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353B1 - 미끄럼방지와 온도유지가 가능한 2단 적재함으로 구성된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 - Google Patents

미끄럼방지와 온도유지가 가능한 2단 적재함으로 구성된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353B1
KR102393353B1 KR1020210092885A KR20210092885A KR102393353B1 KR 102393353 B1 KR102393353 B1 KR 102393353B1 KR 1020210092885 A KR1020210092885 A KR 1020210092885A KR 20210092885 A KR20210092885 A KR 20210092885A KR 102393353 B1 KR102393353 B1 KR 102393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x
stage
loading
livestock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5886A (ko
Inventor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이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주 filed Critical 이현주
Priority to KR1020210092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353B1/ko
Publication of KR20220045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transporting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14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for load cargos on load transport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8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0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vehicles with loading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62D33/042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divided into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1/00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 B62D61/12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with variable number of ground engaging wheels, e.g. with some wheels arranged higher than others, or with retractable wheels
    • B62D61/125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with variable number of ground engaging wheels, e.g. with some wheels arranged higher than others, or with retractable wheels the retractable wheel being a part of a set of tandem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Abstract

미끄럼방지와 온도유지가 가능한 2단 적재함으로 구성된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이 개시된다. 가축 운반용 차량은, 가축을 적재하는 적재함; 냉기를 생성하여 상기 적재함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방 장치; 상기 적재함에 가습과 탈취를 위한 액상 약재를 분무시키는 살수 분무장치; 상기 적재함의 후면판을 접어 올리거나 내리는 압력을 제공하는 유압 장치; 상기 적재함의 무게 중심을 낮게 유지시키도록 상기 적재함의 후면부 하단에 인접하게 설치된 보조축; 및 상기 적재함 내부의 오수를 모으는 오폐수통을 포함하되, 상기 적재함은, 2단 적재용 지지판을 이용하여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에 평행하게 구획되는 1단 적재함과 2단 적재함; 상기 적재함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2단 적재용 지지판을 상기 상부면 상에 적재하는 적재 고정부; 상기 1단 적재함의 후면을 개폐하는 1단 후면판과 상기 2단 적재함의 후면을 개폐하는 2단 후면판; 및 상기 적재함의 양 측면에서 동력용 팬모터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복수의 환풍구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가축들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운반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끄럼방지와 온도유지가 가능한 2단 적재함으로 구성된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ANIMAL WELFARE TYPE LIVESTOCK TRANSPORT VEHICLE COMPOSED OF TWO-TIERED STORAGE BOX THAT CAN PREVENT SLIP AND MAINTAIN TEMPERATURE}
본 발명은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나 돼지를 비롯한 축사의 가축을 운반하는 차량으로서 미끄럼방지와 온도유지가 가능한 2단 적재함으로 구성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식생활이 다양화됨에 가축을 통한 육류 소비가 활발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육류 소비에 부응하여 소나 돼지와 같이 가축에 속하는 동물을 대규모로 사육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가축의 사육은 경제적으로 넓은 사육 공간을 조성할 수 있고, 주변 환경에 미치는 피해가 적은 교외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다수의 소비자들 및 가축을 도축하거나 가공하는 시설은 교외보다는 도심지 주변에 위치하고 있어, 동물을 도심지의 도축장이나 그밖에 가축시장 등으로 운반하기 위한 운송수단이 필요하다.
가축을 운반하는 차량은 소나 돼지 등을 운반하기 위한 적재 공간을 갖는 차량이다. 종래의 가축 운반용 차량은, 차량의 차주가 영세한 경우가 많아 화물용 차량의 화물칸을 일부 개조하여 가축을 적재하는 일이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좁은 적재공간에 가능한 많은 가축들을 운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처럼 좁은 적재 공간에 많은 가축들을 운반할 경우 가축들에게 스트레스, 부상 등을 입히며 더 나아가서는 폐사에 이르는 경우도 발생한다.
