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738B1 - 차량용 적재함 도어의 개폐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적재함 도어의 개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738B1
KR101758738B1 KR1020150113272A KR20150113272A KR101758738B1 KR 101758738 B1 KR101758738 B1 KR 101758738B1 KR 1020150113272 A KR1020150113272 A KR 1020150113272A KR 20150113272 A KR20150113272 A KR 20150113272A KR 101758738 B1 KR101758738 B1 KR 101758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upper support
gear
support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9191A (ko
Inventor
김학용
Original Assignee
김학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용 filed Critical 김학용
Priority to KR1020150113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738B1/ko
Publication of KR20170019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Luggage compartment lids for buse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 도어 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도어 개폐 시스템은 차체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4)를 개폐하는 도어(5)와; 도어(5)의 하부 양측과 개구(4)의 양측 내측 프레임(3) 하측을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 지지봉(19,23)과; 도어(5)의 상부 양측과 개구(4)의 양측 내측 프레임(3) 상측을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상부 지지봉(7)과; 한 쌍의 상부 지지봉(7)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바(13)와; 한 쌍의 상부 지지봉(7)을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어(5)를 개폐시키는 구동부(9)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적재함 도어의 개폐 시스템{System for closing and opening door of contai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적재함 도어 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함 도어의 개폐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전동식으로 개폐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와 같은 승합차에는 많은 승객 뿐만 아니라 화물도 적재하여야 한다. 따라서,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며, 통상 버스의 하층에 적재함이 마련된다.
이러한 적재함은 버스의 차벽을 절단하고 공간을 형성한 후, 절단된 개구에 도어를 장착하여 개폐함으로써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적재함은 도어가 차체에 경첩 등에 의하여 장착되었던 바, 도어를 개폐하는 경우 수동으로 열거나 닫아야 하므로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133908호(명칭:버스용 적재함 도어 구조)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1차적으로는 적재함의 도어를 전동식으로 개선함으로써 버스의 운전석에서도 잘 보이지 않는 적재함의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동시에 2차적으로는 끼임방지 시스템을 연계하여 적용함으로써 전동식으로 인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닫혀질 때 도어와 적재함 사이에 물체가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3차적으로는 적재함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것을 감지하여 닫을 수 있는 버스의 적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적재함 도어 개폐 시스템은,
차체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4)를 개폐하는 도어(5)와;
도어(5)의 하부 양측과 개구(4)의 양측 내측 프레임(3) 하측을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 지지봉(19,23)과;
도어(5)의 상부 양측과 개구(4)의 양측 내측 프레임(3) 상측을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상부 지지봉(7)과;
한 쌍의 상부 지지봉(7)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바(13)와;
한 쌍의 상부 지지봉(7)을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어(5)를 개폐시키는 구동부(9)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적재함 도어 개폐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적재함 도어의 개폐장치에 전동방식의 개폐구조와, 끼임방지 구조, 그리고 소프트 클로징 장치의 3가지 장치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적용함으로써, 1차적으로는 전동식으로 인한 편리함을 추구하고, 2차적으로는 전동식으로 인한 끼임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3차적으로는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운전석에서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리모컨에 의하여 조작하는 간단한 방식에 의하여 적재함의 도어를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고, 이때, 버스의 특성상 운전석에서 적재함이 잘 보이지 않음으로, 전동방식에 의하여 도어가 닫힐 때 도어와 적재함 사이에 물체가 끼이는 것을 감지하기 어려우므로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더 이상 도어가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버스의 운전석에서 도어가 완전히 닫혔는지가 잘 보이지 않음으로 도어 소프트 클로징 장치를 장착함으로써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았을 경우, 전동방식에 의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완전히 닫을 수 있다.
둘째, 도어에 열림감지 센서를 장착함으로써 강제로 적재함의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경보를 함으로써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재함 도어 개폐 시스템이 적용된 버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적재함 도어 개폐 시스템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적재함 도어 개폐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체인방식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체인방식의 구동부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도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풀리방식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도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기어방식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정면도이다.
