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239B1 - 핸들부 이동 위치가 설정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핸들부 이동 위치가 설정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239B1
KR102007239B1 KR1020180061657A KR20180061657A KR102007239B1 KR 102007239 B1 KR102007239 B1 KR 102007239B1 KR 1020180061657 A KR1020180061657 A KR 1020180061657A KR 20180061657 A KR20180061657 A KR 20180061657A KR 102007239 B1 KR102007239 B1 KR 102007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andle
housing
gea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1020180061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부가 수납위치 또는 팝업위치에 위치하기 위한 회동부의 회전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는 도어 패널의 내측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도어 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외측면이 상기 도어 패널의 내부로 인입된 수납위치에서 상기 도어 패널의 외측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핸들부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부와 함께 직선 이동하는 이동부와, 일측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부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회동부와, 상기 핸들부를 상기 수납위치와 도어의 오픈 조작이 가능하도록 인출된 팝업위치 간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회동부를 회전시키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핸들부가 수납위치 또는 팝업위치에 위치하기 위한 상기 회동부의 회전량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회동부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핸들부 이동 위치가 설정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FLUSH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HAVING HANDLE MOVEMENT POSITION}
본 발명은 핸들부 이동 위치가 설정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부가 수납위치 또는 팝업위치에 위치하기 위한 회동부의 회전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에는 도어를 개폐하도록 도어 패널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핸들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핸들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경우 핸들부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차량의 주행시 바람의 저항에 의해 연비가 저하되고,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발생하여 주행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들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어 오픈시 이외에는 핸들부가 도어 패널에 매립되는 플러쉬(flush) 도어 핸들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37820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지칭)에는 이러한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100)는 평소에는 핸들(140)이 도어 패널(1)의 내측에 위치하는 수납 상태(a)를 유지하고, 도어를 오픈하는 경우에는 핸들(140)이 인출되어 팝업 상태(c)가 된다.
이때, 상기 핸들(140)은 구동암(130)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상기 구동암(130)은 전동 액츄에이터(110)에 의해 회전되게 구성되어 있어, 상기 전동 액츄에이터(110)가 동작하면 상기 핸들(140)은 회전하면서 수납 상태(a)에서 팝업 상태(c)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 패널(1)에서 상기 핸들(140)이 인출되는 관통홀은 상기 핸들(140)의 회전 반경을 고려한 크기로 형성되므로, 도 1의 (c) 팝업 상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40)과 관통홀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핸들의 인입 또는 인출 동작시에 핸들과 관통홀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유격을 통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로 유입되어 장치의 고장 및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의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100)는 모터(112)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은 구동부재(120)가 핸들(140)을 이동시켜 수납 상태(a)와 팝업 상태(c) 간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모터(112)에 단순히 전류를 인가하여 정회전 및 역회전을 통하여 모터(112)를 회전시켜 동작시키는 경우 핸들(140)이 정확히 수납 상태(a)의 위치 또는 팝업 상태(c)에 위치시킴에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37820호(2016.07.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핸들부를 직선 이동시키도록 구성하여 도어 패널에 형성된 관통홀과의 유격 발생을 방지하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상기 핸들부가 수납위치 또는 팝업위치에 위치하기 위한 상기 회동부의 회전량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회동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는, 도어 패널의 내측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도어 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외측면이 상기 도어 패널의 내부로 인입된 수납위치에서 상기 도어 패널의 외측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핸들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부와 함께 직선 이동하는 이동부; 일측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부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회동부; 상기 핸들부를 상기 수납위치와 도어의 오픈 조작이 가능하도록 인출된 팝업위치 간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회동부를 회전시키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핸들부가 수납위치 또는 팝업위치에 위치하기 위한 상기 회동부의 회전량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회동부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핸들부가 수납위치 또는 팝업위치에 위치하기 위한 회전량이 미리 설정되어 그 만큼의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함께 회전하여 상기 회동부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구동부 하우징; 상기 구동부 하우징에 배치되고, 회전축에 구동기어가 구비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감속하여 상기 가압부를 회전시키는 감속부; 상기 감속부와 연결되고, 회전량을 측정하여 상기 핸들부가 수납위치 또는 팝업위치에 위치하였는지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핸들부가 수납위치 또는 팝업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상기 센싱부가 감지하면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속부는, 