종래의 가축 운반용 차량은 잭재 공간의 상부를 개방된 형태로 조성하여 동물들이 충분한 공기를 공급받음으로써 동물이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나, 적재 공간의 상부가 충분히 개방되면 운반 중에 가축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배설물로 인해 오염이 발생하는 등 주변에 피해를 끼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적재 공간에 위치한 가축의 외부 노출을 가급적 최소화하면서도 가축이 편안하게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복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끄럼방지와 온도유지가 가능한 2단 적재함으로 구성된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미끄럼방지와 온도유지가 가능한 2단 적재함으로 구성된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을 제공한다.
상기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은, 동물을 적재하는 적재함; 냉기를 생성하여 상기 적재함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방 장치; 상기 적재함에 가습과 탈취를 위한 액상 약재를 분무시키는 살수 분무장치; 상기 적재함의 후면판을 접어 올리거나 내리는 압력을 제공하는 유압 장치; 상기 적재함의 무게 중심을 낮게 유지시키도록 상기 적재함의 후면부 하단에 인접하게 설치된 보조축; 및 상기 적재함 내부의 오수를 모으는 오폐수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함은, 2단 적재용 지지판을 이용하여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에 평행하게 구획되는 1단 적재함과 2단 적재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단 적재용 지지판의 적어도 일면 및 상기 1단 적재함의 바닥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가축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는, 돌기형 패턴의 요철들로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일 수 있다.
상기 2단 적재용 지지판은, 상기 적재함의 좌우 측면부에 설치된 슬라이딩 고정부를 통해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적재함을 상기 1단 적재함과 상기 2단 적재함으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적재함은, 상기 1단 적재함의 상부 양측 코너와 상기 2단 적재함의 상부 양측 코너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동물 운반용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냉방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냉방 장치에서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1단 적재함과 상기 2단 적재함에 전달되도록 보조하는 에어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함은, 상기 적재함의 양 측면에서 동력용 팬모터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복수의 환풍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풍구들 각각은, 상기 적재함 내부의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저감하는 에어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함은, 상기 적재함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상기 1단 적재함의 전면부 상단, 상기 1단 적재함의 일 측면부 상단, 상기 1단 적재함의 후면부 상단, 상기 2단 적재함의 전면부 상단, 상기 2단 적재함의 일 측면부 상단, 상기 2단 적재함의 후면부 상단 중 선택된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촬상 장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함은, 상기 살수 분무장치와 분무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액상 약재를 상기 적재함 내부에 분무시키는 노즐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들은, 상기 2단 적재함의 상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제1 노즐들; 및 상기 1단 적재함의 바닥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제2 노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운반용 차량을 이용할 경우에는 가축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가축들에게 편안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축들의 복지 환경을 개선하여 가축의 운반 중에 발생하는 가축의 폐사, 부상 등을 방지하고, 인접한 차량이나 사람에게 이동중에 있는 가축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운반용 차량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가축 운반용 차량의 적재함을 차량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가축 운반용 차량의 적재함을 차량 후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가축 운반용 차량의 살수 분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가축 운반용 차량의 제어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현재 온도와 상대습도 사이의 관계 그래프에서 쾌적 환경 범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가축은 고기와 같은 식품 또는 털이나 가죽 등의 원료를 얻기 위하여 사육되는 소, 돼지 등의 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여 해석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축은 애완용, 관상용 등을 목적으로 사육되는 각종 동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넓은 의미로는 조류까지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운반용 차량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가축 운반용 차량의 적재함을 차량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가축 운반용 차량의 적재함을 차량 후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가축 운반용 차량(10)은, 가축을 적재하는 적재함(100), 냉기를 생성하여 적재함(100)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방 장치(120), 적재함(100)에 가습과 탈취를 위한 액상 약재를 분무시키는 살수 분무장치(130), 적재함(100)의 후면판(106, 107)을 접어 올리거나 내리는 압력을 제공하는 유압 장치(140), 및 적재함(100)의 무게를 분산시키도록 적재함(100)의 후면부 하단에 인접하게 설치된 보조축(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축(150)은, 적재함(100)의 무게를 차륜들에 골고루 분산시켜 가축 운반용 차량(10)의 안전과 과적으로 인한 도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적재함(100)은, 가축 운반용 차량(10)의 운전석부(180)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고, 냉방 장치(120)는 적재함(100)과 운전석부(18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적재함(100)은, 2단 적재용 지지판(110)을 이용하여 적재함(100)의 바닥면(또는 상차면)에 평행하게 구획되는 1단 적재함(100b) 및 2단 적재함(100a)을 포함할 수 있다. 2단 적재용 지지판(110)은, 적재함(100)의 좌우 측면부에 설치된 슬라이딩 고정부(108)를 통해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어 적재함(100)을 1단 적재함(100b)과 2단 적재함(100a)으로 분리할 수 있다. 슬라이딩 고정부(108)는, 2단 적재용 지지판(110)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원통형 또는 바퀴형 회전핀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원터치만으로 2단 적재용 지지판(110)을 3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2단 적재용 지지판(110)은, 유압 장치(140)를 이용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다. 유압 장치(140)는 유압 윈치일 수 있다.
