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663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663B1
KR102652663B1 KR1020180150597A KR20180150597A KR102652663B1 KR 102652663 B1 KR102652663 B1 KR 102652663B1 KR 1020180150597 A KR1020180150597 A KR 1020180150597A KR 20180150597 A KR20180150597 A KR 20180150597A KR 102652663 B1 KR102652663 B1 KR 102652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guide
state
guide path
manual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0855A (ko
Inventor
요시아키 유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12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700154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90070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곡립 탱크를 개방 상태로부터 저류 상태로 전환하였을 때, 확실하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개방 상태와 저류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한 곡립 탱크를 저류 상태에서 위치 고정 가능한 로크 기구(36)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 부재(55)와, 축 부재(55)를 조작하기 위한 수동 조작부(56)와, 수동 조작부(56)를 이동 안내하는 경로 안내부(62)와, 축 부재(55)가 끼워 맞춤 가능한 걸림 결합 구멍이 구비되고, 경로 안내부(62)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안내 경로와,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안내 경로와, 제2 안내 경로의 하단부로부터 제1 안내 경로와는 반대측의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안내 경로를 갖고, 수동 조작부(56)가, 제1 안내 경로에 위치해 있으면 로크 해제 상태가 유지되고, 제2 안내 경로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 로크 상태로 전환되고, 제3 안내 경로에 위치해 있으면 로크 상태가 유지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예취 곡간을 탈곡하여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가, 기체 외측으로 돌출되는 개방 상태와 기체 내측으로 후퇴하는 저류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콤바인에서는, 곡립 탱크를 저류 상태에서 위치 고정 가능한 로크 기구가 구비된다. 로크 기구는, 종방향 자세의 로크 핀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또한 스프링에 의해 하방을 향하여 가압 상태에서 곡립 탱크에 지지되고, 기체측에 로크 핀이 끼워 맞춤 가능한 걸림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 핀의 상부에 수평 자세의 수동 조작부가 마련되고, 이 수동 조작부를 조작하여 로크 상태와 로크 해제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동 조작부는, 상방으로 들어 올려 로크 해제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받침부에 받쳐지는데, 이 상태에서는 전체 주위에 걸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34653호 공보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곡립 탱크가, 일단 개방 상태로 전환된 후, 저류 상태로 되돌려진 후에도, 로크 핀이 걸림 결합 구멍에 끼워 맞춤되어 있지 않은 로크 해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작업이 행해질 우려가 있었다.
설명을 더하면, 상기 구성에서는, 곡립 탱크를 저류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수동 조작부는 상방으로 들어 올려 받침부에 받쳐 둔다. 그 후, 곡립 탱크를 저류 상태로 되돌렸을 때, 수동 조작부를 회동시켜도, 로크 핀이 걸림 결합 구멍에 끼워 맞지 않는 경우가 있지만, 전체 주위에 걸쳐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기 때문에 조작자는 알아차리지 못하고, 잘못해서 작업을 계속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곡립 탱크를 개방 상태로부터 저류 상태로 전환하였을 때, 확실하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특징 구성은,
기체 프레임에 적재 지지됨과 함께, 종방향 축심 주위에서 요동하여, 기체 외측으로 돌출되는 개방 상태와 기체 내측으로 후퇴하는 저류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한 곡립 탱크와,
상기 곡립 탱크를 상기 저류 상태에서 위치 고정 가능한 로크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로크 기구에, 상기 곡립 탱크에 종방향 축심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또한 축심 방향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를 조작하기 위한 수동 조작부와,
상기 수동 조작부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 안내하는 경로 안내부와, 상기 기체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축 부재가 끼워 맞춤 가능한 걸림 결합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축 부재가 상부 위치에 있으면 상기 걸림 결합 구멍에 끼워 맞춤되지 않는 로크 해제 상태가 되고, 상기 축 부재가 하부 위치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걸림 결합 구멍에 끼워 맞춤됨으로써, 상기 곡립 탱크를 위치 고정하는 로크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경로 안내부는, 상기 소정의 경로로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안내 경로와, 상기 제1 안내 경로의 일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안내 경로와, 상기 제2 안내 경로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 안내 경로와는 반대측의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안내 경로를 갖고,
상기 수동 조작부가 상기 제1 안내 경로에 위치해 있으면 상기 로크 해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수동 조작부가 상기 제2 안내 경로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로크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수동 조작부가 상기 제3 안내 경로에 위치해 있으면 상기 로크 상태가 유지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곡립 탱크가 저류 상태에 있을 때에는 로크 기구가 로크 상태로 전환되고, 메인터넌스 작업을 위해 곡립 탱크가 개방 상태로 전환될 때에는, 로크 기구가 로크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곡립 탱크가 개방 상태로부터 저류 상태로 전환되어, 로크 기구에 의해 곡립 탱크를 위치 고정할 때에는, 제1 안내 경로에 위치하고 있는 수동 조작부를 제1 안내 경로의 일단부까지 이동시킨 후, 제2 안내 경로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축 부재가 하방 위치를 향하여 슬라이드하여 걸림 결합 구멍에 끼워 맞춤된다. 제2 안내 경로의 하단부까지 이동하여 로크 상태로 전환된 후, 수동 조작부를 제3 안내 경로를 따라 제1 안내 경로와 반대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수동 조작부가, 제1 안내 경로, 제2 안내 경로 및 제3 안내 경로를 순차적으로 이동한다고 하는 일련의 움직임에 의해, 로크 상태로 전환된다.
