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056Y1 -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056Y1
KR200435056Y1 KR2020060027416U KR20060027416U KR200435056Y1 KR 200435056 Y1 KR200435056 Y1 KR 200435056Y1 KR 2020060027416 U KR2020060027416 U KR 2020060027416U KR 20060027416 U KR20060027416 U KR 20060027416U KR 200435056 Y1 KR200435056 Y1 KR 200435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platform
screen do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복규
Original Assignee
장복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복규 filed Critical 장복규
Priority to KR2020060027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0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0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6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sliding perpendicular to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차의 올바르지 못한 정차 및 그외의 비상사태로 인하여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를 철로측에서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로측에 위치한 핸들을 당기면 와이어를 통하여 연결편이 당겨지고, 당겨지는 연결편에 의해 밀봉은 잠금상태로 있는 자동계폐시스템의 록크봉을 밀어내어 스토퍼에서 벗어나게 되어 자동계폐시스템으로 제어되고 있는 상태의 스크린 도어를 수동으로 슬라이딩 개방시킬 수 있어서 위험한 입장에 놓인 사람들을 철로에서 승강장의 안전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된 개폐도어를 닫으면 자동개폐시스템으로 제어되는 록크부에 의해 개폐도어가 다시 록킹상태로 되어 승강장 위치에 있는 승객들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다.
승강장, 철로 , 스크린 도어, 개폐도어, 록크봉, 핸들, 와이어, 밀봉

Description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Manual release device of screen doors}
도 1은 본 고안을 적용한 지하철 승강장에 대한 일부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을 스크린 도어에 적용한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대한 수동개방장치에 대한 설치상태의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괘정금구에 대한 상태도.
도5는 본 고안중에 대한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스크린 도어가 수동으로 열리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승강장 130 : 철로 200 : 스크린 도어
210 : 기둥 230 :록크부 240 : 개폐도어
250 : 스토퍼 260 : 괘정금구 261 : 핸들
263 : 와이어 264 : 래치편 265 : 브라케트
266 : 유동편 267 : 축핀 268 : 연결핀
269 : 밀봉 270 : 코일스프링
본 고안은 전동차가 승강장에 도착하여 승객이 내리고 탈 때 자동으로 개폐되는 스크린 도어의 수동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동차의 문만 열리고, 스크린도어의 개폐도어가 열리지 않을 때, 그리고 철로에서 승강장으로 이동하려는 비상시에 폐쇄된 상태의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차의 승강장에는 승객의 보호를 위한 안전시설물로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린 도어는 승강장과 철로 사이의 공간을 전동차가 도착하기 전 까지 격리하여 승객들을 예상하지 못한 안전 사고로 부터 보호하는 역활을 하고, 전동차가 승강장에 도착을 하면 자동개폐시스템에서 감지되는 신호로 전동차문의 열림과 동시에 열려 승객들이 승,하차할 수 있게 하고, 승,하차가 완료되면 전동차의 문이 닫힘과 동시에 닫혀서 승,하차시에 발생 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였다.
그러나, 승강장에는 전동차가 정차하는 기준선이 있고, 정차 기준선에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가 위치하고 있어서 전동차 운전자가 정지위치를 잘못 설정하는 경우에는 전동차의 도어 위치와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 위치가 일치하지 않게 되며, 일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스크린 도어의 개폐 도어는 열리지 않으므로 하차하려는 승객들이 열리지 않은 스크린 도어와 전동차의 문 사이에 노출되므로 매우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승강장에 설치된 스크린 도어는 자동 개폐시스템으로 동작되므로 인위 적인 조작으로 열리지 않아 비상사태의 경우 매우 불편하고, 안전을 위협받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승강장에 설치된 스크린 도어를 예기치 못한 비상사태 시에는 철로측에서 개폐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여 승객들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승강장에 설치되어 자동계폐시스템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도어를 구비한 스크린 도어와, 상기 개폐도어의 철로측 프레임면에 핸들을 구비하여 설치하는 괘정금구와, 상기 개폐도어의 프레임 상측에서 자동계폐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록크봉에 마주하는 위치에서 록크봉을 향하여 승하강하는 밀봉과, 상기 밀봉이 수직이동하도록 가이드하며 핸들의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치하는 브라케트와, 상기 브라케트에서 지점회전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일단에 상기 핸들과 연결된 와이어를 고정하고, 타단에는 수직이동하는 밀봉을 연결하는 구성과, 상기 밀봉과 브라케트 사이에는 수직승하강 이동시 탄성 복원력을 밀봉에 전달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구성과, 상기 핸들과 와이어 사이에는 괘정금구에서 회전하게 설치하여 일단은 핸들의 누름대에 접촉시키고, 90°방향으로 돌출시킨 타단에는 와이어를 결속하도록 형성한 래치편을 설치하는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충분히 달성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적용한 지하철 승강장에 대한 일부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을 스크린 도어에 적용한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대한 수동개방장치에 대한 설치상태의 확대도이다.
