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960B1 - 실내 1단 및 2단 해제를 위한 후드 래치 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1단 및 2단 해제를 위한 후드 래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960B1
KR101382960B1 KR1020120095463A KR20120095463A KR101382960B1 KR 101382960 B1 KR101382960 B1 KR 101382960B1 KR 1020120095463 A KR1020120095463 A KR 1020120095463A KR 20120095463 A KR20120095463 A KR 20120095463A KR 101382960 B1 KR101382960 B1 KR 101382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striker
pawl
locking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790A (ko
Inventor
남경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5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960B1/ko
Publication of KR20140029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4Mounting of lock casings to the vehicle, e.g. to the 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14Hood l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세이프티 레버를 삭제하고 폴 및 스트라이커의 형상을 변경하여 후드 래치 자체에서 2단 잠금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에서 1단 및 2단 조작만으로 후드를 개방시켜 기존의 엔진룸에 손을 집어넣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이프티 레버의 삭제로 설계 공간상의 제약을 개선할 수 있는 실내 1단 및 2단 해제를 위한 후드 래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1단 및 2단 해제를 위한 후드 래치 장치는 후드에 설치되고, 걸림턱을 이용하여 폴에 걸림으로 후드를 잠금 혹은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핀 타입의 후드 스트라이커;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걸림부의 회전과 후드 스트라이커의 축방향 이동으로 후드 스트라이커를 구속할 수 있도록 된 폴(Pawl); 상기 후드 스트라이커와 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후드 스트라이커가 폴로부터 구속해제된 경우에 탄성복원력에 의해 1단 잠금 상태에서 2단 잠금 상태로 후드스트라이커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된 제1스프링;을 포함하여, 실내에서 조작으로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내 1단 및 2단 해제를 위한 후드 래치 장치{Hood latch apparatus for releasing 1 step and 2 step in the room of vehicle}
본 발명은 실내에서 조작만으로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는 실내 1단 및 2단 해제를 위한 후드 래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 자동차는 단순한 이동 수단 혹은 운반 시설로 인식되어 개발되었지만, 소비자 기호에 다각화에 따라 다양한 요구 사항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기술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최근 들어 자동차는 외관과 디자인 위주에서 점차 운전자의 편의 제공을 위한 제어 및 편의장치 개발로 더욱 편리한 자동차, 서비스 지향적인 자동차로 거듭나고 있다.
국내 시장은 물론 세계 시장에서도 경쟁차들을 앞서는 뛰어난 상품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2단 오픈 후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후드는 세이프티 레버에 의해 2단으로 잠기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잠긴 후드를 해제하기 위해 실내에서 릴리즈 레버를 작동하면 케이블 동작에 의해 1단 구속 해제가 되고, 차량 앞에서 손을 엔진룸으로 집어넣어 세이프티 레버를 해제시켜야 개방되도록 하여 후드의 작동에 대한 2단 안전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이는 자동차 안전기준 법규를 만족하기 위함이며, 자동차의 후드에는 견고한 후드걸쇠 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며, 앞 방향으로 개폐되고 후드가 운행 중에 열린 경우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는 구조의 자동차는 2차 잠금 또는 2개소 잠금이 가능한 구조로 규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핀 타입 2단 오픈 후드 래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로서, 상기 핀 타입 2단 오픈 후드 래치 장치는 후드에 설치된 후드 스트라이커와, 베이스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여 1단 잠금기능을 할 수 있도록 된 폴과, 베이스플레이트에 걸리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2단 잠금기능을 할 수 있도록 된 세이프티 레버로 구성된다.
상기 후드 스트라이커는 상부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제1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됨으로써, 후드 스트라이커가 폴로부터 잠금해제되는 경우에 제1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후드 스트라이커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후드 스트라이커는 후드에 부착되어 후드 닫힘 시 폴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후드의 열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이를 위해 후드 스트라이커의 하단에 원뿔 형상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폴은 내측 둘레에 형성된 스톱돌기부를 가지고, 제2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후드 닫힘 시 후드 스트라이커의 걸림턱이 폴의 스톱돌기부를 누르면 폴의 회전하여 후드 스트라이커가 하방향으로 삽입되어 후드 스트라이커의 걸림턱이 스톱돌기부에 걸려 1단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후드 개방 시 실내에서 릴리즈 핸들을 조작하는 경우에 폴이 회전하여 후드 스트라이커의 걸림턱이 스톱돌기부로부터 잠금 해제되면 제1스프링에 탄성복원력에 의해 후드 스트라이커가 상승하여 1단 오픈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세이프티 레버는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3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후드 개방 시 1단 오픈 상태에서 운전자가 실외로 나와 엔진룸에 손을 집어넣고 세이프티 레버를 돌리면 2단 잠금 상태가 완전히 해제된다.