로크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수동 조작부는 제2 안내 경로를 통과해야 한다. 제2 안내 경로의 하단부까지 이동하면, 축 부재가 확실하게 걸림 결합 구멍에 끼워 맞춤되는 상태가 되므로, 조작자는 확실하게 로크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곡립 탱크를 개방 상태로부터 저류 상태로 전환하였을 때, 확실하게 위치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경로 안내부에, 상기 제1 안내 경로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횡방향 안내체와, 상기 제1 안내 경로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횡방향 안내체와, 상기 제2 안내 경로의 상기 제1 안내 경로와는 반대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안내 경로를 따라 마련되는 종방향 안내체가 구비되고,
상기 종방향 안내체는, 그 하단이 상기 하측 횡방향 안내체의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종방향 안내체보다 하방측에 있어서 상기 제3 안내 경로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수동 조작부는, 상측이 상측 횡방향 안내체에 의해 규제되고, 하측이 하측 횡방향 안내체에 의해 규제되는 상태에서 제1 안내 경로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안내된다. 수동 조작부는, 제1 안내 경로의 일단부측에 도달한 후, 종방향 안내체에 의해 제1 안내 경로와는 반대측이 규제되는 상태에서 제2 안내 경로를 따라 하방으로 안내된다. 수동 조작부가 종방향 안내체보다 하방측에 이르면, 제3 안내 경로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종방향 안내체의 하단은 하측 횡방향 안내체의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2 안내 경로를 통과함으로써, 수동 조작부 및 축 부재는 확실하게 하방을 향하여 이동 안내되어, 축 부재가 걸림 결합 구멍에 끼워 맞춤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그 결과, 가능한 한 간단한 부재의 조합에 의해, 경로 안내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축 부재가 걸림 결합 구멍에 끼워 맞춤되어 있는 상태에서 축 부재를 위치 보유 지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면, 제3 안내 경로의 상측에 특별한 규제용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어,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종방향 안내체의 하단은, 상기 걸림 결합 구멍에 대한 최대 끼워 맞춤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축 부재의 상단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수동 조작부가 제2 안내 경로를 따라 종방향 안내체보다 하방측에 이를 때까지 안내되면, 축 부재는 걸림 결합 구멍에 대하여 가장 잘 끼워 맞춤된 상태가 되므로, 확실하게 로크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상측 횡방향 안내체와 상기 종방향 안내체가 일체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상측 횡방향 안내체와 상기 종방향 안내체를 하나의 부재로 일체 형성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구조를 보다 간소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로크 기구의 기체 외측을 덮는 작용 상태와 상기 로크 기구의 기체 외측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한 커버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수동 조작부는, 상기 제1 안내 경로에 위치해 있을 때에는, 상기 작용 상태에 있는 상기 커버 부재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곡립 탱크가 저류 상태에 있을 때에는, 로크 기구의 기체 외측이 커버 부재에 의해 덮여 있다. 이때, 로크 기구는 로크 상태이기 때문에, 수동 조작부는 제3 안내 경로에 위치하고 있다. 곡립 탱크가 개방 상태로 전환될 때에는, 수동 조작부가 제1 안내 경로에 위치하지만, 커버 부재가 방해가 되므로, 커버 부재를 개방 상태로 전환해 둘 필요가 있다.
곡립 탱크를 개방 상태로부터 저류 상태로 전환한 후에, 커버 부재를 작용 상태로 전환할 때, 로크 기구가 로크 상태로 전환되어 있지 않고, 수동 조작부가 제1 안내 경로에 위치해 있으면, 수동 조작부가 방해가 되어 커버 부재를 작용 상태로 전환할 수 없다. 그 결과, 커버 부재를 작용 상태로 전환할 때에는, 로크 기구가 항상 적정한 로크 상태로 전환된 상태가 되어, 조작자가 로크 기구의 조작을 잊을 우려가 적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수동 조작부가 상기 제3 안내 경로에 위치해 있을 때 상기 수동 조작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가, 상기 제3 안내 경로의 상방에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제3 안내 경로에 위치해 있을 때에는, 수동 조작부가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규제 부재에 의해 상방 이동이 저지되므로, 예를 들어 기체의 진동이나 다른 것과의 간섭 등이 있어도, 로크 기구의 로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규제 부재는, 제3 안내 경로의 상방에 위치하므로, 위치 고정 상태에서 구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삽입 발출하는 핀 등에 의해 규제하는 구성에 비하여, 부재의 분실 등의 우려가 없고, 확실한 규제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곡립 탱크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4는, 곡립 탱크의 위치 보유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로크 상태의 곡립 탱크의 전방부의 일부 종단 정면도이다.
도 6은, 개방 상태의 곡립 탱크의 전방부의 일부 종단 정면도이다.
도 7은, 로크를 해제한 상태의 곡립 탱크의 전방부의 일부 종단 정면도이다.