도 11(a)는 도 3에 도시된 도어 소트프 클로징 장치로서 완전히 닫히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b)는 완전히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의 적재함 도어 개폐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버스의 적재함 도어 개폐 시스템(1)은 버스의 차벽(2)에 전동방식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적재함 도어 개폐 시스템(1)은 차체의 측벽(2)에 형성된 개구(4)를 개폐하는 도어(5)와; 도어(5)의 하부 양측과 개구(4)의 양측 내측 프레임(3) 하측을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 지지봉(19,23)과; 도어(5)의 상부 양측과 개구(4)의 양측 내측 프레임(3) 상측을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상부 지지봉(7)과; 한 쌍의 상부 지지봉(7)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바(13)와; 한 쌍의 상부 지지봉(7)을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어(5)를 개폐시키는 구동부(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적재함 시스템에 있어서, 한 쌍의 하부 지지봉(19,23)은 적재함의 개구(4) 양측 하부에 각각 장착되며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1개의 하부 지지봉(19,23)에 의하여 설명한다.
하부 지지봉(19,23)은 일단은 도어(5)의 하부 양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개구(4)의 내측 프레임(3) 하측에 연결된다. 이때, 하부 지지봉(19,23)의 일단은 도어(5)의 하부에 돌출된 도어 하부 브라켓(B1)에 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되고, 타단은 개구(4)의 내측 프레임(3) 하측에 장착된 하부 브라켓(B2)에 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도어(5)는 하부 지지봉(19,23)에 의하여 적재함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도어(5)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상부 지지봉(7)도 적재함의 개구(4)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1개의 상부 지지봉(7)에 의하여 설명한다.
상부 지지봉(7)은 일단은 도어(5)의 상부 양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개구(4)의 내측 프레임(3) 상측에 연결된다. 이때, 상부 지지봉(7)의 일단은 도어(5)의 상부에 돌출된 도어 상부 브라켓(B3)에 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되고, 타단은 개구(4)의 내측벽 상측에 장착된 상부 브라켓(B4)에 연결된다.
이때, 상부 브라켓(B4)은 상단(A1)이 개구(4)의 내측 프레임(3)에 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되고, 하단(A2)은 후술하는 실린더 조립체(16,17)의 실린더(17)가 연결된다. 이때, 실린더(17)는 힌지핀에 의하여 상부 브라켓(B4)의 하단(A2)에 연결된다.
따라서, 도어(5)는 상부 지지봉(7)에 의하여 적재함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실린더 조립체(16,17)가 구동하는 경우 도어(5)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지지봉(7)은 구동부(9)에 연결됨으로써 구동부(9)의 구동시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어(5)를 승하강시킨다.
이러한 구동부(9)는 다양한 방식이 가능한 바, 예를 들면 실린더 조립체 방식이 가능하다.
즉, 실린더 조립체(16,17)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본체(16)와; 본체(16)의 선단에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된 실린더(17)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실린더 조립체(16,17)는 적재함의 내측에 장착되어 도어(5)를 개폐시킨다. 그리고, 실린더 조립체(16,17)는 유압 혹은 공압방식이며, 적재함의 양측 혹은 일측에 장착된다.
이러한 실린더 조립체(16,17)는 본체(16)가 구동하는 경우, 실린더(17)가 전진함으로써 상부 브라켓(B4)의 하단(A2)을 밀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단(A1)에 일체로 연결된 한 쌍의 상부 지지봉(7)은 힌지축(P)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측으로 들어 올려진다. 따라서, 도어(5)는 상측 및 하부 지지봉(19,23)에 의하여 상승하게 되어 개방된다.
반대로, 실린더(17)가 후진하는 경우 상부 브라켓(B4)의 하단(A2)이 당겨져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한 쌍의 상부 지지봉(7)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도어(5)가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 조립체(16,17)의 실린더(17)가 전후진함으로써 상부 지지봉(7)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도어(5)를 승하강시켜서 적재함으로 개방하거나 폐쇄시키게 된다.
