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312A - 트렁크용 래치장치 - Google Patents

트렁크용 래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312A
KR20160059312A KR1020140161029A KR20140161029A KR20160059312A KR 20160059312 A KR20160059312 A KR 20160059312A KR 1020140161029 A KR1020140161029 A KR 1020140161029A KR 20140161029 A KR20140161029 A KR 20140161029A KR 20160059312 A KR20160059312 A KR 20160059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latch
foul
bas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1264B1 (ko
Inventor
탁문배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1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264B1/ko
Publication of KR20160059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2Lock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트렁크용 래치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트렁크용 래치장치는: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를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과, 파울에서 연장되어 파울과 함께 회전되며 이동돌기를 구비하는 제1스토퍼 및 베이스 또는 베이스에 결합되는 커버부재에서 연장되어 제1스토퍼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이동돌기가 걸리는 고정돌기를 구비하며 제1스토퍼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렁크용 래치장치{LATCH DEVICE FOR TRUNK}
본 발명은 트렁크용 래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렁크에 적재된 눈의 무게로 인하여 트렁크의 열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동작상태를 개선한 트렁크용 래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렁크에 설치되는 래치장치는 운전석에 설치된 구동스위치의 조작으로 동작된다. 구동스위치는 구동부를 동작시켜 동력을 발생시키며, 구동부의 동력은 파울을 회전시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를 회전시킨다.
또는 트렁크 래치장치의 외부에 설치된 키박스의 조작에 의해 트렁크 래치장치가 개방된다. 즉, 구동부와 키박스의 조작으로 발생된 동력은 파울을 이동시켜 래치기어의 잠금을 해제하므로, 트렁크를 잠금상태로 유지하는 래치장치가 열림상태로 전환된다.
종래에는 트렁크의 상측에 눈이 쌓인 경우, 트렁크를 열기 위해 파울이 래치기어와 이격되어도 래치기어를 회전시키는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눈의 하중이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스트라이커의 구속을 해제하는 래치기어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된 파울이 다시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므로 트렁크의 열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046397호(1998. 09. 25. 공개, 고안의 명칭 : 차량용 트렁크래치의 스위치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렁크에 적재된 눈의 무게로 인하여 트렁크의 열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동작상태를 개선한 트렁크용 래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는: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를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과, 파울에서 연장되어 파울과 함께 회전되며 이동돌기를 구비하는 제1스토퍼 및 베이스 또는 베이스에 결합되는 커버부재에서 연장되어 제1스토퍼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이동돌기가 걸리는 고정돌기를 구비하며 제1스토퍼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래치기어는,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마운팅홈부를 구비하는 래치몸체 및 래치몸체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래치몸체와 함께 회전되며 제2스토퍼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제1스토퍼를 이동시키는 해제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제돌기부는, 래치몸체에서 돌출되는 해제돌기몸체 및 제1스토퍼와 마주하는 해제돌기몸체의 일측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안내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스토퍼는, 파울에서 연장되며 해제돌기부에 밀려서 제2스토퍼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제1스토퍼몸체를 포함하며, 이동돌기는 제1스토퍼몸체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제2스토퍼의 상측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스토퍼는, 커버부재에서 연장되어 제1스토퍼몸체와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제2스토퍼몸체를 포함하며, 고정돌기는 제2스토퍼몸체에서 돌출되어 이동돌기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며 이동돌기가 고정돌기에 걸려서 파울이 래치기어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는, 파울이 래치기어와 이격된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눈의 무게로 인하여 래치기어가 회전되지 못하더라도, 사용자가 트렁크를 손으로 들어올리기 전까지 제1스토퍼가 제2스토퍼에 걸려서 파울이 래치기어를 구속함을 방지하므로 트렁크의 열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에서 커버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과 제1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와 제2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돌기부가 가압돌기부를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이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이 래치기어와 이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스토퍼가 제2스토퍼에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돌기부가 래치몸체와 함께 회전되면서 제1스토퍼를 제2스토퍼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회전되어 스트라이커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의 트렁크 잠금에 사용되는 트렁크용 래치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에서 커버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과 제1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와 제2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돌기부가 가압돌기부를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이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이 래치기어와 이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스토퍼가 제2스토퍼에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돌기부가 래치몸체와 함께 회전되면서 제1스토퍼를 제2스토퍼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회전되어 스트라이커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1)는, 베이스(10), 커버부재(20), 래치기어(30), 파울(40), 가압돌기부(60), 구동부(70), 동력전달기어부(80), 제1스토퍼(110) 및 제2스토퍼(120)를 포함한다.