도 8은, 로크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로크 기구의 안내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형태의 로크 기구의 안내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형태의 로크 기구의 안내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형태의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 형태의 로크 기구의 안내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 형태의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 형태의 로크 기구의 안내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자탈형 콤바인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 1)에 의해 자주하는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3)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2)의 전방부 우측에, 캐빈(4)으로 주위가 덮인 운전부(5)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5)의 후방에는, 예취부(3)에서 예취된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6)와,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7)가, 횡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곡립 탱크(7)는 기체 우측에 위치하고, 탈곡 장치(6)는 기체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운전부(5)는 곡립 탱크(7)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운전부(5)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8)의 하방에 엔진(E)이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2)의 후방부이며 곡립 탱크(7)의 후방에, 곡립 탱크(7)에 저류된 곡립을 기외로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9)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기체의 전후 방향을 정의할 때에는, 작업 상태에 있어서의 기체 진행 방향을 따라 정의하고, 기체의 좌우 방향을 정의할 때에는, 기체 진행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좌우를 정의한다. 즉, 도 1 및 도 2에 부호(F)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전방측, 도 1 및 도 2에 부호(B)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후방측이다. 도 2에 부호(L)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좌측, 도 2에 부호(R)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우측이다.
예취부(3)는, 예취 대상이 되는 식립 곡간의 밑동을 분초 안내하는 분초구(10)와, 분초된 식립 곡간을 종(縱)자세로 세우는 복수의 세움 장치(11), 세워진 식립 곡간의 밑동을 절단하는 바리캉형 예취 장치(12), 예취 곡간을 종자세로부터 서서히 횡전도 자세가 되도록 자세 변경하면서 후방으로 반송하여 탈곡 장치(6)에 공급하는 종반송 장치(13) 등을 구비하고 있다. 종반송 장치(13)의 상방측은 방진 커버(14)에 의해 덮여 있다.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탈곡 장치(6)는, 공급된 예취 곡간의 밑동측을 탈곡 피드 체인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하면서, 이삭 끝측을 탈곡실에서 타작 처리하여 탈곡 처리를 행한다. 탈곡 처리된 후의 처리물이 하방의 선별부에서 곡립과 짚 부스러기 등으로 선별된다. 곡립은, 도시하지 않은 1번물 반송 스크루에 의해 탈곡 장치(6)의 우횡측 외측으로 반출된 후, 양곡 컨베이어(15)에 의해 리프팅되어 곡립 탱크(7)의 내부에 반송된다. 곡립 탱크(7)는, 탈곡 장치(6)로부터 보내져 오는 곡립을 저류한다. 그 후, 곡립 탱크(7)에 저류된 곡립은, 곡립 배출 장치(9)에 의해 외부로 반출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7)의 저부에는 저부 스크루(16)가 마련되어 있다. 저부 스크루(16)는, 전후 방향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여 저류되는 곡립을 기체 후방부측을 향하여 반송한다.
[곡립 배출 장치]
이어서, 곡립 배출 장치(9)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배출 장치(9)에는, 저부 스크루(16)로부터 반출되는 곡립을 받아들여, 그 곡립을 상방을 향하여 반송하는 세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9A)와, 그 세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9A)의 상단부로 이어지는 기단부로부터 선단부의 배출구(9B)까지 곡립을 횡방향을 향하여 반송하는 가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9C)가 구비되어 있다.
세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9A)는, 원통상의 세로 이송 케이스(17) 내에 종축 중심 주위에서 회전 구동되는 반송 스크루(18)가 구비되고, 세로 이송 케이스(17)의 하부에는, 저부 스크루(16)의 단부와 반송 스크루(18)의 하단부를 연동 연결하는 베벨 기어 기구(19)를 내장하는 전동 케이스(20)가 구비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20)는, 곡립 탱크(7)의 후방 벽부(7a)에 플랜지 연결되어 있고, 전동 케이스(20)와 세로 이송 케이스(17)가 종축 중심 주위에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20)의 저부가 기체 프레임(21)을 구성하는 각통상의 주 프레임(41)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적재 지지부(22)에서 받아내어 지지되며, 또한 전동 케이스(20)의 하부에 마련된 종방향의 지지축부(23)가, 적재 지지부(22)에 형성된 걸림 결합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들어가 걸림 결합되고, 전동 케이스(20)는 지지축부(23)를 지지점으로 하여 종축 중심(Y)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9A)의 좌횡측 개소에, 기체 프레임(21)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상태로 종프레임(24)이 구비되어 있다. 종프레임(24)의 상하 중간 위치와 상단부의 2개소에 지지 브래킷(25)이 구비되고, 지지 브래킷(25)이 세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9A)의 외주부에 미끄럼 이동 회동 가능한 상태로 권회되어 있다. 가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9C)는 세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9A)에 대하여 횡방향 축심(X) 주위에서 승강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곡립 배출 장치(9) 전체가, 도시하지 않은 전동식 구동 기구에 의해 세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9A)의 종방향 회전 축심(Y) 주위에서 회동 구동 가능함과 함께, 유압 실린더(26)의 조작에 의해 가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9C)가 횡방향 축심(X) 주위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E)으로부터의 동력이, 구동 풀리(27)를 통하여 횡방향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는 입력축(28)에 전달되고, 입력축(28)으로부터 베벨 기어 기구(29)를 통하여 전후 방향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는 저부 스크루(16)의 전단부에 전달된다. 저부 스크루(16)의 후단부로부터 베벨 기어 기구(19)를 통하여 곡립 배출 장치(9)에 동력이 전달된다. 입력축(28)의 도중부에는, 맞물림식 전동 온오프 기구(30)가 마련되고, 이 전동 온오프 기구(30)는, 구동 풀리(27)측의 구동축(31)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구동측의 맞물림부(32)와, 베벨 기어 기구(29)측의 종동축(33)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종동측의 맞물림부(34)가 맞물리는 전동 온 상태와, 각 맞물림부(32, 34)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전동 오프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곡립 탱크(7)의 외측으로의 자세 변경에 수반하여 맞물림이 해제되고, 내측으로의 자세 변경에 수반하여 맞물림 상태로 자동 복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동측의 맞물림부(32)는, 코일 스프링(35)에 의해 종동축(33)측으로 이동 가압되고, 최대 돌출 위치에서 받침 규제되어 있다.
