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991B1 -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991B1
KR101408991B1 KR1020120097336A KR20120097336A KR101408991B1 KR 101408991 B1 KR101408991 B1 KR 101408991B1 KR 1020120097336 A KR1020120097336 A KR 1020120097336A KR 20120097336 A KR20120097336 A KR 20120097336A KR 101408991 B1 KR101408991 B1 KR 101408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in
container
hol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3450A (ko
Inventor
김형곤
Original Assignee
김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곤 filed Critical 김형곤
Publication of KR20130063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60P1/273Providing interdependence between tipping movement and the latching or unlatching of a freely-swingable tailboard or sideboar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Abstract

본 발명은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컨테이너와, 컨테이너의 개방면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에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상기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 잠금장치가 마련된 적재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어 개방시 컨테이너에 대한 도어의 개방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유닛과,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컨테이너에 대해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지시키도록 도어에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도어 잠금장치의 핸들과 각도유지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핸들의 조작력을 각도유지유닛에 전달하여 각도유지유닛을 작동시키는 전달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는 컨테이너 도어를 필요한 각도만큼 열어서 고정시킬 수 있어서 주변의 차량이나 행인에게 지장을 주지 않으며, 나아가 안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Special vehicle door fixing apparatus of the container}
본 발명은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차의 컨테이너에 물건을 하역할 때 컨테이너 도어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탑차(특장차)에는 적재수단으로서 물건을 운송하기 위한 사각박스형의 컨테이너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컨테이너는 후방에 물건을 하역하기 위하여 양문형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양 도어의 경계부위에는 도어를 잠금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물건 하역시에는 록킹장치를 해제한 뒤 양문형 도어를 완전히 개방하여 하역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양문형 도어는 닫힌 상태로부터 약 270°만큼 완전 개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서 대개는 도어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하역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열려진 도어가 컨테이너의 양 옆으로 돌출되므로 주변을 지나는 행인이나 다른 차량 및 이륜차 등의 운송에 지장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추돌사고의 우려도 있으며, 주변에 벽이나 차량 등이 있으면 개방할 수 없고, 도어를 고정할 수 없어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이 높다.
또한, 도어 자체의 불량이나 바람의 영향으로 열려 있던 도어가 임의로 닫히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 경우 하역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부상도 염려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컨테이너 도어를 필요한 각도만큼 열어서 고정시킬 수 있어서 주변의 차량이나 행인에게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개방면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에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상기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 잠금장치가 마련된 적재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 개방시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상기 도어의 개방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유닛과,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컨테이너에 대해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지시키도록 상기 도어에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핸들과 상기 각도유지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의 조작력을 상기 각도유지유닛에 전달하여 상기 각도유지유닛을 작동시키는 전달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각도유지유닛은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상기 도어의 회동축선에 인접되게 위치되도록 고정부에 의해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상기 회동축선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홀이 형성된 핀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딩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전달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전달부재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핸들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핀 하우징 내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컨테이너에 고정되며, 상기 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핀과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환형의 곡선을 따라 다수의 핀홀이 마련된 핀 홀더와, 상기 핀 하우징(210)과 고정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핀이 상기 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고정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 하우징은 외주면에 상기 슬라이딩홀과 연통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핀홀로부터 강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키홈을 통해 단부가 상기 핀 하우징(210) 외부로 돌출되도록 외주면에 상기 회동축선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파지부재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핀 하우징은 상기 고정핀이 상기 핀홀로부터 강제 분리된 상태를 유지시키 위해 상기 파지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핀 홀더로부터 최외각에 위치한 상기 제1키홈의 단부에, 상기 제1키홈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키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는 상기 핀홀에 대한 상기 고정핀의 삽입 상태를 상기 작업자에게 알리는 핀고정 감지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핀고정 감지수단은 상기 고정핀이 상기 핀홀에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작업자가 경고를 인식할 수 있도록 경고를 위한 광을 발광하는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출력부와, 