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501B1 -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501B1
KR102011501B1 KR1020180121120A KR20180121120A KR102011501B1 KR 102011501 B1 KR102011501 B1 KR 102011501B1 KR 1020180121120 A KR1020180121120 A KR 1020180121120A KR 20180121120 A KR20180121120 A KR 20180121120A KR 102011501 B1 KR102011501 B1 KR 102011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locking
loading box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홍규
Original Assignee
민홍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홍규 filed Critical 민홍규
Priority to KR1020180121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10Hydraulic or pneu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by swinging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7Latch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1/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other non-mechanical means
    • E05B51/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other non-mechanical means by pneumatic or hydraul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trucks or trailers

Abstract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가 개시된다.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는, 트럭의 적재함 바디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를 개폐하는 개폐기와, 개폐부에 고정되고 일단은 개폐부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는 걸림 돌부와, 적재함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걸림 돌부에 걸림 고정되는 회전 걸림부와, 회전 걸림부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AUTOMATIC OPEN-CLOSING APPARATUS FOR THE CARGO BOX}
본 발명은 트럭 적재함의 개방 또는 안정적인 폐쇄 작동이 가능한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덤프트럭은 건설공사현장에 자갈이나 모래를 운반하거나 또는 건설 공사현장에서 발생되는 건설폐기물을 운반하는 건설장비로서, 적재물을 적재함에 싣고 도로를 주행하고 있다.
이러한 덤프트럭에 적재되는 적재물은 덤프트럭의 주행 중 주행속도에 의해 공기 중에 쉽게 비산되거나 또는 도로에 낙하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후속차량의 안전운행에 위협이 되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덤프트럭의 적재함에 실린 적재물의 비산이나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가 구성되어 있으며, 덮개가 구성되지 않은 화물이 적재된 덤프트럭의 통행을 단속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적재함을 개폐를 위해 적재함의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가 설치되는 데, 차량 주행 과정에서 개폐부의 닫힘 상태가 불안정한 경우가 빈번하여 적재물의 안정적인 적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716,81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트럭 적재함의 개방 또는 안정적인 폐쇄 작동이 가능한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트럭의 적재함 바디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를 개폐하는 개폐기와, 개폐부에 고정되고 일단은 개폐부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는 걸림 돌부와, 적재함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걸림 돌부에 걸림 고정되는 회전 걸림부와, 회전 걸림부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개폐기는, 적재함 바디에 설치되며 개폐부에 개폐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회전 걸림부는, 적재함 바디에 고정되는 걸림 바디와, 걸림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는 걸림 돌부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가 굴곡 형성된 걸림 바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일측은 적재함 바디에 고정되고 로드는 걸림 바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 실린더일 수 있다.
개폐기와 구동부의 정상 작동 상태를 센싱하는 개폐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함의 측면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유압 실린더로 개폐하는 과정에서, 적재함 바디와 개폐부의 사이의 닫힘 상태를 고정하는 걸림 돌부와 회전 걸림부가 설치되는 바, 개폐부의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개폐부의 개방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의 개폐기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 걸림부의 걸림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회전 걸림부의 걸림 작동 상태를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 걸림부의 걸림 해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회전 걸림부의 걸림 해제 작동 상태를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의 개폐기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100)는, 트럭의 적재함 바디(11)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13)를 개폐하는 개폐기(20)와, 개폐부(13)에 고정되고 일단은 개폐부(13)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는 걸림 돌부(40)와, 적재함 바디(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걸림 돌부(40)에 걸림 고정되는 회전 걸림부(50)와, 회전 걸림부(5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60)를 포함한다.