[곡립 탱크]
곡립 탱크(7)는, 후방부의 종방향 축심(Y1) 주위에서 회동하여, 기체 전방부측이 탈곡 장치(6)로부터 이격하여 기체 외측으로 돌출되는 개방 상태와, 탈곡 장치(6)측에 근접하도록 기체 내측으로 후퇴하는 저류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곡립 탱크(7)를 저류 상태에서 기체 프레임(21)에 대하여 위치 고정 가능한 로크 기구(36)가 구비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7)의 후방 벽부(7a)의 상부에, 세로 이송 케이스(17)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 브래킷(37)이 구비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37)은, 띠판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세로 이송 케이스(17)의 외주부를 따라 권회되고, 좌우 양측 단부가 곡립 탱크(7)의 후방 벽부(7a)의 상부 후방측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세로 이송 케이스(17)는 지지 브래킷(37)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곡립 탱크(7)의 후방 벽부(7a)의 하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동 케이스(20)가 연결되어 있고, 전동 케이스(20)는 지지축부(23)에 의해 종축 중심(Y) 주위에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21)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곡립 탱크(7)는, 세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9A)의 회전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양곡 컨베이어(15)의 상부에 위치하는 곡립 배출부(15a)는, 곡립 탱크(7)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곡립 탱크(7)가 개방 상태로 전환되면 분리되고, 저류 상태로 전환되면 자동적으로 접속된다.
도 4,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7)의 전방 벽부(7b)에, 정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의 판상체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38)가 설치되어 있다. 저류 상태로 전환될 때, 지지 부재(38)의 하단부에 마련된 적재부(39)가, 기체 프레임(21)을 구성하는 탱크 수용부(40)의 상면측과 각통상의 주 프레임(41)의 상면측에 맞닿고, 곡립 탱크(7)의 전단측의 하중이, 탱크 수용부(40) 및 주 프레임(41) 즉, 기체 프레임(21)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 부재(38)의 안측은 경사 가이드(42)의 가이드면을 미끄럼 이동하여 주 프레임(41)의 상면에 이른다.
곡립 탱크(7)가 개방 상태로 전환되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온오프 기구(30)에 있어서의 구동측의 맞물림부(32)와, 종동측의 맞물림부(34)가 이격하여 동력 전달이 끊어진다. 곡립 탱크(7)가 저류 상태로 전환되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온오프 기구(30)에 있어서의 구동측의 맞물림부(32)와, 종동측의 맞물림부(34)가 자동적으로 맞물림 상태가 되고, 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된다.
곡립 탱크(7)의 우측 벽부(7c)의 하부에는, 곡립 탱크(7)의 하부의 기체 외측을 덮는 커버 부재로서의 외장 커버(43)가, 곡립 탱크(7)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 대략 전역에 걸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외장 커버(43)는, 곡립 탱크(7)의 하부의 기체 외측을 덮는 작용 상태와 기체 외측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장 커버(43)는, 떼어내어짐으로써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즉, 외장 커버(43)의 내면측의 전후 양측에 마련된 종면부(44)에, 곡립 탱크(7)측에 마련된 걸이구(45)에 대하여 상방측으로부터 거는 걸림 오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후의 종면부(44)보다 전후 폭 방향 내측에 가까운 개소에, 탄성 걸림 결합에 의해 로크 가능하며, 또한 손잡이(47)를 당김 조작함으로써 로크를 해제 가능한 주지 구조의 로크 도구(48)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 오목부(46)의 걸이구(45)에 대한 걸림 결합과 로크 도구(48)의 로크에 의해, 외장 커버(43)는 작용 상태에서 위치 보유 유지 가능하다. 로크 도구(48)의 로크를 해제하면, 용이하게 외측으로 떼어낼 수 있다.
이어서, 로크 기구(36)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기구(36)는, 곡립 탱크(7)의 전방부의 우측 하단부를 기체 프레임(21)에 대하여 위치 고정 상태에서 로크한다. 로크 기구(36)는 지지 부재(38)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38)에는, 베벨 기어 기구(29)를 내장하는 기어 케이스(49)와,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보유 지지 기구(50)의 보유 지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구(51)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보유 지지 기구(50)는, 곡립 탱크(7)의 전방부 상부측 개소를 탈곡 장치(6)의 우측벽(6A)에 걸어 위치 보유 지지하는 것이다. 곡립 탱크(7)가 저류 상태로 전환되면, 탈곡 장치(6)의 우측벽(6A)에 마련된 걸이구(52)에 곡립 탱크(7)측에 마련된 훅 부재(53)가 자동적으로 걸려 위치 보유 지지 상태로 전환된다. 훅 부재(53)는 스프링(54)에 의해 걸림 결합 방향으로 회동 가압되어 있고, 조작구(51)를 조작함으로써 걸림을 해제할 수 있다.