차체의 본체나 도어 등에 고정되는 베이스(10)는 스트라이커(100)가 삽입되기 위한 이동홈부(12)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우측에는 래치기어(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베이스(10)의 좌측에는 파울(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지지축(90)은 래치기어(30)의 래치몸체(31)를 관통하여 베이스(10)의 제1연결공(14)에 삽입된다. 또한 제2지지축(92)은 파울(40)의 파울몸체(42)를 관통하여 베이스(10)의 제2연결공(16)에 삽입된다.
커버부재(20)는 구동부(70)와 동력전달기어부(80)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10)에 결합된다. 커버부재(20)는 구동부(70)와 동력전달기어부(80)를 감싼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외부의 이물질이 동력전달기어부(80)로 유입됨을 차단할 수 있다.
래치기어(30)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홈부(12)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100)를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30)는 래치몸체(31), 제1걸림부(32), 마운팅홈부(33), 제2걸림부(34), 제3걸림부(35), 래치연장편(36) 및 해제돌기부(37)를 포함한다.
래치몸체(31)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100)가 삽입되는 마운팅홈부(33)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몸체(31)는 이동홈부(12)의 우측(도 3기준)에 위치하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걸림부(32)는 래치몸체(31)에서 돌출되어 마운팅홈부(33)로 삽입되는 스트라이커(1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스트라이커(100)의 하측 이탈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걸림부(32)는 스트라이커(100)를 구속하는 잠금위치에서 래치몸체(31)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걸림부(32)는 잠금위치에서 파울(40)을 향하여 연장되며, 이동홈부(12)의 내측에 있는 스트라이커(100)가 이동홈부(12)의 하측으로 이동됨을 구속한다.
마운팅홈부(33)는 제1걸림부(32)와 제2걸림부(34)의 사이에 위치하며, 베이스(10)의 이동홈부(12)를 통해 상하로 이동하는 스트라이커(100)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한다.
제2걸림부(34)는 마운팅홈부(33)를 사이에 두고 제1걸림부(32)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이동홈부(12)에 위치한 스트라이커(100)의 상측 이동을 구속한다.
제3걸림부(35)는 제2걸림부(34)와 이격된 래치몸체(31)에서 돌출되며 잠금위치에서 파울(40)에 걸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걸림부(35)는 잠금위치에서 파울(40)의 걸림돌기(44)에 걸려서 래치기어(30)의 회전을 구속한다.
래치연장편(36)은 래치몸체(31)에서 돌출되어 탄성부재(95)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연장편(36)은 래치몸체(31)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탄성부재(95)의 일측을 지지한다.
또한 래치기어(30)는, 래치몸체(3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걸림부(32), 마운팅홈부(33), 제2걸림부(34) 및 제3걸림부(35)가 래치몸체(31)의 외측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해제돌기부(37)는 래치몸체(31)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래치몸체(31)와 함께 회전되며, 제2스토퍼(12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제1스토퍼(110)를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돌기부(37)는, 래치몸체(31)에서 돌출되는 해제돌기몸체(38)와, 제1스토퍼(110)와 마주하는 해제돌기몸체(38)의 일측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안내경사부를 포함한다. 래치기어(30)의 전방(도 2 기준 우측)에 제1스토퍼(110)가 위치하며, 래치기어(30)의 회전으로 래치몸체(31)에 연결된 해제돌기부(37)도 제1지지축(9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스토퍼(110)의 하측(도 2기준 좌측)을 들어올려 제1스토퍼(110)를 제2스토퍼(120)와 이격된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해제돌기몸체(38)의 측면에 안내경사면(39)이 구비되므로, 래치기어(30)의 회전시 제1스토퍼(110)가 안내경사면(39)을 따라 상측으로 휘어진다. 이를 위하여 제1스토퍼(110)는 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재질로 성형된다.
파울(40)은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30)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3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40)은, 파울몸체(42), 걸림돌기(44), 파울연장편(46), 입력레버부(50)를 포함한다.
파울몸체(42)는 이동홈부(12)를 사이에 두고 래치기어(30)와 마주하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지지축(92)의 일측은 파울몸체(42)와 베이스(10)의 제2연결공(16)을 차례로 통과하여 설치된다. 차량용 후드래치(1)가 잠금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파울몸체(42)의 하측에 제2지지축(92)이 관통하며, 제2지지축(92)의 상측으로 파울몸체(42)가 연장된다.
