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0966B1 -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966B1
KR100520966B1 KR10-2002-0076248A KR20020076248A KR100520966B1 KR 100520966 B1 KR100520966 B1 KR 100520966B1 KR 20020076248 A KR20020076248 A KR 20020076248A KR 100520966 B1 KR100520966 B1 KR 100520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hood
safety hook
support base
stri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9053A (ko
Inventor
이재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6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966B1/ko
Publication of KR20040049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9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14Hood l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가 후드 안으로 손을 넣어 후드 손잡이를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보다 편리하게 후드를 개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후크의 손잡이 및 별도의 해제장치의 장착에 따른 조립공수, 원가 및 중량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후드의 선단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가 진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 베이스와, 이 지지 베이스에 탄력 설치되어 상기 스트라이커를 1차 구속하는 래치와, 상기 지지 베이스에 탄력 설치되어 상기 래치를 록킹시키는 폴과, 상기 지지 베이스에 탄력 설치되어 상기 래치로부터 해제된 스트라이커를 2차 구속하는 안전후크로 구성된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의 후방 일측에 형성된 래치 돌기; 상기 안전후크의 일측 중앙에 형성된 경사 돌기와 타측에 형성된 수용 홈; 및, 상기 지지 베이스에 탄력 설치되고 상기 수용 홈에 걸려 안전후크를 고정시키도록 상부에 설치된 고정구와 상기 래치 돌기가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하부에 설치된 걸림편을 갖는 오픈 레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Hood latch apparatus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드의 선단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안전후크로부터 상기 스트라이커를 해제함에 있어서 안전후크에 형성된 손잡이를 회전시켜 스트라이커를 해제하는 종래 방식과 달리 탑승자가 후드를 살짝 눌러주는 것만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룸을 보호하면서 엔진 소음에 대한 차음 기능도 겸하도록 된 후드가 구비되는 바, 이러한 후드는 카울 톱아우터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되며 차내에 있는 버튼 또는 레버에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되어 그 버튼 또는 레버의 조작에 따라 와이어가 당겨짐으로써 후드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후드의 록킹 구조는 후드의 선단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를 래치와 안전후크에 의해 2중으로 록킹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록킹된 후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래치에 의한 스트라이커의 구속을 먼저 해제시킨 다음 안전후크에 의한 구속도 해제시켜야 비로소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는 바, 상기 래치에 의한 구속의 해제는 차내에 설치된 버튼 또는 레버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나, 상기 안전후크에 의한 구속의 해제는 탑승자가 후드 안쪽으로 손을 넣어 상기 안전후크의 손잡이를 회동시키는 수동적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후드가 2중 록킹 구조를 갖는 것은 혹시라도 래치에 의한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주행을 하다가 주행풍에 의해 후드가 갑자기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종래의 후드래치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후드(10)가 래치(30) 및 안전후크(50)에 의해 2중으로 구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10)의 선단부에는 스트라이커(11)가 설치되고, 상기 스트라이커(11)가 설치된 위치와 대응되는 차체에는 지지 베이스(20)가 설치되며, 이 지지 베이스(20)의 상부에는 상기 스트라이커(11)가 진입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21)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지지 베이스(20)의 전면에는 래치(30)가 회동 가능하도록 래치 스프링(33)을 매개로 탄력 설치되고, 이 래치(30)의 전방 상측에는 선단이 하부로 경사진 걸고리(31)가 형성되고 전방 하측에는 상기 걸고리(31)와의 사이에 일정한 홈이 마련되도록 지지턱(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걸고리(31)와 지지턱(32)의 사이 마련된 홈에는 상기 스트라이커(11)가 위치하여 상기 걸고리(31)에 의해 구속된다.