도 4,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기구(36)에는, 곡립 탱크(7)에 종방향 축심(Y2)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또한 축심 방향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 부재로서의 로크 핀(55)과, 로크 핀(55)을 조작하기 위한 수동 조작부(56)와, 로크 핀(55)을 하방을 향하여 이동 가압하는 가압 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57)과, 기체 프레임(21)에 마련되어 로크 핀(55)이 끼워 맞춤 가능한 걸림 결합 구멍(58)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핀(55)이 상부 위치에 있으면, 걸림 결합 구멍(58)에 끼워 맞춤되지 않는 로크 해제 상태가 되고, 로크 핀(55)이 하부 위치로 슬라이드하여 걸림 결합 구멍(58)에 끼워 맞춤됨으로써, 곡립 탱크(7)를 위치 고정하는 로크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동 조작부(56)는, 막대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로크 핀(55)을 대략 L자형으로 구부려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일체 형성된 것이며, 수동으로 로크 핀(55)을 상하로 슬라이드 조작할 수 있다.
설명을 더하면, 도 4, 5,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핀(55)은, 지지 부재(38)의 상하 2개소에 마련된 핀 가이드(59) 및 적재부(39)에 형성된 안내 구멍(60)에 의해, 종방향 자세를 유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크 핀(55)은 외부 끼움 장착된 코일 스프링(57)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 가압되어 있다. 곡립 탱크(7)가 저류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로크 핀(55)의 하방에 위치하는 개소에 있어서, 로크 핀(55)이 끼워 맞춤되는 걸림 결합 구멍(58)이 기체 프레임(21)(탱크 수용부(40))에 형성되어 있다.
로크 기구(36)에는, 수동 조작부(56)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 안내하는 경로 안내부(62)가 구비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로 안내부(62)는, 소정의 경로로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안내 경로(L1)와, 제1 안내 경로(L1)의 일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안내 경로(L2)와, 제2 안내 경로(L2)의 하단부로부터 제1 안내 경로(L1)와는 반대측의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안내 경로(L3)를 갖고 있다. 그리고, 경로 안내부(62)에는, 제1 안내 경로(L1)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횡방향 안내체(63)와, 제1 안내 경로(L1)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횡방향 안내체(64)와, 제2 안내 경로(L2)의 제1 안내 경로(L1)와는 반대측에 위치하여 제2 안내 경로(L2)를 따라 마련되는 종방향 안내체(65)가 구비되고, 상측 횡방향 안내체(63)와 종방향 안내체(65)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 부재(38)의 우측 단부의 하부에 있어서, 수동 조작부(56)의 이동 조작 영역에 대응하는 개소에, 하측 횡방향 안내체(64)로서의 직사각형 판상의 하측 안내 부재(66)와, 막대상 부재를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상으로 꺽어 구부려서 일체 형성된 상측 안내 부재(67)가 일체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상측 안내 부재(67)의 횡방향 연장 설치부에 의해 상측 횡방향 안내체(63)가 구성되고, 상측 안내 부재(67)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연장 설치부에 의해 종방향 안내체(65)가 구성되어 있다.
종방향 안내체(65)는, 그 하단이 하측 안내 부재(66)의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종방향 안내체(65)보다 하방측에 있어서 제3 안내 경로(L3)가 형성되어 있다. 종방향 안내체(65)의 하단은, 걸림 결합 구멍(58)에 대한 최대 끼워 맞춤 상태에 있을 때의 로크 핀(55)의 상단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수동 조작부(56)가 제3 안내 경로(L3)에 위치해 있을 때에는, 로크 핀(55)은 최대 끼워 맞춤 상태 근처까지 걸림 결합 구멍(58)에 끼워 넣어져 있으므로, 확실한 로크 상태로 되어 있다.
수동 조작부(56)가 제1 안내 경로(L1)에 위치해 있으면 로크 해제 상태가 유지되고, 수동 조작부(56)가 제2 안내 경로(L2)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 로크 핀(55)이 걸림 결합 구멍(58)에 서로 꼭 맞아 걸림 결합하여 로크 상태로 전환되고, 수동 조작부(56)가 제3 안내 경로(L3)에 위치해 있으면 로크 상태가 유지된다. 수동 조작부(56)는, 기체 우횡측 외측으로부터 수동 조작이 행해지기 쉽도록,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 설치되어 있다.
