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009B1 - 후드의 2단 해제 래치 - Google Patents

후드의 2단 해제 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009B1
KR101827009B1 KR1020120111802A KR20120111802A KR101827009B1 KR 101827009 B1 KR101827009 B1 KR 101827009B1 KR 1020120111802 A KR1020120111802 A KR 1020120111802A KR 20120111802 A KR20120111802 A KR 20120111802A KR 101827009 B1 KR101827009 B1 KR 101827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wl
bracket
claw
pushing
connect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102A (ko
Inventor
김정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1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009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서 인사이드 핸들을 2번 당기면 1단/2단 해제를 순서대로 진행하는 구조를 가진 후드의 오픈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되는 브래킷(10), 상기 브래킷(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에 푸쉬부(121)가 형성된 폴(12), 상기 브래킷(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트라이커(70)를 수용하며, 단부가 상기 폴(12)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는 클로(13), 상기 클로(13)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에 돌기부(141)가 형성된 연결레버(14) 및 상기 브래킷(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푸쉬부(121)와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그 단부에 밀림부(151)가 형성된 후크(15)를 구비하며, 상기 클로(13)가 폴(12)에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레버(14)의 돌기부(141)가 상기 푸쉬부(121)와 밀림부(151) 사이의 간격 부분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클로(13)가 폴(12)로부터 걸림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레버(14)의 돌기부(141)가 상기 푸쉬부(121)와 밀림부(151) 사이의 간격 부분에 위치되는 후드의 2단 해제 래치이다.