상기 감지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핀홀에 대해 상기 고정핀이 미삽입된 상태일 경우 상기 작업자에게 경고를 나타낼 수 있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전달부재는 일단은 상기 핸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달부재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상기 도어의 측면에 밀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핸들 및 핀 하우징(210)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경로가 마련된 가이드관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적재수단은 상기 도어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컨테이너에 고정되는 플랜지부재와,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플랜지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제1관통구가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돌출부재가 마련된 브라켓과,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재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힌지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제2관통구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결합부가 마련된 경첩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각도유지유닛은 상기 제1돌출부재에 상기 제1관통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1삽입홀이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재에 대향되는 상기 경첩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관통구에 연통되는 제3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삽입홀과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환형의 곡선을 따라 다수의 제2삽입홀이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핀 홀더와, 상기 경첩에 대향되는 상기 제1돌출부재 일측면의 반대편인 타측면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축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게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재의 타측면에 인접시 상기 제1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삽입홀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1돌출부재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돌기가 마련되되, 상기 전달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핸들의 조작력이 인가시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제2삽입홀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제1돌출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돌출부재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각도유지유닛은 상기 힌지축에 대해 상기 슬라이더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경로 상의 상기 힌지축 외주면에,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평평한 제1회전방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방지면에 대향되는 상기 슬라이더의 중공 내주면에, 상기 슬라이더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회전방지면에 접할 수 있도록 평평한 제2회전방지면이 형성된다.
상기 각도유지유닛은 상기 작업자가 상기 삽입돌기를 상기 제2삽입홀로부터 강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제1돌출부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삽입돌기의 강제 분리상태를 유지시키는 분리유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리유지부는 상기 힌지축 또는 컨테이너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제3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재로부터 최외각에 위치한 상기 제3키홈의 단부에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제4키홈이 형성된 분리판과,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며, 단부가 상기 분리판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바와, 상기 제3키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바의 단부에 연장형성된 삽입바가 마련된 단속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달부재는 일단은 상기 핸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상기 도어의 측면에 밀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핸들 및 슬라이더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경로가 마련된 가이드관을 구비한다.
상기 힌지축은 상기 전달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기 전달부재의 단부가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경로 상의 외주면에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인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는 컨테이너 도어를 필요한 각도만큼 열어서 고정시킬 수 있어서 주변의 차량이나 행인에게 지장을 주지 않으며, 나아가 안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임의로 닫히거나 열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원활한 하역작업이 가능하고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고정핀이 핀홀에 고정되었는지를 전자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게 함으로써 운전석에서도 도어의 고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서 도어가 고정되지 않음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의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가 설치된 컨테이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의 측면도로서, 고정핀이 핀 홀에 고정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의 측면도로서, 고정핀이 핀홀로부터 이탈된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의 측면도로서, 고정핀을 제1키홈으로부터 제2키홈으로 위치이동시킨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다른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트럭과 같은 차량의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도록 적재수단(10)이 설치되어 있다. 적재수단(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컨테이너(11)와, 상기 컨테이너(11)의 개방된 개방면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11)에 힌지축(3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11)에 대한 상기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 잠금장치(1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도어 잠금장치(12)는 도어에 인접된 컨테이너(11)의 상하측에 각각 고정된 걸림고리(13)와, 걸림고리(13)에 대향되는 위치의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로킹로드(14)와, 상기 로킹로드(14)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로킹로드(14)의 회전에 의해 각 걸림고리(13)에 걸리는 걸림쇠(미도시)와, 로킹로드(14)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핸들(15)과, 상기 핸들(15)에 대향되는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15)을 구속하는 구속부재(16)를 구비한다.