적재함(100)은, 적재함(100)의 상부면에 2단 적재용 지지판(110)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적재 고정부(109)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2단 적재용 지지판(110)은 적재 고정부(109)에 고정되어 적재함(100)의 상부면에 적재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재함(100)을 2단으로 구획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고정부(108)에 삽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가축 운반용 차량(10)의 사용자는 소와 같이 크기가 큰 가축을 적재할 경우 적재함(100)을 하나의 공간으로 활용하고, 돼지와 같이 키가 비교적 작은 가축을 적재할 경우 적재함(100)을 2단 적재용 지지판(110)을 이용해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냉방 장치(120)는 하절기에서 적재함(100) 내부의 온도가 약 23도를 기준으로 오차범위(3도)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기(1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가축 운반용 차량(10)이 5톤의 중량을 갖는 차량인 경우, 10 HP (또는 시간당 30,000~36,000 Kcal)의 출력을 가질 수 있다.
적재함(100)은, 1단 적재함(100b)의 상부 양측 코너와 2단 적재함(100a)의 상부 양측 코너 중 적어도 하나에서 가축 운반용 차량(10)의 진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에어 덕트(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덕트(105)는, 냉방 장치(120)와 에어 덕트(105)를 통해 연결되어 냉방 장치(120)에서 공급되는 냉기가 1단 적재함(100b)과 2단 적재함(100a)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에어 덕트(105)는 냉기가 이동하면서 일부가 방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홀(hol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재함(100)은 적재함(100)의 양 측면에서 개폐가 가능한 복수의 환풍구(101)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환풍구(101)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용 팬모터(101a)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동력용 팬모터(101a)가 제어기(170)에 의해 제어됨에 따라 환풍구(101)가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환풍구(101)는, 적재함(100) 내부의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줄이기 위한 에어 필터(air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필터는 비교적 성기게 짜여진 종이, 천, 부직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재함(100)은, 적재함(100)의 내부를 영상으로 촬영하는 복수의 촬상 장치(10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재함(100)은, 1단 적재함(100b)의 전면부의 상단, 1단 적재함(100b)의 일 측면부의 상단, 1단 적재함(100b)의 후면부의 상단, 2단 적재함(100a)의 전면부의 상단, 2단 적재함(100a)의 일 측면부의 상단, 및 2단 적재함(100a)의 후면부의 상단 중 선택된 위치에 설치된 촬상 장치(10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촬상 장치(102)들은 적재함(100)의 내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제어기(107)에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제어기(107)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적재함(100)의 내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위치들에 모두 촬상 장치(102)들이 설치될 경우, 사용자가 6채널(6ch)의 촬상 장치(102)들을 이용하여 적재함(100) 내부의 공간을 사각지대 없이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적재함(100)은, 살수 분무장치(130)와 분무관(136a, 136b)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액상 약재를 분무하는 노즐들(103, 1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즐들은, 2단 적재함(100a)의 상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제1 노즐들(103), 및 1단 적재함(100b)의 바닥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제2 노즐들(10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제2 노즐들(104)이 돌출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1단 적재함(100b)의 바닥면 아래로 은폐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노즐들(103)도 2단 적재함(100a)의 상부면의 위로 은폐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적재함(100)의 후면부는 1단 적재함(100b)의 후면을 개폐하는 1단 후면판(107), 및 2단 적재함(100a)의 후면을 개폐하는 2단 후면판(106)을 포함할 수 있다.