Description

후드의 2단 해제 래치{Two Motion Over-rider Hood Latch}
본 발명은 후드의 오픈 구조에 관한 것으로, 실내에서 인사이드 핸들을 2번 당기면 1단/2단 해제를 순서대로 진행하는 구조를 가진 후드의 오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후드(소위 보닛)를 열기 위해 종전에는, 먼저 실내에서 인사이드 핸들을 한번 당겨 후드 래치를 1단 해제한 후, 실외에 나와 후드와 범퍼 사이로 손을 넣어 해제 레버를 찾아 2단 해제하여 후드를 들어올림으로써 완전히 오픈시키는 구조였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운전자가 실내에서 케이블(61)을 잡아당기게 되면 래치(6)의 브래킷(60)에 힌지결합된 폴(62)이 회전하며 폴에 걸려있는 클로(63)의 잠금을 해제하게 된다. 그러면 브래킷에 힌지결합된 클로가 들리며 후드의 스트라이커(70)가 올라온다{이 상태는 운전자가 실내에서 인사이드 핸들을 한번 당겨 후드가 살짝 들린 상태로서 도 1의 (a)에서 (b)로 진행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밖으로 나와 후드와 범퍼 사이로 손을 넣어 레버(64)를 움직이게 되면 후크(65)가 젖혀지면서 스트라이커(70)가 완전히 래치(6)에서 빠져나오게 된다{이 상태는 운전자가 스트라이커를 래치에서 완전히 해제한 후 후드를 들어올릴 수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실내에서 인사이드 핸들을 한번 당겨 후드 래치를 1단 해제한 후, 다시 실외에 나와 후드와 범퍼 사이로 손을 넣어 해제 레버를 찾아 2단 해제하는 구조로서 해제하기 번거롭기 그지없다. 게다가 2단 해제시에는 후드와 범퍼 사이로 손을 넣어 손의 감각으로 해제 레버를 찾게 되는데, 차량들마다 해제 레버의 구조 및 위치가 다른 것을 감안하면 이는 사용자에게 심히 불편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에서 인사이드 핸들을 2번 당겨 각각 1단과 2단 해제를 순서대로 진행함으로써 단순히 실외에서는 후드를 들어올리기만 하면 되는 편리함을 주는 후드의 2단 해제 래치 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되는 브래킷(10), 상기 브래킷(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에 푸쉬부(121)가 형성된 폴(12), 상기 브래킷(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트라이커(70)를 수용하며, 단부가 상기 폴(12)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는 클로(13), 상기 클로(13)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에 돌기부(141)가 형성된 연결레버(14) 및 상기 브래킷(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푸쉬부(121)와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그 단부에 밀림부(151)가 형성된 후크(15)를 구비하며, 상기 클로(13)가 폴(12)에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레버(14)의 돌기부(141)가 상기 푸쉬부(121)와 밀림부(151) 사이의 간격 부분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클로(13)가 폴(12)로부터 걸림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레버(14)의 돌기부(141)가 상기 푸쉬부(121)와 밀림부(151) 사이의 간격 부분에 위치되는 후드의 2단 해제 래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폴(12)은 상기 클로(13)를 거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상기 클로(13)는 상기 폴(12)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기 후크(15)는 스트라이커(70)가 브래킷(10)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간섭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레버(14)의 돌기부(141)가 상기 푸쉬부(121)와 밀림부(151) 사이의 간격 부분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는 폴(12)이 회동하여도 푸쉬부(121)가 밀림부(151)를 밀지 않고, 상기 연결레버(14)의 돌기부(141)가 상기 푸쉬부(121)와 밀림부(151) 사이의 간격 부분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폴(12)이 회동할 때 푸쉬부(121)가 돌기부(141)를 밀고 돌기부(141)가 밀림부(151)를 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에서 1단과 2단 해제를 순차적으로 모두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후드 2단 해제 래치가 해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단 해제 래치가 잠김 상태로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2단 해제 래치가 1단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2단 해제 래치가 2단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단 해제 래치가 잠김 상태로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2의 (a)는 래치의 정면도, (b)는 래치에서 브래킷을 생략한 상태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 (c)는 (b)의 하단부 구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브래킷(10)은 범퍼 쪽에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10)에는 폴(12)과 클로(13)와 후크(15)가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다.
폴(12)은 상단부가 브래킷에 힌지결합되어 있는데 그 하부는 케이블(11)의 단부와 결합되어 있고 그 하부는 한편으로 도 2의 (a)에서 우측방향으로 탄성작용하는 스프링(17)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17)의 탄성을 이기며 케이블(11)을 도 2의 (a)의 좌측으로 잡아당기면 폴(12)은 도 2의 (a)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케이블을 놓으면 스프링(17)의 탄성에 의해 폴(12)이 도 2의 (a)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케이블은 다시 도 2의 (a)에서 우측으로 돌아가게 된다. 폴(12)의 하단에는 래치 구조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푸쉬부(121)가 형성되어 있는데 그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a)에서 클로(13)는 우측 상단부가 브래킷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단부에 트여진 구멍을 통해 내부에 후드의 스트라이커(70)를 수용하고, 스프링 등에 의해 도 2(a)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지지되어 있다. 다만 잠김 상태에서는 클로(13)의 단부가 폴(12)에 걸려 잠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클로(13)의 단부에는 연결레버(14)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고, 연결레버는 힌지결합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잠김상태에서는 연결레버(14)의 하단에 형성된 돌기부(141)가 래치구조{푸쉬부(121) 및 후술할 밀림부(151)}로부터 빠져나온 상태로 유지된다.
후크(15)는 그 하부가 브래킷(10)에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며, 도 2(a)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스프링(18)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다. 후크의 상부에는 걸림 형상이 존재하며 하단에는 밀림부(151)가 래치 구조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 형성되어 있다. 폴(12)의 푸쉬부(121)는 도 2(a)에서 연결레버(14)를 기준으로 우측에, 후크(15)의 밀림부(151)는 도 2(a)에서 연결레버(14)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2단 해제 래치가 1단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의 (a)는 래치의 정면도, (b)는 래치에서 브래킷을 생략한 상태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 (c)는 (b)의 하단부 구조의 확대 사시도이다.
사용자가 실내에서 인사이드 핸들을 잡아당기면 케이블(11)은 도 3(a)의 좌측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에 폴(1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잡고 있던 클로(13)를 놓게 된다. 그러면 클로(13)는 스프링 등의 탄성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트라이커(70)를 밀어올리게 되고{이렇게 클로(13)가 폴(12)로부터 빠져나온 후 폴(12)은 다시 스프링(17)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스트라이커(70)는 브래킷(10)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상부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스트라이커(70)는 클로(13)로부터는 빠져나온 상태가 되며, 아울러 아직은 후크(15)의 걸림형상 구조에 의해 아직 완전히 해제되지 않은 1단 해제 상태가 된다.
또한 클로(1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클로(13)의 단부에 힌지결합되어 매달려 있는 연결레버(14) 역시 상승하게 되고, 연결레버(14)의 돌기부(141)는 밀림부(151)와 푸쉬부(12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2단 해제 래치가 2단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4의 (a)는 래치의 정면도, (b)는 래치에서 브래킷을 생략한 상태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 (c)는 (b)의 하단부 구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과 같이 래치가 1단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실내에서 인사이드 핸들을 잡아당기면 케이블(11)이 도 4(a)의 좌측으로 잡아당겨지면서 폴(12)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때 폴(12)의 하단에 형성된 푸쉬부(121)가 돌기부(141)를 밀게 되고 돌기부(141)가 다시 밀림부(151)를 밀게 된다.
그러면 밀림부(151)가 밀림으로 인해 후크(15)는 하부에 형성된 힌지점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그 후크 상부의 걸림형상이 도 4(a)의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오픈되고 스트라이커(70)가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실내에서 인사이드 핸들을 두차례 당겨 래치를 완전히 2단 해제한 후 실외에서 후드를 들어올리면 된다.