또한, 상기 지지 베이스(20)의 전면에는 폴(40)이 회동 가능하도록 폴 스프링(42)을 매개로 탄력 설치되고, 이 폴(40)은 상기 래치(30)의 지지턱(32)의 선단부와 접촉하여 래치(30)를 록킹시킴으로써 이 래치(30)가 상기 래치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막는다. 또한, 상기 폴(40)에는 운전석에 설치된 버튼 또는 레버의 조작에 따라 당겨지는 와이어(41)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 베이스(20)의 배면에는 안전후크(50)가 회동 가능하도록 후크 스프링(53)에 의해 탄력 설치되고, 이 안전후크(50)의 상단에는 하부로 경사진 걸고리(51)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손잡이(52)가 마련된다.
도2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후드래치 장치에 있어서 스트라이커(11)가 자기를 1차 구속하는 래치(30)로부터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다. 즉, 운전자가 운전석에 설치된 버튼 또는 레버를 조작하여 상기 와이어(41)를 당기면, 상기 폴(40)은 폴 스프링(42)을 인장시키면서 후방으로 회동되어 폴(40)에 의한 상기 래치(30)의 록킹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래치(30)가 래치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회동되고, 래치(30)의 걸고리(31)에 의해서 구속되어 있던 스트라이커(11)는 개방되어 상기 지지턱(32)에 의해 위로 들어올려진다. 그러나, 이 스트라이커(11)는 상기 안전후크(50)의 걸고리(51)에 의해 다시 구속되기 때문에 후드(10)가 완전히 개방되지는 않는다.
도3은 스트라이커(11)가 자기를 2차로 구속하는 안전후크(50)로부터 해제되어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운전자는 차내에서 버튼 또는 레버를 조작하여 래치(30)에 의한 스트라이커(11)의 1차 구속을 해제한 후, 후드(10) 안으로 손을 넣어 상기 안전후크(50)의 하단에 설치된 손잡이(52)를 회전시킨다. 안전후크(50)는 지지 베이스(20)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손잡이(52)가 회전되면 그 상단도 함께 회동되어 결국 안전후크(50)의 선단에 형성된 걸고리(51)가 벗겨지면서 스트라이커(11)는 해제된다. 그 후, 운전자가 후드(10)를 수동으로 들어올림으로써 후드(10)가 완전히 개방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손잡이(11)를 놓으면 후크 스프링(53)에 의해서 안전후크(50)는 초기 상태로 복원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개방된 후드(10)를 다시 닫기 위해 후드(10)의 선단부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후드(10)의 선단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1)는 안전후크 걸고리(11)의 경사진 윗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된 후 가이드 홈(21)의 내부로 진입되어 래치(30)를 누르게 되는 것이며, 상기 래치(30)는 래치 스프링(33)을 인장시키면서 회동되어 폴(40)에 의해 다시 록킹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후드래치 장치에 있어서 안전후크를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직접 후드 안으로 손을 넣어 안전후크를 회전시켜야 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보행자와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보행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키기 위해 후드래치 장치를 후드의 선단부로부터 안으로 많이 들어간 위치에(통상적으로 라이에이터와 엔진사이) 설치하여 차량 전방에 보다 많은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에 안전후크의 손잡이가 200㎜ 정도로 길어지거나, 후드의 선단에 별도의 해제 장치를 장착하여야 하는 바, 이는 조립공수, 원가 및 중량면에서 상당히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안전후크에 손잡이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래치에 의한 1차 구속이 해제된 후에 운전자가 후드를 살짝 누르는 것만으로 안전후크에 의한 2차 구속이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후드 안으로 손을 넣어 후드 손잡이를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보다 편리하게 후드를 개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후크의 손잡이 및 별도의 해제장치의 장착에 따른 조립공수, 원가 및 중량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를 