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801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801B1
KR102524801B1 KR1020180063328A KR20180063328A KR102524801B1 KR 102524801 B1 KR102524801 B1 KR 102524801B1 KR 1020180063328 A KR1020180063328 A KR 1020180063328A KR 20180063328 A KR20180063328 A KR 20180063328A KR 102524801 B1 KR102524801 B1 KR 102524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veying
barrel
cutt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3325A (ko
Inventor
류지 우메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12040A external-priority patent/JP67215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12043A external-priority patent/JP674928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80133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0Arrangements of straw crushers or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7/00Straw conveyors for threshing machines or baling presses
    • A01F17/02Mechanical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배고 프레임이 상승한 상태에서, 배고 절단 장치가 작업 위치와 비작업 위치에 걸쳐 요동될 때에, 배고 절단 장치가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와 간섭하여, 배고 절단 장치의 요동이 저해되는 사태를 회피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배고 프레임이 상승한 상태에서, 전환판을 절단 위치와 비절단 위치로 전환할 때에, 전환판이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와 간섭하여, 전환판의 전환이 저해되는 사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해결 수단] 콤바인에, 배고 반송 장치(12)를 평면으로 보아 배고 반송 장치(12)의 반송 종단측일수록 기체 좌우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상태에서 지지함과 함께 기체 좌우 방향의 일방측에서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Y2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한 배고 프레임(55)이 구비되어 있다. 배고 프레임(55)의 상승 각도 β는, 배고 프레임(55)이 상승한 상태에서, 배고 절단 장치가 작업 위치와 비작업 위치에 걸쳐 요동될 때에, 배고 절단 장치가 배고 반송 장치(12)의 반송 종단측 부위와 간섭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배고 절단 장치(28)는, 투입구(30a)를 개방하는 절단 위치와 투입구(30a)를 폐쇄하는 비절단 위치로 전환 가능한 전환판(31)을 갖고 있다. 전환판(31)에, 배고 프레임(55)이 상승한 상태에서 전환판(31)을 절단 위치와 비절단 위치로 전환할 때에 배고 반송 장치(12)의 반송 종단측 부위와 간섭하지 않도록, 노치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31a)를 덮는 덮개 부재(124)가 구비되어 있다. 덮개 부재(124)는, 배고 반송 장치(12)의 반송 종단측 부위가 노치부(31a)에 인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피드 체인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고를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고 반송 장치와,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하방에 설치됨과 함께 배고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된 배고를 절단 처리하는 배고 절단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이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는,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문헌에서는 「탈곡 피드 체인 〔38〕」)과, 피드 체인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문헌에서는 「탈곡 장치 〔17〕」)와,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고를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고 반송 장치(문헌에서는 「배고 반송 장치 〔23〕」)와,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하방에 설치됨과 함께 배고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된 배고를 절단 처리하는 배고 절단 장치(문헌에서는 「후처리 장치 〔22〕」)가 구비되어 있다. 배고 절단 장치는, 좌우 일단부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문헌에서는 「Y축」) 주위에 있어서,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하방에 위치하는 작업 위치와,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하방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비작업 위치에 걸쳐 요동 가능하다. 또한, 배고 절단 장치는, 배고를 절단하는 커터(문헌에서는 「배고 커터 〔21〕」)와, 커터의 상방에 위치함과 함께 배고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투입구를 개방하는 절단 위치와 투입구를 폐쇄하는 비절단 위치로 전환 가능한 전환판(문헌에서는 「전환판 〔61〕」)을 갖고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배고 반송 장치(문헌에서는 「배고 반송 장치 〔15〕」)를 평면으로 보아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일수록 기체 좌우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상태에서 지지함과 함께 기체 좌우 방향의 일방측에서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문헌에서는 「회동축 〔45〕」)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한 배고 프레임(문헌에서는 「밑동측 지지 프레임 〔31〕」)이 구비된 콤바인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9539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50339호 공보
여기서, 배고 프레임이 상방으로 요동되는 것에 수반하여,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위치가 내려가 버리게 된다. 그리고, 배고 프레임이 상승한 상태에서, 배고 절단 장치가 작업 위치와 비작업 위치에 걸쳐 요동되면, 배고 절단 장치가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와 간섭하여, 배고 절단 장치의 요동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또한, 배고 프레임이 상승한 상태에서, 전환판을 절단 위치와 비절단 위치로 전환하려고 하면, 전환판이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와 간섭하여, 전환판의 전환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배고 프레임이 상승한 상태에서, 배고 절단 장치가 작업 위치와 비작업 위치에 걸쳐 요동될 때에, 배고 절단 장치가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와 간섭하여, 배고 절단 장치의 요동이 저해되는 사태를 회피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배고 프레임이 상승한 상태에서, 전환판을 절단 위치와 비절단 위치로 전환할 때에, 전환판이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와 간섭하여, 전환판의 전환이 저해되는 사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상기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고를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고 반송 장치와,
상기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하방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배고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된 배고를 절단 처리하는 배고 절단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배고 절단 장치는, 좌우 일단부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에 있어서, 상기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하방에 위치하는 작업 위치와, 상기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하방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비작업 위치에 걸쳐 요동 가능하고,
상기 배고 반송 장치를 평면으로 보아 상기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일수록 기체 좌우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상태에서 지지함과 함께 기체 좌우 방향의 상기 일방측에서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한 배고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배고 프레임의 상승 각도는, 상기 배고 프레임이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배고 절단 장치가 상기 작업 위치와 상기 비작업 위치에 걸쳐 요동될 때에, 상기 배고 절단 장치가 상기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와 간섭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데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고 프레임이 설정된 상승 각도를 초과하여 상승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배고 프레임이 상승한 상태에서, 배고 절단 장치가 작업 위치와 비작업 위치에 걸쳐 요동될 때에, 배고 절단 장치가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와 간섭하여, 배고 절단 장치의 요동이 저해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고 프레임은, 상기 상승 각도에 대응하는 위치보다도 상승측의 위치까지 상승 가능하면 적합하다.
