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493B1 - 자동차용 후드래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후드래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493B1
KR100471493B1 KR10-2002-0060195A KR20020060195A KR100471493B1 KR 100471493 B1 KR100471493 B1 KR 100471493B1 KR 20020060195 A KR20020060195 A KR 20020060195A KR 100471493 B1 KR100471493 B1 KR 100471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hook
latch
base plat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9781A (ko
Inventor
조태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0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493B1/ko
Publication of KR20040029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4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래치를 작동시키는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수리 및 조립은 간편하게 하는 한편, 부품의 최소화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후드래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후드(1)의 선단 일측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a)가 고정되는 고정홈(2a)이 형성되고 차체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2)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전면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고정홈(2a)에 대응되는 가이드홈(3a)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3)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와 지지플레이트(3)의 사이에 제 1 스프링(5)으로 탄력 설치되고 상단에는 스트라이커(1a)를 고정시키는 걸고리(4a)가 형성된 래치(4)와, 상기 래치(4)를 고정시키도록 베이스플레이트(2)와 지지플레이트(3)의 사이에 설치된 폴(6)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배면에 힌지(1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에는 걸고리(8b)가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손잡이(8a)가 형성된 안전 후크(8)와, 상기 안전 후크(8) 및 폴(6)의 사이에 탄력 설치된 제 2 스프링(7)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후드래치장치{Hood latch Apparatus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후드래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후드레치를 작동시키는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수리 및 조립을 간편하게 하는 한편, 부품의 최소화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후드래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룸을 보호하면서 엔진소음에 대한 차음기능도 겸하도록 된 후드가 구비되는 바, 이러한 후드는 카울 톱아우터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되며 차내에 있는 버튼 또는 레버에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되어 그 버튼 또는 레버의 조작에 따라 와이어가 당겨짐으로써 후드의 록킹이 해제되는 구조를 갖는다.
후드는 후드래치 및 안전후크에 의하여 2단으로 록킹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록킹된 후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후드래치의 록킹 상태를 먼저 해제시키고 다음에 수동으로 안전후크를 록킹 해제시켜야 비로소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렇게 후드가 2단 잠김구조를 갖는 것은 혹시라도 후드래치가 완전히 록킹되지 않은 상태로 주행을 하다가 주행풍에 의해 후드가 갑자기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후드래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후드래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후드래치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후드(1)의 선단 일측에는 스트라이커(1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트라이커(1a)가 설치된 대응되는 위치의 차체에는 베이스플레이트(2)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베이스플레이트(2)에는 상기 스트라이커(1a)가 진입할 수 있도록 고정홈(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 앞면에는 지지플레이트(3)가 설치되며, 그 지지플레이트(3)에는 상기 고정홈(2a)에 대응되는 가이드홈(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와 지지플레이트(3)의 사이에는 끝단이 하부로 경사진 걸고리(4a)를 갖는 래치(4)가 회동 가능하도록 제 1 스프링(5)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와 지지플레이트(3)의 사이에는 래치(4)의 일단부에 접촉되어 그 래치(4)의 이동을 제어하는 폴(6)이 제 2 스프링(7)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되, 상기 제 2 스프링(7)의 일단은 베이스 플레이트(2)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폴(6)에는 운전석에 설치된 버튼 또는 레버의 조작에 따라 당겨지는 와이어(9)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배면에는 안전 후크(8)가 힌지(1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제 3 스프링(11)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되, 상기 안전 후크(8)의 상단부에는 스트라이커(1a)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고리(8b)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사용자가 안전 후크(8)를 회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8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드(1)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레버 또는 버튼을 작동시키면 와이어(9)가 당겨지게 됨에 따라서 그 와이어(9)가 연결된 폴(6)은 제 2 스프링(7)을 인장 시키면서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폴(6)이 회전됨에 따라서 그 폴(6)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던 래치(4)의 고정력이 해제되므로 상기 래치(4)는 제 1 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해서 회동되는 것이며, 상기 래치(4)의 걸고리(4a)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던 스트라이커(1a)는 개방되는 것이고, 그 개방된 스크라이커(1a)는 고정홈(2a)과 가이드홈(3a)에서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폴(6)은 