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960Y1 - 차량의 후드 래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드 래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960Y1
KR0117960Y1 KR2019950026458U KR19950026458U KR0117960Y1 KR 0117960 Y1 KR0117960 Y1 KR 0117960Y1 KR 2019950026458 U KR2019950026458 U KR 2019950026458U KR 19950026458 U KR19950026458 U KR 19950026458U KR 0117960 Y1 KR0117960 Y1 KR 0117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bracket
hood
latch lever
stri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6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963U (ko
Inventor
강태영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26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960Y1/ko
Publication of KR9700139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9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9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후드 래치에 관한 것으로, 브라켓트(10)의 상단부에 소정 깊이의 절결부(12)가 형성되고, 후드의 스트라이커(14)를 고정홈(16)에 삽입하여 상기 절결부(12)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구속시키도록 브라켓트(10)의 일측에 래치레버(18)가 축회전 설치되며, 상기 래치레버(18)가 상기 스트라이커(14)를 고정시켜준 상태를 계속 유지하기 위한 고정쇠(20)가 상기 브라켓트(10)의 타측에 설치된 차량의 헤드래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레버(18)의 하단 플랜지(22)에 리턴스프링(24)의 일단이 설치되고, 이 리턴스프링(22)의 타단은 상기 고정쇠(20)의 후단 플랜지(26)에 설치되도록 된 구조로 이루어져, 후드래치의 요구되는 스프링의 갯수를 하나로 줄여주므로써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후드 래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후드래치를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후드래치가 스트라이커를 물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3도는 종래의 후드래치를 도시한 정면도,
제4도는 종래의 후드래치가 스트라이커를 물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브라켓트12 : 절결부
14 : 스트라이커16 : 고정홈
18 : 래치레버20 : 고정쇠
22 : 하단플랜지24 : 리턴스프링
26 : 후단플랜지28 : 돌출부
30 : 걸림턱32 : 레버
100 : 브라켓트102 : 절결부
104 : 스트라이커106 : 고정홈
108 : 래치레버110 : 고정쇠
112 : 팝압스프링114 : 리턴스프링
본 고안은 차량의 후드래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드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를 안정되게 고정시켜주면서도 부품의 수를 적게 한 후드래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드는 기관실을 구성하는 윗덮개로 프레스 가공한 강판의 안쪽에 프레임으로 강성을 높인 내판을 점용접시킨 구조로 되어 있으며, 차량의 정비 내지는 유지보수를 위해 필요에 따라 열고 닫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때 대부분의 후드는 열고닫는 지점이 되는 힌지가 뒷쪽에 구비되어 있고, 후드가 주행중 열리지 않도록 해주는 후드록크기구가 후드 앞쪽에 구비되어 있는 바, 후드록크기구는 후드래치에 스트라이커가 물려서 잠그게 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후드의 래치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브라켓트(100)의 상단부에 소정 깊이의 절결부(102)가 형성되고, 후드의 스트라이커(104)를 고정홈(106)에 삽입하여 상기 절결부(102)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구속시키도록 브라켓트(100)의 일측에 래치레버(108)가 축회전 설치되며, 상기 래치레버(108)가 상기 스트라이커(104)를 고정시켜준 상태를 계속 유지하기 위한 고정쇠(110)이 상기 브라켓트(100)의 타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래치레버(108)는 고정위치로부터 해제될 때 상기 스트라이커(104)를 절결부(102) 위로 풀어주기 위해 하단부에 팝압스프링(112)의 일단이 설치되고, 이 팝압스프링(112)의 타단은 상기 래치레버와 대향되는 브라켓트(100)의 측단부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쇠(110)는 상기 래치레버(108)를 고정시켜 주다가 외부로부터 조작에 의해 상기 래치레버(108)를 해제시켜 주는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리턴스프링(114)의 일단이 하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리턴스프링(114)의 타단은 상기 고정쇠(110)와 대향되는 위치의 브라켓트 측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같이 종래의 후드래치는 래치레버(108)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한 팝압스프링(112)와, 고정쇠(110)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한 리턴스프링(114)이 별도로 구비되어 부품의 수가 많을 뿐 아니라 구조도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래치레버와 고정쇠를 제어하기 위한 구조를 가능한 한 간단하게 하여 부품의 수를 최소한으로 하게 된 개선된 후드래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브라켓트의 상단부에 소정 깊이의 절결부가 형성되고, 후드의 스트라이커를 고정홈에 삽입하여 상기 절결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구속시키도록 브라켓트의 일측에 래치레버가 축회전 설치되며, 상기 래치레버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고정시켜준 상태를 계속 유지시켜 주기 위한 고정쇠가 상기 브라켓트의 타측에 설치된 헤드래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레버의 하단부에 리턴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고, 이 리턴스프링의 타단이 상기 고정쇠의 후단부의 소정위치에 고정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조로 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리턴스프링이 고정쇠를 원래위치로 복원시켜주기 위한 역할을 하게 될 뿐아니라, 일단 고정쇠가 원래위치로 돌아가게 되면 래치레버가 위로 상승하면서 물고 있던 스트라이커를 방출하게 해주는 팝압스트링의 역할도 하게 되어 별도의 스프링을 사용함이 없이 하나의 스프링으로 고정쇠와 래치레버의 동작을 모두 규제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래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래치가 헤드스트라이커를 물어서 잠긴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브라켓트(10)의 상단부에 소정 깊이의 절결부(12)가 형성되고, 후드의 스트라이커(14)를 고정홈(16)에 삽입하여 상기 절결부(12)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구속시키도록 브라켓트(10)의 일측에 래치레버(18)가 축회전 설치되며, 상기 래치레버(18)가 상기 스트라이커(14)를 고정시켜준 상태를 계속 유지하기 위한 고정쇠(20)가 상기 브라켓트(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래치레버(18)는 고정위치로부터 해제될 때 상기 스트라이커(14)를 절결부(12)위로 방출시켜 주기 위해 하단 플랜지(22)에 리턴스프링(24)의 일단이 설치되고, 이 리턴스프링(22)의 타단은 상기 고정쇠(20)의 후단 플랜지(26)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고안은 상기 래치레버(18)가 제1도에서와 같이 스트라이커(14)가 고정홈(16)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는 상기 리턴스프링(24)이 상기 래치레버의 하단플랜지(22)와 고정쇠의 후단플랜지(26)사이에 소정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약한 복원력으로 서로를 당겨주게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트라이커(14)가 상기 래치레버(18)의 고정홈(16)에 삽입되어 하부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래치레버(18)가 축회전하면서 하단플랜지(22)에 걸쳐진 리턴스프링(24)이 인장되다가 상기 래치레버의 상단 돌출부(28)가 상기 고정쇠(20)에 형성된 걸림턱(30)에 걸쳐지면서 고정쇠(20)도 축회전되어 상기 리턴스프링(24)은 완전히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쇠(20)는 상기 리턴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해 계속 안쪽으로 당겨주는 힘이 작용하나 상기 걸림턱(30)이 래치레버의 돌출부(28)에 걸쳐져서 움직이지 않게 된다.
그러다가 외부로부터 상기 고정쇠의 하단에 설치된 레버(32)를 바깥쪽으로 약간 당겨주어 축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턱(30)이 벗겨지면서 래치레버의 돌출부(28)를 개방시켜 주게 되고, 래치레버(18)는 상기 리턴스프링(24)이 당겨줌에 따라 축회전하며 스트라이커(14)를 외부로 방출해주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구조로 이루어진 헤드 래치는 종래의 래치레버를 조작해주는 팝압스프링과 고정쇠의 동작을 제어하는 리턴스프링을 하나의 스프링으로 대치하므로써 부품의 수를 줄여주고 그 구조를 간단히 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서술된 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고, 이를 가지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단지 본 고안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내에 존재하는 변형예는 모두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

