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1496A -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1496A
KR20100081496A KR1020090000763A KR20090000763A KR20100081496A KR 20100081496 A KR20100081496 A KR 20100081496A KR 1020090000763 A KR1020090000763 A KR 1020090000763A KR 20090000763 A KR20090000763 A KR 20090000763A KR 20100081496 A KR20100081496 A KR 20100081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oor
closing
closing doo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4446B1 (ko
Inventor
장복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하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하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하마
Priority to KR1020090000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44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1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에 설치되어 자동걔페시스템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개폐도어를 구비한 스크린 도어에 있어서, 일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개폐도어의 프레임면과 결합되는 브라켓이 고정구비된 회전뭉치와, 상기 회전뭉치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삽입된 축으로 구성된 비상용 핸들;과 상기 비상용 핸들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비상용 핸들의 축 선단에 고정적으로 외접되며, 상기 비상용 핸들의 회동에 따라 동일방향으로 같이 회동되는 회동편;과 상기 회동편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된 자동개폐시스템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를 록크 및 언록크 시키는 록크봉과 수직으로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록크봉을 향하여 승.하강운동되는 수직로드 및 상기 수직로드가 흔들림 없이 수직이동 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크린 도어, 핸들, 프레임, 로드, 브라켓

Description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Manual release device opening and closing door of screen door}
본 발명은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동차의 비정상적인 운행 및 그외의 비상사태시에 전동차의 승객들이 승강장으로 탈출하기 위해 승강장에 설치된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철로측에서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차의 승강장에는 승객의 보호를 위한 안전시설물로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린 도어는 승강장과 철로 사이의 공간을 전동차가 도착하기 전 까지 격리하여 승객들을 예상하지 못한 안전 사고로 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전동차가 승강장에 도착을 하면 자동걔폐시스템에서 감지되는 신호로 전동차문의 열림과 동시에 열려 승객들이 승.하차할 수 있게 하고, 승.하차가 완료되면 전동차의 문이 담힘과 동시에 닫혀서 승,하차시에 발생 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승강장에는 전동차가 정차하는 기준선이 있고, 정차 기준선에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가 위치하고 있어서 전동차 운저자가 정지위치를 잘못 선정하는 경우에는 전동차의 도어 위치와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 위치가 일치하지 않게 되며, 일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스크린 도어의 개폐 도어는 열리지 않으므로 하차하려는 승객들이 열리지 않은 스크린 도어와 전동차의 문 사이에 노출되므로 매우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승강장에 설치된 스크린 도어는 자동 개폐시스템으로 동작되므로 인위적인 조작으로 열리지 않아 비상사태의 경우 매우 불편하고, 승객들의 안전이 위협받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승강장에 설치되어 자동걔페시스템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개폐도어를 구비한 스크린 도어에 있어서, 일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개폐도어의 프레임면과 결합되는 브라켓이 고정구비된 회전뭉치와, 상기 회전뭉치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삽입된 축으로 구성된 비상용 핸들;과 상기 비상용 핸들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비상용 핸들의 축 선단에 고정적으로 외접되며, 상기 비상용 핸들의 회동에 따라 동일방향으로 같이 회동되는 회동편;과 상기 회동편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된 자동개폐시스템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를 록크 및 언록크 시키는 록크봉과 수직으로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록크봉을 향하여 승.