승강장(100)과 철로 사이를 격리시키기 위하여 승강장(100)에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자동계폐시스템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개폐구동부(300)를 천정 위치에 구비한 스크린 도어(260)는 통상적으로 투명소재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 도어(200)에는 전동차가 승강장의 정지위치에서 정지할 때 승객의 승하차를 위하여 스크린 도어(200)를 좌우 슬라이딩되어 개방하는개폐도어(240)를 형성한다.
상기 개폐도어(240)를 형성하는 프레임, 즉 철로측을 향하는 프레임에는 적당한 높이에 수동으로 개방력을 개폐도어(240)에 제공하기 위한 괘정금구(260)를 설치하고, 상기 개폐도어(240)의 프레임 상측에는 자동계폐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록크봉(310)에 마주하는 위치에서 록크봉(310)을 향하여 승하강하는 밀봉(269)과, 상기 밀봉(269)이 수직이동하도록 가이드하며 핸들(261)의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치하는 브라케트(265)를 설치한다.
상기 괘정금구(260) 전면에는 손잡이로 사용되는 핸들(261)이 회전할 수 있게 핀(262)으로 연결하고, 괘정금구(260)의 이면에는 'ㄱ' 형으로 된 회동편(264)을 설치하여 회동편의 일측이 핸들(261)에서 돌출된 누름대(261a)와 접촉되게 ㅎk 하고, 회동편(264)의 타측은 와이어(263)의 끝단을 고정한다.
상기 브라케트(265)에서 수직이동되게 설치한 밀봉(269)에 이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밀봉(269)의 중간에 유동편(266) 선단을 연결핀(268)으로 설치하고, 상기 유동편(266)의 중간을 브라케트(265)의 양측 중간지점을 절곡하여 형성한 지지편(265a)에 유동편(266)을 조립하여 지점회전할 수 있도록 축핀(267)으로 관통 설치한다.
상기 지점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유동편(266)의 후단에는 상기 핸들(261)과 연결된 와이어(263)를 고정한다.
상기 브라케트(265)에서 록크봉(310)을 향하여 수직이동하는 밀봉(269)에는 잠금위치로 항상 복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브라케트(265)와 밀봉(269)사이에 탄성부재(270)를 설치한다. 이때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이 적당하다. 그리고, 개폐도어(240)의 상단에는 잠금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록크봉(310)에 걸리는 스토퍼(250)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스크린 도어의 수동개방장치는 평상시 즉, 전동차가 정상적으로 운행되는 경우에는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240)를 개방시킬 필요가 없으며 승객이 본의 아니게 또는 철로측에서 승강장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이 경우 개폐도어(2400)의 핸들(261)을 잡어 당긴다.
상기 핸들(261)을 당기면 돌출된 누름대(261a)가 접촉된 회동편(264)을 누르게 되고, 상기 누름 동작에 의하여 회동편(264)은 도 4(b)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며, 동시에 와이어(263)가 당겨지고, 당겨지는 와이어(263)는 브라케 트(265)의 지지편(265a)에 설치된 유동편(266)이 도 5처럼 당겨지는 상태를 이룬다. 상기 유동편(266)이 당겨지면 연결핀(268)으로 연결된 밀봉(269)이 슬라이딩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잠금상태로 있는 록크봉(310)을 밀어올리는 상태를 이룬다.