1단 후면판(107)은 유압 장치(140)에 의해 공급받는 유압에 의해 적재함(100)의 바닥면(또는 상차면)과 수직하게 접어져 1단 적재함(100b)의 후면을 형성하거나, 상기 유압에 의해 지면과 맞닿게 펼쳐져 1단 적재함(100b)과 지면 사이의 경사로를 형성할 수 있다.
2단 후면판(106)은, 1단 후면판(107)에 슬라이딩되어 삽입 및 은폐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1단 후면판(107)은 2단 후면판(106)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한쌍의 가이드 홈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2단 후면판(106)의 폭(width)은 1단 후면판(107)보다 작을 수 있다.
1단 후면판(107)과 2단 후면판(106)은, 가로로 길게 돌출된 막대형 돌출부들(106a, 107a)을 포함할 수 있다. 막대형 돌출부들이 1단 후면판(107)과 2단 후면판(106)에 형성됨으로써 가축이 탑승할 때 탑승로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1단 후면판(107)이 지면과의 경사로를 형성하였을 때, 2단 후면판(106)은 1단 후면판(107)에 형성된 막대형 돌출부(107a)에 의해 2단 후면판(106)의 일단이 지지됨으로써 1단 후면판(107)과 2단 적재함(100a) 사이의 경사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시로 2단 후면판(106)은 1단 후면판(107)보다 길게 지면까지 펼쳐져 2단 적재함(100a)과 지면 사이의 경사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2단 후면판(106)도 유압 장치(140)에 의해 공급된 유압에 의해 지면 또는 1단 후면판(107)과의 사이에 경사로를 형성하도록 펼쳐지거나 지면과 수직하게 접힐 수 있다.
한편, 2단 적재용 지지판(110)의 적어도 일면 및 1단 적재함(100b)의 바닥면 중 적어도 하나는, 가축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부재는, 2단 적재용 지지판(110)의 적어도 일면 및 1단 적재함(100b)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기형 패턴의 요철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철들은 스테인레스 스틸(예를 들어, SUS201, SUS303, SUS304, SUS316 등) 재질의 스폿형 설치물로서, 적재함(100)의 전면부를 향해 흐르는 배수로로서 기능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2단 적재용 지지판(110)의 적어도 일면 및 1단 적재함(100b)의 바닥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1단 적재함(100b)은, 미끄럼 방지 부재를 통해 흐르는 오수를 모으는 오폐수통(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1단 적재함(100b)은, 1단 적재함(100b)의 전면부에서, 2단 적재용 지지판(110)의 미끄럼 방지 부재에 형성된 경사각에 따라 흐르는 배수로와 오폐수통(111)을 서로 연결하도록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된 오수관(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오폐수통(111)의 일측면은, 1단 적재함(100b)의 바닥면에 결합된 미끄럼 방지 부재를 통해 흐르는 오수들이 유입되는 집수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오폐수통(111)이 1단 적재함(100b)의 후면부에 배치되고, 미끄럼 방지 부재에 형성된 요철들이 1단 적재함(100b)의 후면부로 향하는 경사각을 가질 수도 있다.