상기 구동기어와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 기어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는 제2 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기어와 치합되는 제3 기어; 및 상기 제3 기어와 동축상에 배치되어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3 기어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와 치합되는 제4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감속부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고, 원주방향을 따라 나선형 슬릿이 형성된 센싱 회전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재가 상기 나선형 슬릿에 삽입되고, 상기 구동부 하우징에 형성된 이동 가이드에 삽입되어, 상기 센싱 회전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직선 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형성된 자석 수용부에 삽입 고정되는 자석; 상기 구동부 하우징에 체결된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이 상측에 위치하면 상기 핸들부가 수납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하는 제1 홀센서; 및 상기 기판에서 상기 제1 홀센서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자석이 상측에 위치하면 상기 핸들부가 팝업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하는 제2 홀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가압부는, 일측단은 상기 구동부 하우징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가압부 회전축;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 및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4 기어와 치합되는 기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는 상기 회동부의 회전축에 삽입되어 일측단은 상기 회동부에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회전된 상기 회동부를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회동부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 따르면, 핸들부를 직선 이동시키도록 구성하여 도어 패널에 형성된 관통홀과의 유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패널에 형성된 관통홀과의 유격이 개선되면서 외관 디자인 품질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증대 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부가 수납위치 또는 팝업위치에 위치하기 위한 회동부의 회전량을 미리 설정하여 회동부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어 핸들부를 수납위치 또는 팝업위치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가 도어 패널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하우징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와 구동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구동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동력발생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동력발생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동력발생부의 구동부가 동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흔들림 방지를 위한 구성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가 하우징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가 체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에 구비된 안테나와 조명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가 인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가 수납위치와 팝업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가 도어 패널에 설치된 상태에서 핸들부가 당겨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가 당겨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도어오픈 동력발생부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가 팝업위치와 당겨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블로킹 레버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블로킹 레버가 동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블로킹 레버가 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핸들부 이동 위치가 설정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가 도어 패널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동작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를 도시해 보인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하우징을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와 구동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은 상기 구동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은 상기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동력발생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동력발생부의 구동부가 동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서로 치합되는 구성에서 기어이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흔들림 방지를 위한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핸들부를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4는 상기 핸들부가 상기 하우징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15는 상기 핸들부가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16은 상기 핸들부에 구비된 안테나와 조명부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나아가, 도 17은 상기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가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18은 상기 핸들부가 수납위치와 팝업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100)는 도어 패널(10)의 내측에 배치되는 하우징(200)과, 상기 도어 패널(10)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200)에 배치되고 외측면(321)이 상기 도어 패널(10)의 내부로 인입된 수납위치에서 상기 도어 패널(10)의 외측면(12)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핸들부(300), 그리고 상기 핸들부(300)를 상기 수납위치와 도어의 오픈 조작이 가능하도록 인출된 팝업위치 간을 직선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핸들부(300)와 상기 구동수단이 수납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수단이 동작하여 상기 핸들부(300)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핸들부(300)가 인입 및 인출되게 핸들 이동홀(2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핸들 이동홀(220)이 상기 도어 패널(10)의 관통홀(11)과 연통되도록 상기 도어 