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407A -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407A
KR20190107407A KR1020180028633A KR20180028633A KR20190107407A KR 20190107407 A KR20190107407 A KR 20190107407A KR 1020180028633 A KR1020180028633 A KR 1020180028633A KR 20180028633 A KR20180028633 A KR 20180028633A KR 20190107407 A KR20190107407 A KR 20190107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pport shaft
latch assembly
safety
safety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4394B1 (ko
Inventor
임상균
김상일
마동희
박진평
홍성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평화정공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평화정공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8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4394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2863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4394B1/ko
Priority to CN201811264912.4A priority patent/CN110254520B/zh
Priority to US16/178,016 priority patent/US11111703B2/en
Priority to DE102018218768.1A priority patent/DE102018218768A1/de
Publication of KR20190107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E05B83/243Hood clamps, i.e. individually actuated, usually yielding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05B17/0033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for opening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4Protection against weather or dirt, e.g. against water ingre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E05B77/40Lock elements covered by silencing layers, e.g.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2Lock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55Torsion springs of ba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는 차체에 고정되며 전면부와 후면부에 스트라이커의 진입을 허용하는 진입안내홈이 형성된 하우징; 양단이 하우징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지지된 상태로 진입안내홈 양측의 하우징에 각각 설치된 제1지지축과 제2지지축; 하우징 내부의 제1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 내부로 진입하는 스트라이커를 걸어서 결속하거나 결속을 해제하는 크로우; 하우징 내부의 제2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크로우를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는 폴; 하우징 내부의 제2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크로우에 의한 결속 해제 후 상승하는 스트라이커를 걸어서 후드의 개방을 제한하는 세이프티 훅; 및 한쪽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제3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우징 외부로 연장된 사용자 조작부를 구비하며, 회전 조작 시 세이프티 훅 하부를 가압해 세이프티 훅을 걸림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압부를 갖춘 세이프티 레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HOOD LATCH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후드를 결속하거나 결속 해제하는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룸 상부는 후드(Hood)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후드는 뒤쪽이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앞쪽이 차체에 설치된 후드래치 어셈블리에 의해 결속된다. 후드래치 어셈블리는 후드 하면에 장착된 스트라이커를 걸어서 결속할 수 있고, 후드를 열고자 할 때 스트라이커의 결속을 해제할 수 있다.
통상적인 후드래치 어셈블리는 스트라이커를 실질적으로 걸어서 결속하는 크로우(claw), 크로우를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폴(pawl), 후드를 개방할 때 크로우에 의한 결속 해제 후 상승하는 스트라이커를 걸어서 후드의 개방을 제한하는 세이프티 훅(safety hook), 사용자가 세이프티 훅을 회전시켜 후드의 결속을 최종 해제할 수 있도록 세이프티 훅에 연결된 세이프티 레버(safty lever)를 포함할 수 있다.
후드래치 어셈블리에 의한 후드의 개방동작은 사용자가 차량의 운전석 등에서 후드의 개방을 조작할 때 크로우에 의한 스트라이커의 구속이 해제된 후 후드가 상승하며 스트라이커가 세이프티 훅에 걸리는 1단계와, 1단계 개방 후 사용자가 직접 세이프티 레버를 조작해 세이프티 훅의 걸림을 해제하는 2단계로 이루어진다. 미국공개특허공보 US2012/0049543(2012. 03. 01. 공개)은 이러한 유형의 후드 래치 어셈블리의 일 예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후드래치 어셈블리는 세이프티 훅 및 세이프티 레버가 후드래치 어셈블리의 하우징 전면에 노출상태로 설치되고, 세이프티 훅과 세이프티 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및 세이프티 레버를 회전시키도록 축에 설치된 스프링이 하우징 전면에 돌출한 상태로 노출되기 때문에 부피가 클 뿐 아니라 전면부 외관이 복잡하였다. 또 세이프티 훅, 스프링, 축이 하우징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부식 등으로 내구성이 떨어지는 결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부품들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전면부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고,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체에 고정되며 전면부와 후면부에 스트라이커의 진입을 허용하는 진입안내홈이 형성된 하우징; 양단이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진입안내홈 양측의 상기 하우징에 각각 설치된 제1지지축과 제2지지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제1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진입하는 상기 스트라이커를 걸어서 결속하거나 결속을 해제하는 크로우;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제2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크로우를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는 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제2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크로우에 의한 결속 해제 후 상승하는 