  1. 브라켓트(10)의 상단부에 소정 깊이의 절결부(12)가 형성되고, 후드의 스트라이커(14)를 고정홈(16)에 삽입하여 상기 절결부(12)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구속시키도록 브라켓트(10)의 일측에 래치레버(18)가 축회전 설치되며, 상기 래치레버(18)가 상기 스트라이커(14)를 고정시켜준 상태를 계속 유지하기 위한 고정쇠(20)가 상기 브라켓트(10)의 타측에 설치된 차량의 헤드래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레버(18)의 하단플랜지(22)에 리턴스프링(24)의 일단이 설치되고, 이 리턴스프링(22)의 타단은 상기 고정쇠(20)의 후단 플랜지(26)에 설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래치.
KR2019950026458U 1995-09-27 1995-09-27 차량의 후드 래치 KR01179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458U KR0117960Y1 (ko) 1995-09-27 1995-09-27 차량의 후드 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458U KR0117960Y1 (ko) 1995-09-27 1995-09-27 차량의 후드 래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963U KR970013963U (ko) 1997-04-28
KR0117960Y1 true KR0117960Y1 (ko) 1998-06-01

Family

ID=1942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6458U KR0117960Y1 (ko) 1995-09-27 1995-09-27 차량의 후드 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96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497A (ko) * 2002-06-12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드래치
KR100471493B1 (ko) * 2002-10-02 2005-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래치장치
KR20160025718A (ko) 2014-08-28 2016-03-09 주식회사 모코 자동차용 후드 래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114B1 (ko) * 2007-07-16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룩 어셈블리
KR102383459B1 (ko) * 2017-04-18 2022-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드 랫치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497A (ko) * 2002-06-12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드래치
KR100471493B1 (ko) * 2002-10-02 2005-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래치장치
KR20160025718A (ko) 2014-08-28 2016-03-09 주식회사 모코 자동차용 후드 래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963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9400A (en) Trunk locking device
US5707092A (en) Self-aligning loop striker
US5520431A (en) Fuel door/sliding door interlock mechanism
US4109950A (en) Door opener and latch
US5000493A (en) Self-presenting secondary hood latch handle
KR0117960Y1 (ko) 차량의 후드 래치
KR970006969Y1 (ko) 자동차의 후드 래치
KR200156482Y1 (ko) 트럭 적재함 로크 기구
KR0123404B1 (ko) 후드 개폐장치
KR0113843Y1 (ko)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 로크기구
KR100534274B1 (ko) 엔진후드 록킹 해제장치
KR930004049Y1 (ko) 다단레버 구동장치
KR960007124Y1 (ko) 자동차용 연료주입구 도어 체결장치
KR200155988Y1 (ko) 자동차의 후드 릴리즈 레버몸체의 레버 체결구조
KR200142673Y1 (ko) 차량용 도어 래치
JP2002349113A (ja) 蓋体開閉装置
KR960007933Y1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개폐장치
KR100279425B1 (ko) 후드 개폐장치
KR970000621Y1 (ko) 자동차의 후드 잠금 장치
JPH07291323A (ja) 蓋開閉装置
KR19980053352U (ko) 자동차의 연료주입구 도어 개폐장치
JP2531087Y2 (ja) 自動車用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2873652B2 (ja) 車両の燃料注入口装置
JPH0344654A (ja) ドアロック装置
KR200152404Y1 (ko) 대형버스의 화물칸 도어용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