적재함(100)의 상부와 4개의 측면부를 구성하는 외부 패널(panel)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단열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알루미늄합금의 기본 구조체 및 기본 구조체에 삽입된 우레탄폼 또는 유리섬유의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외부 패널들이 단열 패널로 구성됨으로써, 냉방장치(120)에 의한 적재함(100) 내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열손실을 방지하며, 일정한 수준의 차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단 적재용 지지판(110)의 적어도 일면 및 1단 적재함(100b)의 바닥면은, 열을 방출하여 적재함(100)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열선 또는 온수배관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열선 또는 온수배관 등이 1단 적재함(100b)과 2단 적재함(100a)의 바닥을 따뜻하게 유지시킴으로써 겨울철 이동 중에 가축들의 체온 저하로 인한 스트레스로 발생하는 폐사를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에 적재함(100)은, 1단 적재함(100b)과 2단 적재함(100a)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 및 1단 적재함(100b)과 2단 적재함(100a)의 습도를 독립적으로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가축 운반용 차량의 살수 분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살수 분무장치(130)는, 압축 공기를 제공하는 압축 공기 탱크(131), 액상 약재를 저장하는 저장조(132), 저장조(132)에 저장된 액상 약재를 혼합기(136)로 펌핑시키는 고압 펌프(133), 저장조(132)에 저장된 액상 약재를 필터링하는 필터 하우징(134), 압축 공기 탱크(131)에서 제공되는 압축 공기를 혼합기(136)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135), 및 펌프(133)에 의해 펌핑된 액상 약재와 압축 공기를 혼합하여 분무관들(136a, 136b)로 내보내는 혼합기(13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액상 약재는, 단순하게는 물로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더욱 상세하게는 물과 탈취제가 혼합된 액체로서, 물과 탈취제가 40 내지 60: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탈취제는, 파레트린류(pyrethrins)의 탈취제 또는 적색셰일 분말과 MSM(Methyl Sulfonyl Methane)을 함유한 탈취제일 수 있다. 또한, 탈취제에 맥반석, 게르마늄석 및 토르말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광물질이 더 혼합될 수 있다.
맥반석은 무수규산과 산화알루미늄 등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생물체에 필요한 각종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는 천연의 광물로서 식물의 발육을 촉진시켜줌은 물론이고, 인체에도 대단히 이로운 광물로서 가축에도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비표면적이 3.73 m2/g인 다공질물질로 흡착기능이 우수하고, 모세관 현상에 의해 세균등의 흡착분해 기능이 있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게르마늄석은 회백색 광물로서 Cu3(GeFe)S4 형(germanite형) 게르마늄이 0.36∼1.05중량% 함유된 천연 광석이다. 상기 게르마늄광석은 원적회선을 94% 방사하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음이온을 방출하여 살균효과가 있고, 면역력을 강화효과가 있다.
상기 토르말린은 전기석이라고하며, 원적외선 방사효과가 높고, 수분 분해와 재결합에 의해 히드록실이라는 음이온을 발생시키고, 탈취 및 항균효과가 있으며, 물을 약알카리화(pH 7.2~7.5)하고, 원적외선을 방출시키고 미네랄을 용출시킨다.
따라서, 탈취제에 맥반석, 게르마늄석 및 토르말린 중 적어도 하나를 미세분말 형태로 혼합할 경우, 각 광물질이 나타내는 효과를 추가적으로 가축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밸브(135)는 제어기(170)에 의해 개폐 여부가 제어됨으로써, 압축 공기가 혼합기(136)로 공급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혼합기(136)에서 압축 공기와 혼합된 액상 약재는 분무관들(136a, 136b)을 통해 노즐들(103,104)에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분무관들(136a, 136b)은 압축 공기와 혼합된 액상 약재의 열손실을 보상하여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키는 히트 트레이싱(heat tracing) 설비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무관들(136a, 136b)은, 히팅 케이블이 결합되어 분무관들(136a, 136b)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분무관들(136a, 136b)의 온도 유지 제어를 위해 분무관들(136a, 136b)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제어기(170)는,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분무관들(136a, 136b)의 온도를 기반으로 히트 트레이싱 설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따른 가축 운반용 차량의 제어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현재 온도와 상대습도 사이의 관계 그래프에서 쾌적 환경 범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기(170)는, 프로세서(processor, 174),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71), 적재함(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서, 및 촬상 장치(102)들과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통신부(172), 