작업자가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지할 경우, 핸들(15)을 상방으로 회동시켜 구속부재(16)로부터 분리한 다음, 핸들(15)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핸들(15)의 조작에 의해 로킹로드(14)로 회전하고, 걸림쇠는 걸림고리(13)로부터 구속상태가 해지되어 도어는 개방된다. 작업자가 컨테이너(11)에 도어를 잠글 경우, 핸들(15)을 도어 측으로 인접되게 조작하한다. 이때, 핸들(15)의 조작에 의해 로킹로드(14)는 회전하고, 걸림쇠는 걸림고리(13)에 구속된다. 다음으로 핸들(15)을 하방으로 회동시켜 구속부재(16)에 구속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100)는 상기 적재수단(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어의 개방시 컨테이너(11)에 대한 상기 도어의 개방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유닛(200)과, 핸들(15)과 각도유지유닛(200) 사이에 설치되어 핸들(15)의 조작력을 각도유지유닛(200)에 전달하여 각도유지유닛(200)을 작동시키는 전달부재(300)를 구비한다.
각도유지유닛(200)은 상기 도어의 회동축선에 인접되게 위치되도록 고정부(213)에 의해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상기 회동축선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홀(214)이 형성된 핀 하우징(210)과, 상기 슬라이딩홀(2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핀(220)과, 상기 슬라이딩홀(214)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컨테이너(11)에 고정되며, 상기 핀 하우징(210)으로부터 인출된 고정핀(2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핀홀(231)이 마련된 핀 홀더(230)와, 상기 핀 하우징(210)과 고정핀(2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핀(220)이 상기 핀 하우징(210)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고정핀(2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50)를 구비한다.
핀 하우징(210)은 고정부(213)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슬라이딩홀(214)이 형성된 본체(211)와, 상기 본체(211)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된 덮개(212)를 구비한다. 고정부(213)는 일단이 본체(211)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선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판과, 상기 연장판의 타단을 도어에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볼트를 구비한다. 연장판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볼트가 관통되어 도어에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고정부(213)는 본체(211)를 상기 도어의 회동축선에 인접되도록 상기 도어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한다.
상기 본체(211)는 중앙부분에 슬라이딩홀(214)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슬라이딩홀(214)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본체(211)는 고정핀(220)이 용이하게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본체(211)는 후술되는 고정핀(220)의 파지부재(222)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제1키홈(215)이 형성된다. 상기 제1키홈(215)은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또한, 본체(211)는 작업자가 고정핀(220)을 강제로 이동시 고정핀(2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1키홈(215)의 상단부에, 상기 제1키홈(215)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키홈(216)이 형성된다. 이때, 제2키홈(216)의 단부는 하방으로 소정길이 절곡되게 연장되되, 제1키홈(215)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212)는 본체(211)의 상면에 설치되며, 고정핀(220)의 상부가 관통되도록 돌출구(2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212)는 본체(211) 내에 고정핀(220)을 삽입한 다음 용접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본체(211)의 상면에 고정시킨다.
고정핀(2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소정의 반경을 갖는 환봉형으로 형성된다. 고정핀(220)의 외주면에 탄성부재(250)의 하단이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핀(220)의 외경보다는 크고 슬라이딩홀(214)의 내경보다는 작은 원판형의 간섭부재(2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고정핀(220)은 덮개(212)의 돌출구(217)를 통해 상단이 외부로 돌출되며, 하단은 후술되는 핀 홀더(230)의 핀홀(231)에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11)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핀(220)의 상면에는 후술되는 전달부재(300)의 와이어(31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고리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고정핀(220)은 작업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상방으로 회동시킬 경우, 전달부재(300)를 통해 조작력이 전달되어 핀 하우징(210) 내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한편, 고정핀(220)은 상기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핀홀(231)로부터 강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키홈(215)을 통해 단부가 상기 핀 하우징(210) 외부로 돌출되도록 외주면에 상기 회동축선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파지부재(22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핀 홀더(230)는 고정핀(220)의 하단에 대향되는 위치의 컨테이너(11)에 고정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핀 홀더(230)는 핀 하우징(210)으로부터 인출된 고정핀(2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도어의 회동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핀(220)과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환형의 곡선을 따라 다수의 핀홀(231)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핀 홀더(230)가 도어에 고정된 경첩(30)이 힌지축(32)에 의해 결합되는 브라켓(20)에 고정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핀 홀더(230)의 설치위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고정핀(220)에 대향되는 위치라면 컨테이너(11)의 어느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250)는 핀 하우징(210)의 슬라이딩홀(214) 내에 설치되며, 상단은 덮개(212)의 천장면에 하든은 간섭부재(221)에 간섭되게 설치되고, 고정핀(220)이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250)는 고정핀(220)이 핀 홀더(230)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고정핀(22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전달부재(300)는 일단은 상기 핸들(15)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달부재(300)에 연결되는 와이어(310)와, 상기 와이어(310)가 상기 도어의 측면에 밀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핸들(15) 및 핀 하우징(210)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상기 와이어(310)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경로가 마련된 가이드관(320)과, 핸들(15) 하측의 도어에 설치되어 와이어(310)를 가이드관(320) 내로 안내하는 가이드롤러(330)를 구비한다.