그러나, 상기 메카니즘은 후드 개방을 위해 엔진룸에 손을 집어넣고 세이프티 레버를 돌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세이프티 레버로 인해 설계 공간상의 제약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기존의 세이프티 레버를 삭제하고 폴 및 스트라이커의 형상을 변경하여 후드 래치 자체에서 2단 잠금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에서 1단 및 2단 조작만으로 후드를 개방시켜 기존의 엔진룸에 손을 집어넣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이프티 레버의 삭제로 설계 공간상의 제약을 개선할 수 있는 실내 1단 및 2단 해제를 위한 후드 래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1단 및 2단 해제를 위한 후드 래치 장치는 후드에 설치되고, 걸림턱을 이용하여 폴에 걸림으로 후드를 잠금 혹은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핀 타입의 후드 스트라이커;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걸림부의 회전과 후드 스트라이커의 축방향 이동으로 후드 스트라이커를 구속할 수 있도록 된 폴(Pawl); 상기 후드 스트라이커와 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후드 스트라이커가 폴로부터 구속해제된 경우에 탄성복원력에 의해 1단 잠금 상태에서 2단 잠금 상태로 후드스트라이커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된 제1스프링;을 포함하여, 실내에서 조작으로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드 스트라이커는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폴에 걸릴 수 있도록 된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을 포함하여, 1단 및 2단 잠금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드 스트라이커는 반원의 원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동일한 선상에 형성되어 폴에 걸리는 제1걸림턱 및 제2걸림턱; 상기 제1 및 제2걸림턱에 대하여 서로 마주보며 제1 및 제2걸림턱 사이에 형성되어 폴에 걸리는 중간걸림턱;을 가지며, 상기 후드 스트라이커의 제1 및 제2걸림턱에 의한 1단 잠금 및 2단 잠금 단계 사이에 중간걸림턱에 의한 중간 잠금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은 베이스가이드에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내측 둘레에 곡선형태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제1 및 제2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후드 스트라이커의 걸림턱이 제1걸림부 혹은 제2걸림부에 걸릴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1단 및 2단 해제를 위한 후드 래치 장치의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기존의 세이프티 레버를 삭제하고, 후드 스트라이커에 제1걸림턱과 중간걸림턱을 추가로 구성하여 후드 스트라이커의 형상을 변경하고, 폴에 제2걸림부를 추가로 구성하여 폴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후드 래치 자체에서 2단 잠금 기능을 갖도록 하여 실내에서 2회 조작만으로 후드를 개방할 수 있고, 기존의 후드를 개방하기 위해 엔진룸에 손을 집어넣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둘째로, 기존의 세이프티 레버를 삭제함으로써 엔진룸의 설계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핀 타입 후드 래치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1단 및 2단 해제를 위한 후드 래치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저면사시도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개방 시 후드 래치 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다른 후드 닫힘 시 후드 래치 장치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1단 및 2단 해제를 위한 후드 래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저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실내에서 릴리즈 핸들을 1단 및 2단으로 연속 조작하여 후드를 개방시킴으로써 기존의 엔진룸에 손을 넣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세이프티의 삭제로 설계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실내 1단 및 2단 해제를 위한 후드 래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후드 래치 장치는 후드에 설치되는 후드 스트라이커(10)와, 차체에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15) 및 후드 스트라이커(10)를 구속하기 위한 폴(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후드 스트라이커(10)는 직사각형의 고정브라켓(11)에 의해 후드에 고정되고, 후드의 개폐 시 후드와 일체로 승강작동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1)을 통해 후드 스트라이커(10)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브라켓(11)의 중심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을 통해 후드 스트라이커(10)의 상단부가 삽입되며, 후드 스트라이커(10)의 상단부는 너트(12)에 의해 고정브라켓(11)에 고정된다.
후드 스트라이커(10)는 직경에 비해 길이가 긴 봉(bar) 구조로 이루어지고, 통상적으로 이러한 형태를 핀(pin) 타입이라고 부른다.