곡립 탱크(7)를 저류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전환할 때에는, 수동 조작부(56)를 기체 우횡측 외측으로부터 조작하여, 제3 안내 경로(L3)로부터 제2 안내 경로(L2)를 따라 상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한다. 제2 안내 경로(L2)의 상단부까지 상승하면, 수동 조작부(56)를 제1 안내 경로(L1)를 따라 수평 방향을 따라 전방부측으로 회동 조작시켜, 하측 안내 부재(66)의 상부 에지에 받침 지지시킨다(도 6 참조). 로크 핀(55)은 코일 스프링(57)에 의해 하방 가압되어 있으므로, 가압력에 의해 하측 안내 부재(66)의 상부 에지에 가압되고, 마찰력에 의해 위치가 보유 지지된다. 수동 조작부(56)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미리 외장 커버(43)를 떼어내어 둘 필요가 있다. 로크 상태로 전환된 후에, 로크 핀(55)의 하방 돌출부에 베타 핀에 의해 빠짐 방지되도록 하면 된다.
곡립 탱크(7)를 개방 상태로부터 저류 상태로 전환할 때에는, 곡립 탱크(7)를 저류 상태에 이를 때까지 회동시켜, 수동 조작부(56)를 제1 안내 경로(L1)를 따라 수평 방향을 따라 후방부측으로 회동 조작시킨 후, 제2 안내 경로(L2)를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한다. 수동 조작부(56)가 제2 안내 경로(L2)의 하단부까지 이동하면, 수동 조작부(56)를 제3 안내 경로(L3)를 따라 제1 안내 경로(L1)와 반대 방향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동시켜 그 상태를 유지한다(도 5 참조). 수동 조작부(56)가 제2 안내 경로(L2)의 하단부까지 이동하면, 로크 핀(55)은 걸림 결합 구멍(58)에 확실하게 끼워 맞춤되는 상태로 되며, 로크 상태로 전환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동 조작부(56)는, 제1 안내 경로(L1)에 위치해 있을 때에는, 작용 상태에 있는 외장 커버(43)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곡립 탱크(7)를 개방 상태로부터 저류 상태로 전환하였을 때, 로크 기구(36)의 로크 조작을 잊어, 외장 커버(43)를 설치하려고 해도, 설치할 수 없으므로, 조작자는 로크 기구(36)의 조작을 잊을 우려는 적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막대상 부재를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상으로 꺽어 구부려서 일체 형성된 상측 안내 부재(67)가 구비되고, 상측 안내 부재(67)의 횡방향 연장 설치부에 의해 상측 횡방향 안내체(63)가 구성되고, 상측 안내 부재(67)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연장 설치부에 의해 종방향 안내체(65)가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이 구성 대신에,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횡방향 안내체(63)와 종방향 안내체(65)가 각각 별도로 마련된 안내 부재(70, 71)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막대상의 부재 대신에,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상 부재(72)에 계단상으로 형성된 긴 삽입 관통 구멍(73)을 형성하여, 삽입 관통 구멍(73)의 내측 에지에 의해, 상측 횡방향 안내체(63), 하측 횡방향 안내체(64), 종방향 안내체(65)를 구성해도 된다. 요컨대,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부재(38)에 있어서의 수동 조작부(56)의 이동 조작 영역에 대응하는 개소에, 하측 횡방향 안내체(64)로서의 직사각형 판상의 하측 안내 부재(66)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하측 안내 부재(66) 대신에, 지지 부재(38)를 하측 횡방향 안내체(64)로서 이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설명을 더하면, 지지 부재(38)는, 정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의 판상체이지만,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38)의 우측 단부는 평면으로 보아 대략 L자상으로 굴곡 형성되고, 폭이 좁은 전후 방향 판부(3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후 방향 판부(38a) 중 수동 조작부(56)의 이동 조작 영역에 대응하는 개소에, 수동 조작부(56)가 인입 가능한 절결(80)이 형성되어 있다. 수동 조작부(56)가 절결(80)의 하측의 내측 에지(81)에 올라 타서 걸리면, 수동 조작부(56)가 제1 안내 경로(L1)에 위치하여 로크 해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절결(80)의 하측의 내측 에지(81)에 의해 하측 횡방향 안내체(64)가 구성되어 있다.
막대상 부재를 꺽어 구부려 일체 형성된 상측 안내 부재(67)가, 지지 부재(38)에 있어서의 절결(80)의 상방측 개소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측 안내 부재(67)는, 후방 하방측을 향하여 대략 U자상으로 연장되는 연결부(82)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82)는, 전후 방향 판부(38a)의 절결(80)의 하방측 개소까지 연장되어, 전후 방향 판부(38a)의 절결(80)의 하방측 개소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 부재(38)에 있어서의 절결(80)의 상방측 개소와 하방측 개소가, 상측 안내 부재(67)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절결(80)이 형성됨에 따른 지지 부재(38)의 지지 강도의 저하를 방지하고 있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동 조작부(56)가 로크 상태로 전환되고, 제3 안내 경로(L3)에 이른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57)의 하방 가압력에 의해 로크 상태가 유지되므로, 제3 안내 경로(L3)의 상방이 개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기체의 진동이나 외물과의 간섭 등에 기인하여 수동 조작부(56)(로크 핀(55))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래서,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동 조작부(56)가 제3 안내 경로(L3)에 위치해 있을 때 수동 조작부(56)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83)가, 제3 안내 경로(L3)의 상방에 구비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규제 부재(83)는, 상측 안내 부재(67)에 있어서의 종방향 안내체(65)를 구성하는 종방향 연장 설치부의 하단부로부터 좌측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후방측으로 꺽어 구부러져, 지지 부재(38)에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 대신에, 규제 부재(83)가, 지지 부재(38)에 연결되는 것에 한하지 않고, 탱크 수용부(40)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규제 부재(83)가,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하측 횡방향 안내체(64)로서의 직사각형 판상의 하측 안내 부재(66)와, 막대상 부재를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상으로 꺽어 구부려서 일체 형성된 상측 안내 부재(67)가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상태로 구비하는 구성에 추가하여, 상측 안내 부재(67)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 설치되는 상태로 규제 부재(83)가 마련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동 조작부(56)가 제1 안내 경로(L1)에 위치해 있을 때, 작용 상태에 있는 외장 커버(43)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마련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러한 구성 대신에, 외장 커버(43)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동 조작부(56)와 로크 핀(55)(축 부재)이 막대상 부재로 일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수동 조작부(56)와 축 부재를 별체로 구성하여, 움직임을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를 통하여 로크 조작을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 부재로서의 외장 커버(43)가 떼어내기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이 구성 대신에, 커버 부재가, 예를 들어 기체에 요동 가능하게 피봇되어 요동 조작에 의해 작용 상태와 개방 상태로 전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콤바인으로서 자탈형 콤바인에 적용한 것을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예취 곡간의 전체 곡간을 탈곡 장치에 투입하는 보통형 콤바인에 적용해도 된다.