하강운동되는 수직로드 및 상기 수직로드가 흔들림 없이 수직이동 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에 의하면, 승강장에 설치되어 자동개폐되는 개폐도어의 철로측 프레임에 개폐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수동 개방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예기치 못한 전동차의 비상사태나 상기 개폐도어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위급 상황시에도 철로 쪽에서 용이하게 상기 개폐도어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승객들의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는, 수직로드(30, 도 2참조)를 제외한 모든 구성요소들이 좌우대칭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좌우대칭인 구성요소에 대한 부호가 각 도면에서 복잡하게 보이지 않도록 일측에만 지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를 철로 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2는 프레임에 설치된 본 발명의 장치를 사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자동개폐시스템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서 승강장에 도착한 전동차의 출입문과 연동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개폐도어(10)의 프레임(11)에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로 측과 마주하는 상기 개폐도어(20)의 프레임(11)면에는 철로측에서 전동차의 승객들이 상기 개폐도어(10)에 수동으로 개방력 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개폐도어(10)의 개방방향으로 회동가능한 비상용 핸들(20)이 장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상용 핸들(20)은 일측에는 손잡이(22)가 외접되어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프레임(11)면과 결합되는 브라켓(23)이 고정 구비된 회전뭉치(26)와, 상기 회전뭉치(26)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적으로 외접된 축(21)으로 구성된다.
상기 비상용 핸들(20)이 상기 프레임(11)에 장착되어 회동되는 기술구성은 일반적인 기술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된다.
그리고, 상기 비상용 핸들(20)의 반대방향, 즉, 상기 프레임(11)의 내부에는 상기 비사용 핸들(20)의 회동에 따라 동일방향으로 같이 회동되는 부채꼴 형상의 회동편(25)이 상기 비상용 핸들(20)의 축(21) 선단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편(25)에는 상기 프레임(11)의 상부에 장착된 자동개폐시스템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10)를 록크 및 언록크 시키는 록크봉(5 ,도1참조)과 수직으로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록크봉(5)을 향하여 승.하강운동되는 수직로드(30)의 일단이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회동편(25)과 연결되는 상기 수직로드(30)의 일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편(25)이 삽입될 수 있는 홈(3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록크봉(5)의 밑면을 가압하여 상기 록크봉(5)을 수직으로 상승시키는 가압부재(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로드(30)에는 상기 수직로드(30)가 흔들림 없이 수직이동 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브라켓(33)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33)은 상기 프레임(11)의 내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수직로드(30)를 가이드 한다.
또한, 상기 수직로드(30)의 일단에는 인장 스프링(34)이 구비되는바, 상기 인장 스프링(34)은 상기 수직로드(30)의 일단에 고정구비된 플랜지(35)의 윗면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33)의 하단부 사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록크봉(5)을 향해 수직으로 승.하강되는 상기 수직로드(30)는 상기 인장 스프링(34)에 의해 완충작용을 받게 된다.
참고로, 상기 록크편(5)은 상기 개폐도어(10)의 프레임(11) 상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2)를 걸어놓아 상기 개폐도어(10)를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철로측에서 승객이 도 3에 도시된 개폐도어(10)의 개방방향(A)으로 비상용 핸들(20)의 손잡이(22)를 잡아 당긴다.
상기 손잡이(22)를 당기면 상기 비상용 핸들(20)의 회전뭉치(26)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축(21)이 상기 개폐도어(10)의 개방방향(A)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축(21)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회동편(25)도 상기 개폐도어(10)의 개방방향(A)으로 회전된다.
아울러, 상기 회동편(25)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외접된 상기 수직로드(30)가 수직방향으로 상승되면서 상기 걸림돌기(12)를 걸어놓고 있는 록크봉(5)을 밀어올린다.
상기 수직로드(30)에 의해 상기 록크봉(5)이 밀려 올라가면 상기 개폐도 어(10)의 록크 상태가 해제되며, 승객이 상기 비상용 핸들(20)의 손잡이(22)를 당겨 상기 개폐도어(10)를 개방방향으로 밀면 상기 개폐도어(10)가 양방향으로 개방되어 철로측에서 진입하는 승객들이 수동으로 개방된 스크린 도어(1)의 개폐도어(10)를 통하여 승강장으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위에서 설명되었던 상기 비상용 핸들(20)과 수직로드(30)는 도 1에 도시된 우측 개폐도어(10)의 프레임(11)에 장착된 비상용 핸들(20)과 수직로드(30)가 설명된 것이며, 상기 수직로드(30)는 상기 우측 개폐도어(10)의 프레임(11)에 장착된 비상용 핸들(20)에만 한정되어 장착되지 않고 상기 좌측 개폐도어(10)의 프레임(11)에 장착된 비상용 핸들(20)에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10)의 개방방향으로 회전되었던 상기 비상용 핸들(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뭉치(26)에 외접된 비틀림 스프링(27)에 의하여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이와 같은 구성은 공지된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이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장치가 스크린 도어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핸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장치가 개폐도어의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로드와 가이드 브라켓의 사시도.