Claims (4)

  1. 차체에 고정되는 브래킷(10),
    상기 브래킷(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에 푸쉬부(121)가 형성된 폴(12),
    상기 브래킷(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트라이커(70)를 수용하며, 단부가 상기 폴(12)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는 클로(13),
    상기 클로(13)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에 돌기부(141)가 형성된 연결레버(14) 및
    상기 브래킷(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푸쉬부(121)와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그 단부에 밀림부(151)가 형성된 후크(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의 2단 해제 래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12)은 상기 클로(13)를 거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상기 클로(13)는 상기 폴(12)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기 후크(15)는 스트라이커(70)가 브래킷(10)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간섭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의 2단 해제 래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레버(14)의 돌기부(141)가 상기 푸쉬부(121)와 밀림부(151) 사이의 간격 부분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는 폴(12)이 회동하여도 푸쉬부(121)가 밀림부(151)를 밀지 않고, 상기 연결레버(14)의 돌기부(141)가 상기 푸쉬부(121)와 밀림부(151) 사이의 간격 부분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폴(12)이 회동할 때 푸쉬부(121)가 돌기부(141)를 밀고 돌기부(141)가 밀림부(151)를 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의 2단 해제 래치.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클로(13)가 폴(12)에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레버(14)의 돌기부(141)가 상기 푸쉬부(121)와 밀림부(151) 사이의 간격 부분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클로(13)가 폴(12)로부터 걸림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레버(14)의 돌기부(141)가 상기 푸쉬부(121)와 밀림부(151) 사이의 간격 부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의 2단 해제 래치.
KR1020120111802A 2012-10-09 2012-10-09 후드의 2단 해제 래치 KR101827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802A KR101827009B1 (ko) 2012-10-09 2012-10-09 후드의 2단 해제 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802A KR101827009B1 (ko) 2012-10-09 2012-10-09 후드의 2단 해제 래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102A KR20140052102A (ko) 2014-05-07
KR101827009B1 true KR101827009B1 (ko) 2018-02-07

Family

ID=50885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802A KR101827009B1 (ko) 2012-10-09 2012-10-09 후드의 2단 해제 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0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721B1 (ko) 2014-12-31 2016-11-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액티브 후드용 전방 팝업 래치 세이프티 후크구조
KR101956990B1 (ko) * 2016-11-24 2019-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KR101896805B1 (ko) * 2016-12-15 2018-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드 래치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102A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4530B2 (en) Vehicle door inside handle assembly
US9388610B2 (en) Door latch assembly of vehicle
KR20140139518A (ko) 후드와 같은 마감 패널을 위한 이중 풀 래치
KR101827009B1 (ko) 후드의 2단 해제 래치
JPH0826707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TWI674351B (zh) 前拉閂鎖
US9422750B2 (en) Range limited latch
KR20140066280A (ko) 후드 래치 구조
KR101662900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765634B1 (ko) 테일게이트의 팝업구조
JP2005232716A (ja) アクセスパネルドア用車両ドアラッチ装置
JP4603938B2 (ja) 扉開き防止装置
JP2006296997A (ja) 伸縮自在なハンガー掛け
JP2014046064A (ja) トグル式ファスナー
JPS5914147B2 (ja) 扉の把手装置
JP5531410B2 (ja) 操作部材のロック装置を備えた施錠装置
KR200485046Y1 (ko) 도어 록킹 장치
JP3139072U (ja) ナスカンスナップ
KR101923684B1 (ko) 푸쉬풀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해제를 위한 조립체
JP2013023896A (ja) ラッチ錠
KR102142659B1 (ko) 엠블럼을 이용한 후드 오픈 장치
KR20110086336A (ko) 후드 래치 어셈블리
KR100803917B1 (ko) 차량용 암레스트의 록킹해제구조
JP2017533139A (ja) 頭上収納箱のラッチシステム
US20190153755A1 (en) Hand grippable inside han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