본 발명은 예취 곡간을 탈곡하여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가, 기체 외측으로 돌출되는 개방 상태와 기체 내측으로 후퇴하는 저류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에 적용할 수 있다.
7: 곡립 탱크
21: 기체 프레임
36: 로크 기구
43: 커버 부재(외장 커버)
55: 축 부재(로크 핀)
56: 수동 조작부
58: 걸림 결합 구멍
62: 경로 안내부
63: 상측 횡방향 안내체
64: 하측 횡방향 안내체
65: 종방향 안내체
83: 규제 부재
L1: 제1 안내 경로
L2: 제2 안내 경로
L3: 제3 안내 경로
Y1: 종방향 축심

Claims (10)

  1. 기체 프레임에 적재 지지됨과 함께, 종방향 축심 주위에서 요동하여, 기체 외측으로 돌출되는 개방 상태와 기체 내측으로 후퇴하는 저류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한 곡립 탱크와,
    상기 곡립 탱크를 상기 저류 상태에서 위치 고정 가능한 로크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로크 기구에, 상기 곡립 탱크에 종방향 축심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또한 축심 방향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를 조작하기 위한 수동 조작부와, 상기 수동 조작부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 안내하는 경로 안내부와, 상기 기체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축 부재가 끼워 맞춤 가능한 걸림 결합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축 부재가 상부 위치에 있으면 상기 걸림 결합 구멍에 끼워 맞춤되지 않는 로크 해제 상태가 되고, 상기 축 부재가 하부 위치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걸림 결합 구멍에 끼워 맞춤됨으로써, 상기 곡립 탱크를 위치 고정하는 로크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경로 안내부는, 상기 소정의 경로로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안내 경로와, 상기 제1 안내 경로의 일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안내 경로와, 상기 제2 안내 경로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 안내 경로와는 반대측의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안내 경로를 갖고,
    상기 수동 조작부가 상기 제1 안내 경로에 위치해 있으면 상기 로크 해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수동 조작부가 상기 제2 안내 경로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로크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수동 조작부가 상기 제3 안내 경로에 위치해 있으면 상기 로크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경로 안내부에, 상기 제1 안내 경로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횡방향 안내체와, 상기 제1 안내 경로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횡방향 안내체와, 상기 제2 안내 경로의 상기 제1 안내 경로와는 반대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안내 경로를 따라 마련되는 종방향 안내체가 구비되고,
    상기 종방향 안내체는, 그 하단이 상기 하측 횡방향 안내체의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종방향 안내체보다 하방측에 있어서 상기 제3 안내 경로가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안내체의 하단은, 상기 걸림 결합 구멍에 대한 최대 끼워 맞춤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축 부재의 상단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콤바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횡방향 안내체와 상기 종방향 안내체가 일체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
  4. 기체 프레임에 적재 지지됨과 함께, 종방향 축심 주위에서 요동하여, 기체 외측으로 돌출되는 개방 상태와 기체 내측으로 후퇴하는 저류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한 곡립 탱크와,
    상기 곡립 탱크를 상기 저류 상태에서 위치 고정 가능한 로크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로크 기구에, 상기 곡립 탱크에 종방향 축심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또한 축심 방향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를 조작하기 위한 수동 조작부와, 상기 수동 조작부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 안내하는 경로 안내부와, 상기 기체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축 부재가 끼워 맞춤 가능한 걸림 결합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축 부재가 상부 위치에 있으면 상기 걸림 결합 구멍에 끼워 맞춤되지 않는 로크 해제 상태가 되고, 상기 축 부재가 하부 위치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걸림 결합 구멍에 끼워 맞춤됨으로써, 상기 곡립 탱크를 위치 고정하는 로크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경로 안내부는, 상기 소정의 경로로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안내 경로와, 상기 제1 안내 경로의 일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안내 경로와, 상기 제2 안내 경로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 안내 경로와는 반대측의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안내 경로를 갖고,
    상기 수동 조작부가 상기 제1 안내 경로에 위치해 있으면 상기 로크 해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수동 조작부가 상기 제2 안내 경로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로크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수동 조작부가 상기 제3 안내 경로에 위치해 있으면 상기 로크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로크 기구의 기체 외측을 덮는 작용 상태와 상기 로크 기구의 기체 외측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한 커버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수동 조작부는, 상기 제1 안내 경로에 위치해 있을 때에는, 상기 작용 상태에 있는 상기 커버 부재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콤바인.