상기의 밀봉(269)에 의해 록크봉(310)이 밀려 올라가면 개폐도어(240)의 록크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므로, 개폐도어(240)를 양쪽으로 힘을 가하면서 밀면 개폐도어(240)는 양방향으로 개방되어 철로측에서 진입하는 승객들은 수동으로 개방된 스크린 도어(200)를 통하여 승강장(100)의 안전한 곳으로 피신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동개방장치는 당기는 핸들(261)을 놓으면 밀봉(269)과 브라케트(265)사이에 설치된 탕성부재 즉, 코일스프링(270)에 의해 밀봉(269)은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되고, 상기 스토퍼(250)는 그 상단이 경사져 있어서 개폐도어(240)의 닫힘동작 시 경사면에 의해서 록크봉(310)을 용이하게 통고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전동차의 비정상 운행시 철로측에서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승객들이 손쉽게 개폐도어(261)를 수동으로 열어 승강장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작용을 이루고, 개폐도어(261)의 괘정금구(260)는 철로측 프레임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승강장(100)측에서는 수동으로 개폐도어(261)를 운전할 수 없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승강장에 설치되어 자동 개폐되는 스크린 도어의 철로측 프레임에 개폐도어의 잠금상태를 필요시 또는 긴급시 인위적으로 해제시킬 수 있는 수동개방장치를 설치함으로 예기치 못한 전동차의 비정상 운행시 발생되는 승객의 철로측 하차 시에 승객들을 안전하게 대피 시키는 이점이 있으며, 개방장치에 대한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발생의 염려가 전혀 없고,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설치작업도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승강장에 설치되어 자동계폐시스템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도어를 구비한 스크린 도어와, 상기 개폐도어의 철로측 프레임면에 핸들을 구비하여 설치하는 괘정금구와, 상기 개폐도어의 프레임 상측에서 자동 계폐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록크봉에 마주하는 위치에서 록크봉을 향하여 승하강하는 밀봉과, 상기 밀봉이 수직이동하도록 가이드하며 핸들의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치하는 브라케트와, 상기 브라케트에서 지점회전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일단에 상기 핸들과 연결된 와이어를 고정하고, 타단에는 수직이동하는 밀봉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과 브라케트 사이에는 수직승하강 이동시 탄성복원력을 밀봉에 전달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과 와이어 사이에는 괘정금구에서 회전하게 설치하여 일단은 핸들의 누름대에 접촉시키고, 90°방향으로 돌출시킨 타단에는 와이어를 결속하도록 형성한 래치편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KR2020060027416U 2006-09-30 2006-09-30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KR2004350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416U KR200435056Y1 (ko) 2006-09-30 2006-09-30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416U KR200435056Y1 (ko) 2006-09-30 2006-09-30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826A Division KR100776334B1 (ko) 2006-09-30 2006-09-30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056Y1 true KR200435056Y1 (ko) 2007-01-04

Family

ID=41563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416U KR200435056Y1 (ko) 2006-09-30 2006-09-30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05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445Y1 (ko) 2011-05-04 2013-02-19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Psd 조립체 모듈의 도어 개폐 장치
CN108146469A (zh) * 2018-01-02 2018-06-12 天津中铁电气化设计研究院有限公司 站台门横向按压式解锁防夹装置
CN109209056A (zh) * 2017-06-30 2019-01-1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滑动门的闭锁机构和具有其的站台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445Y1 (ko) 2011-05-04 2013-02-19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Psd 조립체 모듈의 도어 개폐 장치
CN109209056A (zh) * 2017-06-30 2019-01-1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滑动门的闭锁机构和具有其的站台门
CN108146469A (zh) * 2018-01-02 2018-06-12 天津中铁电气化设计研究院有限公司 站台门横向按压式解锁防夹装置
CN108146469B (zh) * 2018-01-02 2024-01-16 中铁电气化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站台门横向按压式解锁防夹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589B1 (ko) 전기식 도어 잠금장치
KR100776334B1 (ko)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CN102536038B (zh) 玻璃换位系统和方法
KR100984073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록킹장치
KR102554688B1 (ko) 차량용 록
KR101154300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 컨트롤러
KR200435056Y1 (ko)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KR101761160B1 (ko) 좌,우 개폐식 도어의 틈새 차단장치
KR102026109B1 (ko) 엘리베이터의 인터로크 장치
KR100804011B1 (ko) 스크린도어의 비상도어패널
CN105019789B (zh) 轨道交通车辆应急逃生窗户及轨道交通车辆
KR101044446B1 (ko)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AU2005284287A1 (en) Floor lock
KR101871674B1 (ko)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잠금장치
KR101220394B1 (ko) 차량용 도어 록킹 어셈블리
KR100867153B1 (ko) 스크린도어의 도어개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스크린도어
KR101874470B1 (ko) 가동도어용 캠타입 개폐장치
CN102398498A (zh) 可更换式智能窗
KR100892876B1 (ko)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의 비상용 손잡이
KR100776335B1 (ko) 스크린 도어의 비상탈출 개폐장치
KR101315401B1 (ko) 승강기의 개문발차 방지장치
KR20080101101A (ko) 비상시 여닫이형 개폐가 가능한 스크린 도어
KR100804012B1 (ko) 스크린도어의 안전개폐장치
JPH07252063A (ja) エレベータ乗場戸の解錠装置
KR200179585Y1 (ko)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개문 록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