패널(10)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이동부(400)를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고, 회동부(500)는 회전되게 지지하며, 동력발생부(600)가 수납되게 공간을 제공하며, 도어오픈 구동수단(700)의 구동 회전부(710)와 블로킹 레버(800)를 각각 회전되게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핸들 이동홀(220)의 둘레에 형성된 실링 체결부(230)에 체결되어 상기 도어 패널(10)의 관통홀(11)과 상기 하우징(200)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2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210)는 상기 핸들부(3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핸들부(300)와 상기 하우징(20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링부(210)는 상기 하우징(200)에 체결되어 상기 관통홀(11)과 상기 하우징(200) 사이 및 상기 하우징(200)과 상기 핸들부(300) 사이를 실링하여 상기 도어 패널(10)의 내측을 보다 확실히 밀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은 개방된 후면에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핸들부(300) 및 상기 구동수단을 은폐하는 하우징 커버(29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커버(290)에는 한쌍의 관통홈(291)이 형성되어 있어,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 볼트(451)와 제2 볼트(421)를 상기 하우징 커버(290)의 분리 없이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핸들부(300)를 상기 수납위치와 도어의 오픈 조작이 가능하도록 인출된 팝업위치 간을 직선 이동시키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핸들부(300)가 회전 동작 없이 직선 방향으로 인출 및 인입되도록 이동시킨다. 이를 통하여, 상기 핸들부(300)의 이동시 상기 하우징(200)의 핸들 이동홀(220)과 상기 핸들부(300) 사이에서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하우징(200)에 형성된 가이드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부(300)와 함께 직선 이동하는 이동부(400)와, 일측은 상기 하우징(200)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부(400)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회동부(500), 그리고 상기 이동부(400)가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회동부(500)를 회전시키는 동력발생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400)는 사각 블록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200)의 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40)가 삽입되게 일측단에 홈부(430)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00)의 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 홈(250)에 삽입되게 타측단의 양측에 돌기부(4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400)는 타측단이 상기 회동부(500)의 타측단에 회전되게 체결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회동부(500)가 회전하여 상기 이동부(40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이동부(400)는 상기 하우징(20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40)와 가이드 홈(250)에 지지되어 직선 이동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이동부(400)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핸들부(300)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지지하여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부(400)는 상기 핸들부(300)의 후방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이동부(410)와, 상기 핸들부(300)의 후방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이동부(420)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이동부(41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오픈 조작을 위하여 상기 핸들부(300)가 회전 동작하는 경우 상기 핸들부(300)의 일측을 구속하지 않도록 상기 핸들부(300)의 후방 일측과 구속 체결이 아닌 단순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이동부(42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오픈 조작을 위하여 상기 핸들부(300)가 회전 동작하는 경우 상기 핸들부(300)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핸들부(300)의 후방 타측과 체결된다. 즉, 상기 제2 이동부(420)는 상기 핸들부(300)에 회전되게 구비된 핸들 링크(350)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핸들부(300)는 상기 핸들 링크(35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회동부(500)가 회전하면 상기 제1 이동부(410)와 상기 제2 이동부(420)가 상기 핸들부(300)의 후방을 가압하여 상기 핸들부(300)를 팝업위치로 이동시키고, 팝업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핸들부(300)가 당겨지면 상기 핸들부(300)는 상기 제2 이동부(420)에 의해 타측은 지지되고 상기 핸들부(300)의 일측은 상기 제1 이동부(410)와 이격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이동부(410)에는 핸들 체결부(4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 체결부(450)는 상기 핸들부(300)의 후방 일측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1 이동부(410) 측으로 돌기(452)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이동부(410)에 관통 형성된 홈(411)에 삽입되게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돌기(452)와 상기 홈(411)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이동부(410)가 상기 핸들부(300)를 가압하여 이동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 체결부(450)의 돌기(452)가 상기 제1 이동부(410)의 홈(411)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 이동부(410)가 상기 핸들부(300)를 가압하여 이동시키게 되고, 팝업위치에서 도어 오픈을 위하여 상기 핸들부(300)가 회전되면 상기 핸들 체결부(450)는 상기 핸들부(300)와 함께 이동하게 되어 상기 핸들 체결부(450)의 돌기(452)는 상기 제1 이동부(410)의 홈(411)에서 이탈하게 된다.
상기 회동부(500)는 일측에 회전되게 체결된 회전축(530)이 상기 하우징(200)에 형성된 회동부 지지홈(270)에 회전되게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530)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500)는 타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체결홀(510)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510)에 상기 제1 이동부(410) 및 제2 이동부(420)가 회동부 힌지핀(520)을 통하여 회전되게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홀(5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홀로 마련된다. 즉, 상기 회동부(500)가 회전하여 상기 제1 이동부(410) 및 제2 이동부(420)를 가압하면 상기 제1 이동부(410) 및 제2 이동부(420)에 체결된 회동부 힌지핀(520)이 장홀로 형성된 상기 체결홀(5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제1 이동부(410) 및 제2 이동부(420)가 직선 이동하게 된다.