배고 프레임을 상승 각도에 대응하는 위치보다도 상승측의 위치까지 상승시켜도, 배고 반송 장치를 배고 절단 장치가 작업 위치와 비작업 위치에 걸쳐 요동시키지 않으면, 배고 절단 장치가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와 간섭한다는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고 프레임을 상승 각도에 대응하는 위치보다도 상승측의 위치까지 상승시킴으로써, 배고 반송 장치의 메인터넌스를 행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급동을 지지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한 급동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배고 프레임이 상기 상승 각도에 대응하는 위치보다도 상승측의 위치까지 상승될 때의 상승 각도는, 상기 급동 프레임의 상승 한계 각도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통상, 급동에 막힌 곡간을 제거하는 경우는, 급동을 어느 정도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킬 필요가 있는 한편, 배고 반송 장치에 막힌 배고를 제거하는 경우는, 급동만큼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킬 필요성은 낮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고 프레임의 상승 각도를 배고 반송 장치의 특성을 근거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급동을 지지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한 급동 프레임과,
상기 배고 프레임과 상기 급동 프레임을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배고 프레임과 상기 급동 프레임이 상기 연결 기구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배고 프레임과 상기 급동 프레임을 일체적으로 상승 가능하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고 프레임과 급동 프레임을 연결 기구에 의해 연결하고, 배고 프레임과 급동 프레임을 일체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배고 프레임과 급동 프레임을 따로따로 상승시키는 번거로움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고 프레임을 상승한 상태에서 위치 유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고 프레임을 상승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위치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상기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고를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고 반송 장치와,
상기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하방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배고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된 배고를 절단 처리하는 배고 절단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배고 반송 장치를 평면으로 보아 상기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일수록 기체 좌우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상태에서 지지함과 함께 기체 좌우 방향의 상기 일방측에서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한 배고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배고 절단 장치는, 배고를 절단하는 커터와, 상기 커터의 상방에 위치함과 함께 배고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는 절단 위치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비절단 위치로 전환 가능한 전환판을 갖고,
상기 전환판에, 상기 배고 프레임이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전환판을 상기 절단 위치와 상기 비절단 위치로 전환할 때에 상기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와 간섭하지 않도록, 노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치부를 덮는 덮개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가 상기 노치부에 인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데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고 프레임이 상승한 상태에서, 전환판을 절단 위치와 비절단 위치로 전환할 때에, 덮개 부재가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노치부로의 인입을 허용하게 된다. 이에 의해, 배고 프레임이 상승한 상태에서, 전환판을 절단 위치와 비절단 위치로 전환할 때에, 전환판이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와 간섭하여, 전환판을 전환할 수 없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노치부가 덮개 부재에 덮여 있기 때문에, 배고 절단 장치 내부의 진애가 노치부로부터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이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가 덮개 부재에 접촉하면, 덮개 부재가 탄성 변형되어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노치부로의 인입을 허용하게 된다. 그 후,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가 덮개 부재로부터 이격되면, 덮개 부재가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즉,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덮개 부재를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에 의해 구성하는 것만으로, 노치부를 덮개 부재에 의해 덮이면서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노치부로의 인입을 허용하는 구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에, 상기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가 인입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가 슬릿을 통하여 노치부에 인입하게 된다. 이에 의해,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를 노치부에 용이하게 인입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전환판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가 덮개 부재에 접촉하면, 덮개 부재가 요동하여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노치부로의 인입을 허용하게 된다. 그 후,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가 덮개 부재로부터 이격되면, 덮개 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즉, 덮개 부재가 전환판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기만 해도, 노치부를 덮개 부재에 의해 덮이면서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노치부로의 인입을 허용하는 구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를 상기 노치부를 덮는 위치에 위치 유지하는 스프링재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가 덮개 부재로부터 이격되면, 덮개 부재가 스프링재의 스프링력에 의해 노치부를 덮는 위치로 복귀되어 위치 유지되게 된다. 이에 의해, 덮개 부재가 요동해도, 덮개 부재를 노치부를 덮는 위치로 확실하게 위치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4는 급동 프레임을 하강시킨 상태의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5는 급동 프레임을 상승시킨 상태의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6은 탈곡 장치의 후방부 및 배고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급동 프레임 및 배고 프레임을 하강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후방부 및 배고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8은 급동 프레임 및 배고 프레임을 하강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9는 배고 프레임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급동 프레임을 상승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0은 배고 프레임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의 배고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1은 배고 프레임을 상승시킨 상태의 배고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2는 배고 프레임의 기단측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배고 프레임의 기단측의 구조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급동 프레임, 배고 프레임 및 후방부 프레임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의 제1 외측 로크 기구 및 제2 외측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16은 걸림 결합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제1 외측 로크 기구 및 제2 외측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17은 걸림 결합 해제 상태의 제3 외측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18은 걸림 결합 해제 상태의 제3 외측 로크 기구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9는 배고 프레임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급동 프레임을 상승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후방부 및 배고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0은 급동 프레임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배고 프레임을 상승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후방부 및 배고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1은 전환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덮개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배고 프레임을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24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전환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덮개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덮개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는,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고 있다. 본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1)과, 기체 프레임(1)을 지지하는 주행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우측에는, 운전 캐빈(3)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은,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부(4)와, 운전부(4)를 덮는 캐빈(5)을 구비하고 있다. 운전부(4)의 하방에는, 엔진(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의 전방에는, 포장의 작물을 수확하는 수확부(6)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의 후방에는,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 탱크(7)가 설치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7)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8)가 설치되어 있다. 기체의 좌측부에는,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9)이 설치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7)의 좌측 옆에는, 탈곡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10)는, 피드 체인(9)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11)에 의해 탈곡 처리한다. 탈곡 장치(10)의 후방측에는, 배고 반송 장치(12)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 배고 반송 장치(12)는, 피드 체인(9)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고를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한다.
〔수확부〕
수확부(6)는, 복수조식 사양(예를 들어, 6조식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확부(6)는, 복수(예를 들어, 7개)의 분초구(13)와, 복수(예를 들어, 6개)의 세우기 장치(14)와, 절단 장치(15)와, 반송 장치(16)를 구비하고 있다. 분초구(13)는 포장의 작물을 분초한다. 세우기 장치(14)는, 분초된 작물을 세운다. 절단 장치(15)는, 세워진 작물을 절단한다. 반송 장치(16)는, 예취된 작물을 탈곡 장치(10)를 향하여 후방으로 반송한다.
〔탈곡 장치 등〕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의 상부에는, 급실(17)이 형성되어 있다. 급실(17)에는, 급동(11)이 설치되어 있다. 급동(11)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심 Y1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급동(11)의 하방에는, 받침망(18)이 설치되어 있다. 급실(17)의 후방에는, 진애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진 팬(19)이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10)의 하부에는, 선별 대상물을 기체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체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20), 요동 선별 장치(20)에 선별풍을 송풍하는 풍구(21), 1번물의 곡립(단립화 곡립 등)을 회수하는 1번 회수부(22), 2번물의 곡립(지경 부착 곡립 등)을 회수하는 2번 회수부(23) 등이 설치되어 있다.
1번 회수부(22)에는, 1번물의 곡립을 우측 방향으로 반송하는 1번 스크루(24)가 설치되어 있다. 1번 스크루(24)의 우측 단부에는, 1번물의 곡립을 곡립 저류 탱크(7)에 양곡 반송하는 양곡 장치(25)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
2번 회수부(23)에는, 2번물의 곡립을 우측 방향으로 반송하는 2번 스크루(26)가 설치되어 있다. 2번 스크루(26)의 우측 단부에는, 2번물의 곡립을 요동 선별 장치(20)로 환원하는 2번 환원 장치(27)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
배고 반송 장치(12)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하방에는, 배고 반송 장치(12)에 의해 반송된 배고를 절단 처리하는 배고 절단 장치(28)가 설치되어 있다. 배고 절단 장치(28)는, 우단부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Z1 주위에 있어서, 배고 반송 장치(12)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하방에 위치하는 작업 위치와, 배고 반송 장치(12)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하방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비작업 위치에 걸쳐 요동 가능하다(도 2 참조). 배고 절단 장치(28)는 배고를 절단하는 커터(29)와, 커터(29)를 덮는 커버(30)와, 전환판(31)을 구비하고 있다. 커버(30) 중 커터(29)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배고가 투입되는 투입구(30a)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30)에 있어서의 좌측벽과 우측벽에 걸쳐,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프레임(32)이 설치되어 있다.
