호형(弧形)으로 형성된 부분을 갖는다.
상기 스프링은 코일스프링으로써 걸림핀이 끼워지도록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아웃사이드핸들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매립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차량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도어의 디자인 설계시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탑승자의 손가락이 닫는 부분은 도어패널 내에 매립되므로 손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 주행에 따라 아웃사이드핸들 근방에서 바람소리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a 는 종래의 아웃사이드핸들이 도어패널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b 는 도 1a 에서 A-A 부분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웃사이드핸들이 도어패널에 장착되어 매립상태에 놓일 때의 단면모습과 걸림핀이 핸들암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웃사이드핸들이 도어패널에 장착되어 돌출상태에 놓일 때의 단면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4 는 걸림핀이 매립상태 또는 돌출상태에 놓일 때, 가이드홈에 놓이는 위치를 각각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 는 아웃사이드핸들이 매립 상태에서 돌출상태로 조작될 때 걸림핀이 가이드홈에서 활주하는 궤적의 모습을 순차적으로(① ~ ⑤) 도시한 도면,
도 6 은 아웃사이드핸들이 돌출상태에서 매립상태로 조작될 때 걸림핀이 가이드홈에서 활주하는 궤적의 모습을 순차적으로(① ~ ⑤) 도시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웃사이드핸들이 도어패널에 장착되어 매립상태에 놓일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외측으로 당겨지면 후크가 레버를 이동시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와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아웃사이드핸들(10)은 일단은 도어패널(70)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의 내측에는 후크(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사이드핸들(11)에서 후크가 형성된 측에는 핸들암(20)이 고정결합되며, 상기 핸들암(20)에는 가이드홈(2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1)에는 걸림핀(30)의 일단이 (가이드홈 내에서 활주 범위가 구속되도록) 활주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핀의(30) 타단은 (후크를 지나) 차체에 고정된 베이스(50)로 연결되며, 상기 후크(11)와 베이스 사이에는 후크(11)를 외측(도 2 의 화살표 방향 참조)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스프링(40)이 장착된다. 상기 스프링(40)은 코일스프링으로써 걸림핀(30)이 내부로 끼워지도록 장착된다(도 3 참조).
본 발명의 아웃사이드핸들(10)은, 돌출된 상태에서 눌려지면 눌림상태를 유지하고 눌림상태에서 다시 눌려지면 돌출된 상태로 전환되는 공지의 푸쉬버튼과 유사한 작동구조를 갖는다.
즉,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 아웃사이드핸들(10)은 걸림핀(30)의 일단이 가이드홈(21) 내에서 상대적으로 외측에 형성된 턱(22)에 안착될 때 매립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걸림핀(30)의 일단이 가이드홈(21)의 내측(도 4 에서 상대적으로 윗쪽)으로 이동됐을 때 돌출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아웃사이드핸들(10)은 매립 상태에 있을 때 외측 표면이 도어패널(70)의 외측 표면과 평탄하게 배치된다(도 4 와 도 7 참조). 그리고, 아웃사이드핸들(10)이 돌출 상태에 있을 때 탑승자가 그 사이로 손을 넣을 수 있을 정도로 도어패널(70)에서 소정의 범위로 돌출된다. 이 때, 후크(11)는 도어래치와 연결된 레버(60)와 근접하여 매칭상태(탑승자가 아웃사이드핸들을 외측으로 당겼을 때 레버의 조작이 이뤄질 수 있는 상태)에 놓인다.
한편, 도 5 는 아웃사이드핸들(10)이 매립상태에서 돌출상태로 전환될 때 걸림핀(30)의 괘적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 은 아웃사이드핸들(10)이 돌출상태에서 매립상태로 전환될 때 걸림핀(30)의 괘적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홈(21) 내에는 걸림핀(30)의 끝단이 안착되는 홈 및/또는 턱(22)이 형성되며, 상기 턱(22)의 외측(도 1 의 화살표 방향 참조)에는 걸림핀(30)이 턱(22)을 이탈하여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23)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 가이드홈(21)은 걸림핀(30)의 끝단이 진입하는 경로와 이탈하는 경로가 다르게 분기되도록 삼각형 모양의 지지부분에 의해 경로가 나눠진 모양으로 형성되되, 아웃사이드핸들(10)이 매립된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내측으로 가압됐을 때 걸림핀(30)이 턱(22)에서 이탈하고 상기 아웃사이드핸들(10)이 매립된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내측으로 가압됐을 때 걸림핀이 턱(22)으로 안착이 유도될 수 있도록 경사(傾斜) 또는 호형(弧形)으로 형성된 부분이 다수 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도 5 에서와 같이 아웃사이드핸들(10)이 매립상태에서 돌출상태로 전환될 때, 탑승자가 상기 아웃사이드핸들(10)을 외측에서 누르면, ①과 같이 걸림핀(30)의 끝단이 턱(22)에 안착된 상태에서, 걸림핀(30)의 끝단이 경사면(23)을 따라 턱(22)을 이탈하여 일측으로 ②와 같이 이동하게 되고, 탑승자가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③, ④, ⑤ 의 순서대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도 6 에서와 같이 아웃사이드핸들(10)이 돌출상태에서 매립상태로 전환될 때, 탑승자가 스프링(40)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힘으로 상기 아웃사이드핸들(10)을 외측에서 누르면 걸림핀(30)의 끝단은 ① ~ ⑤ 의 순서를 따라 걸림턱(22)에 안착이 이뤄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아웃사이드핸들(10)이 사용시에만 돌출되고 매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디자인 자유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오염을 방지하고 바람소리를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아웃사이드핸들
11 : 후크
20 : 핸들암
21 : 가이드홈
22 : 턱
23 : 경사면
30 : 걸림핀
40 : 스프링