그리고, 실린더 조립체(16,17)는 운전석에 장착된 제어 스위치(P)에 의하여 작동하게 된다. 즉, 제어스위치(P)는 실린더 조립체(16,17)의 본체(16)에 연결됨으로써 온(On)시키는 경우 본체(16)에 일방향 동력이 전달되어 실린더(17)가 전진하게 되고, 반대로 오프(Off)시키는 경우 본체(16)에 반대 방향 동력이 전달되어 실린더(17)가 후진하게 된다.
또한, 운전석의 제어 스위치(P)에 의하여 도어(5)를 개폐하는 방식 이외에도 리모컨 등에 의하여 제어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도어(5)를 개폐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리모컨에 신호 발신기가 구비되고 제어 스위치(P)에 수신기가 구비됨으로써 도어 개폐신호를 주고받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에서는 구동부(9)로서 실린더(17) 방식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 방식도 가능하다. 즉, 상부 지지봉(7)에 연결된 연결바(13)에 제 1기어(26)를 장착하고, 일정 거리 떨어진 적재함의 내측에 제 2기어(24)를 장착한다. 이때, 연결바(13)의 양단은 적재함의 내측 프레임(3)에 힌지핀(P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제 2기어(24)는 모터(22) 등에 연결되며, 체인(20)에 의하여 제 1기어(26)와 연결된다. 이때 모터(22)는 정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이다.
따라서, 모터(22)가 구동하는 경우, 제 2기어(24)가 회전하게 되고, 제 2기어(24)의 회전력이 체인(20)을 통하여 제 1기어(26)에 전달됨으로써 연결바(13)을 회전시켜서 상부 지지봉(7)을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체인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벨트(21) 및 풀리 방식도 가능하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봉(7)을 연결하는 연결바(13)에 제 1풀리(25)를 배치하고, 일정 거리 떨어진 적재함의 내측에 제 2풀리(27)를 배치한 구조이다. 이때, 연결바(13)의 양단은 적재함의 내측 프레임(3)에 힌지핀(P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제 2풀리(27)는 모터(23) 등에 의하여 구동할 수 있으며 이때 모터(23)는 정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 1풀리(25) 와 제 2풀리(27)는 벨트(21)에 의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23)가 구동하는 경우, 제 2풀리(27)가 회전하게 되고, 제 2풀리(27)의 회전력은 벨트(21)를 통하여 제 1풀리(25)가 회전함으로써 연결바(13)을 시계 방향 혹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부 지지봉(7)을 승하강 시켜서 도어(5)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풀리(25)와 제 2풀리(27)의 사이에 벨트(21)로 연결하였지만, 와이어(Wire)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와이어는 적절한 텐션을 가짐으로써 제 1 및 제 2풀리(25,27)간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풀리방식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어방식도 가능하다.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봉(7)에 연결된 연결바(13)에 종동기어(32)를 장착하고, 인접 위치에 구동기어(34)를 장착하여 종동기어(32)를 치합한 구조이다. 이때, 연결바(13)의 양단은 적재함의 내측 프레임(3)에 힌지핀(P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구동기어(34)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36)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36)에 의하여 구동기어(34)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치합된 종동기어(32)가 회전함으로써 연결바(13)를 회전시켜서 상부 지지봉(7)을 승하강시켜서 도어(5)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5)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구동부(9)로서, 실린더 방식, 기어 방식, 체인방식, 풀리방식, 와이어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한편, 적재함의 도어(5)가 닫힐 때, 도어(5)와 벽체의 내측 프레임(3) 사이에 물체가 있을 때 자동으로 정지함으로써 물체가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어(5)는 실린더 조립체(16,17)의 구동에 의하여 닫히려고 하나, 도어(5)와 프레임(3) 사이에는 물체가 끼어서 실제로 도어(5)는 닫히지 않는 상태인 경우, 실린더 조립체(16,17)에는 정상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 조립체(16,17)에 전류값을 감지하는 센서(S)를 장착하고, 이 센서(S)가 전류를 센싱하여 일정 값 이상이면 실린더 조립체(16,17)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실린더 조립체(16,17)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면 실린더(17)는 더 이상 후진하지 않고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물체는 더 이상 끼이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적재함 도어(5)에 소프트 클로징 장치(40)가 구비됨으로써 적재함 도어(5)가 완전히 닫히지 않았을 때 이를 감지하여 도어(5)를 자동으로 닫을 수 있다.