상기 스트라이커를 걸어서 후드의 개방을 제한하는 세이프티 훅; 및 한쪽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제3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 외부로 연장된 사용자 조작부를 구비하며, 회전 조작 시 상기 세이프티 훅 하부를 가압해 상기 세이프티 훅을 걸림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압부를 갖춘 세이프티 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축은 상기 제1지지축과 상기 제2지지축 사이 중간부분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세이프티 레버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3지지축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측방으로 연장된 측방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세이프티 훅의 하단을 가압해 회전시키도록 상기 측방연장부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이프티 레버의 사용자 조작부는 상기 측방연장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측방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세이프티 훅은 상기 제2지지축에 결합되는 부분의 양 측면 및 상기 가압부와 접하는 부분을 덮는 보호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부는 수지재의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세이프티 훅에 일체화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드래치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크로우 및 상기 폴이 설치된 공간과 상기 세이프티 훅 및 상기 세이프티 레버가 설치된 공간을 구분하며, 상기 제1지지축, 제2지지축, 제3지지축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는 세이프티 레버가 하우징 내부의 제3지지축에 지지되고, 세이프티 레버의 일부가 세이프티 훅의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후 방향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는 제3지지축이 하우징의 전면부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고, 세이프티 레버의 측방연장부가 하우징 내에 위치하여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미려한 전면부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대부분의 부품들이 하우징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부식을 줄여 내구성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의 전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의 후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의 하우징을 제외한 상태에서 내부부품의 전면부를 나타낸 사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의 하우징을 제외한 상태에서 내부부품의 후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의 내부부품 정면도로 크로우가 스트라이커를 결속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의 내부부품 배면도로 상승하는 스트라이커가 세이프티 훅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의 내부부품 정면도로 세이프티 레버의 조작으로 세이프티 훅이 회전하여 스트라이커의 걸림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 등을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의 전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후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하우징을 제외한 상태에서 내부부품의 전면부를 나타낸 사이도이고, 도 4는 하우징을 제외한 상태에서 내부부품의 후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후드래치 어셈블리(100)는 차량의 엔진룸 전방의 차체에 설치되어 후드의 하면에 장착된 스트라이커(10)를 걸어서 결속하거나 결속을 해제할 수 있다. 후드래치 어셈블리(100)는 하우징(110), 제1지지축(121), 제2지지축(122), 제3지지축(123), 크로우(130, claw), 폴(140, pawl), 세이프티 훅(150, safety hook), 세이프티 레버(160, safty lever)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사각의 상자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전면부(111)가 차량의 전방을 향하고, 후면부(112)가 차량의 후방을 향한 상태로 차체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상부는 차량의 후드에 결합된 스트라이커(10)의 진입이 가능하고, 세이프티 훅(150)의 상측이 노출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된다. 하우징(100)은 전면부(111)와 후면부(112)에 스트라이커의 진입을 허용하는 진입안내홈(113,114)이 형성된다. 진입안내홈(113,114)은 스트라이커(10)를 하우징(110)의 대략 중심부에 위치하는 결속위치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제1지지축(121)과 제2지지축(122)은 진입안내홈(113,114) 양측의 하우징(110)에 상호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1지지축(121)과 제2지지축(122)은 양단이 하우징(110)의 전면부(111)와 후면부(112)에 지지된다. 제3지지축(123)은 제1지지축(121) 및 제2지지축(122)과 평행한 상태로 제1지지축(121)과 제2지지축(122) 사이 하우징(110)의 중간부분 하측에 설치된다. 제3지지축(123)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단부가 하우징(110)의 전면부(111)에 고정되며, 하우징(110) 내에서 소정길이 후방으로 연장된다.
크로우(130)는 한쪽이 하우징(110) 내부의 제1지지축(1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크로우(130)는 하우징(110) 내부로 진입하는 스트라이커(10)를 걸어서 결속하거나 결속을 해제할 수 있도록 자유단 쪽에 결속홈(131)을 구비한다. 도 4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지지축(121)에는 크로우(130)를 결속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부여하는 제1토션스프링(132)이 설치된다.
폴(140)은 도 4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이 하우징(110) 내부의 제2지지축(1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폴(140)은 제2지지축(12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단에 후드개방케이블(142)이 연결된다. 후드개방케이블(142)은 차량의 운전석 쪽에 마련된 후드개방레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폴(140)은 크로우(130)가 스트라이커(10)를 결속한 상태에서 걸림턱(141)이 크로우(130)의 자유단을 걸어서 구속한다. 따라서 폴(140)은 크로우(130)에 의한 스트라이커(10)의 결속이 유지되도록 하거나 회전을 통해 크로우(130)의 구속을 해제하여 스트라이커(10)의 결속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제2지지축(122)에는 크로우(130)를 구속하는 방향으로 폴(140)을 회전시키는 제2토션스프링(143)이 설치된다.