사용자로부터 입력값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173), 프로세서(174)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175), 통신부(172)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사용자 입력부(173)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17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74)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75)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75)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73)는, 터치 디스플레이로서 디스플레이부(171)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독립한 입력 장치(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기(170)의 예를 들면,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73)는, 사용자로부터 적재함(100)에 적재된 가축들의 두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사용자 입력부(173)는, 1단 적재함(100b)에 적재된 가축들의 두수 및 2단 적재함(100a)에 적재된 가축들의 두수를 입력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74)는, 통신부(172)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의 온도 센싱값과 상기 사용자 입력부(173)를 통해 입력받은 두수에 기초하여 냉방 장치(120)의 제어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4)는, 온도 센싱값과 입력받은 두수에 따라 결정되는 비교값을 아래 수학식 1에 따라 서로 비교한 결과에 따라 냉방 장치(120)의 제어값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21081799359-pat00001
수학식 1을 참조하면, i는 입력받은 두수이며, j는 미리 설정된 기준두수이며, k는 비례상수이고, ε은 -3과 +3 사이의 값을 갖는 오차 상수일 수 있다. 즉, 온도 센싱값은 입력받은 두수와 기준두수 사이의 차분값(i-j)의 로그 스케일(log scale)에 반비례하는 비교값에 오차 상수 ε를 더한 값과 비교됨으로써, 냉방 장치(120)의 제어값(제어값은 비교값과 오차 상수를 더한 값일 수 있음)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비례상수 k는 제어값에 따른 냉방 장치(120)의 동작으로 얻어지는 온도센싱값이 제어 목표 온도(Trarget, 예를 들어, 23도일 수 있으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가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가 달성되도록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값일 수 있다. 또한, 입력받은 두수가 기준 두수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비교값은 제어 목표 온도(Trarget)가 되고, 비교값에 오차상수 ε을 더한 값(또는 제어값이 될 수 있음)이 온도 센싱값과 비교될 수 있다. 프로세서(174)는, 수학식 1을 만족할 경우 냉방 장치(120)를 가동시켜 적재함(100)의 내부 온도를 낮출 수 있다.
프로세서(174)는, 통신부(172)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서의 습도 센싱값과 상기 사용자 입력부(173)를 통해 입력받은 두수에 기초하여 살수 분무장치(130)의 제어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4)는, 입력받은 두수와 대응하는 가축의 최적 습도 범위와 최적 온도 범위에 상응하는 쾌적 환경 범위를 미리 입력받고, 입력받은 쾌적 환경 범위를 기초로, 습소 센서의 습도 센싱값의 제어값을 결정할 수 있다. 최적 온도 범위는, 앞선 수학식 1에서 비교값을 기준으로 오차 상수만큼의 범위를 갖는 영역일 수 있다. 최적 습도 범위는 입력받은 두수와 대응하는 가축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축이 '소'인 경우, 최적 습도 범위는 70 내지 80 (%)이고, 가축이 '돼지'인 경우, 최적 습도 범위는 60 내지 90 (%)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현재 온도와 상대습도 사이의 관계 그래프에서 쾌적 환경 범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그래프가 도시된다.
도 6에서, 습도 센서와 온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현재 상태에서 냉방 장치(120)를 수학식 1과 같이 제어하여 적재함(100)의 온도를 낮추는 경우, 현재 상태는 온도뿐만 아니라 상대습도가 같이 감소한다. 따라서, 냉방 장치(120)의 제어에 따른 상대습도 변화를 고려하여 살수 분무장치(130)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4)는 다양하게 적재함(100)에 적재된 가축들의 두수별로 냉방 장치(120)를 가동하였을 때 습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상대 습도 저하량(kp)을 이용하여 두수별 상대 습도 저하량(kp)의 기울기(kq)를 미리 산출하여 저장소(176)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은 적재함(100)에 가축들을 적재하고, 가축들의 두수를 입력받아 냉방 장치(120)를 가동시킬 때마다 수행됨으로써 저장소(176)에 가축의 종류 별로, 두수 별로, 누적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74)는, 상대 습도 저하량(kp)의 기울기(kq)를 이용하여 냉방 장치(120) 동작시의 도달 예정 습도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74)는 도달 예정 습도가 쾌적 환경 범위에 따른 최적 습도 범위보다 높은 경우, 살수 분무장치(130)를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프로세서(174)는, 환풍구(101)의 동력용 팬모터(101a)를 제어하여 환풍구(101)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시킬 수 있다.