전환판(31)은, 투입구(30a)를 개방하는 절단 위치와 투입구(30a)를 폐쇄하는 비절단 위치로 전환 가능하다. 전환판(31)은,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로 상승측의 절단 위치와 하강측의 비절단 위치에 걸쳐 요동 개폐 가능하다. 전환판(31)은, 지지축(33)을 통하여 커버(30)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환판(31)이 개방된 상태(절단 위치의 상태)에서, 배고 반송 장치(12)에 의해 반송된 배고가, 투입구(30a)에 투입되어, 커터(29)에 의해 절단된다. 전환판(31)이 폐쇄된 상태(비절단 위치의 상태)에서, 배고 반송 장치(12)에 의해 반송된 배고가, 전환판(31)의 상면을 타고 지면에 낙하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실(17)에 있어서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각각 벽부(34)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측의 벽부(34)는 급실(17)의 전방 벽부를 구성하고 있다. 후방측의 벽부(34)는, 급실(17)의 후방벽부를 구성하고 있다. 벽부(34)는, 가동벽(35)과, 고정벽(36)을 구비하고 있다. 가동벽(35)에는, 급동(11)이 급동축(11a)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벽(35)과 고정벽(36)에 걸쳐,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암(37)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벽(35)은, 연결 암(37)을 통하여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Y2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고정벽(36)에 지지되어 있다. 전방측의 고정벽(36)과 후방측의 고정벽(36)에 걸쳐, 상기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는 전동축(38)이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10)의 우측부는, 우측벽(3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우측벽(39)은, 기체 후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우측벽(39)은, 경사부(39a)를 구비하고 있다. 경사부(39a)는, 후방측의 벽부(34)보다도 후방측에 있어서, 후방측일수록 우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탈곡 장치(10)의 좌우 양측부에는, 각각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향 프레임(40L·40R)이 설치되어 있다. 좌측의 전후향 프레임(40L)은, 급동(11)의 후단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좌측의 전후향 프레임(40L)은, 단면 형상이 대략 정사각 형상인 각파이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우측의 전후향 프레임(40R)은, 급동(11)의 후단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우측의 전후향 프레임(40R)은, 전방측의 고정벽(36), 후방측의 고정벽(36) 및 우측벽(39)을 지지하고 있다. 우측의 전후향 프레임(40R)은,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가로로 긴 대략 직사각형)인 각파이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후방부 프레임〕
탈곡 장치(10)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측부(좌측부)에 있어서의 기체 후측상부에는, 후방부 프레임(41)이 설치되어 있다. 후방부 프레임(41)은, 측면에서 보아, 탈곡 장치(10)의 후방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방부 프레임(41)은, 환파이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급동 커버〕
급동(11)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급동 커버(42)가 설치되어 있다. 급동 커버(42)는, 급동(11)의 후단보다도 후방측에 있어서, 배고 반송 장치(12)의 후방부의 상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급동 커버(42)의 우측 옆에는, 우측 상부 커버(43)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 상부 커버(43)는, 급동(11)의 후단보다도 후방측에 있어서, 배고 반송 장치(12)의 후방부의 상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우측 상부 커버(43)는,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우측의 전후향 프레임(40R)에 지지되어 있다.
〔급동 프레임〕
급동 커버(42)는, 급동 프레임(44)에 지지되어 있다. 급동 프레임(44)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동축(38)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다. 급동 프레임(44)은, 전동축(38)을 통하여 요동 축심 Y2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전방측의 벽부(34) 및 후방측의 벽부(34)에 지지되어 있다. 급동 프레임(44)은, 전후 1쌍의 가동벽(35)과, 좌측의 전후향 프레임(40L)을 구비하고 있다. 좌측의 전후향 프레임(40L)은, 급동 프레임(44) 중 기체 좌우 방향으로 기체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급동 프레임(44)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유압 실린더(45)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45)는, 후방측의 가동벽(35)과 후방측의 고정벽(36)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45)는, 예를 들어 복동식의 유압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단, 유압 실린더(45)가 단동식의 유압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급동 로크 기구〕
급동 프레임(44)과 함께 급동(11)이 유압 실린더(45)에 의해 상방으로 요동 가능하다. 급동(11)을, 탈곡 처리를 행하는 탈곡 처리 위치에 위치 유지하는 급동 로크 기구(46)가 설치되어 있다. 급동 로크 기구(46)는, 전후 1쌍의 훅 플레이트(47)와, 전후 1쌍의 급동 훅 핀(48)을 구비하고 있다. 전방측의 벽부(34) 및 후방측의 벽부(34)의 각각에, 훅 플레이트(47)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Y3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훅 플레이트(47)의 선단부에는, 급동 훅 핀(48)에 걸림 결합 가능한 훅부(47a)가 설치되어 있다. 훅부(47a)가 급동 훅 핀(48)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급동(11)이 탈곡 처리 위치에 위치 유지된다. 급동 훅 핀(48)에 대한 훅부(47a)의 걸림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급동 프레임(44)과 함께 급동(11)이 유압 실린더(45)에 의해 상방으로 요동한다. 전후 1쌍의 훅 플레이트(47)를 요동 구동하는 모터 M이, 후방측의 벽부(34)의 후방면에 지지되어 있다. 모터 M에 의해, 전후 1쌍의 훅 플레이트(47)가 걸림 결합측 및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요동된다.
〔배고 반송 장치〕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고 반송 장치(12)는, 평면으로 보아 배고 반송 장치(12)의 반송 종단측일수록 기체 좌우 방향의 일방측(우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배고 반송 장치(12)는, 배고의 밑동측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밑동 반송 장치(49)와, 배고의 이삭끝측을 걸림 반송하는 이삭끝 반송 장치(50)를 구비하고 있다. 밑동 반송 장치(49)는, 돌기(51a) 부착된 배고 체인(51)과, 배고 레일(52)을 구비하고 있다. 배고 레일(52)은, 배고 체인(51)의 하방에 있어서, 배고 체인(51)의 하측 경로에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밑동 반송 장치(49)의 반송 종단부에는, 배고 체인(51)을 안내하는 1쌍의 가이드판(53)이 설치되어 있다. 이삭끝 반송 장치(50)는 갈고리(54a)가 부착된 배고 이삭끝 체인(54)을 구비하고 있다.
배고 반송 장치(12)는, 배고 프레임(55)에 지지되어 있다. 배고 반송 장치(12)는, 배고 프레임(55)으로부터 제거 가능하다. 배고 반송 장치(12)는, 전방 스테이(56) 및 후방 스테이(57)를 통하여 배고 프레임(55)에 현수 지지되어 있다. 배고 반송 장치(12)는 전방 스테이(56)에 제거 가능하게 볼트 고정되어 있다. 배고 반송 장치(12)는, 후방 스테이(57)에 제거 가능하게 볼트 고정되어 있다.