상기 동력발생부(600)는 상기 핸들부(300)가 수납위치 또는 팝업위치에 위치하기 위한 상기 회동부(500)의 회전량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회동부(50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동력발생부(600)는 상기 핸들부(300)가 수납위치 또는 팝업위치에 위치하기 위한 회전량이 미리 설정되어 그 만큼의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610)와, 상기 구동부(610)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함께 회전하여 상기 회동부(500)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가압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610)는 상기 하우징(200)에 배치되는 구동부 하우징과, 상기 구동부 하우징에 배치되고 회전축에 구동기어(651)가 구비된 구동모터(650)와, 상기 구동기어(651)에 치합되고 상기 구동모터(650)의 회전을 감속하여 상기 가압부(620)를 회전시키는 감속부와, 상기 감속부와 연결되고 회전량을 측정하여 상기 핸들부(300)가 수납위치 또는 팝업위치에 위치하였는지 감지하는 센싱부, 그리고 상기 핸들부(300)가 수납위치 또는 팝업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상기 센싱부가 감지하면 상기 구동모터(65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 하우징은 구동부 하우징 몸체(630)와 구동부 하우징 커버(640)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감속부는 상기 구동기어(651)와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기어(651)와 치합되는 제1 기어(661)와, 상기 제1 기어(66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 기어(661)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는 제2 기어(662)와, 상기 구동기어(651)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기어(662)와 치합되는 제3 기어(663), 그리고 상기 제3 기어(663)와 동축상에 배치되어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3 기어(663)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620)와 치합되는 제4 기어(66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감속부에서 상기 제3 기어(663)의 일측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고 원주방향을 따라 나선형 슬릿(679)이 형성된 센싱 회전부(678)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재(675)가 상기 나선형 슬릿(679)에 삽입되고 상기 구동부 하우징 커버(640)에 형성된 이동 가이드(642)에 삽입되어 상기 센싱 회전부(678)의 회전에 대응하여 직선 이동하는 이동부재(674)와, 상기 이동부재(674)에 형성된 자석 수용부(676)에 삽입 고정되는 자석(677)과, 상기 구동부 하우징 몸체(630)에 체결된 기판(671)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677)이 상측에 위치하면 상기 핸들부(300)가 수납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하는 제1 홀센서(672), 그리고 상기 기판(671)에서 상기 제1 홀센서(672)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자석(677)이 상측에 위치하면 상기 핸들부(300)가 팝업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하는 제2 홀센서(67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홀센서(672)와 상기 제2 홀센서(673)의 간격은 상기 핸들부(300)가 수납위치에서 팝업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3 기어(663)와 함께 회전하는 센싱 회전부(678)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상기 이동부재(674)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나아가, 상기 가압부(620)는 일측단은 상기 구동부 하우징 커버(640)에 형성된 가압부 지지홈(641)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하우징(200)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가압부 회전축(623)과,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500)를 가압하는 가압돌기(621), 그리고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4 기어(664)와 치합되는 기어부(6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620)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가압돌기(621)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기(621)가 형성된 부분 이외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기어부(622)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핸들부(300)가 수납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677)이 상기 제1 홀센서(672)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들부(300)가 수납위치에 위치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 후 팝업 명령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650)를 동작시키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677)이 상기 제2 홀센서(673)의 상측에 위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들부(300)가 팝업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구동모터(65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를 통하여 상기 핸들부(300)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동부(500)의 회전축(530)에 삽입되어 일측단은 상기 회동부(500)에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하우징(200)에 형성된 회동부 탄성부재 지지홈(260)에 지지되어 회전된 상기 회동부(5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회동부 탄성부재(540)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회동부(500)는 상기 동력발생부(600)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핸들부(30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동력발생부(600)의 동작이 멈추면 상기 회동부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핸들부(300)는 상기 하우징(200)에 삽입된 수납위치에서 외측면(321)이 상기 도어 패널(10)의 외측면(12)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특정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이 동작하면 도어의 오픈 조작이 가능한 팝업위치로 인출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부(300)의 형상이 상기 도어 패널(10)에 형성된 관통홀(1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팝업위치에서 상기 도어 패널(10)의 내측이 보이지 않도록 밀폐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핸들부(300)는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관통홀(11)과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수납위치와 팝업위치 간을 이동하는 동안에도 상기 도어 패널(10)의 내측이 보이지 않도록 밀폐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부(300)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그립홈(340)이 형성된 핸들 몸체(310)와, 일측단이 체결핀(360)을 통하여 상기 핸들 몸체(310)의 타측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2 이동부(420)에 체결 고정되는 핸들 링크(350), 그리고 상기 체결핀(360)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 링크(350)와 상기 핸들 몸체(3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 몸체(310)가 회전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핸들부 탄성부재(3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핸들 몸체(310)는, 도 13을 참조하면,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 몸체(320)와, 상기 외측 몸체(3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 몸체(320)에 체결되고 상기 핸들 링크(350)가 회전되게 체결되는 내측 몸체(330)로 마련된다. 