이러한 도어(5)의 소프트 클로징 장치(4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에 장착되어 정역회전이 가능하고 도어(5)의 걸림쇠(42)가 삽입되는 걸림홈(h)이 형성된 래치(41)와; 래치(41)와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며 래치(41)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서 고정시키는 고정레버(52,54)와; 래치(41)의 인접주위에 배치되어 도어(5)의 걸림쇠(42)가 걸림홈(h)에 삽입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44)와; 센서(44)의 신호에 의하여 정역회전을 하는 모터(M)와; 모터(M)와 고정레버(52,54)를 연결하는 케이블(C)을 포함한다.
이러한 도어 소프트 클로징 장치(40)는 래치(41)의 걸림홈(h) 인접구역에 걸림쇠(42)가 접근하면 센서(44)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M)를 구동시키고, 모터(M)의 구동에 의하여 케이블(C)이 당겨짐으로써 고정레버(52,54)의 제 1레버(5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힌지 연결된 제 2레버(54)가 상승하여 래치(41)를 일정 각도 회전시킨 후 고정시킴으로써 도어(5)를 닫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 도어(5)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어(5)의 걸림쇠(42)가 래치(41)의 걸림홈(h) 입측에 배치된다.
이때에는 모터(M)가 초기 상태로서 케이블(C)을 당기고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 1레버(52)가 회전축(48)에 걸린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56)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좌측단은 상승하고 우측단은 하강한 상태이다. 따라서, 제 1레버(52)의 우측단에 힌지 연결된 제 2레버(54)도 하강한 상태이므로, 제 2레버(54)의 상측 절곡부(50)는 래치(41)의 돌출부(46)와 비접촉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 도어(5)가 닫힘위치로 접근함에 따라 걸림쇠(42)가 래치(41)의 걸림홈(h)에 삽입되는 경우, 센서(44)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를 통하여 모터(M)에 신호를 전송한다.
모터(M)는 이 신호에 의하여 구동함으로써 케이블(C)을 당기게 되고, 케이블(C)은 제 1레버(52)를 반시계방향으로 당기게 되고, 상대적으로 제 2레버(54)는 상승하게 된다. 제 2레버(54)가 상승함으로써 절곡부(50)가 래치(41)의 돌출부(46)를 가압하여 일정 각도 회전시킨 후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래치(41)의 걸림홈(h)에 도어(5)의 걸림쇠(42)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 클로징 장치는 버스의 운전석에서 적재함이 잘 보이지 않음으로 자동으로 닫을 수 있는 점에서 유용하다.
한편, 적재함 도어(5)에는 경보기가 장착됨으로써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에 제 1마그네틱 센서(61)가 장착되고 적재함의 차벽에 제 2마그네틱 센서(62)가 장착되어 서로 대응된다. 따라서, 도어(5)가 적재함에 닫혀진 경우에는 제 1 및 제 2마그네틱 센서(61,62)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경보램프가 작동하지 않는다.
이때, 도어(5)를 강제로 개방하는 경우, 도어(5)와 적재함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고 제 1마그네틱 센서(61)와 제 2마그네틱 센서(62)가 떨어짐으로써 경보램프가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적재함의 도난 시도를 즉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경보램프는 버스의 운전석에 구비된 제어 스위치(P)의 인접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운전자는 적재함에 접근할 필요없이 운전석에서도 도어의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마그네틱 센서에 의하여 경보기가 작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감지하여 경보램프를 작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모두 가능하다.