가이드관(320)은 핸들(15) 하측의 도어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분(321)과, 제1연장부분(321)의 하단에 연장되며, 핀 하우징(2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분(322)과, 제2연장부분(322)의 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되, 핀 하우징(210)의 상측에 단부가 위치하도록 연장된 제3연장부분(323)을 구비한다.
가이드롤러(330)는 가이드관(320)의 제1연장부분(321)과 핸들(15) 사이의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와이어(310)를 가이드관(320)으로 가이드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와이어(310)가 가이드관(320)에 의해 도어에 밀착되어 작동하므로 와이어(310)가 꼬이거나 작업자 및 장애물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전달부재(300)는 와이어(310), 가이드관(320) 및 가이드롤러(330)를 구비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전달부재(300)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힌지결합된 다수의 링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100)는 핀홀(231)에 대한 고정핀(220)의 삽입상태를 작업자에게 알리는 핀고정 감지수단(240)을 더 구비한다.
상기 핀고정 감지수단(240)은 상기 고정핀(220)이 상기 핀홀(231)에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41)와, 상기 작업자가 경고를 인식할 수 있도로 경고를 위한 광을 발광하는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 스피커를 포함한 출력부(242)와, 상기 감지센서(241)에 연결되어 상기 핀홀(231)에 대해 상기 고정핀(220)이 미삽입된 상태일 경우 상기 작업자에게 경고를 나타낼 수 있도록 상기 출력부(242)를 제어하는 제어부(243)를 구비한다.
감지센서(241)는 핀홀(231)에 인접된 위치의 핀 홀더(230) 하면에 고정되며, 핀홀(231)에 관통되어 핀 홀더(230)의 하측으로 돌출된 고정핀(220)의 하단부를 감지한다. 또한, 출력부(242)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경고를 감지할 수 있도록 차량의 운전석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고정 감지수단(240)에 의해 고정핀(220)이 핀 홀더(230)에 고정되었는지의 여부를 운전석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도어의 고정상태를 확인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테이너(11)로부터 도어를 개방할 경우, 작업자는 핸들(15) 상방으로 회동시켜 구속부재(16)로부터 분리하고,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핸들(15)에 연결되어 있던 와이어(310)에 당김력이 인가되고, 이 당김력에 의해 고정핀(220)은 핀 하우징(210)에 인입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핀홀(231)로부터 분리된다. 작업자가 원하는 각도만큼 도어를 개방한 다음 핸들(15)을 도어에 밀착시키면 와이어(310)를 통해 전달되던 당김력이 해제되고, 고정핀(220)은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에 의해 핀 홀더(230)의 핀홀(231)에 삽입된다. 고정핀(220)과 핀 홀더(230)의 결합에 의해 도어는 개방각도가 유지된다.