상기 후드 스트라이커(10)는 봉의 하단에 형성된 콘(cone) 형태의 제2걸림턱(10c)과, 제2걸림턱(10c)의 상부에 형성된 중간걸림턱(10b)과, 중간걸림턱(10b)의 상부에 형성된 콘 형태의 제1걸림턱(10a)을 가진다.
이때 제1걸림턱(10a)과 제2걸림턱(10c)은 상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고, 제1 및 제2걸림턱(10a,10c)의 둘레는 원주방향을 따라 대략 180°정도로 연속해서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동일하게 위치한다.
그리고, 중간걸림턱(10b)은 제1걸림턱(10a)과 제2걸림턱(10c) 사이에 위치하고, 180° 정도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제1 및 제2걸림턱(10a,10c)에 대하여 마주보게 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1)의 저면에는 제1스프링(13)이 설치되고, 제1스프링(13)의 직경은 후드 스트라이커(1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커서 제1스프링(13)의 내부에 후드 스트라이커(10)가 삽입된다.
이때, 제1스프링(13)은 고정브라켓(11)과 스프링가이드(14)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 수직방향으로 압축 및 복원가능하다.
상기 제1스프링(13)의 하단부에는 스프링가이드(14)가 고정되고, 스프링가이드(14)는 원통형의 컵 형태로 이루어지고, 컵의 개구부가 하방향으로 향하고, 컵의 막힌 쪽 상단부가 위로 향하게 하며, 컵의 하단부에는 플랜지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가이드의 막힌 쪽 상단 중앙에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후드 스트라이커(10)가 가이드홀을 통해 관통되어 후드에서 직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5)는 차체에 설치되고, 후드 스트라이커(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15)의 중심부에 원형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형의 홀 둘레에 스프링 가이드가 직접 접촉되도록 원형의 돌기부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5)의 저면에는 베이스가이드(16)가 중첩되게 결합되어 있고, 후드 스트라이커(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베이스가이드(16)의 중심부에 원형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형의 홀 둘레에 원형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후드 스트라이커(10)의 삽입을 안내한다.
폴(17)은 베이스가이드(16)의 중심부에서 한쪽으로 치우치게 설치된 회전축(18)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하고, 상기 회전축(18)에 설치된 제2스프링(19)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스프링(19)의 일단부는 폴(17)의 제1고정돌기(20)에 고정되어 있고, 제2스프링(19)의 타단부는 베이스가이드(16)에 고정되어, 폴(17)에 작용하는 외부 힘이 해제되는 경우에 폴(17)을 원래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상기 폴(17)은 대략 C자 형상의 후크 형태로 이루어지고, 후크의 내측 둘레에서 곡선 형태로 이루어진 제1걸림부(17a)와, 상기 후크의 동일한 내측 둘레에서 제1걸림부(17a)와 반대쪽에 곡선 형태로 이루어진 제2걸림부(17b)와, 제2스프링(19)의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1고정돌기(20)를 가진다.
폴(17)의 제1고정돌기(20)의 반대쪽에는 제2고정돌기(21)가 형성되고, 제2고정돌기(21)에 와이어가 연결되어 와이어를 통해 릴리즈 핸들과 폴(17)을 연결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1단 및 2단 해제를 위한 후드 래치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개방 시 후드 래치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1. 후드 개방 시
실내의 릴리즈 핸들을 작동시키기 전에 후드 스트라이커(10)의 제1걸림턱(10a)은 폴(17)의 제1걸림부(17a)에 걸린 상태로 1단 잠금 상태에 있다.
후드를 개방하기 위해 릴리즈 핸들을 잡아당기면 당김력이 와이어를 통해 폴(17)에 전달되어 폴(17)의 제2고정돌기(21)를 당긴다.
이어서, 상기 폴(17)의 제2고정돌기(21)가 당겨지면서 폴(17)이 회전하고, 후드 스트라이커(10)의 제1걸림턱(10a)이 폴(17)의 제1걸림부(17a)로부터 잠금 해제되며, 상부 고정브라켓(11)과 베이스플레이트(15) 사이에 위치한 제1스프링(1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후드 스트라이커(10)가 상승한다.
계속해서, 상기 후드 스트라이커(10)가 상승하면서 후드 스트라이커(10)의 중간걸림턱(10b)이 폴(17)의 제2걸림부(17b)에 걸림으로써, 후드 스트라이커(10)의 상승을 정지시킬 수 있다.