Claims (8)

  1. 차체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4)를 개폐하는 도어(5)와;
    도어(5)의 하부 양측과 개구(4)의 양측 내측 프레임(3) 하측을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 지지봉(19,23)과;
    도어(5)의 상부 양측과 개구(4)의 양측 내측 프레임(3) 상측을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상부 지지봉(7)과;
    한 쌍의 상부 지지봉(7)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바(13)와;
    한 쌍의 상부 지지봉(7)을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어(5)를 개폐시키는 전동식의 구동부(9)를 포함하며,
    도어(5)를 자동으로 닫은 소프트 클로징 장치(40)가 추가로 포함되며,
    도어 소프트 클로징 장치(40)는 적재함에 장착되어 정역회전이 가능하고 도어(5)의 걸림쇠(42)가 삽입되는 걸림홈(h)이 형성된 래치(41)와;
    래치(41)와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며 래치(41)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서 고정시키는 고정레버(52,54)와;
    래치(41)의 인접주위에 배치되어 도어(5)의 걸림쇠(42)가 걸림홈(h)에 삽입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44)와;
    센서(44)의 신호에 의하여 정역회전을 하는 모터(M)와;
    모터(M)와 고정레버(52,54)를 연결하는 케이블(C)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41)의 걸림홈(h) 인접구역에 걸림쇠(42)가 접근하면 센서(44)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M)를 구동시키고, 모터(M)의 구동에 의하여 케이블(C)이 당겨짐으로써 고정레버(52,54)의 제 1레버(5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힌지 연결된 제 2레버(54)가 상승하여 래치(41)를 일정 각도 회전시킨 후 고정시킴으로써 도어(5)를 닫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적재함 도어 개폐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하부 지지봉(19,23)은 일단은 도어(5)의 하부에 돌출된 브라켓에 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되고, 타단은 개구(4)의 내측 프레임(3) 하측에 장착된 브라켓에 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부 지지봉(7)은 일단은 도어(5)의 상부에 돌출된 도어(5) 브라켓에 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되고, 타단은 개구(4)의 내측 프레임(3) 상측에 장착된 상부 브라켓에 힌지방식으로 연결되고, 하단은 구동부(9)에 의하여 전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적재함 도어 개폐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9)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본체(16)와; 본체(16)의 선단에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된 실린더(17)로 이루어진 실린더 조립체(16,17)를 포함하며,
    이러한 실린더 조립체(16,17)는 본체(16)가 구동하는 경우, 실린더(17)가 전진함으로써 상부 브라켓의 하단을 밀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단에 연결된 한 쌍의 상부 지지봉(7)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측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도어(5)가 개방되고,
    반대로, 실린더(17)가 후진하는 경우 상부 브라켓의 하단이 당겨져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한 쌍의 상부 지지봉(7)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도어(5)가 하강하여 적재함을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적재함 도어 개폐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9)는 체인 구동방식으로서, 상부 지지봉(7)에 연결된 연결바(13)에 장착된 제 1기어와; 일정 거리 떨어진 적재함의 내측에 장착된 제 2기어(24)와; 제 2기어(24)를 회전시키는 모터(22)와; 제 1기어(26)와 제 2기어(24)를 연결하여 제 1기어(26)를 회전시킴으로써 상부 지지봉(7)을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차량의 적재함 도어 개폐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9)는 벨트(21) 및 풀리방식으로서, 상부 지지봉(7)의 연결바(13)에 배치된 제 1풀리(25)와; 일정 거리 떨어진 적재함의 내측에 배치된 제 2풀리(27)와; 제 2풀리(27)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제 1풀리(25)와 제 2풀리(27)를 연결하여 제 1풀리(25)를 회전시켜서 상부 지지봉(7)을 시계 방향 혹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어(5)를 개폐시킬 수 있는 차량의 적재함 도어 개폐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9)는 상부 지지봉(7)의 연결바(13)에 장착된 종동기어(32)와; 인접 위치에 장착되어 종동기어(32)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34)와; 구동기어(34)를 회전시키는 모터(36)를 포함함으로써, 모터(36)에 의하여 구동기어(34)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치합된 종동기어(32)가 회전함으로써 상부 지지봉(7)을 회전시켜서 도어(5)를 개폐할 수 있는 차량의 적재함 도어 개폐 시스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적재함에 경보기가 추가로 구비되며,
    이 경보기는 도어(5)에 장착되는 제 1마그네틱 센서(61)와; 적재함의 차벽에 장착되어 제 1마그네틱 센서(61)와 대응되는 제 2마그네틱 센서(62)와; 운전석에 장착되는 경보램프를 포함함으로써, 도어(5)를 강제로 개방하는 경우, 도어(5)와 적재함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고 제 1마그네틱 센서(61)와 제 2마그네틱 센서(62)가 떨어짐으로써 경보램프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적재함 도어 개폐 시스템.