작업자가 핸들(15)을 사용하지 않고 도어의 개방각을 조정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제1키홈(215)을 통해 핀 하우징(210) 외부로 돌출된 파지부재(222)를 파지한 다음 고정핀(220)을 승강시켜 핀 홀더(230)에서 강제 분리시킨다. 그리고 파지부재(222)를 제1키홈(215)의 상단부까지 올린 다음, 제2키홈(216)으로 삽입되도록 이동시킨다. 이때, 제2키홈(216)의 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제2키홈(216)의 단부까지 삽입된 파지부재(222)는 제2키홈(216)에 걸려 고정핀(220)이 핀 홀더(230)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유지된다. 작업자가 도어의 개방각도를 조절한 다음, 파지부재(222)를 다시 제1키홈(215)으로 이동시키면,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핀(220)은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핀 홀더(230)에 결합되어 도어의 개방각도가 고정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100)는 컨테이너 도어를 필요한 각도만큼 열어서 고정시킬 수 있어서 주변의 차량이나 행인에게 지장을 주지 않으며, 나아가 안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컨테이너(11)의 도어가 임의로 닫히거나 열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원활한 하역작업이 가능하고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어의 고정핀(220)이 핀홀(231)에 고정되었는지를 전자 감지수단(240)에 의해 감지되게 함으로써 운전석에서도 도어의 고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서 도어가 고정되지 않음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의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각도유지유닛(40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이때, 적재수단(10)은 도어에 인접된 위치의 컨테이너(11) 가장자리에 설치된 브라켓(20)과, 상기 브라켓(20)에 힌지축(3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결합부가 마련된 경첩(30)을 구비한다.
브라켓(20)은 볼트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11)에 고정되는 플랜지부재(21)와, 상기 힌지축(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플랜지부재(21)에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3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제1관통구(24)가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돌출부재(22,23)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돌출부재(22,23)는 컨테이너(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제1돌출부재(22)는 제1관통구(2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1삽입홀(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삽입홀(25)은 다수개가 상기 제1관통구(24)를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형의 가상 곡선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때, 제1삽입홀(25)들은 제1관통구(24)를 기준으로 동일 각도 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첩(30)은 제1 및 제2돌출부재(22,23)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힌지축(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3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제2관통구(미도시)가 형성된다. 도어 결합부(31)는 경첩(30)의 외주면에 도어 방향으로 돌출된 판형으로 형성되며, 볼트가 관통되어 도어에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볼팅홀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각도유지유닛(400)은 핀 홀더(410), 슬라이더(420), 탄성부재(430) 및 회전방지부를 구비한다. 이때, 전달부재(300)의 가이드관(320)은 타단이 슬라이더(420)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 홀더(410)는 제1돌출부재(22)의 하면에 대향되는 상기 경첩(30)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핀 홀더(410)는 힌지축(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관통구에 연통되는 제3관통구(411)가 형성된다. 또한, 핀 홀더(410)는 상기 힌지축(32)을 기준으로 상기 제1삽입홀(25)과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환형의 곡선을 따라 다수의 제2삽입홀(412)이 상기 힌지축(3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 제2삽입홀(412)들은 힌지축(32)을 기준으로 제1삽입홀(25)들의 사이각도와 동일각도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슬라이더(420)는 제1돌출부재(22)의 상면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축(32)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32)이 관통될 수 있게 중공이 마련된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더(420)는 하면에 상기 제1돌출부재(22)의 상면에 인접시 상기 제1삽입홀(25)을 관통하여 상기 제2삽입홀(4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삽입홀(25)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1돌출부재(22)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돌기(421)가 형성된다.
이때, 삽입돌기(421)는 다수개가 각 제1삽입홀(25)들에 대향되는 위치의 슬라이더(420)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421)는 제1삽입홀(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소정길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라이더(420)는 상면에 전달부재(300)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재(4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422)는 슬라이더(420)의 상면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수직바(424)와, 상기 수직바(424)의 상단에 제1관통구(24)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되며, 전달부재(300)의 와이어(31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홀이 마련된 수평바(425)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연결홀은 제1관통구(24)에 대향되는 위치의 수평바(425)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더(420)는 연결부재(422)에 의해 전달부재(300)와 연결되어 핸들(15)의 조작력에 의해 슬라이딩된다. 핸들(15)의 조작력이 인가시 삽입돌기(421)가 제2삽입홀(412)로부터 인출되도록 상방으로 슬라이딩된다.