트럭의 적재함(10)은 내부에 적재 대상물이 적재되는 적재함 바디(11)와, 적재함 바디(11)의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적재함 바디(11)는 내부에 적재 대상물이 삽입되는 적재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측면에는 적재 대상물의 하역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적재함 바디(11)의 개구부에는 개폐부(13)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개폐부(13)는 적재함 바디(11)의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개폐기(20)의 구동력에 의해 개폐 작동될 수 있다.
개폐기(20)는 적재함 바디(11)에 설치되며 개폐부(13)에 개폐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 실린더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개폐기와 유압 실린더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따라서, 개폐부(13)는 적재 대상물의 하역 과정에서 유압 실린더(20)의 유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 작동되어 적재 대상물의 하역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개폐부(13)에는 걸림 돌부(40)가 설치될 수 있다.
걸림 돌부(4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폐부(13)의 표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 돌부(40)는 일부분은 개폐부(13)에 고정되고 단부는 개폐부(13)의 가장자리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 돌부(40)는 개폐부(13)의 가장자리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바, 후술하는 회전 걸림부(50)가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될 수 있다.
걸림 돌부(40)가 설치된 위치의 적재함 바디(11)의 가장자리에는 구부려진 절곡부(12)가 형성되고, 절곡부(12)의 일부분에는 회전 걸림부(5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12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 돌부(40)는 단부가 개폐부(13)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걸림 돌부(40)의 표면의 일부를 덮으면서 삽입홀(12a)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걸림부(50)는 돌출된 단부가 개폐부(13)의 삽입홀(12a)에 삽입된 상태로 하강 또는 상승되어 걸림 돌부(40)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걸림부(50)의 타단에는 걸림부(53s)가 절곡 형성되는 바, 걸림 돌부(40)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 걸림부의 걸림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회전 걸림부의 걸림 작동 상태를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 걸림부의 걸림 해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회전 걸림부의 걸림 해제 작동 상태를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걸림부(50)는 일단은 적재함 바디(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절곡부(12) 방향으로 돌출되어 삽입홀(12a)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걸림부(50)는 후술하는 구동부(60)의 구동력에 따라 회전 작동되어 삽입홀(12a)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 걸림부(50)는, 적재함 바디(11)에 고정되는 걸림 바디(51)와, 걸림 바디(5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는 걸림 돌부(40)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53a)가 절곡 형성된 걸림 바(53)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바디(51)는 적재함 바디(11)의 표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걸림 바(5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 바(53)는 걸림 바디(51)에 의해 적재함 바디(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걸림 바(53)의 단부가 적재함 바디(11) 표면에 힌지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부(60)는 적재함 바디(11)에서 회전 걸림부(50)가 설치된 측면에 설치되어 회전 걸림부(50)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부(60)는 일측은 적재함 바디(11)에 고정되고 로드는 걸림 바(53)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 실린더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구동부와 회전 실린더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회전 실린더(60)가 작업자의 제어에 따른 구동으로 로드가 전진되면, 회전 걸림부(50)가 상승되어 걸림 돌부(4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적재함 바디(11)를 개폐하는 개폐부(13)는 회전 걸림부(50)가 걸림 돌부(40)에 걸림 해제되는 바, 개폐부(13)를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개폐부(13)의 개방 작동이 가능하다.
한편, 회전 실린더(60)가 작업자의 제어에 따른 구동으로 로드가 후진되면, 회전 걸림부(50)가 하강되어 걸림 돌부(40)에 삽입 고정되는 바, 개폐부(13)의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100)는, 적재함의 측면을 개폐하는 개폐부(13)를 유압 실린더(20)로 개폐하는 과정에서, 적재함 바디(11)와 개폐부(13)의 사이의 닫힘 상태를 고정하는 걸림 돌부(40)와 회전 걸림부(50)가 설치되어, 개폐부(13)의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개폐부(13)의 개방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200)는, 회전 실린더(60)와 유압 실린더(20)의 작동 오류 상태를 센싱하는 개폐 센서(110)가 설치될 수 있다.
개폐 센서(110)는 유압 실린더(20)의 로드 전진에 의한 개폐부(13)의 폐쇄 작동과, 회전 실린더(60)의 로드 전진에 의한 회전 걸림부(50)가 걸림 돌부(40)에 고정되는 작동이 동시 진행되지 않는 경우, 작동 오류로 사용자에게 경고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 센서(110)는 개폐부(13)의 작동 오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신속한 고장 조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적재함 11...적재함 바디
12...절곡부 12a..삽입홀
13...개폐부 20...개폐기
30...개폐부 40...걸림 돌부
50...회전 걸림부 51...걸림 바디
53...걸림 바 60...구동부, 회전 실린더

Claims (5)