KR1020150113272A 2015-08-11 2015-08-11 차량용 적재함 도어의 개폐 시스템 KR101758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272A KR101758738B1 (ko) 2015-08-11 2015-08-11 차량용 적재함 도어의 개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272A KR101758738B1 (ko) 2015-08-11 2015-08-11 차량용 적재함 도어의 개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191A KR20170019191A (ko) 2017-02-21
KR101758738B1 true KR101758738B1 (ko) 2017-07-17

Family

ID=5831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272A KR101758738B1 (ko) 2015-08-11 2015-08-11 차량용 적재함 도어의 개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7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65878A (zh) * 2018-09-30 2020-04-07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及其侧舱门铰链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773Y1 (ko) * 2001-02-22 2001-07-19 주식회사 아이레보 마그네트를 이용한 자동 도어잠금장치
KR100756947B1 (ko) * 2006-08-09 200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화물실 인출장치
KR100974549B1 (ko) * 2008-07-15 2010-08-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908Y1 (ko) 1995-12-21 1999-02-18 김태구 버스용 적재함 도어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773Y1 (ko) * 2001-02-22 2001-07-19 주식회사 아이레보 마그네트를 이용한 자동 도어잠금장치
KR100756947B1 (ko) * 2006-08-09 200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화물실 인출장치
KR100974549B1 (ko) * 2008-07-15 2010-08-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191A (ko)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082B1 (ko) 파워 드라이브 모듈이 구비된 차량 도어 시스템
US7538506B2 (en) Power lift gate for automotive vehicle
US9663981B2 (en) Vehicle closure member power actuator control
JP4644515B2 (ja) 車両用開閉体の半開保持装置
JP4929291B2 (ja) 車両用の車体部品の閉動作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160160553A1 (en) Automatic dual electric motor tailgate lift system
US20040256883A1 (en) Door apparatus
KR101912055B1 (ko) 무한 도어 체크가 구비된 자동차 도어 시스템
GB2505739A (en) Actuated door mechanism particularly for vehicle tailgate door such as boot or trunk
US11480002B2 (en) Power tailgate having manual operation feature
JP2013174077A (ja) 開閉体制御装置
JP3857605B2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2009127301A (ja) 車両用の開閉体の開放防止方法及び開閉体の開放防止装置
JP2007315069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101758738B1 (ko) 차량용 적재함 도어의 개폐 시스템
CN110656838A (zh) 电动尾板总成和对应方法
US201003259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osing An Access To A Vehicle
JP2009052247A (ja) 開閉体制御装置
KR20150022030A (ko) 홀 센서를 이용한 파워 트렁크 또는 파워 테일게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5171573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4272630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制御装置
US20160059679A1 (en) Electric swing do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4622781A (zh) 滑门门锁系统、控制方法及车辆
JP4376800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半開停止装置
JP3960328B2 (ja) 車両用開閉部材の自動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