제 2 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해서 초기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후드(1)를 개방시킬 때에는 안전 후크(8)에 형성된 손잡이(8a)를 손으로 당기면 상기 안전 후크(8)는 힌지(1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안전 후크(8)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고리(8b)는 고정홈(2a) 및 가이드홈(3a)의 직상방에서 이탈되므로 후드(1)를 상부로 들어올리면 후드(1)가 개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8a)를 놓으면 제 3 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해서 안전 후크(8)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방된 후드(1)를 닫기 위해서 후드(1)의 선단부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후드(1)의 선단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a)는 안전 후크(8)를 누르면서 하부로 이동된 후 고정홈(2a) 및 가이드홈(3a)의 내부로 삽입되어 래치(4)를 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며, 상기 래치(4)는 스트라이커(1a)와 함께 회전되면서 폴(6)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후드래치장치는 회전 및 복원되는 각 부품(폴, 래치, 안전 후크)가 각각의 스프링에 의해서 탄력 설치되어 있으므로 부품수가 증가하여 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었으며, 부품수가 과다하여 수리 및 조립시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용 후드래치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원가를 절감시킴과 함께 조립 및 수리작업을 신속하게 수행 할 수 있는 자동차용 후드래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자동차용 후드래치장치는 후드의 선단 일측에 설치된 스트라이커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차체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고정홈에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 제 1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되고 상단에는 스트라이커를 고정시키는 걸고리가 형성된 래치와, 상기 래치를 고정시키도록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된 폴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배면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에는 걸고리가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안전 후크와, 상기 안전 후크 및 폴의 사이에 탄력 설치된 제 2 스프링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래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래치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후드(1)의 선단 일측에는 스트라이커(1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트라이커(1a)가 설치된 대응되는 위치의 차체에는 베이스플레이트(2)가 마련되어 있되, 그 베이스플레이트(2)의 중앙에는 상기 스트라이커(1a)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 전면에는 지지플레이트(3)가 설치되며, 그 지지플레이트(3)에는 상기 고정홈(2a)에 대응되는 가이드홈(3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와 지지플레이트(3)의 사이에는 래치(4)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되, 그 래치(4)는 제 1 스프링(5)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고, 상단에는 스트라이커(1a)를 고정시키는 걸고리(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와 지지플레이트(3)의 사이에는 래치(4)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래치(4)의 일단부에 접촉되는 폴(6)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되, 상기 폴(6)의 하단부 일측에는 운전석에 설치된 버튼 또는 레버의 조작에 따라 당겨지는 와이어(9)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배면에는 안전 후크(8)가 힌지(1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되, 상기 안전 후크(8)의 상단에는 스트라이커(1a)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고리(8b)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사용자가 안전 후크(8)를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8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 후크(8)와 폴(6)의 사이에는 이들을 탄력 설치하는 제 2 스프링(7)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 설치되어 있되, 상기 제 2 스프링(7)은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후드(1)를 개방시킬 때에는 운전석에 설치된 레버 또는 버튼을 작동시키는 것이며, 이때 와이어(9)가 당겨지게 되므로 상기 와이어(9)가 연결된 폴(6)은 제 2 스프링(7)을 인장 시키면서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폴(6)이 회전되면 그 폴(6)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던 래치(4)의 고정력이 해제되므로 상기 래치(4)는 제 1 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해서 회동되는 것이며, 상기 래치(4)의 걸고리(4a)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던 스트라이커(1a)가 설치된 후드(1)는 상부로 들어올려지면서 걸고리(4a)에서 스트라이커(1a)가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크라이커(1a)는 걸고리(4a)는 물론 고정홈(2a)과 가이드홈(3a)에서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되지만, 스트라이커(1a)의 상측에는 안전후크(8a)에 형성된 걸고리(8a)가 위치되어 있으므로 후드(1)가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며, 상기 폴(6)은 제 2 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해서 초기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안전 후크(8)에 형성된 손잡이(8a)를 손으로 당기면 상기 안전 후크(8)는 제 2 스프링(7)을 인장 시키면서 힌지(10)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안전 후크(8)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고리(8b)는 고정홈(2a) 및 가이드홈(3a)의 직상방에서 이탈되므로 후드(1)를 상부로 들어올리면 후드(1)가 개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8a)를 놓으면 제 2 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해서 안전 후크(8)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방된 