걸림돌기(44)는 파울몸체(42)에서 래치기어(30)가 설치된 베이스(10)의 우측(도 3기준)을 향하여 돌출되며, 걸림돌기(44)에 래치기어(30)의 제3걸림부(35)가 걸리므로 래치몸체(31)의 회전이 구속된다. 이와 같은 걸림돌기(44)는 파울몸체(42)에서 돌출되어 래치기어(3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돌기(44)는 래치기어(30)와 마주하는 측면에서 래치기어(3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파울연장편(46)은 파울(40)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파울(4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95)의 타측을 지지하므로, 파울(40)은 시계 방향(도 3기준)으로 탄성 지지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레버부(50)는 파울몸체(42)에 연결되어 파울몸체(42)와 함께 회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레버부(50)는 레버몸체(52), 레버돌기(54), 가이드돌기(56)를 포함한다.
파울몸체(42)와 입력레버부(50)는 일체로 형성되므로, 입력레버부(50)와 함께 파울몸체(42)가 회전된다. 레버몸체(52)는 파울몸체(42)의 상측에서 파울몸체(4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파울몸체(42)가 수직방향(이하 도 5기준)으로 설치된 경우, 파울몸체(42)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레버몸체(52)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가압돌기부(60)는 레버몸체(5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가압돌기부(60)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며, 가압돌기부(60)에 밀려서 파울몸체(42)와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레버몸체(52)는 가압돌기부(60)에 밀려서 파울몸체(42)와 함께 제2지지축(9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가이드돌기(56)는 레버몸체(52)의 몸체에서 커버부재(20)를 향하여 돌출되며, 커버부재(20)의 내측에 구비된 홈부의 좌우 양측을 이동하므로 입력레버부(50)와 파울몸체(42)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돌기부(60)는 입력레버부(50)를 가압하여 파울(40)을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돌기부(60)는 구동부(7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기어(84)의 측면에 고정되며, 회전기어(84)의 회전중심축(86)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돌기부(60)는, 회전기어(84)의 측면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제1돌기(62)와, 제1돌기(62)에서 회전기어(84)의 회전중심축(86)을 향하여 돌출되며 입력레버부(50)에 접하여 입력레버부(50)를 가압하는 제2돌기(64)를 포함한다.
제1돌기(62)는 회전기어(84)의 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되며, 원형의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돌기(62)의 양측에 제2돌기(64)가 연결되어 제1돌기(62)와 제2돌기(64)의 내측에 폐곡선을 형성한다. 가압돌기부(60)의 내측에 형성된 폐곡선의 형상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압돌기부(60)의 외측 모서리 부분은 곡면을 형성한다. 가압돌기부(60)가 입력레버부(50)의 레버돌기(54)에 접할 때, 회전기어(84)의 회전중심축(86)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의 제2돌기(64)가 레버돌기(54)에 접하므로 적은 구동력으로도 입력레버부(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70)는 가압돌기부(6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70)는 커버부재(20)의 내측에 위치하며, 전기모터를 사용한다.
동력전달기어부(80)는 구동부(70)의 동력을 전달받아 가압돌기부(60)를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기어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기어부(80)는 구동기어(82), 회전기어(84), 회전중심축(86)을 포함한다.
구동기어(82)는 구동부(70)의 출력축에 설치되며 구동부(70)의 동작에 의해 회전된다. 구동기어(82)에 맞물려 돌아가는 회전기어(84)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기어(84)의 회전중심에는 바 형상의 회전중심축(86)이 삽입된다. 회전중심축(86)의 양측은 베이스(10)와 커버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탄성부재(95)는 래치기어(30)와 파울(40)에 양측이 연결되며, 래치기어(30)와 파울(4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95)는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며, 탄성부재(95)의 일측은 래치기어(30)의 래치연장편(36)에 연결되며, 탄성부재(95)의 타측은 파울(40)의 파울연장편(46)에 연결된다.
센서부재(도시생략)는 레버몸체(52)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접촉에 의해 레버몸체(52)의 회전유무를 감지한다.
제1스토퍼(110)는 파울(40)에서 연장되어 파울(40)과 함께 회전되며 이동돌기(114)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스토퍼(110)는, 파울(40)에서 연장되며 해제돌기부(37)에 밀려서 제2스토퍼(1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제1스토퍼몸체(112)와, 제1스토퍼몸체(112)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제2스토퍼(120)의 상측에 걸리는 이동돌기(114)를 포함한다.