만약, 후드 스트라이커(10)의 중간걸림턱(10b)과 폴(17)의 제2걸림부(17b)가 없는 경우에 후드 스트라이커(10)의 제1걸림턱(10a)이 폴(17)의 제1걸림부(17a)로부터 잠금 해제될 뿐만 아니라 후드 스트라이커(10)의 제2걸림턱(10c)까지도 폴(17)의 제1걸림부(17a)로부터 잠금 해제되어 릴리즈 핸들의 1회 당김으로 후드 스트라이커(10)가 완전히 폴(17)에서 잠금해제 되므로, 후드 래치 자체에서 2단 잠금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릴리즈 핸들의 당김 시 후드 스트라이커(10)의 중간걸림턱(10b)에 의해 폴(17)의 제2걸림부(17b)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릴리즈 핸들을 첫번째 잡아당긴 후 릴리즈 핸들을 놓으면, 폴(17)이 제2스프링(19)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회전하고, 후드 스트라이커(10)의 중간걸림턱(10b)이 폴(17)의 제2걸림부(17b)로부터 잠금해제되어 후드 스트라이커(10)가 상승한다.
이때, 후드 스트라이커(10)가 상승하면서 후드 스트라이커(10)의 제2걸림턱(10c)이 폴(17)의 제1걸림부(17a)에 걸림으로써, 2단 잠금 상태 및 1단 오픈 상태로 된다.
그 다음, 릴리즈 핸들을 두번째로 잡아당기면 와이어를 통해 폴(17)의 제2고정돌기(21)에 당김력이 전달되어 폴(17)이 회전한다.
이어서, 상기 폴(17)이 회전함에 따라 후드 스트라이커(10)의 제2걸림턱(10c)이 폴(17)의 제1걸림부(17a)로부터 잠금해제되어 후드 스트라이커(10)가 상승하면서 폴(17)에서부터 완전히 잠금 해제되어 2단 잠금 해제 및 2단 오픈 상태로 된다.
첨부한 도 12는 본 발명에 다른 후드 닫힘 시 후드 래치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2. 후드 닫힘 시
후드를 닫는 경우에 후드 스트라이커(10)가 폴(17)의 내측 둘레면을 향하여 진입하고, 후드 스트라이커(10)의 제2걸림턱(10c)이 폴(17)의 제1걸림부(17a)를 눌러 폴(17)을 회전시킨다.
이어서, 폴(17)이 회전되면서 후드 스트라이커(10)의 제2걸림턱(10c)이 폴(17)의 하부로 진입하고, 이때 상기 제2걸림턱(10c)과 폴(17)의 제2걸림부(17b) 사이에 접촉이 없다.
계속해서 후드 스트라이커(10)가 하방향으로 진입하면서 폴(17)이 제2스프링(19)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위치로 회전하고, 이로 인해 후드 스트라이커(10)의 중간 걸림턱이 폴(17)의 제2걸림부(17b)와 접촉하지 않는다.
그 다음, 상기 후드 스트라이커(10)가 하방향으로 계속 진입하여 후드 스트라이커(10)의 제1걸림턱(10a)이 폴(17)의 제1걸림부(17a)를 눌러 폴(17)을 회전시키며, 이때 상기 제1걸림턱(10a)과 폴(17)의 제2걸림부(17b) 사이에 접촉이 없다.