배고 반송 장치(12)의 배고 반송 공간 S가, 후방측의 벽부(34)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배고 반송 공간 S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배고 프레임(55)을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고 반송 공간 S는, 평면으로 보아, 배고 반송 공간 S의 전후 중도부(경사부(39a)의 전단에 대응하는 개소)에서 반송 방향 하류측일수록 우측에 위치하도록 확대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축(38)과 배고 반송 장치(12)의 입력축(도시 생략)에 걸쳐, 전동축(38)의 동력을 배고 반송 장치(12)의 상기 입력축으로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58)가 설치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58)는, 구동 풀리(59)와, 종동 풀리(60)와, 전동 벨트(61)와, 텐션 암(62)과, 요동측 텐션 풀리(63)와, 고정측 텐션 풀리(64)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풀리(59)는, 전동축(38) 중 후방측의 고정벽(36)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종동 풀리(60)는 배고 반송 장치(12)의 상기 입력축에 설치되어 있다. 전동 벨트(61)는, 구동 풀리(59) 및 종동 풀리(60)에 감겨 있다.
텐션 암(62)은, 전동축(38)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텐션 암(62)의 선단부에는, 요동측 텐션 풀리(63)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요동측 텐션 풀리(63)는, 전동 벨트(61)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전동 벨트(61) 중 상측 경로 부분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요동측 텐션 풀리(63)는, 전동 벨트(61) 중 고정측 텐션 풀리(64)와 구동 풀리(59)에 걸치는 부분에 작용하고 있다. 텐션 암(62)에는, 텐션 스프링(65)이 설치되는 설치부(66)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측 텐션 풀리(64)는, 전동 벨트(61)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전동 벨트(61) 중 상측 경로 부분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고정측 텐션 풀리(64)는, 전동 벨트(61) 중 구동 풀리(59)와 종동 풀리(60) 사이에 있어서의 구동 풀리(59)측 근방의 부분에 작용하고 있다. 고정측 텐션 풀리(64)는, 지지판(67)을 통하여 배고 프레임(55)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판(67)은 배고 프레임(55)의 전방 에지부(전방 프레임(72))로부터 현수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고정측 텐션 풀리(64)를 지지하는 지지축(68)이 지지판(67)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텐션 스프링(65)은, 텐션 암(62)을 요동 축심 Y2 주위로 텐션 부여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가압하고 있다. 텐션 스프링(65) 중 설치부(66)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로드(69)에 설치되어 있다. 로드(69)는 스테이(70)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테이(70)는 지지판(67)에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70)에 대한 로드(69)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텐션 스프링(65)의 가압력이 변화한다.
〔배고 프레임〕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고 프레임(55)은, 전방 스테이(56) 및 후방 스테이(57)를 통하여, 배고 반송 장치(12)에 있어서의 전방부 및 후방부를 지지하고 있다. 배고 프레임(55)은,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고 프레임(55)은, 기단 프레임(71)과, 전방 프레임(72)과, 후방 프레임(73)과, 자유단 프레임(74)을 구비하고 있다. 1개의 환파이프가 절곡되어, 전방 프레임(72), 후방 프레임(73) 및 자유단 프레임(74)이 형성되어 있다. 배고 반송 장치(12)의 전방부가, 전방 스테이(56)를 통하여 자유단 프레임(74)에 지지되어 있다. 배고 반송 장치(12)의 후방부가, 후방 스테이(57)를 통하여 후방 프레임(73) 중 기단측의 부분에 지지되어 있다. 전방 프레임(72)의 긴 변 방향 대략 중앙부와 후방 프레임(73)의 긴 변 방향 대략 중앙부에 걸쳐,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75)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75)은, 단면 형상이 대략 L자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배고 프레임(55)은, 배고 반송 장치(12)가 배고의 반송을 행하는 하강 위치와 배고 반송 장치(12)가 배고의 반송을 행하지 않는 상승 위치에 걸쳐, 요동 축심 Y2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다. 배고 프레임(55)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76)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다. 배고 프레임(55)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가스 댐퍼(77)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 댐퍼(77)는 배고 프레임(55)(전방 프레임(72))과 하부 스테이(78)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전방 프레임(72)에는, 가스 댐퍼(77)가 연결되는 상부 스테이(79)가 고정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 프레임(71)은, 배고 프레임(55)의 기단측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단 프레임(71)은, 전방부측을 구성하는 전방부측 프레임부(80)와, 후방부측을 구성하는 후방부측 프레임부(81)와, 전방부측 프레임부(80)와 후방부측 프레임부(81)에 걸치는 연결 프레임부(82)를 구비하고 있다. 기단 프레임(71)에 있어서의 전방부측의 부분(전방부측 프레임부(80))이, 스테이(83)를 통하여 지지축(76)에 지지되어 있다.
기단 프레임(71) 중 연결 프레임부(82)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하방으로 가라앉는 단차부(71a)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부(82)는, 하방으로 개구되는 홈형판(84)과, 연결판(85)을 구비하고 있다. 홈형판(84)은, 전방부측 프레임부(80)의 하면과 후방부측 프레임부(81)의 하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홈형판(84)의 내부에는, 홈형판(84)에 있어서의 좌측벽과 우측벽에 걸쳐,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판(85)이 설치되어 있다.
전방 프레임(72)은, 기단 프레임(71)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있음과 함께 기체 좌우 방향으로 지지축(76)측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후방 프레임(73)은, 기단 프레임(71)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음과 함께 기체 좌우 방향으로 지지축(76)측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자유단 프레임(74)은, 배고 프레임(55)의 자유단측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자유단 프레임(74)은, 전방 프레임(72)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 및 후방 프레임(73)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자유단 프레임(74)은, 배고 프레임(55)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좌측의 전후향 프레임(40L)의 우측 옆에 위치하며, 또한 좌측의 전후향 프레임(40L)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지지축(76)은, 전동축(38)과는 다른 축이며, 또한, 전동축(38)을 지지하는 우측의 전후향 프레임(40R)에 지지되어 있다. 전동축(38)과 지지축(76)은, 동일한 축심(요동 축심 Y2) 위에 배치되어 있다. 즉, 배고 프레임(55)의 요동 축심 Y2와 급동 프레임(44)의 요동 축심 Y2는, 동일한 요동 축심이다. 지지축(76)은, 배고 반송 공간 S의 전후 중도부(경사부(39a)의 전단에 대응하는 개소)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의 전후향 프레임(40R)은, 지지축(76)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지지축(76)은, 하부 스테이(78) 및 스테이(86)를 통하여 브래킷(87)에 지지되어 있다. 브래킷(87)은, 우측의 전후향 프레임(40R)의 하면에 현수 설치되어 있다. 하부 스테이(78)는, 브래킷(87)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86)는, 브래킷(87)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배고 프레임(55)의 후방부에는, 배고 프레임(55)을 승강 조작하는 핸들(88)이 설치되어 있다. 핸들(88)은, 배고 프레임(55)의 기단측으로부터 기체 좌우 방향으로 기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스토퍼〕
배고 프레임(55)을 상승한 상태에서 위치 유지하는 스토퍼(89)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89)는, 스테이(90)에 요동 가능하며 또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토퍼(89)의 기단부에는, 스토퍼(89)가 스테이(9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빠짐 방지 도구(91)가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90)는, 자유단 프레임(74)의 후방부에 고정되어 있다. 자유단 프레임(74)의 전방부에는, 스토퍼(89)를 수납 위치로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92)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부 프레임(41)에는, 스토퍼(89)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구멍(41a)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 로크 기구〕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고 프레임(55)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고 프레임(55)의 기단측 부위(기단 프레임(71))를, 우측의 전후향 프레임(40R)에 위치 유지하는 내측 로크 기구(93)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로크 기구(93)는, 내측 훅(94)과, 내측 훅 핀(95)을 구비하고 있다.