탄성부재(430)는 상단이 힌지축(32)의 헤드부분(33)에 고정되며, 하단은 슬라이더(42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420)가 상기 제1돌출부재(22)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회전방지부는 힌지축(32)에 대해 슬라이더(42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더(420)의 이동경로 상의 상기 힌지축(32) 외주면에, 상기 힌지축(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평평한 제1회전방지면(441)이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방지면(441)에 대향되는 상기 슬라이더(420)의 중공 내주면에, 상기 슬라이더(42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회전방지면(441)에 접할 수 있도록 평평한 제2회전방지면(442)이 형성된다.
이때, 힌지축(32)은 상기 제1회전방지면(441)이 마련될 수 있도록 상부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슬라이더(420)의 중공은 힌지축(32)의 상부에 대응되게 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힌지축(32)의 상부 및 슬라이더(420)의 중공은 삼각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100)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삽입돌기(421)를 상기 제2삽입홀(412)로부터 강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더(420)를 상기 제1돌출부재(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핀부재의 강제 분리상태를 유지시키는 분리유지부(450)를 더 구비한다. 분리유지부(450)는 분리판(451) 및 단속부재(452)를 구비한다.
분리판(451)은 볼트에 의해 힌지축(32)의 헤드부분(33) 상면에 고정되며, 상방으로 연장된 판형으로 형성된다. 분리판(451)의 상단은 힌지축(32)의 중심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며, 와이어(3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리판(451)은 측면에 상기 힌지축(32)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제3키홈(453)이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재(22)로부터 최외각에 위치한 상기 제3키홈(453)의 상단부에 제3키홈(453)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제4키홈(454)이 형성된다.
단속부재(452)는 연장바(455) 및 삽입바(456)를 구비한다. 연장바(455)는 연결부재(422)의 수직바(424)에 대향되는 위치의 슬라이더(420)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연장되되, 단부가 분리판(451)의 제3키홈(453)에 인접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바(456)는 상기 제3키홈(45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바(455)의 상단부에 분리판(451)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형성된다. 작업자는 핀 홀더(410)로부터 삽입돌기(421)를 분리시킨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삽입바(456)를 제3키홈(453)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제4키홈(454)으로 인입시킨다. 제4키홈(454)에 의해 삽입바(456)는 간섭되어 슬라이더(420)는 삽입돌기(421)가 제2삽입홀(412)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힌지축(32)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헤드부분(33)에 인접된 상단부 일부분이 슬라이더(4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분리판(451)이 힌지축(32)에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분리판(451)의 설치위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더(420)의 측면에 대향되는 컨테이너(1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테이너(11)로부터 도어를 개방할 경우, 작업자는 핸들(15) 상방으로 회동시켜 구속부재(16)로부터 분리하고,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핸들(15)에 연결되어 있던 와이어(310)에 당김력이 인가되고, 이 당김력에 의해 슬라이더(420)는 상방으로 승강된다. 상측으로 승강되는 슬라이더(420)에 의해 삽입돌기(421)는 핀 홀더(410)의 제2삽입홀(412)로부터 분리된다. 작업자가 원하는 각도만큼 도어를 개방한 다음 핸들(15)을 도어에 밀착시키면 와이어(310)를 통해 전달되던 당김력이 해제되고, 슬라이더(420)는 탄성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고, 삽입돌기(421)는 핀 홀더(410)의 제2삽입홀(412)에 삽입되어 도어의 개방각도가 고정된다.