제1스토퍼몸체(112)의 두께는 얇게 형성되며,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되므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휘어질 수 있다. 제1스토퍼몸체(112)는 파울(40)의 입력레버부(50)에서 연장되며, 레버몸체와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제2스토퍼(120)는 베이스(10) 또는 베이스(10)에 결합되는 커버부재(20)에서 연장되어 제1스토퍼(110)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이동돌기(114)가 걸리는 고정돌기(124)를 구비하며 제1스토퍼(11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스토퍼(120)는, 커버부재(20)에서 연장되어 제1스토퍼몸체(112)와 베이스(10) 사이에 위치하는 제2스토퍼몸체(122)와 제2스토퍼몸체(122)에서 돌출되는 고정돌기(124)를 포함한다. 고정돌기(124)는 제2스토퍼몸체(122)에서 돌출되어 이동돌기(114)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므로 이동돌기(114)가 고정돌기(124)에 걸려서 파울(40)이 래치기어(3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토퍼몸체와 고정돌기(124)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파울(40)과 함께 회전되는 제1스토퍼(110)가 제2스토퍼(120)에 걸리므로, 외력이 제거된 파울(40)이 래치기어(30)에 접하는 방향으로 회전됨을 구속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용 래치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 도어를 개방할 경우, 사용자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부(70)가 동작되어 구동기어(82)를 회전시킨다. 구동기어(82)에 맞물려 있는 회전기어(8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하며, 가압돌기부(60)는 입력레버부(50)의 레버돌기(54)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때 파울(40)의 걸림돌기(44)는 래치기어(30)의 제3걸림부(35)에 걸려서 래치기어(30)의 회전을 구속한 상태이며, 스트라이커(100)도 래치기어(30)에 걸려서 회전이 구속된다.
도3,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돌기부(60)의 제2돌기(64)가 입력레버부(50)의 레버돌기(54)에 접하여 입력레버부(50)를 이동시키기 시작한다. 제2돌기(64)는 제1돌기(62)보다 회전중심축(86)에 가깝게 위치하므로, 종래보다 적은 힘으로도 입력레버부(5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파울(40)과 함께 회전되는 제1스토퍼(110)는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 제2스토퍼(120)를 통과한다. 제1스토퍼(110)의 이동돌기(114)가 제2스토퍼(120)의 고정돌기(124)를 타고 넘어가 고정돌기(124)의 측면에 걸리므로 외력이 제거된 파울(40)이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을 구속한다. 트렁크에 눈이 쌓여서 래치기어(30)를 회전시키는 탄성부재(95)의 탄성력보다 눈의 하중이 큰 경우, 파울(40)이 외력에 의해 이동되어 래치기어(30)와 이격되어도 래치기어(30)가 회전되지 못한다. 이때 외력이 제거된 파울(40)은 다시 래치기어(30)를 구속하기 위해 회전되려 하나, 제1스토퍼(110)가 제2스토퍼(12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므로 래치기어(30)는 회전 가능한 상태이다.
도3,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기어(30)가 파울(40)에 구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트렁크를 들어올리기 시작하면, 트렁크의 이동과 연동하여 래치기어(30)가 회전된다. 래치기어(30)에 구비된 해제돌기부(37)가 래치몸체(31)와 함께 회전하면서 제1스토퍼몸체(112)를 제2스토퍼(1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이동돌기(114)는 고정돌기(124)에서 이격된다. 따라서 파울(40)은 탄성부재(95)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도 10기준)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도3, 도 6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가 개방되어 래치기어(30)의 회전이 완료되면 스트라이커(100)의 잠금이 해제된다. 또한 파울(40)의 걸림돌기(44)는 래치기어(30)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래치기어(30)가 스트라이커(100)와 함께 시계방향(도 11기준)으로 회전되는 경우, 파울(40)의 걸림돌기(44)가 래치기어(30)에 맞물려 스트라이커(100)의 잠금상태를 다시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파울(40)이 래치기어(30)와 이격된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눈의 무게로 인하여 래치기어(30)가 회전되지 못하더라도, 사용자가 트렁크를 손으로 들어올리기 전까지 제1스토퍼(110)가 제2스토퍼(120)에 걸려서 파울(40)이 래치기어(30)를 구속함을 방지하므로 트렁크의 열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압돌기부(60)가 회전기어(84)의 회전중심축(86)을 향하여 돌출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중심축(86)과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입력레버부(50)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부(60)의 힘이 증대되어 파울(4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압돌기부(60)가 입력레버부(50)와 접할 때만 작동소음이 발생하므로, 원위치로 이동할 때도 작동소음이 발생되는 래치장치 대비 작동소음이 감소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트렁크 잠금에 사용되는 트렁크용 래치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자동차용 도어나 후드의 잠금에도 본 발명에 의한 트렁크용 래치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트렁크용 래치장치
10: 베이스 12: 이동홈부 14: 제1연결공 16: 제2연결공 20: 커버부재
30: 래치기어 31: 래치몸체 32: 제1걸림부 33: 마운팅홈부 34: 제2걸림부 35: 제3걸림부 36: 래치연장편 37: 해제돌기부 38: 해제돌기몸체 39: 안내경사면
40: 파울 42: 파울몸체 44: 걸림돌기 46: 파울연장편 50: 입력레버부 52: 레버몸체 54: 레버돌기 56: 가이드돌기
60: 가압돌기부 62: 제1돌기 64: 제2돌기 70: 구동부
80: 동력전달기어부 82: 구동기어 84: 회전기어 86: 회전중심축
90: 제1지지축 92: 제2지지축 95: 탄성부재 100: 스트라이커
110: 제1스토퍼 112: 제1스토퍼몸체 114: 이동돌기
120: 제2스토퍼 122: 제2스토퍼몸체 124: 고정돌기

Claims (5)

  1.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를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상기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