배고 프레임(55)이 하강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데 추종하여, 내측 훅(94)이 내측 훅 핀(95)에 걸림 결합한다(도 10 참조). 그리고, 배고 프레임(55)이 상승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데 추종하여, 내측 훅 핀(95)에 대한 내측 훅(94)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도 11 참조).
〔제1 외측 로크 기구〕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동 프레임(44)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좌측의 전후향 프레임(40L)을 후방부 프레임(41)에 위치 유지하는 제1 외측 로크 기구(96)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외측 로크 기구(96)는 제1 외측 훅(97)과, 제1 외측 훅 핀(98)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외측 훅(97)은, 기초부(97a)와, 훅부(97b)를 구비하고 있다. 훅부(97b)는, 기초부(97a)에 볼트(99)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1 외측 훅 핀(98)은, 후방부 프레임(41)의 좌측 옆에 있어서, 후방부 프레임(41)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외측 훅 핀(98)은, 제1 스테이(100) 및 제2 스테이(101)를 통하여, 후방부 프레임(41)에 지지되어 있다.
〔제2 외측 로크 기구〕
배고 프레임(55)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고 프레임(55)의 자유단측 부위를 좌측의 전후향 프레임(40L)에 위치 유지하는 제2 외측 로크 기구(102)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외측 로크 기구(102)는, 급동 프레임(44)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좌측의 전후향 프레임(40L)을 배고 프레임(55)의 자유단측 부위에 위치 유지한다. 제2 외측 로크 기구(102)는, 배고 프레임(55)의 자유단측 부위 중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외측 로크 기구(102)는, 제2 외측 훅(103)과, 제2 외측 훅 핀(104)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외측 훅(103)은, 기초부(103a)와, 훅부(103b)를 구비하고 있다. 훅부(103b)는, 기초부(103a)에 볼트(105)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배고 프레임(55) 중 자유단 프레임(74)과 전방 프레임(72)의 코너부에 있어서의 하면에는, 평판 형상의 설치부(106)가 설치되어 있다. 설치부(106)에는, 스테이(107)가 볼트 고정되어 있다. 제2 외측 훅 핀(104)은, 자유단 프레임(74)의 좌측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스테이(107)에 지지되어 있다.
좌측의 전후향 프레임(40L)의 하면에는, 제2 외측 훅 핀(104)을 수용하는 전후 1쌍의 수용 부재(108)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외측 훅 핀(104)의 전단부가 전방측의 수용 부재(108)에 수용되며, 또한, 제2 외측 훅 핀(104)의 후단부가 후방측의 수용 부재(108)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2 외측 훅(103)이 제2 외측 훅 핀(104)의 전후 중앙부에 걸림 결합한다.
〔링크 기구〕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동 로크 기구(46)(후방측의 훅 플레이트(47))와, 제1 외측 로크 기구(96)(제1 외측 훅(97)) 및 제2 외측 로크 기구(102)(제2 외측 훅(103))를 연동 연결하는 링크 기구(109)가 설치되어 있다. 링크 기구(109)는, 제1 링크 암(110)과, 제2 링크 암(111)과, 링크 로드(11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링크 암(110)은, 후방측의 훅 플레이트(47)의 기단부에 상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링크 암(110)과 제2 링크 암(111)은, 상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링크 로드(112)는, 전방 스테이(113) 및 후방 스테이(114)를 통하여, 좌측의 전후향 프레임(40L)에 지지되어 있다. 링크 로드(112)는, 전방 스테이(113) 및 후방 스테이(11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링크 로드(112)의 전단부에는, 제2 링크 암(111)이 상대 요동 불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링크 로드(112)의 전방부에는, 제2 외측 훅(103)이 상대 요동 불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링크 로드(112)의 후단부에는, 제1 외측 훅(97)이 상대 요동 불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3 외측 로크 기구〕
도 14,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고 프레임(55)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고 프레임(55)의 자유단측 부위를 후방부 프레임(41)에 위치 유지하는 제3 외측 로크 기구(115)가 설치되어 있다. 제3 외측 로크 기구(115)는, 배고 프레임(55)의 자유단측 부위 중 후방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3 외측 로크 기구(115)는, 제3 외측 훅(116)과, 제3 외측 훅 핀(117)과, 스테이(118)와, 레버(119)와, 스프링(120)를 구비하고 있다.
제3 외측 훅(116)은, 제3 외측 훅 핀(117)이 스테이(118) 중 수용부(118a)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3 외측 훅 핀(117)에 걸림 결합한다. 제3 외측 훅(116)은, 후방부 프레임(41)에 대하여 우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스테이(118)를 통하여 후방부 프레임(41)에 지지되어 있다. 제3 외측 훅(116)은, 지지축(121)을 통하여 스테이(118)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3 외측 훅(116)에는, 레버(119)가 연결되어 있다. 레버(119)는, 인위 조작에 의해 제3 외측 훅(116)을 제3 외측 훅 핀(117)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위치와 제3 외측 훅 핀(117)에 걸림 결합하지 않는 비걸림 결합 위치로 전환한다.
제3 외측 로크 기구(115)는, 배고 프레임(55)의 자유단측 부위를 후방부 프레임(41)에 위치 유지한 상태에서, 배고 프레임(55)의 프레임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제3 외측 로크 기구(115)는, 후방부 프레임(41)의 하단보다도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제3 외측 로크 기구(115)가 배고 프레임(55)의 자유단측 부위를 후방부 프레임(41)에 위치 유지한 상태에서, 제3 외측 훅(116) 및 레버(119)가 후방부 프레임(41)의 하단보다도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제3 외측 훅 핀(117)은, 배고 프레임(55)에 설치되어 있다. 제3 외측 훅 핀(117)은, 배고 프레임(55)의 프레임 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스테이(122)를 통하여 자유단 프레임(74)에 지지되어 있다. 제3 외측 훅 핀(117)은, 스테이(122)에 볼트(123)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118)는, 후방부 프레임(41)의 우측 옆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후방부 프레임(41)에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118)에는, 배고 프레임(55)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3 외측 훅 핀(117)을 수용하는 수용부(118a)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120)은, 스테이(118)와 제3 외측 훅(116)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120)은, 제3 외측 훅(116)을 걸림 결합측으로 요동 가압한다.