작업자가 핸들(15)을 사용하지 않고 도어의 개방각을 조정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슬라이더(420)를 파지하여 승강시킨 다음, 삽입바(456)가 제4키홈(454)에 삽입되도록 슬라이더(420)를 회전시킨다. 이때, 삽입바(456)가 제4키홈(454)에 간섭되어 고정되므로 슬라이더(420)는 삽입돌기(421)가 핀 홀더(410)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유지된다. 작업자가 도어의 개방각도를 조절한 다음, 삽입바(456)를 다시 제3키홈(453)으로 이동시키면, 탄성부재(430)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420)는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핀 홀더(410)에 결합되어 도어의 개방각도가 고정된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더(47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슬라이더(470)는 전달부재(300)의 와이어(3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422) 대신에 하면에 결합고리(471)가 형성된다. 결합고리(471)는 슬라이더(470)의 중공에 인접되는 슬라이더(470)의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힌지축(32)은 와이어(310)의 타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310)의 단부가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슬라이더(47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470)의 이동경로 상의 외주면에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인출구(35)가 형성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와이어(310)가 힌지축(32) 내로 인입되어 슬라이더(470)에 결합되므로 와이어(310)가 꼬이거나 장애물에 걸려 슬라이더(470)가 오작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적재수단
11: 컨테이너
12: 도어 잠금장치
13: 걸림고리
14: 로킹로드
15: 핸들
16: 구속부재
100: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200: 각도유지유닛
210: 핀 하우징
214: 슬라이딩홀
220: 고정핀
230: 핀홀더
231: 핀홀
300: 전달부재

Claims (11)

  1.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개방면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에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상기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 잠금장치가 마련된 적재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 개방시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상기 도어의 개방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유지유닛과;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컨테이너에 대해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지시키도록 상기 도어에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핸들과 상기 각도유지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의 조작력을 상기 각도유지유닛에 전달하여 상기 각도유지유닛을 작동시키는 전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유지유닛은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상기 도어의 회동축선에 인접되게 위치되도록 고정부에 의해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상기 회동축선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홀이 형성된 핀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딩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전달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전달부재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핸들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핀 하우징 내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컨테이너에 고정되며, 상기 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핀과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환형의 곡선을 따라 다수의 핀홀이 마련된 핀 홀더와;
    상기 핀 하우징과 고정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핀이 상기 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고정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 하우징은 외주면에 상기 슬라이딩홀과 연통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핀홀로부터 강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키홈을 통해 단부가 상기 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도록 외주면에 상기 회동축선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파지부재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 하우징은 상기 고정핀이 상기 핀홀로부터 강제 분리된 상태를 유지시키 위해 상기 파지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핀 홀더로부터 최외각에 위치한 상기 제1키홈의 단부에, 상기 제1키홈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키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에 대한 상기 고정핀의 삽입 상태를 상기 작업자에게 알리는 핀고정 감지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핀고정 감지수단은
    상기 고정핀이 상기 핀홀에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작업자가 경고를 인식할 수 있도록 경고를 위한 광을 발광하는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출력부와,
    상기 감지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핀홀에 대해 상기 고정핀이 미삽입된 상태일 경우 상기 작업자에게 경고를 나타낼 수 있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일단은 상기 핸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핀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상기 도어의 측면에 밀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핸들 및 핀 하우징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경로가 마련된 가이드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수단은 상기 도어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컨테이너에 고정되는 플랜지부재와,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플랜지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제1관통구가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돌출부재가 마련된 브라켓과,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재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힌지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제2관통구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결합부가 마련된 경첩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각도유지유닛은
    상기 제1돌출부재에 상기 제1관통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1삽입홀이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재에 대향되는 상기 경첩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관통구에 연통되는 제3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삽입홀과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환형의 곡선을 따라 다수의 제2삽입홀이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핀 홀더와;
    상기 경첩에 대향되는 상기 제1돌출부재 일측면의 반대편인 타측면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축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게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재의 타측면에 인접시 상기 제1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삽입홀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1돌출부재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돌기가 마련되되, 상기 전달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핸들의 조작력이 인가시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제2삽입홀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제1돌출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돌출부재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유지유닛은
    상기 힌지축에 대해 상기 슬라이더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경로 상의 상기 힌지축 외주면에,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평평한 제1회전방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방지면에 대향되는 상기 슬라이더의 중공 내주면에, 상기 슬라이더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회전방지면에 접할 수 있도록 평평한 제2회전방지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유지유닛은
    상기 작업자가 상기 삽입돌기를 상기 제2삽입홀로부터 강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제1돌출부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삽입돌기의 강제 분리상태를 유지시키는 분리유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리유지부는
    상기 힌지축 또는 컨테이너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제3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재로부터 최외각에 위치한 상기 제3키홈의 단부에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제4키홈이 형성된 분리판과;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며, 단부가 상기 분리판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바와, 상기 제3키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바의 단부에 연장형성된 삽입바가 마련된 단속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일단은 상기 핸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상기 도어의 측면에 밀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핸들 및 슬라이더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경로가 마련된 가이드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경로 상의 외주면에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인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컨테이너 고정장치.