후드(1)를 닫기 위해서 후드(1)의 선단부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후드(1)의 선단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a)는 안전 후크(8)를 누르면서 하부로 이동된 후 고정홈(2a) 및 가이드홈(3a)의 내부로 삽입되어 래치(4)를 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며, 상기 래치(4)는 스트라이커(1a)와 함께 회전되면서 폴(6)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후드를 고정시키는 후드래치장치의 폴과 안전 후크가 한 개의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으므로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원가를 절감하게 됨은 물론, 수리 및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후드래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후드래치장치를 나타낸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래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래치장치를 나타낸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후드 1a : 스트라이커
2 : 베이스플레이트 2a : 고정홈
3 : 지지플레이트 3a : 가이드홈
4 : 래치 4a : 걸고리
5 : 제 1 스프링 6 : 폴
8 : 안전 후크 8a : 손잡이
8b : 걸고리
10 : 힌지

Claims (2)

  1. 후드(1)의 선단 일측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a)가 고정되는 고정홈(2a)이 형성되고 차체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2)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전면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고정홈(2a)에 대응되는 가이드홈(3a)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3)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와 지지플레이트(3)의 사이에 제 1 스프링(5)으로 탄력 설치되고 상단에는 스트라이커(1a)를 고정시키는 걸고리(4a)가 형성된 래치(4)와, 상기 래치(4)를 고정시키도록 베이스플레이트(2)와 지지플레이트(3)의 사이에 설치된 폴(6)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배면에 힌지(1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에는 걸고리(8b)가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손잡이(8a)가 형성된 안전 후크(8)와, 상기 안전 후크(8) 및 폴(6)의 사이에 탄력 설치된 제 2 스프링(7)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드래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프링(7)은 인장코일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드래치장치.
KR10-2002-0060195A 2002-10-02 2002-10-02 자동차용 후드래치장치 KR100471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195A KR100471493B1 (ko) 2002-10-02 2002-10-02 자동차용 후드래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195A KR100471493B1 (ko) 2002-10-02 2002-10-02 자동차용 후드래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781A KR20040029781A (ko) 2004-04-08
KR100471493B1 true KR100471493B1 (ko) 2005-03-10

Family

ID=37331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195A KR100471493B1 (ko) 2002-10-02 2002-10-02 자동차용 후드래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4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78742A (zh) * 2022-09-05 2022-12-16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锁闭装置的主动式发动机罩、控制方法以及汽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9696U (ko) * 1995-12-30 1997-07-29 자동차의 본네트 록킹장치
KR0117960Y1 (ko) * 1995-09-27 1998-06-01 김태구 차량의 후드 래치
KR19980035824A (ko) * 1996-11-15 1998-08-05 박병재 자동차의 후드래치구조
KR0140681Y1 (ko) * 1996-10-31 1999-04-0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드록 래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7960Y1 (ko) * 1995-09-27 1998-06-01 김태구 차량의 후드 래치
KR970039696U (ko) * 1995-12-30 1997-07-29 자동차의 본네트 록킹장치
KR0140681Y1 (ko) * 1996-10-31 1999-04-0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드록 래치 구조
KR19980035824A (ko) * 1996-11-15 1998-08-05 박병재 자동차의 후드래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781A (ko)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1493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장치
KR100520966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
JP2005120764A (ja) 車両用ドアラッチ機構
JP2007113264A (ja) レリーズレバー遠隔操作装置
KR100655997B1 (ko) 자동차용 후드 래치 어셈블리
KR20020040346A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JPH08183396A (ja) 両開き可能なルーフボックス
KR100402115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스테이 장치
KR100410926B1 (ko) 자동차의 후드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
KR100836319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도난방지 구조
JP3807876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連結装置
KR100448117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 폴딩 구조
JPH0958542A (ja) 自転車等車輌のスタンド用ロック装置
JPH04357365A (ja) 自動変速装置付き自動車用の駐車ロック機構
KR100844418B1 (ko) 후드의 보조 래치
KR200377616Y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잠금장치
KR100195041B1 (ko) 차량용 후드잠금장치
JPH09132086A (ja) グローブボックスリッドのロック機構
KR0153684B1 (ko) 차량용 후드잠금장치
KR100435889B1 (ko) 테일게이트도어 로킹장치
KR20070024986A (ko) 차량의 후드 래치 시스템
JP2594153Y2 (ja) 車両用スペアタイヤのキャリア
KR100279425B1 (ko) 후드 개폐장치
KR100368393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힌지조립체
KR960010009Y1 (ko) 자동차의 엠블렘을 이용한 후드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