즉, 상기 내측 몸체(330)에 상기 핸들 몸체(310)를 상기 체결핀(360)을 통하여 체결하고, 상기 외측 몸체(320)에 상기 내측 몸체(330)를 삽입 후 나사 등을 이용하여 체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마련되는 상기 핸들부(3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0)에 구비된 구동수단과 분리될 수 있다. 즉, 제조상 또는 사용상 상기 핸들부(300)만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종래에는 도어핸들 조립체 전체를 교체하여야 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핸들부(300)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마련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부(300)는 상기 내측 몸체(330)의 후방 일측에서 돌출 형성된 제1 체결부(331)에 제1 체결홈(332)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몸체(330)의 후방 타측에 체결된 상기 핸들 링크(350)의 외측 단부에 제2 체결홈(3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이동부(410)에 구비된 핸들 체결부(450)에 제1 볼트(45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이동부(420)에는 제2 볼트(421)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상기 핸들부(300)를 상기 하우징(200)의 핸들 이동홀(220)에 삽입하여 상기 제1 이동부(410)와 상기 제2 이동부(420)에 밀착시킨 후 상기 제1 볼트(451)와 상기 제2 볼트(421)를 회전시켜 상기 핸들부(300)를 체결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 링크(350)와 상기 제1 체결부(331)에는 각각 후크체결홈(352, 333)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 체결부(450)와 상기 제2 이동부(420)에는 각각 후크 형태의 후크돌기(453, 42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핸들부(300)를 삽입하여 상기 후크체결홈(352, 333)에 후크돌기(453, 422)가 삽입되게 체결한 후 상기 제1 볼트(451)와 상기 제2 볼트(421)를 회전시켜 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볼트를 체결홈에 정확히 위치 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핸들부(300)를 가압하지 않고도 나사 체결할 수 있어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체결부(450) 및 상기 제2 이동부(420)에는 후크 지지부(454, 423)와 걸림 지지부(455, 42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볼트(451)와 상기 제2 볼트(421)가 상기 후크 지지부(454, 423)와 상기 걸림 지지부(455, 42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핸들 체결부(450)와 상기 제2 이동부(420)에 각각 수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3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몸체(320)와 내측 몸체(330) 사이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91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NFC 안테나(910)와 무선통신하는 카드 또는 스마트 기기를 소유한 사용자가 접근하면 제어부(미도시)가 팝업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핸들부(300)가 팝업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핸들부(300)의 외측면(321)에 터치 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터치하면 제어부가 팝업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핸들부(300)가 팝업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센서는 차량의 스마트키를 소유한 사용자가 터치하면 동작하거나, 상기 터치 센서에는 사용자의 지문이 인식되어 있어 사용자의 지문이 인식되는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하우징(200)에는, 도 2를 참조하면, LF(low frequency) 안테나(930)가 구비되어 있어 차량의 스마트키를 소유한 사용자가 접근하면 제어부가 팝업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핸들부(300)가 팝업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핸들부(300)의 내측 몸체(330)에는 조명부(920)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핸들부(300)가 팝업위치로 이동하면 제어부가 상기 조명부(920)에 전원을 인가하여 점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어두운 환경에서 핸들부(300)의 위치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이동부(410)는 상기 핸들부(300)가 팝업위치로 이동한 경우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 체결부(450)에 회전되게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오픈 레버(730)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오픈 레버(73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어오픈 구동수단(700)의 구성으로, 일측단은 상기 핸들 체결부(450)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단은 구동 회전부(710)에 회전되게 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이동부(410)는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핸들부(300) 측으로 절곡된 가이드 돌기부(412)가 형성되고, 상기 오픈 레버(730)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부(412)가 삽입되어 밀착되게 가이드 슬릿(7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핸들부(300)가 팝업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이동부(410)가 직선 이동하면, 상기 오픈 레버(730)는 상기 핸들부(300)의 이동에 대응하여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1 이동부(410)의 가이드 돌기부(412)가 상기 오픈 레버(730)의 가이드 슬릿(731)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 유동을 지지하게 된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위치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부(412)가 상기 가이드 슬릿(731)에 삽입되어 지지되므로 상기 핸들부(3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핸들부(300)는 수납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어부가 팝업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구동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회동부(500)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회동부(500)는 