한편, 도달 예정 습도가 쾌적 환경 범위에 따른 최적 습도 범위보다 낮은 경우, 프로세서(174)는 살수 분무장치(1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4)는 살수 분무장치(130)의 밸브(135)를 개방시키고, 고압펌프(133)를 동작시킬 수 있다.
그 밖에 도달 예정 습도가 쾌적 환경 범위에 따른 최적 습도 범위에 속하는 경우, 프로세서(174)는, 살수 분무장치(130)를 동작시키지 않고, 환풍구(101)를 제어하지도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가축 운반용 차량 100: 적재함
110: 2단 적재용 지지판 120: 냉방 장치
130: 살수 분무장치 140: 유압 장치
150: 보조축 170: 제어기
171: 디스플레이 부 172: 통신부
173: 사용자 입력부 174: 프로세서
175: 메모리 176: 저장소

Claims (1)

  1. 미끄럼방지와 온도유지가 가능한 2단 적재함으로 구성된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으로서,
    가축을 적재하는 적재함;
    냉기를 생성하여 상기 적재함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방 장치;
    상기 적재함에 설치된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를 기초로 상기 냉방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
    상기 적재함에 가습과 탈취를 위한 액상 약재를 분무시키는 살수 분무장치;
    상기 적재함의 후면판을 접어 올리거나 내리는 압력을 제공하는 유압 장치;
    상기 적재함의 무게 중심을 낮게 유지시키도록 상기 적재함의 후면부 하단에 인접하게 설치된 보조축; 및
    상기 적재함 내부의 오수를 모으는 오폐수통을 포함하되,
    상기 적재함은,
    2단 적재용 지지판을 이용하여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에 평행하게 구획되는 1단 적재함과 2단 적재함;
    상기 적재함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2단 적재용 지지판을 상기 상부면 상에 적재하는 적재 고정부;
    상기 1단 적재함의 후면을 개폐하는 1단 후면판과 상기 2단 적재함의 후면을 개폐하는 2단 후면판; 및
    상기 적재함의 양 측면에서 동력용 팬모터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복수의 환풍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2단 적재용 지지판은,
    상기 적재함의 좌우 측면부에 설치된 슬라이딩 고정부를 통해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적재함을 상기 1단 적재함과 상기 2단 적재함으로 분리하거나, 상기 적재 고정부에 의해 상기 적재함의 상부면에 적재되고,
    상기 1단 후면판은 유압을 이용하여 지면과 맞닿게 펼쳐져 상기 1단 적재함과 지면 사이에 경사로를 형성하고, 상기 2단 후면판을 슬라이싱시켜 삽입 및 은폐시킬 수 있도록 한쌍의 가이드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2단 후면판의 폭은 상기 1단 후면판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1단 후면판이 경사로를 형성할 때, 상기 2단 후면판은 상기 1단 후면판에 형성된 막대형 돌출부에 의해 일단이 지지됨으로써 상기 1단 후면판과 상기 2단 적재함 사이에 경사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 센서의 온도 센싱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적재 가축들의 두수에 따라 결정되는 비교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냉방 장치를 제어하되,
    상기 비교값은, 상기 입력받은 적재 가축들의 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두수보다 클 때, 상기 입력받은 적재 가축들의 두수와 상기 기준 두수 사이의 차분값의 로그 스케일에 반비례하는 값이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냉방 장치의 동작에 따른 습도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동력용 팬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환풍구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시키고,
    상기 2단 적재용 지지판의 적어도 일면 및 상기 1단 적재함의 바닥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가축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는, 돌기형 패턴의 요철들로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이고,
    상기 2단 적재용 지지판의 적어도 일면 및 상기 1단 적재함의 바닥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재함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열선이나 온수배관 등이 설치되는,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
KR1020210092885A 2020-10-06 2021-07-15 미끄럼방지와 온도유지가 가능한 2단 적재함으로 구성된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 KR102393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885A KR102393353B1 (ko) 2020-10-06 2021-07-15 미끄럼방지와 온도유지가 가능한 2단 적재함으로 구성된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914A KR102280200B1 (ko) 2020-10-06 2020-10-06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
KR1020210092885A KR102393353B1 (ko) 2020-10-06 2021-07-15 미끄럼방지와 온도유지가 가능한 2단 적재함으로 구성된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914A Division KR102280200B1 (ko) 2020-10-06 2020-10-06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886A KR20220045886A (ko) 2022-04-13
KR102393353B1 true KR102393353B1 (ko) 2022-05-02

Family

ID=771433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914A KR102280200B1 (ko) 2020-10-06 2020-10-06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