KR1020120097336A 2011-12-06 2012-09-03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KR101408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583 2011-12-06
KR20110129583 2011-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450A KR20130063450A (ko) 2013-06-14
KR101408991B1 true KR101408991B1 (ko) 2014-06-17

Family

ID=48860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336A KR101408991B1 (ko) 2011-12-06 2012-09-03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9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766B1 (ko) * 2015-03-13 2015-10-02 박금수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
KR20190032725A (ko) 2017-09-20 2019-03-28 전병채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멈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663B1 (ko) * 2017-12-13 2024-04-0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KR102011501B1 (ko) * 2018-10-11 2019-08-16 민홍규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
JP7219191B2 (ja) * 2019-08-29 2023-02-07 日本トレクス株式会社 トラックボデーの後部構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4983U (ko) * 1989-08-14 1991-04-05
KR200257195Y1 (ko) 2001-08-30 2001-12-24 주식회사제일특장 박스형 특장차량의 백도어 고정구조
KR100597383B1 (ko) 2005-06-29 2006-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스윙도어
KR20080001964U (ko) * 2006-12-15 2008-06-19 정태일 윙바디 차량의 후방게이트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4983U (ko) * 1989-08-14 1991-04-05
KR200257195Y1 (ko) 2001-08-30 2001-12-24 주식회사제일특장 박스형 특장차량의 백도어 고정구조
KR100597383B1 (ko) 2005-06-29 2006-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스윙도어
KR20080001964U (ko) * 2006-12-15 2008-06-19 정태일 윙바디 차량의 후방게이트 힌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766B1 (ko) * 2015-03-13 2015-10-02 박금수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
KR20190032725A (ko) 2017-09-20 2019-03-28 전병채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멈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450A (ko) 201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991B1 (ko)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KR101668001B1 (ko)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EP2718523B1 (en) Locking mechanism
EP1041229B1 (en) Cab window lock system
US20070262603A1 (en) Power tailgate anti-theft system
US6484850B1 (en) Elevator control panel device
CN102383676A (zh) 闭锁系统
US8959838B1 (en) Cargo vehic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use
JP2009001189A (ja) 点検蓋の開閉制御システム
KR200381759Y1 (ko)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
KR20170039960A (ko) 충돌시 도어 개방 방지 장치
EP3461780B1 (en) Mechanical hoistway access control device
KR20060084054A (ko)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
KR101516354B1 (ko) 차량의 적재함 도어 잠금장치
US20230052115A1 (en) Door apparatus and parking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KR10263439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일체형 도어 래치 어셈블리
EP3231970B1 (en) Locking system for door leaves or window leaves of a vehicle
KR101862096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잠금 장치
US20160047147A1 (en) Automotive door hinge safety lock
KR200494883Y1 (ko)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
KR100728455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제어 장치
KR20100081496A (ko)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US4315640A (en) Passive safety belt device for vehicles
KR200489421Y1 (ko) 방폭형 화물용 승강기의 수직도어 잠금장치
JP2009298537A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