  5. 기체 프레임에 적재 지지됨과 함께, 종방향 축심 주위에서 요동하여, 기체 외측으로 돌출되는 개방 상태와 기체 내측으로 후퇴하는 저류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한 곡립 탱크와,
    상기 곡립 탱크를 상기 저류 상태에서 위치 고정 가능한 로크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로크 기구에, 상기 곡립 탱크에 종방향 축심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또한 축심 방향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를 조작하기 위한 수동 조작부와, 상기 수동 조작부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 안내하는 경로 안내부와, 상기 기체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축 부재가 끼워 맞춤 가능한 걸림 결합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축 부재가 상부 위치에 있으면 상기 걸림 결합 구멍에 끼워 맞춤되지 않는 로크 해제 상태가 되고, 상기 축 부재가 하부 위치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걸림 결합 구멍에 끼워 맞춤됨으로써, 상기 곡립 탱크를 위치 고정하는 로크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경로 안내부는, 상기 소정의 경로로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안내 경로와, 상기 제1 안내 경로의 일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안내 경로와, 상기 제2 안내 경로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 안내 경로와는 반대측의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안내 경로를 갖고,
    상기 수동 조작부가 상기 제1 안내 경로에 위치해 있으면 상기 로크 해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수동 조작부가 상기 제2 안내 경로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로크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수동 조작부가 상기 제3 안내 경로에 위치해 있으면 상기 로크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수동 조작부가 상기 제3 안내 경로에 위치해 있을 때 상기 수동 조작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가, 상기 제3 안내 경로의 상방에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50597A 2017-12-13 2018-11-29 콤바인 KR102652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38526 2017-12-13
JPJP-P-2017-238526 2017-12-13
JPJP-P-2018-112797 2018-06-13
JP2018112797A JP7001545B2 (ja) 2017-12-13 2018-06-13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855A KR20190070855A (ko) 2019-06-21
KR102652663B1 true KR102652663B1 (ko) 2024-04-01

Family

ID=66959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597A KR102652663B1 (ko) 2017-12-13 2018-11-29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52663B1 (ko)
CN (1) CN109906754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2086A (ja) 2003-08-05 2005-03-03 Seirei Ind Co Ltd コンバインの刈取り入力装置
JP4088228B2 (ja) 2003-09-29 2008-05-21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1234653A (ja) * 2010-05-07 2011-11-24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カバー取り付け構造
JP2015008651A (ja) 2013-06-27 2015-01-19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1457B2 (ja) * 1994-09-20 2002-04-02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縦積み式商品収納ラック
KR101039670B1 (ko) * 2004-11-19 2011-06-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쿨링팬의 취부구조
WO2009081939A1 (ja) * 2007-12-25 2009-07-02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車両ドアの支持装置及び車両ドア装置
US8359719B2 (en) * 2009-01-16 2013-01-29 Ricardo Jang Snap ring having multiple rollers
KR101408991B1 (ko) * 2011-12-06 2014-06-17 김형곤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WO2014064848A1 (ja) * 2012-10-26 2014-05-01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スライドレール機構及び車両用シート
JP5990602B2 (ja) * 2015-01-19 2016-09-1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927212B2 (en) * 2015-12-14 2018-03-27 Matthew J. Ota Telescopable multi-function knif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2086A (ja) 2003-08-05 2005-03-03 Seirei Ind Co Ltd コンバインの刈取り入力装置
JP4088228B2 (ja) 2003-09-29 2008-05-21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1234653A (ja) * 2010-05-07 2011-11-24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カバー取り付け構造
JP2015008651A (ja) 2013-06-27 2015-01-19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자물쇠(관용기술) 그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855A (ko) 2019-06-21
CN109906754A (zh) 2019-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6940B1 (ko) 콤바인
KR102652663B1 (ko) 콤바인
JP7001545B2 (ja) コンバイン
JP2012210195A (ja) コンバイン
KR20200081233A (ko) 수확기
JP7030630B2 (ja) コンバイン
JP6731886B2 (ja) 収穫機
JP6721541B2 (ja) コンバイン
JP2007202460A (ja) 根菜収穫機
JP2007202460A5 (ko)
KR102593807B1 (ko) 콤바인
JP6721540B2 (ja) コンバイン
KR102379926B1 (ko) 콤바인
JP2012210196A (ja) コンバイン
KR102524801B1 (ko) 콤바인
JP6999539B2 (ja) 収穫機
JP2006020543A (ja) コンバイン
JP5060449B2 (ja) コンバイン
JP6707620B1 (ja) 収穫機
KR20220091332A (ko) 콤바인
JP6749285B2 (ja) コンバイン
JP2015065919A (ja) コンバインの操縦席
KR20200001508A (ko) 콤바인
JP4725703B2 (ja) コンバイン
JP4391899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