Claims (3)

  1. 승강장에 설치되어 자동걔페시스템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개폐도어를 구비한 스크린 도어에 있어서,
    일측에는 손잡이(22)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개폐도어(20)의 프레임(11)면과 결합되는 브라켓(23)이 고정구비된 회전뭉치(26)와, 상기 회전뭉치(26)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삽입된 축(21)으로 구성된 비상용 핸들(20);
    상기 비상용 핸들(20)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비상용 핸들(20)의 축(21) 선단에 고정적으로 외접되며, 상기 비상용 핸들(20)의 회동에 따라 동일방향으로 같이 회동되는 회동편(25);
    상기 회동편(25)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11)의 상부에 장착된 자동개폐시스템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10)를 록크 및 언록크 시키는 록크봉(5)과 수직으로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록크봉(5)을 향하여 승.하강운동되는 수직로드(30); 및
    상기 수직로드(30)가 흔들림 없이 수직이동 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브라켓(33)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편(25)과 연결되는 상기 수직로드(30)의 일단에는 상기 회동편(25) 이 삽입될 수 있는 홈(3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록크봉(5)의 밑면을 가압하여 상기 록크봉(5)을 수직으로 상승시키는 가압부재(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로드(30)의 일단에 고정구비된 플랜지(35)의 윗면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33)의 하단부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3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KR1020090000763A 2009-01-06 2009-01-06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KR101044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763A KR101044446B1 (ko) 2009-01-06 2009-01-06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763A KR101044446B1 (ko) 2009-01-06 2009-01-06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496A true KR20100081496A (ko) 2010-07-15
KR101044446B1 KR101044446B1 (ko) 2011-06-27

Family

ID=4264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763A KR101044446B1 (ko) 2009-01-06 2009-01-06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4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589U (ko) * 2014-11-05 2016-05-13 (주)이건산전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
CN106275042A (zh) * 2016-08-31 2017-01-04 浙江栋马童车股份有限公司 循环自弹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672B1 (ko) * 2017-10-31 2018-06-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0522A (ja) 1999-11-15 2001-05-22 Nippon Signal Co Ltd:The 駅ホームドア、及び駅ホームドアの手動解錠方法
KR100776334B1 (ko) 2006-09-30 2007-11-16 장복규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KR100776335B1 (ko) 2006-09-30 2007-11-16 장복규 스크린 도어의 비상탈출 개폐장치
KR100892876B1 (ko) * 2007-02-10 2009-04-15 장복규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의 비상용 손잡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589U (ko) * 2014-11-05 2016-05-13 (주)이건산전 도어 수동 개폐용 비상 스위치
CN106275042A (zh) * 2016-08-31 2017-01-04 浙江栋马童车股份有限公司 循环自弹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446B1 (ko) 2011-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496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 도어 구조
KR101034590B1 (ko) 캠을 이용한 전기식 도어 잠금 시스템
US11192755B2 (en) Device for actuating a car or shaft door of an elevator system
BRPI0501732B1 (pt) Creation of temporary insurance spaces
KR101798543B1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 구비된 미닫이 도어의 여닫이식 보조비상 도어
KR100984073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록킹장치
KR100776334B1 (ko)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KR101044446B1 (ko)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KR200453296Y1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도어 안전장치
KR100804011B1 (ko) 스크린도어의 비상도어패널
KR101220394B1 (ko) 차량용 도어 록킹 어셈블리
CA2378914C (en) Passenger rail car sliding door with high platform threshold
KR100867153B1 (ko) 스크린도어의 도어개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스크린도어
KR200435056Y1 (ko)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KR101531701B1 (ko)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JP6058754B1 (ja) ドア装置
KR100728455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제어 장치
KR101874470B1 (ko) 가동도어용 캠타입 개폐장치
CN114174143A (zh) 站台屏蔽
CN211871104U (zh) 电梯的轿厢顶棚救出装置
KR200398549Y1 (ko)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KR20110138039A (ko) 전기식 도어 잠금장치 및 그를 포함한 전기식 도어
JP4993269B2 (ja) 車両のドア不正開放防止構造
KR100535008B1 (ko) 이동구속장치를 갖춘 승합 차량의 슬라이딩도어
JPH07252063A (ja) エレベータ乗場戸の解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