세이프티 훅(150)은 도 3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 내부의 제2지지축(1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세이프티 훅(150)은 크로우(130)에 의한 결속이 해제된 후 상승하는 스트라이커(10)를 걸어서 후드의 개방을 제한하는 상측의 걸림부(151)를 포함한다. 걸림부(151)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지지축(121)에는 스트라이커(10)를 걸어주는 방향으로 세이프티 훅(150)을 회전시키는 제3토션스프링(153)이 설치된다. 세이프티 훅(150)은 제3토션스프링(153)의 설치를 위해 제2지지축(122)에 결합되는 부분으로부터 제1지지축(121) 쪽으로 연장된 스프링연결부(152)를 구비한다.
세이프티 레버(160)는 도 1, 도 3,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이 하우징(110) 내부의 제3지지축(12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세이프티 레버(16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 내부로부터 하우징(110)의 외부로 연장된 사용자 조작부(162)와, 사용자 조작부(162)를 조작하여 회전시킬 때 세이프티 훅(150) 하부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세이프티 훅(150)을 걸림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압부(163)를 구비한다. 세이프티 레버(160)는 하우징(110) 내에서 제3지지축(123)에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하우징(110)의 측방을 향하여 소정길이 연장된 측방연장부(161)를 구비하며, 가압부(163)는 세이프티 훅(150)의 하부에서 세이프티 훅(150)의 하단을 가압해 세이프티 훅(15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측방연장부(161)의 상측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세이프티 레버(160)의 사용자 조작부(162)는 도 1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연장부(161)로부터 하우징(110)의 전면부(111)를 관통하여 하우징(110)의 측방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지지축(123)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소 세이프티 레버(160)가 하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세이프티 레버(160)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제4토션스프링(164)이 설치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10) 내에는 제1지지축(121), 제2지지축(122), 제3지지축(123)을 지지하는 지지판(170)이 설치될 수 있다. 지지판(170)은 하우징(110) 내부를 크로우(130)와 폴(140)이 설치된 공간과 세이프티 훅(150)과 세이프티 레버(160)가 설치된 공간을 구획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세이프티 레버(160)를 지지하는 제3지지축(123)은 일단이 하우징(110)의 전면부(111)에 고정되고, 타단이 하우징(110) 내부의 지지판(170)에 고정될 수 있다. 세이프티 레버(160)의 측방연장부(161)는 가압부(163)가 세이프티 훅(150)을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하우징(110) 내에서 세이프티 훅(150)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른 후드래치 어셈블리(100)는 세이프티 레버(160)가 하우징(110) 내부의 제3지지축(123)에 지지되고, 세이프티 레버(160)의 측방연장부(161)가 세이프티 훅(150)의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후 방향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 후드래치 어셈블리(100)는 제3지지축(123)이 하우징(110)의 전면부(111)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고, 세이프티 레버(160)의 측방연장부(161)가 하우징(110) 내에 위치하여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려한 전면부(111)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대부분의 부품들이 하우징(110)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부식을 줄여 내구성도 높일 수 있다.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세이프티 훅(150)은 제2지지축(122)에 결합되는 부분의 양 측면 및 세이프티 레버(160)의 가압부(163)와 접하는 부분을 덮는 보호커버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커버부(155)는 세이프티 훅(15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수지재의 사출성형에 의해 세이프티 훅(150)에 일체화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보호커버부(155)는 세이프티 레버(160)의 가압부(163)가 세이프티 훅(150)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므로 금속 간 마찰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접촉부분의 부식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보호커버부(155)는 세이프티 훅(150)의 양 측면을 덮어 세이프티 훅(150)이 하우징(110)의 전면부(111) 및 지지판(170)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므로 역시 마찰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다음은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후드래치 어셈플리(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후드래치 어셈블리의 내부부품 정면도로 크로우가 스트라이커를 결속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은 도 6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8은 후드래치 어셈블리의 내부부품 배면도로 상승하는 스트라이커가 세이프티 훅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의 내부부품 정면도로 세이프티 레버의 조작으로 세이프티 훅이 회전하여 스트라이커의 걸림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스트라이거(10)가 후드래치 어셈블리(100)의 결속위치로 진입하면, 크로우(130)가 스트라이커(10)를 걸어서 결속하도록 회전하고, 폴(140)은 크로우(130)의 자유단을 구속해 스트라이커(10)의 결속이 유지되도록 한다.
도 7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후드개방레버(미도시)를 조작해 후드개방케이블(142)을 당기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140)은 회전에 의해 크로우(130)의 구속을 해제하고, 크로우(130)는 제1토션스프링(132)의 회전력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하며 스트라이커(10)의 결속을 해제한다.