마련하는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후드의 선단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가 진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 베이스와, 이 지지 베이스에 탄력 설치되어 상기 스트라이커를 1차 구속하는 래치와, 상기 지지 베이스에 탄력 설치되어 상기 래치를 록킹시키는 폴과, 상기 지지 베이스에 탄력 설치되어 상기 래치로부터 해제된 스트라이커를 2차 구속하는 안전후크로 구성된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의 후방 일측에 형성된 래치 돌기; 상기 안전후크의 일측 중앙에 형성된 경사 돌기와 타측에 형성된 수용 홈; 및, 상기 지지 베이스에 탄력 설치되고 상기 수용 홈에 걸려 안전후크를 고정시키도록 상부에 설치된 고정구와 상기 래치 돌기가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하부에 설치된 걸림편을 갖는 오픈 레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구는 자석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후드래치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래치 장치에 있어서 후드(10)가 래치(30) 및 안전후크(50)에 의해 2중으로 구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상기 도1에 대응되는 것인 바, 도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참조부호를 동일하게 표기한다. 다만,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래치 스프링(33)과 폴 스프링(42)은 본 발명에서도 설치되나, 본 발명의 요지를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도 후드(10)의 선단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1)가 지지 베이스(20)에 탄력 설치된 래치(30)와 안전후크(50)에 의해 2중으로 구속되고 상기 래치(30)는 폴(40)에 의해 록킹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구성이 종래와 다른 것은, 먼저 안전후크(50)에 있어서는 그 하단에 설치되었던 손잡이 부분이 없어지고 안전후크(50)의 일측 중앙에는 경사 돌기(54)가 형성되며 안전 후크(50)의 타측에는 수용 홈(55)이 형성되고, 래치(30)에 있어서는 그 후방 일측에 래치 돌기(34)가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오픈 레버(60)가 상기 지지 베이스(20)에 새로이 설치되는데, 이 오픈 레버(60)는 지지 베이스(20)에 회동 가능하도록 레버 스프링(63)에 의해 탄력 설치된다. 오픈 레버(60)의 힌지축은 래치(30)의 회전축과 동일한 위치에 있고, 이 오픈 레버(60)의 힌지축이 삽입되는 지지베이스(20)의 구멍은 도4에 점선[래치(30)의 뒷면에 존재]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장공(6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장공(64)은 오픈 레버(60)의 상부를 향하여 한쪽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 형태를 가진다. 상기 오픈 레버(60)는 그 상부에 상기 수용 홈(55)에 걸려 안전후크(50)를 고정시키는 고정구(61)가 설치되며 그 하부에는 상기 래치 돌기(34)가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하는 걸림편(6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 베이스(20)의 일측에는 상기 오픈 레버(60)가 시계 방향, 다시 말해 안전 후크(50)의 반대쪽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22)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후드래치 장치의 작용을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운전자가 운전석에 설치된 버튼 또는 레버를 조작하여 와이어(41)를 당기면, 폴(40)이 폴 스프링(42)을 인장시키면서 후방으로 회동되어 폴(40)에 의한 래치(30)의 록킹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래치(30)가 래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래치(30)의 걸고리(31)에 의해서 구속되어 있던 스트라이커(11)가 개방되어 지지턱(32)에 의해 위로 들어올려진다. 이 때, 상기 스트라이커(11)는 종래와 달리 안전후크(50)의 일측 중앙에 형성된 경사 돌기(54)를 만나게 되지만 상기 경사 돌기(54)는 그 경사면이 위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트라이커(11)가 그 경사면을 타고 넘어간다. 그러나, 상기 안전후크(50)의 상단에 형성된 걸고리(51)는 하부로 경사져 있으므로 결국 스트라이커(11)는 상기 걸고리(51)에 의해 다시 구속된다.