상기 제1 이동부(410)와 상기 제2 이동부(420)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제1 이동부(410) 및 상기 제2 이동부(420)는 전방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핸들부(300)를 팝업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19는 상기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가 도어 패널에 설치된 상태에서 핸들부가 당겨진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0은 상기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핸들부가 당겨진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21은 도어오픈 동력발생부을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2는 상기 핸들부가 팝업위치와 당겨진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100)는 상기 하우징(200)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부(300)가 팝업위치에서 당겨져 회전하면 그에 대응하여 회전하여 도어 오픈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도어오픈 구동수단(700)을 더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오픈 구동수단(700)은 상기 하우징(200)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회전부(711)와 상기 회전부(711)에서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플랜지부(712)로 구비된 구동 회전부(710)와, 상기 회전부(711)의 일측단에 체결되고 상기 회전부(711)가 회전하면 도어 오픈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도어오픈 동력발생부(720), 그리고 일측단이 상기 핸들부(300)의 후방 일측에 체결된 핸들 체결부(450)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플랜지부(712)에 회전되게 체결되어 상기 핸들부(300)가 당겨지면 상기 구동 회전부(710)를 회전시키는 오픈 레버(7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도어오픈 동력발생부(720)는 도어 측과 연결되는 케이블(미도시)이 체결되고, 회전 시 상기 케이블이 감기면서 당겨지게 되어 도어 오픈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에 체결되고 상기 구동 회전부(710)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740)와, 상기 도어오픈 동력발생부(720)에 구비되고 일측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740)에 체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도어오픈 동력발생부(720)에 체결되어 상기 도어오픈 동력발생부(720)가 회전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75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오픈 동력발생부(720)는 상기 회전부(711)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회전부재(721)와, 상기 회전부재(721)의 일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부채꼴 형태로 마련되고 도어 측과 연결되는 케이블이 체결되는 케이블 체결부재(722)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체결부재(722)는 일측 모서리에 케이블의 단부가 체결되게 케이블 체결홈(723)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체결홈(723)과 연결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케이블 삽입홈(724)이 형성되어 케이블이 부분적으로 감기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를 통하여, 상기 회전부재(721)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케이블 체결부재(722)에 케이블이 감기면서 당겨지게 되어 도어를 오픈하는 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나아가, 상기 플랜지부(712)는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지지돌기(713)와 제2 지지돌기(7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740)에는 상기 제1 지지돌기(713)가 삽입되어 가이드 되도록 호 형태의 제1 가이드 슬릿(741)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00)에도 상기 제2 지지돌기(714)가 삽입되어 가이드 되도록 호 형태의 제2 가이드 슬릿(28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오픈 레버(730)에 의해 상기 플랜지부(712)가 회전하면 상기 제1 지지돌기(713) 및 제2 지지돌기(714)가 상기 제1 가이드 슬릿(741) 및 제2 가이드 슬릿(280)에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핸들부(300)가 인출된 팝업위치에서 사용자가 핸들부(300)를 당기면 상기 핸들부(300)가 회전하면서 상기 오픈 레버(730)를 함께 회전시키고, 상기 오픈 레버(730)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플랜지부(712)가 회전하면서 상기 도어오픈 동력발생부(720)를 회전시켜 상기 케이블 체결부재(722)에 체결되어 있는 케이블을 당겨서 도어 오픈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도 23은 상기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에서 블로킹 레버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4는 상기 블로킹 레버가 동작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25는 상기 블로킹 레버가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블로킹 레버(800)는 상기 도어 패널(10)에 외력(F)이 인가되어 발생하는 관성력에 의해 상기 회동부(500)와 함께 일정 각도 회전 후 상기 회동부(500)의 회전을 구속하여 상기 핸들부(300)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즉, 차량의 사고 등에 의해 상기 도어 패널(10)에 외부의 충격인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핸들부(300)는 관성력에 의해 팝업위치로 인출되도록 동작하게 되어 상기 핸들부(300)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다.
나아가, 더 큰 외력이 인가되어 상기 핸들부(300)가 팝업위치로 인출된 후 회전하여 도어가 오픈될 수 있다. 이 경우 탑승자의 추가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블로킹 레버(800)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 패널(10)에 외력(F)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회동부(5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핸들부(300)가 인출되거나 도어가 오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로킹 레버(800)는 상기 하우징(200)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레버 몸체(810)와, 상기 레버 몸체(810)에서 상기 핸들부(300)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무게추(820)와, 상기 레버 몸체(810)에서 상기 회동부(500) 측으로 돌출되고 관성력에 의해 상기 레버 몸체(810)와 상기 회동부(500)가 일정 각도 회전하면 상기 회동부(500)에 접촉하여 상기 회동부(500)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톱퍼(830),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과 상기 레버 몸체(8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 몸체(810)가 회전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블로킹 레버 탄성부재(840)를 포함한다.