크로우(130)에 의한 결속이 해제된 후 상승하는 스트라이커(10)는 세이프티 훅(150)에 걸림으로써 상승이 제한된다. 세이프티 훅(150)은 크로우(130)가 스트라이커(10)의 결속을 해제하더라도 스트라이커(10)를 걸어 상승을 제한함으로써 후드가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이프티 레버(160)를 조작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이프티 레버(160)의 가압부(163)가 세이프티 훅(150) 하단을 밀어 올린다. 따라서 세이프티 훅(150)은 스트라이커(10)의 걸림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최종적으로 후드의 결속을 해제할 수 있다.
10: 스트라이커, 100: 후드래치 어셈블리,
110: 하우징, 121: 제1지지축,
122: 제2지지축, 123: 제3지지축,
130: 크로우, 140: 폴,
150: 세이프티 훅, 155: 보호커버부,
160: 세이프티 레버, 161: 측방연장부,
162: 사용자 조작부, 163: 가압부,
170: 지지판.

Claims (6)

  1. 차체에 고정되며 전면부와 후면부에 스트라이커의 진입을 허용하는 진입안내홈이 형성된 하우징;
    양단이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진입안내홈 양측의 상기 하우징에 각각 설치된 제1지지축과 제2지지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제1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진입하는 상기 스트라이커를 걸어서 결속하거나 결속을 해제하는 크로우;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제2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크로우를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는 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제2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크로우에 의한 결속 해제 후 상승하는 상기 스트라이커를 걸어서 후드의 개방을 제한하는 세이프티 훅; 및
    한쪽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제3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 외부로 연장된 사용자 조작부를 구비하며, 회전 조작 시 상기 세이프티 훅 하부를 가압해 상기 세이프티 훅을 걸림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압부를 갖춘 세이프티 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지축은 상기 제1지지축과 상기 제2지지축 사이 중간부분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세이프티 레버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3지지축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측방으로 연장된 측방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세이프티 훅의 하단을 가압해 회전시키도록 상기 측방연장부 상측에 마련되는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 레버의 사용자 조작부는 상기 측방연장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측방 외측으로 연장되는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 훅은 상기 제2지지축에 결합되는 부분의 양 측면 및 상기 가압부와 접하는 부분을 덮는 보호커버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부는 수지재의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세이프티 훅에 일체화된 형태로 결합된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크로우 및 상기 폴이 설치된 공간과 상기 세이프티 훅 및 상기 세이프티 레버가 설치된 공간을 구분하며, 상기 제1지지축, 제2지지축, 제3지지축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KR1020180028633A 2018-03-12 2018-03-12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KR102674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633A KR102674394B1 (ko) 2018-03-12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CN201811264912.4A CN110254520B (zh) 2018-03-12 2018-10-29 用于车辆的发动机罩锁钩装置
US16/178,016 US11111703B2 (en) 2018-03-12 2018-11-01 Hood latch apparatus for vehicle
DE102018218768.1A DE102018218768A1 (de) 2018-03-12 2018-11-02 Motorhauben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633A KR102674394B1 (ko) 2018-03-12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407A true KR20190107407A (ko) 2019-09-20
KR102674394B1 KR102674394B1 (ko) 2024-06-13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54520A (zh) 2019-09-20
US20190277069A1 (en) 2019-09-12
DE102018218768A1 (de) 2019-09-12
CN110254520B (zh) 2023-03-07
US11111703B2 (en)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54520B (zh) 用于车辆的发动机罩锁钩装置
KR102287273B1 (ko) 차량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JP6232612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KR20170077405A (ko)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JP5432062B2 (ja) 蓋のロック装置
JP2022508879A (ja) 自動車用ロック
EP3665348B1 (en) A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4276101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JP5530889B2 (ja) 充電ポート用カバーの配設構造
US20210172206A1 (en) Frunk latch emergency opening structure
JP5764223B2 (ja) 車両用ドア
JP6863952B2 (ja) フードロック装置
JP4345432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機構
KR102674394B1 (ko)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JP5912485B2 (ja) フードロック装置
JP5108691B2 (ja) フードロック装置
JP3723690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1583149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의 비상레버장치
KR20060004177A (ko) 자동차의 후드래치
JP2010174582A (ja) 安全機構付引き手
JP2017172240A (ja) 車両用フードロック装置
JP2001152710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
JPH1134747A (ja) 小物入れのロック構造
KR20060070674A (ko) 차량의 후드 보조래치
JP4340110B2 (ja) ドア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