KR1020210092885A KR102393353B1 (ko) 2020-10-06 2021-07-15 미끄럼방지와 온도유지가 가능한 2단 적재함으로 구성된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914A KR102280200B1 (ko) 2020-10-06 2020-10-06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802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529B1 (ko) * 2023-09-18 2024-01-29 김병택 친환경 공조 시스템을 갖춘 가축 수송차량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427Y1 (ko) 2004-07-27 2004-10-25 대한민국 가축운반용 차량
KR200429680Y1 (ko) 2006-08-02 2006-10-25 유범기 가축 운반용 차량 축사
KR101098258B1 (ko) 2011-07-07 2011-12-26 주식회사 광림 가축 위생 처리차
KR101537003B1 (ko) 2015-02-11 2015-07-15 이명진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KR200486809Y1 (ko) 2016-08-17 2018-07-02 정상천 돼지수송차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794U (ko) * 1997-02-12 1998-10-15 고우삼 보조축을 장착한 트럭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427Y1 (ko) 2004-07-27 2004-10-25 대한민국 가축운반용 차량
KR200429680Y1 (ko) 2006-08-02 2006-10-25 유범기 가축 운반용 차량 축사
KR101098258B1 (ko) 2011-07-07 2011-12-26 주식회사 광림 가축 위생 처리차
KR101537003B1 (ko) 2015-02-11 2015-07-15 이명진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KR200486809Y1 (ko) 2016-08-17 2018-07-02 정상천 돼지수송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200B1 (ko) 2021-07-21
KR20220045886A (ko)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ucitano Preslaughter handling practices and their effects on animal welfare and pork quality
KR102393353B1 (ko) 미끄럼방지와 온도유지가 가능한 2단 적재함으로 구성된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
CN105934367B (zh) 家畜运输时福利及防止死亡用运输集装箱送风装置
US5727503A (en) Portable cooling kennel system
Zong et al. Effects of different air inlets on indoor air quality and ammonia emission from two experimental fattening pig rooms with partial pit ventilation system–Summer condition
US1007612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hibiting spoilage of stored crops
Moak et al. Use of two novel trailer types for transportation of pigs to slaughter. I. Effects on trailer microclimate, pig behaviour, physiological response, and meat quality under Canadian summer conditions
Lewis et al. Effects of season on the behaviour of early-weaned piglets during and immediately following transport
Samarin et al. Optimization of Power and Economic Indexes of a Farm for the Maintenance of Cattle
KR100366313B1 (ko) 가축 운반용 차량
BR112019016578A2 (pt) Estruturas de criação de gado e métodos relacionados
MX2011001432A (es) Sistema de contencion de animales.
EP1780077A1 (de) Laderaum für den Transport von lebenden Tieren, insbesondere für den Transport von Geflügel
US11464200B2 (en) Process for making a straw mat, straw mat and straw barn
Moak et al. Use of two novel trailer types for transportation of pigs to slaughter. II. Effects on trailer microclimate, pig behaviour, physiological response, and meat quality under Canadian winter conditions
Putman et al. A Retrospective Assessment of US Pork Productions: 1960 to 2015
US63821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loading live animals into transport vehicles
CN204978374U (zh) 自动称重多功能活体动物运输车
Kozlova et al. Adjustment of the livestock ventilation system as a potential ammonia abatement technique
Amon et al. Ammonia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a straw flow system for fattening pigs
Herskin et al. Handling and moving cull sows upon arrival at the slaughterhouse—Effects of small versus larger groups of sows
US201102399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oding Game Birds
EP1262365A1 (en) Vehicle for transporting animals
Faucitano Swine transportation: Science-based solutions to current issues
Grandin et al. Handling of Pi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