한편, 래치(3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된 래치 돌기(34)는 초기에는 상기 오픈 레버(60)의 걸림편(62) 전방에 위치하나 상기 래치(30)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걸림편(62)을 통과하여 그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래치(30)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때 래치 돌기(34)가 걸림편(62)에 걸리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래치 돌기(34)가 회전하면서 걸림편(62)에 걸리기는 하나 상기 스토퍼(22)에 의해 오픈 레버(60)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이 억제되므로 오픈 레버(60)는 회동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오픈 레버(60)의 힌지축이 삽입되는 구멍이 장공(64)으로 형성되어 있어 래치 돌기(34)가 걸림편(63)에 가하는 힘에 의해 오픈 레버(60)가 위쪽으로 밀려올라 가게 된다. 이와 같이, 오픈 레버(60)가 위쪽으로 밀려올라 가게 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장공(64)이 오픈 레버(60)의 상부를 향하여 "⊂⊃" 형태를 가지기 때문이다. 즉, 이와 같은 형태를 가진 장공(64)에 오픈 레버(60)의 힌지축이 삽입 설치되면 장공(64)의 좌우로 힌지축이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 있기 때문에 오픈 레버(60)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장공(64)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걸림편(63) 하방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래치 돌기(34)는 그 공간을 통해 걸림편(63)의 후방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대로 스트라이커(11)가 래치(30)에 의한 1차 구속에서 해제된 후, 운전자가 후드(10)를 살짝 눌러주면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1)가 경사 돌기(54)의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안전후크(50)가 뒤로 젖혀진다. 동시에 상기 스트라이커(11)는 래치(30)의 지지턱(32)도 누르게 되는데, 이에 의해 래치(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래치 돌기(34)가 걸림편(62)에 걸리게 된다. 이 경우에는 래치(30)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와 달리 상기 오픈 레버(60)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은 구속되지 않으므로 래치 돌기(34)가 걸림편(62)에 가하는 힘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 결과 상기 안전후크(50)에 형성된 수용 홈(55)에 오픈 레버(60)의 고정구(61)가 끼워진다. 상기 수용 홈(55)은 그 내측면이 상기 고정구(61)가 회전하는 원주의 형상에 맞추어 아래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구(61)가 걸리게 되고 이는 상기 안전후크(50)를 뒤로 젖혀진 상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정구(61)에 의한 안전후크(50)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고정구(61)가 자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후드(10)를 하방으로 누르는 동작에 의해 스트라이커(11)를 2차 구속하던 안전후크(50)가 오픈 레버(60)에 의해 뒤로 젖혀진 상태로 고정되어 스트라이커(11)는 상기 안전후크(50)로부터 해제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후드(10)를 수동으로 들어올리면 후드(10)는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래치 장치로부터 완전히 개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드래치 장치에 있어서 후드(10)를 닫기 위해 후드(10)의 선단부를 아래로 이동시키면, 스트라이커(11)가 래치(30)의 지지턱(32)을 누르게 되고 래치(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폴(40)에 의해 다시 록킹된다.
한편, 래치(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래치 돌기(34)가 오픈 레버(60)의 걸림편(62)에 가하는 힘이 증가되는데, 오픈 레버(60)는 안전후크(50)에 의해 고정되어 더 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으므로 상기 래치 돌기(34)의 가압력에 의해 오픈 레버(60)가 위쪽으로 들어올려지고 그 결과 래치 돌기(34)는 걸림편(62)을 통과하여 그 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래치 돌기(34)에 의해 오픈 레버(60)에 가해지던 힘이 없어져 오픈 레버(60)는 레버 스프링(63)의 복원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고정구(61)가 안전후크(50)를 빠져 나오게 된다. 즉, 레버 스프링(63)의 복원력이 고정구(61)에 의한 안전후크(50)의 고정력보다 더 크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래치 돌기(34)에 의한 가압력이 없어지면 고정구(61)에 의한 구속이 해제되고, 그 결과 안전후크(50)는 후크 스프링(53)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에 의하면, 운전자가 후드 안으로 손을 넣어 후드 손잡이를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어 보다 편리하게 후드를 개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후크의 손잡이 및 별도의 해제장치의 장착에 따른 조립공수, 원가 및 중량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은 종래의 후드래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4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래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후드 11: 스트라이커(striker)
20: 지지 베이스 21: 가이드 홈
22: 스토퍼(stopper) 30: 래치
31: 걸고리 32: 지지턱
33: 래치 스프링 34: 래치 돌기
40: 폴 41: 와이어
42: 폴 스프링 50: 안전후크
51: 걸고리 52: 손잡이
53: 후크 스프링 54: 경사 돌기
55: 수용 홈 60: 오픈 레버
61: 고정구 62: 걸림편
63: 레버 스프링 64: 장공

Claims (2)