    상기 파울에서 연장되어 상기 파울과 함께 회전되며, 이동돌기를 구비하는 제1스토퍼; 및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커버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스토퍼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돌기가 걸리는 고정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스토퍼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용 래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마운팅홈부를 구비하는 래치몸체; 및
    상기 래치몸체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래치몸체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2스토퍼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스토퍼를 이동시키는 해제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용 래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돌기부는, 상기 래치몸체에서 돌출되는 해제돌기몸체; 및
    상기 제1스토퍼와 마주하는 상기 해제돌기몸체의 일측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안내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용 래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파울에서 연장되며 상기 해제돌기부에 밀려서 상기 제2스토퍼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제1스토퍼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돌기는 상기 제1스토퍼몸체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스토퍼의 상측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용 래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커버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스토퍼몸체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제2스토퍼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제2스토퍼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이동돌기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돌기가 상기 고정돌기에 걸려서 상기 파울이 상기 래치기어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용 래치장치.
KR1020140161029A 2014-11-18 2014-11-18 트렁크용 래치장치 KR101751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029A KR101751264B1 (ko) 2014-11-18 2014-11-18 트렁크용 래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029A KR101751264B1 (ko) 2014-11-18 2014-11-18 트렁크용 래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312A true KR20160059312A (ko) 2016-05-26
KR101751264B1 KR101751264B1 (ko) 2017-06-30

Family

ID=56104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029A KR101751264B1 (ko) 2014-11-18 2014-11-18 트렁크용 래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2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4732A (zh) * 2019-12-31 2020-04-10 无锡忻润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尾门被冻情况下保证开锁状态的机构
WO2022245003A1 (ko) * 2021-05-20 2022-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988B1 (ko) * 2011-09-07 2013-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래치 기어의 해제 구조
KR101255562B1 (ko) * 2012-02-08 2013-04-17 평화정공 주식회사 도어 래치 통합 링크 장치
KR101395929B1 (ko) * 2013-02-06 2014-05-15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테일 게이트의 래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4732A (zh) * 2019-12-31 2020-04-10 无锡忻润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尾门被冻情况下保证开锁状态的机构
WO2022245003A1 (ko) * 2021-05-20 2022-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1264B1 (ko) 2017-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979B1 (ko) 2단 해제용 후드래치
KR102287273B1 (ko) 차량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EP2472035B1 (en) Lock device for vehicle
CN102084076B (zh) 一种锁定设备
EP3309006B1 (en) Sliding armrest for vehicle
EP3309005B1 (en) Sliding armrest for vehicle
CN111321959A (zh) 用于车辆的后背门闩锁组件
KR101751264B1 (ko) 트렁크용 래치장치
KR101673705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KR101662900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774525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
KR101643468B1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KR102007239B1 (ko) 핸들부 이동 위치가 설정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KR20150106292A (ko) 후드래치장치
KR101732914B1 (ko) 차량용 도어래치
KR20170074629A (ko)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KR101541251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
KR101825391B1 (ko) 후드래치 장치
KR101603836B1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KR101653055B1 (ko) 자동차용 래치장치
KR102009312B1 (ko)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
KR101882745B1 (ko) 후드래치 장치
KR101662903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615823B1 (ko) 측면 충돌시 도어열림 방지형 래치장치
KR101732915B1 (ko) 차량용 래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