즉, 외력에 의해 관성력이 발생하면 상기 회동부(500)는 상기 핸들부(300)의 무게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레버 몸체(810)는 상기 무게추(820)에 의해 상기 회동부(50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버 몸체(810)와 함께 회전한 스톱퍼(830)가 상기 회동부(500)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회동부(5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500)에는 상기 동력발생부(60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톱퍼(830)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스톱퍼(830)가 관통하는 회피홈(550)이 형성되고, 도어 패널(10)에 외력이 인가되어 발생하는 관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톱퍼(830)에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지지면(560)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동력발생부(600)에 의해 상기 회동부(500)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도어 오픈을 위한 동작인바 상기 레버 몸체(810)는 회전하지 않게 되고, 상기 스톱퍼(830)는 상기 회동부(500)에 형성된 상기 회피홈(550)을 관통하게 되어 상기 회동부(500)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외력에 의해 관성력이 발생하면 상기 회동부(500)와 상기 레버 몸체(810)가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레버 몸체(810)와 함께 회전한 스톱퍼(830)가 상기 회동부(500)의 회피홈(550) 위치에서 이탈하여 상기 회동부(500)의 지지면(560)과 접촉하게 되어 상기 회동부(500)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이 후 관성력이 소멸하면 상기 블로킹 레버 탄성부재(840)에 의해 상기 레버 몸체(810)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회동부 탄성부재(540)에 의해 상기 회동부(500)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200 : 하우징 210 : 실링부
220 : 핸들 이동홀 230 : 실링 체결부
240 : 가이드 돌기 250 : 가이드 홈
260 : 회동부 탄성부재 지지홈 270 : 회동부 지지홈
280 : 제2 가이드 슬릿 290 : 하우징 커버
300 : 핸들부 310 : 핸들 몸체
320 : 외측 몸체 330 : 내측 몸체
331 : 제1 체결부 332 : 제1 체결홈
333 : 후크체결홈 340 : 그립홈
350 : 핸들 링크 351 : 제2 체결홈
352 : 후크체결홈 360 : 체결핀
370 : 핸들부 탄성부재
400 : 이동부 410 : 제1 이동부
411 : 홈 412 : 가이드 돌기부
420 : 제2 이동부 422 : 후크돌기
430 : 홈부 440 : 돌기부
450 : 핸들 체결부 453 : 후크돌기
500 : 회동부 510 : 체결홀
520 : 회동부 힌지핀 530 : 회전축
540 : 회동부 탄성부재 550 : 회피홈
600 : 동력발생부 610 : 구동부
620 : 가압부 621 : 가압돌기
622 : 기어부 623 : 가압부 회전축
630 : 구동부 하우징 몸체 640 : 구동부 하우징 커버
650 : 구동모터 651 : 구동기어
661 : 제1 기어 662 : 제2 기어
663 : 제3 기어 664 : 제4 기어
672 : 제1 홀센서 673 : 제2 홀센서
674 : 이동부재 675 : 돌기부재
676 : 자석 수용부 677 : 자석
678 : 센싱 회전부 679 : 나선형 슬릿
700 : 도어오픈 구동수단 710 : 구동 회전부
720 : 도어오픈 동력발생부 730 : 오픈 레버
740 : 지지플레이트 750 : 탄성부재
800 : 블로킹 레버 810 : 레버 몸체
820 : 무게추 830 : 스톱퍼
840 : 블로킹 레버 탄성부재 850 : 힌지핀
910 : NFC 안테나 920 : 조명부
930 : LF 안테나

Claims (7)

  1. 도어 패널의 내측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도어 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외측면이 상기 도어 패널의 내부로 인입된 수납위치에서 상기 도어 패널의 외측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핸들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부와 함께 직선 이동하는 이동부;
    일측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부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회동부;
    상기 핸들부를 상기 수납위치와 도어의 오픈 조작이 가능하도록 인출된 팝업위치 간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회동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핸들부가 수납위치 또는 팝업위치에 위치하기 위한 상기 회동부의 회전량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회동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핸들부가 수납위치 또는 팝업위치에 위치하기 위한 회전량이 미리 설정되어 그 만큼의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함께 회전하여 상기 회동부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구동부 하우징;
    상기 구동부 하우징에 배치되고, 회전축에 구동기어가 구비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감속하여 상기 가압부를 회전시키는 감속부;
    상기 감속부와 연결되고, 회전량을 측정하여 상기 핸들부가 수납위치 또는 팝업위치에 위치하였는지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핸들부가 수납위치 또는 팝업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상기 센싱부가 감지하면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는,
    상기 구동기어와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 기어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는 제2 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기어와 치합되는 제3 기어; 및
    상기 제3 기어와 동축상에 배치되어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3 기어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와 치합되는 제4 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감속부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고, 원주방향을 따라 나선형 슬릿이 형성된 센싱 회전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재가 상기 나선형 슬릿에 삽입되고, 상기 구동부 하우징에 형성된 이동 가이드에 삽입되어, 상기 센싱 회전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직선 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형성된 자석 수용부에 삽입 고정되는 자석;