  1. 트럭의 적재함 바디(11)에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13)를 개폐하는 것으로, 적재함 바디(11)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부(13)에 개폐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 실린더인 개폐기(20);
    상기 개폐부(13)에 고정되고 일단은 상기 개폐부(13)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는 걸림 돌부(40);
    상기 적재함 바디(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 돌부(40)에 걸림 고정되는 회전 걸림부(50);
    상기 회전 걸림부(5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측은 적재함 바디(11)에 고정되고 로드는 걸림 바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 실린더인 구동부(60);
    개폐기(20)와 상기 구동부(60)의 정상 작동 상태를 센싱하여 유압 실린더(20)의 로드 전진에 의한 개폐부(13)의 폐쇄 작동과, 회전 실린더(60)의 로드 전진에 의한 회전 걸림부(50)가 걸림 돌부(40)에 고정되는 작동이 동시 진행되지 않는 경우, 작동 오류로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개폐센서(110)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걸림부(50)는,
    상기 적재함 바디(11)에 고정되는 걸림 바디(51); 및
    상기 걸림 바디(5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는 상기 걸림 돌부(40)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53a)가 굴곡 형성된 걸림 바(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21120A 2018-10-11 2018-10-11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 KR102011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120A KR102011501B1 (ko) 2018-10-11 2018-10-11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120A KR102011501B1 (ko) 2018-10-11 2018-10-11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501B1 true KR102011501B1 (ko) 2019-08-16

Family

ID=6780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120A KR102011501B1 (ko) 2018-10-11 2018-10-11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50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870U (ko) * 1996-11-30 1998-08-17 김무 덤프트럭의 적재함 고정장치
KR200402328Y1 (ko) * 2005-08-25 2005-11-29 조병하 화물차의 적재함
JP2006335211A (ja) * 2005-06-02 2006-12-14 Ashimori Ind Co Ltd ウイング扉開閉装置
KR20100000175U (ko) * 2008-06-27 2010-01-06 주식회사 골드밴 화물차용 윙도어 잠금장치
KR101101327B1 (ko) * 2011-06-07 2011-12-30 형제산업(주) 윙바디용 윙 잠금 장치
KR20130063450A (ko) * 2011-12-06 2013-06-14 김형곤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KR101668001B1 (ko) * 2014-11-28 2016-10-28 김형곤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KR101716814B1 (ko) 2015-06-04 2017-03-15 이순채 전자력을 이용한 화물차량의 적재함 윙이나 게이트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870U (ko) * 1996-11-30 1998-08-17 김무 덤프트럭의 적재함 고정장치
JP2006335211A (ja) * 2005-06-02 2006-12-14 Ashimori Ind Co Ltd ウイング扉開閉装置
KR200402328Y1 (ko) * 2005-08-25 2005-11-29 조병하 화물차의 적재함
KR20100000175U (ko) * 2008-06-27 2010-01-06 주식회사 골드밴 화물차용 윙도어 잠금장치
KR101101327B1 (ko) * 2011-06-07 2011-12-30 형제산업(주) 윙바디용 윙 잠금 장치
KR20130063450A (ko) * 2011-12-06 2013-06-14 김형곤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KR101668001B1 (ko) * 2014-11-28 2016-10-28 김형곤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KR101716814B1 (ko) 2015-06-04 2017-03-15 이순채 전자력을 이용한 화물차량의 적재함 윙이나 게이트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3855B2 (ja) 開放防止構造を持つ車両用収納装置
US7241092B2 (en) Cargo retention device
US8484900B2 (en) Control of an access opening in a body of a vehicle
WO2006113219A3 (en) Chainless gate system
KR101553232B1 (ko)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US6761414B1 (en) Top hinged gravity, floating and power self-opening gate for dump body
KR102011501B1 (ko)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
KR101939375B1 (ko)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JP2007261405A (ja) リンク機構
US5692401A (en) Integral box car lock
KR20210046281A (ko)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자동 열림 및 닫힘 유지 장치
US6491349B2 (en) In-service/out-of-service rotatable tailgate assembly
CN105442959A (zh) 用于机动车辆的滑动门
KR101572841B1 (ko)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KR102005557B1 (ko) 종방향 또는 횡방향 개폐가 가능한 화물차량의 적재함 도어
KR20090129634A (ko) 덤프트럭의 리어게이트 록킹장치
US4072331A (en) Door latch having three-way actuation means
DE102015118861A1 (de) Schließvorrichtung einer Kraftfahrzeughaube
KR20200126156A (ko) 차량 도어용 힌지장치
KR200476161Y1 (ko) 중장비용 커버의 개폐장치
KR101448717B1 (ko) 덤프게이트 고정훅 강제 리턴장치
KR20080010521A (ko) 화물차량의 데크 잠금장치
JP5347247B2 (ja) 車両用開閉装置
KR200284186Y1 (ko) 덤프차량의 적재함 뒷문 열림장치
KR20080047750A (ko) 자동차용 데크 게이트 힌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