Claims (4)

  1. 외측으로 당겨지면 후크가 레버를 이동시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조에 있어서,
    일단은 도어패널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의 내측에는 후크가 형성된 아웃사이드핸들;과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에 고정되며 가이드홈이 형성된 핸들암; 및
    일단은 상기 가이드홈의 형상을 따라 활주 가능하도록 핸들암에 결합되고 타단은 차체에 연결되는 걸림핀;을 포함하고
    걸림핀의 일단이 가이드홈 내에서 상대적으로 외측에 형성된 턱에 안착될 때 아웃사이드핸들은 도어패널에서 상대적으로 매립된 위치에 놓이며, 상기 걸림핀의 일단이 가이드홈의 내측으로 이동됐을 때 후크가 레버에 근접하도록 아웃사이드핸들은 도어패널에서 상대적으로 돌출된 위치에 놓이는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아웃사이드핸들은 매립 상태에 놓일 때,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의 외측 표면은 도어패널의 외측 표면과 평탄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장착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이 매립된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내측으로 가압됐을 때 걸림핀이 턱에서 이탈하고,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이 매립된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내측으로 가압됐을 때 걸림핀이 턱으로 안착이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홈은 경사(傾斜) 또는 호형(弧形)으로 형성된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코일스프링으로써 걸림핀이 끼워지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조.
KR1020140132251A 2014-10-01 2014-10-01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조 KR20160039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251A KR20160039715A (ko) 2014-10-01 2014-10-01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251A KR20160039715A (ko) 2014-10-01 2014-10-01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715A true KR20160039715A (ko) 2016-04-12

Family

ID=5580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251A KR20160039715A (ko) 2014-10-01 2014-10-01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97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370A (ko) * 2016-08-24 2018-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장착구조
CN114251030A (zh) * 2020-09-22 2022-03-29 观致汽车有限公司 滑动机构和具有其的隐藏式把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370A (ko) * 2016-08-24 2018-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장착구조
CN114251030A (zh) * 2020-09-22 2022-03-29 观致汽车有限公司 滑动机构和具有其的隐藏式把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022B1 (ko) 차량용 2단 가이드 후드 래치 장치
US5904385A (en) Exterior handle for a motor vehicle
JP2017008712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
JP5027857B2 (ja) フューエルロック機構
US20170292297A1 (en) Flush comfort handle
JP2013533405A (ja) 車両における把持部を備える開閉式ハンドル
JP5736468B2 (ja) 座席の折り畳み式背もたれ用ロック装置
KR101481352B1 (ko) 도어 아웃사이드핸들
US20170362855A1 (en) Oute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JP2016527131A (ja) 摺動軸と平行に移動可能なハンドルと歯車とを有するスライドパネルを備えた自動車窓閉鎖装置および対応する車両
KR101673705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KR20160039715A (ko)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조
KR101765634B1 (ko) 테일게이트의 팝업구조
KR20140075371A (ko)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JP2009249836A (ja) 車両用ドア自動閉鎖装置
KR101795383B1 (ko) 테일게이트의 팝업구조
KR20130063124A (ko) 히든 타입 아웃사이드 핸들
KR100836983B1 (ko) 차량 후드 오픈장치
KR20160021401A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905552B1 (ko) 도어 로크 스트라이커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도어 장치
KR20170019540A (ko) 차량용 도어래치의 잠금구조
JP2017213923A (ja) 作業車両
KR101449987B1 (ko) 인사이드 핸들부 결합구조
KR20160041465A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US9517810B2 (en) Glove compar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