〔급동 프레임 및 배고 프레임의 승강 동작〕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승강 조작부(도시 생략)에 의해 상승 조작을 행하면, 모터 M에 의해 전후 1쌍의 훅 플레이트(47)가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요동된다. 이에 의해, 급동 훅 핀(48)에 대한 훅 플레이트(47)(훅부(47a))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그리고, 후방측 훅 플레이트(47)의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의 요동이 링크 기구(109)를 통하여 제1 외측 훅(97) 및 제2 외측 훅(103)으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후방측 훅 플레이트(47)의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의 요동에 연동하여, 제1 외측 훅(97) 및 제2 외측 훅(103)이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요동된다. 이렇게 하여, 제1 외측 훅(97) 및 제2 외측 훅(103)이 걸림 결합 해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1 외측 로크 기구(96) 및 제2 외측 로크 기구(102)가 걸림 결합 해제 상태가 되면, 도 9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동 프레임(44)이 유압 실린더(45)의 신장 동작에 의해 상방으로 요동된다. 즉, 배고 프레임(55)이 하강 위치(배고 반송 장치(12)가 배고의 반송을 행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급동 프레임(44)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급동 프레임(44)이 상승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레버(119)를 인위 조작하여 제3 외측 훅(116)을 걸림 결합 위치로부터 비걸림 결합 위치로 전환하면, 도 11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고 프레임(55)이 가스 댐퍼(77)에 의해 상방으로 요동된다. 즉, 급동 프레임(44)이 상승한 상태에서, 배고 프레임(55)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배고 프레임(55)이 상승한 상태에서, 스토퍼(89)를 보유 지지부(92)로부터 분리하여 하방으로 요동시켜, 스토퍼(89)의 선단부를 구멍(41a)에 삽입하면, 스토퍼(89)가 배고 프레임(55)과 후방부 프레임(41) 사이에서 떠받침 막대의 기능을 행하게 된다. 이에 의해, 배고 프레임(55)을 상승한 상태에서 위치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급동 프레임(44) 및 배고 프레임(55)이 상승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승강 조작부에 의해 하강 조작을 행하면, 급동 프레임(44)이 유압 실린더(45)의 축장 동작에 의해 하방으로 요동된다. 그리고, 급동 프레임(44)이 배고 프레임(55)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접촉하는 위치까지 하강하면, 급동 프레임(44)의 하강에 수반하여 배고 프레임(55)이 급동 프레임(44)에 상방으로부터 눌려, 배고 프레임(55)이 급동 프레임(44)과 함께 하강한다. 이에 의해, 배고 프레임(55)을 급동 프레임(44)과 일체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급동 프레임(44) 및 배고 프레임(55)이 상승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핸들(88)를 사용하여 배고 프레임(55)을 밀어 내림으로써, 배고 프레임(55)을 급동 프레임(44)과는 별도로 단독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즉, 급동 프레임(44) 및 배고 프레임(55)이 상승한 상태에서, 배고 프레임(55)을 급동 프레임(44)과 일체적으로 하강시킬지, 배고 프레임(55)을 급동 프레임(44)과는 별도로 단독으로 하강시킬지가 선택 가능하다.
그리고, 배고 프레임(55)의 하강 동작에 수반하여, 제3 외측 훅 핀(117)이 제3 외측 훅(116)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제3 외측 훅(116) 중 경사부(116a)에 접촉하면, 제3 외측 훅(116)이 스프링(12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요동된다. 그리고, 제3 외측 훅 핀(117)이 스테이(118) 중 수용부(118a)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3 외측 훅(116)이 스프링(120)의 가압력에 의해 걸림 결합측으로 요동되어, 제3 외측 훅 핀(117)에 걸림 결합한다. 이렇게 하여, 제3 외측 로크 기구(115)가 걸림 결합 상태가 된다.
그리고, 급동 프레임(44) 및 배고 프레임(55)이 하강한 상태에서, 모터 M에 의해 전후 1쌍의 훅 플레이트(47)가 걸림 결합측으로 요동된다. 이에 의해, 훅 플레이트(47)(훅부(47a))가 급동 훅 핀(48)에 걸림 결합된다. 그리고, 후방측 훅 플레이트(47)의 걸림 결합측으로의 요동이 링크 기구(109)를 통하여 제1 외측 훅(97) 및 제2 외측 훅(103)으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후방측 훅 플레이트(47)의 걸림 결합측으로의 요동에 연동하여, 제1 외측 훅(97) 및 제2 외측 훅(103)이 걸림 결합측으로 요동된다. 이렇게 하여, 제1 외측 훅(97) 및 제2 외측 훅(103)이 걸림 결합 상태가 된다.
여기서, 배고 프레임(55)의 상승 각도 β(도 11 참조)는, 급동 프레임(44)의 상승 각도 α(도 5 참조)보다도 작다. 구체적으로는, 배고 프레임(55)의 상승 각도 β는, 배고 프레임(55)이 상승한 상태에서, 배고 절단 장치(28)가 작업 위치와 비작업 위치에 걸쳐 요동될 때에, 횡프레임(32)이 배고 반송 장치(12)의 반송 종단측 부위(가이드판(53))와 간섭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0에 있어서, 배고 절단 장치(28)가 작업 위치와 비작업 위치에 걸쳐 요동될 때에 있어서의 횡프레임(32)의 상단의 이동 궤적을 T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가이드판(53)의 하단(53a)이 횡프레임(32)의 상단의 이동 궤적 T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배고 프레임(55)이 상승한 상태에서, 배고 절단 장치(28)가 작업 위치와 비작업 위치에 걸쳐 요동될 때에, 횡프레임(32)이 가이드판(53)과 간섭하여, 배고 절단 장치(28)의 요동이 저해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전환판〕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판(31)에는, 배고 프레임(55)이 상승한 상태에서 전환판(31)을 절단 위치와 비절단 위치로 전환할 때에 배고 반송 장치(12)의 반송 종단측 부위(가이드판(53))와 간섭하지 않도록, 노치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31a)는, 전환판(31) 중 우측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31a)는, 지지축(33)과는 반대측에 개구되어 있다.
노치부(31a)를 덮는 덮개 부재(124)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 부재(124)는, 가이드판(53)이 노치부(31a)에 인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덮개 부재(124)의 주연부는, 전환판(31) 중 노치부(31a)의 주연부에 볼트(12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덮개 부재(124)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 부재(124)는, 예를 들어 고무상 탄성체(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124)에는, 가이드판(53)이 인입하는 슬릿(124a)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124a)은, 지지축(33)과 직교하는 방향(전환판(31)의 짧은 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덮개 부재(124) 중 슬릿(124a)측의 양쪽의 에지부는, 슬릿(124a)측일수록 낮아지도록 휘어 있다. 이에 의해, 전환판(31)이 폐쇄된 상태(비절단 위치의 상태)에 있어서, 전환판(31)의 상면에서 미끄러지는 배고가 슬릿(124a)에 걸리기 어렵다.
여기서,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고 프레임(55)이 상방으로 요동되는 것에 수반하여, 가이드판(53)의 위치가 내려가 버리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고 프레임(55)이 상승한 상태에서, 전환판(31)이 절단 위치와 비절단 위치로 전환될 때, 가이드판(53)이 슬릿(124a)을 통하여 노치부(31a)에 인입하게 된다. 그 때, 가이드판(53)이 덮개 부재(124)와 접촉하면, 덮개 부재(124)가 탄성 변형되어 가이드판(53)의 노치부(31a)로의 인입을 허용하게 된다. 그 후, 가이드판(53)이 덮개 부재(124)로부터 이격되면, 덮개 부재(124)가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다른 실시 형태〕
(1) 배고 프레임(55)을 상승 각도 β에 대응하는 위치보다도 상승측의 위치까지 상승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이것에 대하여, 도 2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고 프레임(55)과 지지축(76)에 걸쳐, 암(126)이 설치되어 있다. 암(126)은, 지지축(76)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배고 프레임(55)의 요동 축심 Y2와 암(126)의 요동 축심 Y2와 급동 프레임(44)의 요동 축심 Y2는, 동일한 요동 축심이다.