이후, 후드 스트라이커(10)가 하방향으로 계속 진입하여 후드 스트라이커(10)의 제1걸림턱(10a)이 폴(17)의 제1걸림부(17a) 아래로 진입하면서 폴(17)이 제2스프링(19)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회전하여 폴(17)의 제1걸림부(17a)에 의해 1단 잠금 상태(후드 잠금 초기 상태)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세이프티 레버를 삭제하고, 후드 스트라이커(10)에 제1걸림턱(10a)과 중간걸림턱(10b)을 추가로 구성하여 후드 스트라이커(10)의 형상을 변경하고, 폴(17)에 제2걸림부(17b)를 추가로 구성하여 폴(17)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후드 래치 자체에서 2단 잠금 기능을 갖도록 하여 실내에서 2회 조작만으로 후드를 개방할 수 있고, 기존의 후드를 개방하기 위해 엔진룸에 손을 집어넣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아울러, 기존의 세이프티 레버를 삭제함으로써 엔진룸의 설계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10 : 후드 스트라이커 10a : 제1걸림턱
10b : 중간걸림턱 10c : 제2걸림턱
11 : 고정브라켓 12 : 너트
13 : 제1스프링 14 : 스프링가이드
15 : 베이스플레이트 16 : 베이스가이드
17 : 폴 17a : 제1걸림부
17b : 제2걸림부 18 : 회전축
19 : 제2스프링 20 : 제1고정돌기
21 : 제2고정돌기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후드에 설치되고, 걸림턱을 이용하여 폴(17)에 걸림으로 후드를 잠금 혹은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핀 타입의 후드 스트라이커(10);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걸림부의 회전과 후드 스트라이커(10)의 축방향 이동으로 후드 스트라이커(10)를 구속할 수 있도록 된 폴(17)(Pawl);
    상기 후드 스트라이커(10)와 폴(17)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후드 스트라이커(10)가 폴(17)로부터 구속해제된 경우에 탄성복원력에 의해 1단 잠금 상태에서 2단 잠금 상태로 후드스트라이커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된 제1스프링(13);
    을 포함하여, 실내에서 조작으로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후드 스트라이커(10)는 반원의 원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동일한 선상에 형성되어 폴(17)에 걸리는 제1걸림턱(10a) 및 제2걸림턱(10c);
    상기 제1 및 제2걸림턱(10a,10c)에 대하여 서로 마주보며 제1 및 제2걸림턱(10a,10c) 사이에 형성되어 폴(17)에 걸리는 중간걸림턱(10b);
    을 가지며, 상기 후드 스트라이커(10)의 제1 및 제2걸림턱(10a,10c)에 의한 1단 잠금 및 2단 잠금 단계 사이에 중간걸림턱(10b)에 의한 중간 잠금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1단 및 2단 해제를 위한 후드 래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폴(17)은 베이스가이드(16)에 회전축(18)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스프링(19)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내측 둘레에 곡선형태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제1 및 제2걸림부(17a,17b)를 가지며, 상기 후드 스트라이커(10)의 걸림턱이 제1걸림부(17a) 혹은 제2걸림부(17b)에 걸릴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1단 및 2단 해제를 위한 후드 래치 장치.
KR1020120095463A 2012-08-30 2012-08-30 실내 1단 및 2단 해제를 위한 후드 래치 장치 KR101382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463A KR101382960B1 (ko) 2012-08-30 2012-08-30 실내 1단 및 2단 해제를 위한 후드 래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463A KR101382960B1 (ko) 2012-08-30 2012-08-30 실내 1단 및 2단 해제를 위한 후드 래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790A KR20140029790A (ko) 2014-03-11
KR101382960B1 true KR101382960B1 (ko) 2014-04-08

Family

ID=5064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463A KR101382960B1 (ko) 2012-08-30 2012-08-30 실내 1단 및 2단 해제를 위한 후드 래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9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282A (ko) * 2017-08-31 2019-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패널 락킹용 2단 래치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1973A (ja) * 2006-09-26 2008-04-10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リッドの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1973A (ja) * 2006-09-26 2008-04-10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リッドのロック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282A (ko) * 2017-08-31 2019-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패널 락킹용 2단 래치 어셈블리
KR102394859B1 (ko) 2017-08-31 2022-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패널 락킹용 2단 래치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790A (ko) 201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022B1 (ko) 차량용 2단 가이드 후드 래치 장치
US11993198B2 (en) Accessible rear seat latch release
KR101382913B1 (ko) 자동차용 2단 링크 후드 래치 장치
KR101856358B1 (ko) 차량용 후드 래치 장치
US10267067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vehicle door having outside handle from opening
US20140203575A1 (en) Lock for a motor vehicle
KR102287273B1 (ko) 차량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KR101668001B1 (ko)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KR20140066280A (ko) 후드 래치 구조
KR101662900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382960B1 (ko) 실내 1단 및 2단 해제를 위한 후드 래치 장치
KR20140034336A (ko) 자동차용 2단 오픈 후드 래치 장치
KR101566681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744827B1 (ko) 자동차용 캡 틸팅 스테이 이지언락 시스템
KR101272988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래치 기어의 해제 구조
KR102634406B1 (ko) 전기차 충전 인렛 비상 해제 장치
KR101827009B1 (ko) 후드의 2단 해제 래치
US20160083984A1 (en) Sliding door for motor vehicles
CN111267964B (zh) 用于紧急逃生的车辆的引擎盖的打开设备
KR20160034506A (ko) 2단 해제용 후드래치
KR100520966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
KR20150104250A (ko) 탑차용 적재함 문 고정장치
KR10263439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일체형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20180070396A (ko) 차량용 후드 래치 장치
KR20190058145A (ko) 그립 일체형 인사이드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