    상기 구동부 하우징에 체결된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이 상측에 위치하면 상기 핸들부가 수납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하는 제1 홀센서; 및
    상기 기판에서 상기 제1 홀센서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자석이 상측에 위치하면 상기 핸들부가 팝업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하는 제2 홀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일측단은 상기 구동부 하우징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가압부 회전축;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 및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4 기어와 치합되는 기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의 회전축에 삽입되어 일측단은 상기 회동부에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회전된 상기 회동부를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회동부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KR1020180061657A 2018-05-30 2018-05-30 핸들부 이동 위치가 설정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KR102007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657A KR102007239B1 (ko) 2018-05-30 2018-05-30 핸들부 이동 위치가 설정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657A KR102007239B1 (ko) 2018-05-30 2018-05-30 핸들부 이동 위치가 설정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239B1 true KR102007239B1 (ko) 2019-08-06

Family

ID=6761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657A KR102007239B1 (ko) 2018-05-30 2018-05-30 핸들부 이동 위치가 설정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2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9635A (zh) * 2019-09-06 2021-03-09 维特汽车有限责任公司 具有用于门把手的调节机构的门把手组件
CN112814503A (zh) * 2019-11-15 2021-05-18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执行器
EP4306750A1 (en) * 2022-07-15 2024-01-17 U-Shin Italia S.p.A.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6047A1 (en) * 2011-09-26 2013-03-28 David Wheeler Door handle apparatus for vehicles
KR101637820B1 (ko)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KR20180022371A (ko) * 2016-08-24 2018-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6047A1 (en) * 2011-09-26 2013-03-28 David Wheeler Door handle apparatus for vehicles
KR101637820B1 (ko)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KR20180022371A (ko) * 2016-08-24 2018-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9635A (zh) * 2019-09-06 2021-03-09 维特汽车有限责任公司 具有用于门把手的调节机构的门把手组件
CN112459635B (zh) * 2019-09-06 2022-06-14 维特汽车有限责任公司 具有用于门把手的调节机构的门把手组件
US11802427B2 (en) 2019-09-06 2023-10-31 Witte Automotive Gmbh Door handle assembly having an adjusting mechanism for a door handle
CN112814503A (zh) * 2019-11-15 2021-05-18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执行器
EP4306750A1 (en) * 2022-07-15 2024-01-17 U-Shin Italia S.p.A.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239B1 (ko) 핸들부 이동 위치가 설정된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JP3478028B2 (ja) 跳ね上げ式ドアの自動開閉装置
JP4389992B2 (ja) ドア開動作規制装置
US8608212B2 (en) Door closer apparatus
EP1997996B1 (en) Pinch prevention of slide device
US11136795B2 (en) Latch apparatus of tailgate for vehicle
CN108979366B (zh) 车辆的行李箱盖锁栓组件
KR20150073790A (ko)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
KR20090100496A (ko) 전동파워스티어링 자동차의 스티어링컬럼 틸트 및텔레스코픽 장치
KR102006297B1 (ko) 핸들부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US11135904B2 (en) Door presenter with hold open and power cinching function
US20180087206A1 (en) Front-loading washing machine having rotatable observation windowed door
CN218970920U (zh) 车门内开把手及汽车
KR102006290B1 (ko)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KR102006306B1 (ko) 핸들부를 교체할 수 있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JP2022526129A (ja) アウターベゼル機構とインナーブラケット機構とを備えるドアハンドル
KR102006307B1 (ko) 블로킹 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KR101751264B1 (ko) 트렁크용 래치장치
CN113561814B (zh) 一种汽车电动充电口盒装置
JP3314681B2 (ja) 跳ね上げ式車両ドアの自動閉鎖装置
KR101999353B1 (ko) 차량용 스윙도어 개폐장치
EP3587715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unlocking a hood of a vehicle
KR100783954B1 (ko) 차량의 도어 락 스위치 오작동 방지장치
JP4249656B2 (ja) ドア開閉装置
KR101653055B1 (ko) 자동차용 래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