암(126) 중 배고 프레임(55)측의 단부(선단부)에는, 배고 프레임(55)(전방 프레임(72))이 암(126)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격 가능하게 적재되어 있다. 가스 댐퍼(77) 중 배고 프레임(55)측의 단부(선단부)는, 암(126)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가스 댐퍼(77) 및 암(126)은, 급동(11) 중 동체 부분(11b)의 하단보다도 상측(구체적으로는, 급동축(11a)보다도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배고 프레임(55)이 상승 각도 β에 대응하는 위치(가스 댐퍼(77)의 최대 신장 길이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상승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가 핸들(88)을 사용하여 배고 프레임(55)을 들어 올리면, 배고 프레임(55)이 암(126)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격하여, 배고 프레임(55)이 상승 각도 β에 대응하는 위치보다도 상승측의 위치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배고 프레임(55)이 상승 각도 β에 대응하는 위치보다도 상승측의 위치까지 상승될 때의 상승 각도는, 급동 프레임(44)의 상승 한계 각도(상승 각도 α) 이하(여기서는, 급동 프레임(44)의 상승 한계 각도(상승 각도 α)와 동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배고 프레임(55)이 급동 프레임(44)의 상승 각도 α를 넘어 상승하려고 하면, 배고 프레임(55)이 급동 프레임(44)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접촉되어, 배고 프레임(55)의 상승이 급동 프레임(44)에 의해 저지되게 된다.
또한, 배고 프레임(55)을 상승 각도 β에 대응하는 위치보다도 상승측의 위치까지 상승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배고 프레임(55)과 급동 프레임(44)을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예를 들어, 자유단 프레임(74)과 좌측의 전후향 프레임(40L)을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자유단 프레임(74)과 좌측의 전후향 프레임(40L)이 상기 연결 기구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배고 프레임(55)과 급동 프레임(44)이 유압 실린더(45)에 의해 일체적으로 상승 가능하다.
(2)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덮개 부재(124) 대신,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하는 덮개 부재(224)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덮개 부재(224)는, 1쌍의 힌지(127)를 통하여 전환판(31)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힌지(127)는, 덮개 부재(224)의 이면과 전환판(31)의 이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덮개 부재(224)를 노치부(31a)를 덮는 위치에 위치 유지하는 판 스프링(128)(본 발명에 관한 「스프링재」에 상당)이 설치되어 있다. 판 스프링(128)은, 덮개 부재(224)의 이면과 전환판(31)의 이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전환판(31)의 이측에는, 판 스프링(128)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테이(129)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판(53)이 덮개 부재(224)에 대하여 이측으로부터 접촉하면, 덮개 부재(224)가 1쌍의 힌지(127)를 통하여 요동하여 가이드판(53)의 노치부(31a)로의 인입을 허용하게 된다. 그 후, 가이드판(53)이 덮개 부재(224)로부터 이격되면, 덮개 부재(224)가 판 스프링(128)의 스프링력에 의해 노치부(31a)를 덮는 위치로 복귀되어 위치 유지되게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배고 프레임(55)의 하강 위치는, 배고 반송 장치(12)가 배고의 반송을 행하는 위치이다. 그러나, 배고 프레임(55)의 하강 위치는, 배고 반송 장치(12)가 배고의 반송을 행하는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약간 높은 위치)여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급동 프레임(44) 및 배고 프레임(55)이 상승한 상태에서, 배고 프레임(55)을 급동 프레임(44)과 일체적으로 하강시킬지, 배고 프레임(55)을 급동 프레임(44)과는 별도로 단독으로 하강시킬지가 선택 가능하다. 그러나, 급동 프레임(44) 및 배고 프레임(55)이 상승한 상태에서, 배고 프레임(55)을 급동 프레임(44)과 일체적으로 하강시킬 수밖에 없어도 되고, 혹은, 배고 프레임(55)을 급동 프레임(44)과는 별도로 단독으로 하강시킬 수밖에 없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고 절단 장치(28)는, 우단부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Z1 주위에 있어서, 작업 위치와 비작업 위치에 걸쳐 요동 가능하다. 그러나, 배고 절단 장치(28)는, 좌단부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에 있어서, 작업 위치와 비작업 위치에 걸쳐 요동 가능해도 된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고 프레임(55)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고 프레임(55)의 자유단측 부위를 좌측의 전후향 프레임(40L)에 위치 유지하는 제2 외측 로크 기구(102) 및 배고 프레임(55)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고 프레임(55)의 자유단측 부위를 후방부 프레임(41)에 위치 유지하는 제3 외측 로크 기구(1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2 외측 로크 기구(102) 및 제3 외측 로크 기구(115) 외에도, 배고 프레임(55)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고 프레임(55)의 자유단측 부위를 좌측의 전후향 프레임(40L) 또는 후방부 프레임(41)에 위치 유지하는 로크 기구가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외측 로크 기구(102)가 배고 프레임(55)의 자유단측 부위 중 전방부에 설치되며, 또한, 제3 외측 로크 기구(115)가 배고 프레임(55)의 자유단측 부위 중 후방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2 외측 로크 기구(102) 및 제3 외측 로크 기구(115)를 설치하는 위치는, 상술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외측 로크 기구(102) 또는 제3 외측 로크 기구(115)가 배고 프레임(55)의 자유단측 부위 중 전후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3 외측 로크 기구(115)가 걸림 결합 상태에서 배고 프레임(55)의 프레임 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그 대신에 혹은 이것과 함께, 제2 외측 로크 기구(102)가 걸림 결합 상태에서 배고 프레임(55)의 틀 내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9)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3 외측 로크 기구(115)에 있어서, 제3 외측 훅(116), 스테이(118) 및 레버(119)가 후방부 프레임(41)에 설치되며, 또한, 제3 외측 훅 핀(117)이 배고 프레임(55)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3 외측 로크 기구(115)에 있어서, 제3 외측 훅(116), 스테이(118) 및 레버(119)가 배고 프레임(55)에 설치되며, 또한, 제3 외측 훅 핀(117)이 후방부 프레임(41)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10)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외측 로크 기구(102)에 있어서, 제2 외측 훅(103) 및 전후 1쌍의 수용 부재(108)가 좌측의 전후향 프레임(40L)에 설치되며, 또한, 제2 외측 훅 핀(104)이 배고 프레임(55)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2 외측 로크 기구(102)에 있어서, 제2 외측 훅(103) 및 전후 1쌍의 수용 부재(108)가 배고 프레임(55)에 설치되며, 또한, 제2 외측 훅 핀(104)이 좌측의 전후향 프레임(40L)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1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3 외측 훅(116)이 레버(119)의 인위 조작에 의해 걸림 결합 위치와 비걸림 결합 위치로 전환된다. 그러나, 제3 외측 훅(116)이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모터)에 의해 걸림 결합 위치와 비걸림 결합 위치로 전환되어도 된다.
(1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외측 훅(103)이 모터 M에 의해 걸림 결합 위치와 비걸림 결합 위치로 전환된다. 그러나, 제2 외측 훅(103)이 레버(도시 생략)의 인위 조작에 의해 걸림 결합 위치와 비걸림 결합 위치로 전환되어도 된다.