  1. 후드(10)의 선단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1)가 진입되는 가이드홈(21)이 형성되어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 베이스(20)와, 이 지지 베이스(20)에 탄력 설치되어 상기 스트라이커(11)를 1차 구속하는 래치(30)와, 상기 지지 베이스(20)에 탄력 설치되어 상기 래치(30)를 록킹시키는 폴(40)과, 상기 지지 베이스(20)에 탄력 설치되어 상기 래치(30)로부터 해제된 스트라이커(11)를 2차 구속하는 안전후크(50)로 구성된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30)의 후방 일측에 형성된 래치 돌기(34);
    상기 안전후크(50)의 일측 중앙에 형성된 경사 돌기(54)와 타측에 형성된 수용 홈(55);
    상기 지지 베이스(20)에 탄력 설치되고 상기 수용 홈(55)에 걸려 안전후크(50)를 고정시키도록 상부에 설치된 고정구(61)와 상기 래치 돌기(34)가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하부에 설치된 걸림편(62)을 갖는 오픈 레버(60); 및,
    상기 지지 베이스(20)에 설치되고 상기 오픈 레버(60)가 안전후크(50)의 반대쪽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스토퍼(22)와, 오픈 레버(60)의 힌지축이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 베이스(20)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이 유동될 수 있도록 한쪽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61)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
KR10-2002-0076248A 2002-12-03 2002-12-03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 KR100520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248A KR100520966B1 (ko) 2002-12-03 2002-12-03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248A KR100520966B1 (ko) 2002-12-03 2002-12-03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053A KR20040049053A (ko) 2004-06-11
KR100520966B1 true KR100520966B1 (ko) 2005-10-17

Family

ID=37343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248A KR100520966B1 (ko) 2002-12-03 2002-12-03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9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358B1 (ko) * 2016-09-13 2018-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 래치 장치
KR20180058905A (ko) * 2016-11-24 2018-06-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203B1 (ko) * 2011-05-04 2013-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후드 래치장치
KR101338855B1 (ko) * 2012-05-15 2013-12-09 주식회사 리한도어 후드 래치 어셈블리
KR101595332B1 (ko) * 2014-03-11 2016-02-18 평화정공(주)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KR101896805B1 (ko) * 2016-12-15 2018-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드 래치 조립체
KR20190107407A (ko) * 2018-03-12 2019-09-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358B1 (ko) * 2016-09-13 2018-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 래치 장치
US10669751B2 (en) 2016-09-13 2020-06-02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hood latch of vehicle
KR20180058905A (ko) * 2016-11-24 2018-06-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KR101956990B1 (ko) 2016-11-24 2019-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US10508479B2 (en) 2016-11-24 2019-12-17 Hyundai Motor Company Hood latch assembly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053A (ko) 200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55672B2 (ja) 自動車用ドアロツク装置
JP2002362202A (ja) イナーシャロック装置並びに折畳み式シート
KR100520966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
JP2001130295A (ja) 車両用シートロック装置
JP2000296731A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車両への固着装置
JP2001341558A (ja) 車両用シートロック装置
KR100366579B1 (ko) 더블 폴딩시트의 셀프 록 타입 힌지구조
KR100471493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장치
KR20060004177A (ko) 자동차의 후드래치
KR100285374B1 (ko) 자동차용시트래치장치
KR100448117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 폴딩 구조
JPH0226779Y2 (ko)
KR200141624Y1 (ko) 차량용 엔진후드의 록캐치구조
KR100521585B1 (ko) 자동차용 시트록킹장치
KR0113842Y1 (ko)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 로크기구
KR100402115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스테이 장치
JP2558305Y2 (ja) 車両用ボンネットラッチ構造
JP2000264064A (ja) 自動車のサイドドア開放防止装置
JP3096093U (ja) 自転車前籠カバーにおける施錠装置
JPH068228Y2 (ja) ウインドウ開閉装置
KR0119328Y1 (ko) 자동차 후드엠블렘을 이용한 후드개폐 장치
JPH0575371U (ja) 自動車のフードパネルセイフティ装置
KR200243966Y1 (ko) 후드용안전고리조립체
KR20070027009A (ko)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잠금 장치
JPH042170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