(1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3 외측 로크 기구(115)가 후방부 프레임(41)의 하단보다도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그 대신에 혹은 이것과 함께, 제2 외측 로크 기구(102)가 좌측의 전후향 프레임(40L)의 하단보다도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는, 제3 외측 로크 기구(115)가 후방부 프레임(41)의 하단보다도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1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측 텐션 풀리(64) 및 요동측 텐션 풀리(63)가 전동 벨트(61) 중 상측 경로 부분에 대하여 접촉하고 있다. 그러나, 고정측 텐션 풀리(64) 및 요동측 텐션 풀리(63)가 전동 벨트(61) 중 하측 경로 부분에 대하여 접촉하고 있어도 된다.
(1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요동측 텐션 풀리(63)가 전동 벨트(61) 중 고정측 텐션 풀리(64)와 구동 풀리(59)에 걸치는 부분에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요동측 텐션 풀리(63)가 전동 벨트(61) 중 고정측 텐션 풀리(64)와 종동 풀리(60)에 걸치는 부분에 작용하고 있어도 된다.
(1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측 텐션 풀리(64)는, 전동 벨트(61) 중 구동 풀리(59)와 종동 풀리(60) 사이에 있어서의 구동 풀리(59)측 근방의 부분에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고정측 텐션 풀리(64)는, 전동 벨트(61) 중 구동 풀리(59)와 종동 풀리(60) 사이에 있어서의 종동 풀리(60)측 근방의 부분에 작용하고 있어도 된다. 또는 고정측 텐션 풀리(64)는, 전동 벨트(61) 중 구동 풀리(59)와 종동 풀리(60) 사이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 작용하고 있어도 된다.
(1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고 프레임(55)의 요동 축심 Y2와 급동 프레임(44)의 요동 축심 Y2가 동일한 요동 축심이다. 그러나, 배고 프레임(55)의 요동 축심과 급동 프레임(44)의 요동 축심이 상이한 요동 축심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콤바인(예를 들어, 자탈형 콤바인)에 이용 가능하다.
9: 피드 체인
10: 탈곡 장치
11: 급동
12: 배고 반송 장치
28: 배고 절단 장치
29: 커터
30a: 투입구
31: 전환판
31a: 노치부
44: 급동 프레임
55: 배고 프레임
89: 스토퍼
124: 덮개 부재
124a: 슬릿
128: 판 스프링(스프링재)
224: 덮개 부재
α: 급동 프레임의 상승 한계 각도
β: 배고 프레임의 상승 각도
Y2: 요동 축심
Z1: 요동 축심

Claims (11)

  1.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상기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고를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고 반송 장치와,
    상기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하방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배고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된 배고를 절단 처리하는 배고 절단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배고 절단 장치는, 좌우 일단부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에 있어서, 상기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하방에 위치하는 작업 위치와, 상기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하방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비작업 위치에 걸쳐 요동 가능하고,
    상기 배고 반송 장치를 평면으로 보아 상기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일수록 기체 좌우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상태에서 지지함과 함께 기체 좌우 방향의 상기 일방측에서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한 배고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배고 프레임의 상승 각도는, 상기 배고 프레임이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배고 절단 장치가 상기 작업 위치와 상기 비작업 위치에 걸쳐 요동될 때에, 상기 배고 절단 장치가 상기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와 간섭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고 프레임은, 상기 상승 각도에 대응하는 위치보다도 상승측의 위치까지 상승 가능한 콤바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동을 지지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한 급동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배고 프레임이 상기 상승 각도에 대응하는 위치보다도 상승측의 위치까지 상승될 때의 상승 각도는, 상기 급동 프레임의 상승 한계 각도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콤바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동을 지지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한 급동 프레임과,
    상기 배고 프레임과 상기 급동 프레임을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배고 프레임과 상기 급동 프레임이 상기 연결 기구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배고 프레임과 상기 급동 프레임을 일체적으로 상승 가능한, 콤바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고 프레임을 상승한 상태에서 위치 유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고 프레임을 상승한 상태에서 위치 유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7.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상기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고를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고 반송 장치와,
    상기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하방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배고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된 배고를 절단 처리하는 배고 절단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배고 반송 장치를 평면으로 보아 상기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일수록 기체 좌우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상태에서 지지함과 함께 기체 좌우 방향의 상기 일방측에서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한 배고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배고 절단 장치는, 배고를 절단하는 커터와, 상기 커터의 상방에 위치함과 함께 배고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는 절단 위치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비절단 위치로 전환 가능한 전환판을 갖고,
    상기 전환판에, 상기 배고 프레임이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전환판을 상기 절단 위치와 상기 비절단 위치로 전환할 때에 상기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와 간섭하지 않도록, 노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치부를 덮는 덮개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가 상기 노치부에 인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콤바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인 콤바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에, 상기 배고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측 부위가 인입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전환판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를 상기 노치부를 덮는 위치에 위치 유지하는 스프링재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KR1020180063328A 2017-06-06 2018-06-01 콤바인 KR102524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12040A JP6721541B2 (ja) 2017-06-06 2017-06-06 コンバイン
JP2017112043A JP6749285B2 (ja) 2017-06-06 2017-06-06 コンバイン
JPJP-P-2017-112043 2017-06-06
JPJP-P-2017-112040 2017-06-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325A KR20180133325A (ko) 2018-12-14
KR102524801B1 true KR102524801B1 (ko) 2023-04-24

Family

ID=64573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328A KR102524801B1 (ko) 2017-06-06 2018-06-01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4801B1 (ko)
CN (1) CN108990512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5395A (ja) 2007-06-01 2008-12-11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968B1 (ko) * 1996-08-09 1999-11-01 미쯔이 고오헤이 콤바인
JP3542112B2 (ja) * 2000-01-07 2004-07-14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4957213B2 (ja) * 2006-11-29 2012-06-20 井関農機株式会社 脱穀装置
CN101884273B (zh) * 2009-05-15 2014-09-10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
JP5724252B2 (ja) 2010-08-31 2015-05-27 井関農機株式会社 脱穀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5395A (ja) 2007-06-01 2008-12-11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990512A (zh) 2018-12-14
CN108990512B (zh) 2022-09-13
KR20180133325A (ko) 2018-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2731B2 (ja) コンバイン
JP7203134B2 (ja) コンバイン
KR102524801B1 (ko) 콤바인
KR20230141677A (ko) 콤바인
JP6693862B2 (ja) コンバイン
JP6611696B2 (ja) コンバイン
JP6721541B2 (ja) コンバイン
JP6922029B2 (ja) コンバイン
JP6833624B2 (ja) コンバイン
JP7176022B2 (ja) コンバイン
KR102593807B1 (ko) 콤바인
JP6749285B2 (ja) コンバイン
KR102557624B1 (ko) 콤바인
JP6721540B2 (ja) コンバイン
JP2020014484A (ja) コンバイン
JP7026733B2 (ja) コンバイン
JP7069250B2 (ja) コンバイン
JP6858651B2 (ja) コンバイン
JP2020146068A5 (ko)
JP6073057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JP6615084B2 (ja) コンバイン
JP2019004787A (ja) 収穫機
JP2020156509A5 (ko)
JP2021065241A5 (ko)
JP2023123834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