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992A - 윙바디 차량의 윙개폐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윙바디 차량의 윙개폐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992A
KR20110008992A KR1020090066600A KR20090066600A KR20110008992A KR 20110008992 A KR20110008992 A KR 20110008992A KR 1020090066600 A KR1020090066600 A KR 1020090066600A KR 20090066600 A KR20090066600 A KR 20090066600A KR 20110008992 A KR20110008992 A KR 20110008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contact
vehicle
coil spring
compress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2540B1 (ko
Inventor
구광모
Original Assignee
이에프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프특장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에프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6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5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8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2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with thread-engaging surfaces formed by inserted coil-springs, discs, or the like; Independent pieces of wound wire used as nuts; Threaded inserts for holes

Abstract

본 발명은 양옆으로 윙이 각각 설치되는 윙바디 차량용 윙바디 적재함에 있어서, 윙은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각각의 회전축은 차량 적재함의 상부면에 차량 전면에서 후부로 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양단부가 차량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된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한 쌍의 윙의 회전이 용이하게 적재함에는 회전보조장치가 설치되되, 상기 회전보조장치는 일측에 볼트가 체결되고 볼트와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부재가 체결되고 고정부재에는 압축코일스프링이 접촉되며,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윙에 접촉되며, 또한 압축코일스프링과 인접되게 접시스프링이 설치되며, 접시스프링에 접촉되게 스토퍼부재돌기가 설치되며, 스토퍼부재돌기는 위에 접촉되거나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에 고정되며, 또한, 스토퍼부재돌기에 접촉되게 스토퍼부재가 설치되며, 스토퍼부재와 접촉되게 너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의 회전보조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윙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대응하게 윙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가이드본체와, 상기 윙을 차체에 대해 회동시키도록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핀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며 충격완화부재가 외삽되는 지지로드와, 일단부는 상기 브라켓에 힌지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본체에 힌지고정되는 링크로 구성되는 차량의 윙바디링크장치로서, 상기 가이드본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절취형성되고, 상기 지지로드의 타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본체의 가이드 홈에 활주가능하게 삽설되는 고정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 이드본체에는 상기 윙의 과도한 폐쇄시 상기 윙의 내부와 접촉하는 충격완화편이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의 회전보조장치이다.
윙바디, 압축코일스프링, 접시스프링, 윙바디링크장치

Description

윙바디 차량의 윙개폐보조장치{omitted}
본 발명은 윙바디 차량의 윙개폐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윙에 압축코일스프링, 접시스프링, 윙바디링크장치를 설치함으로 윙의 개폐가 용이하고 원활하게 하는 윙바디 차량의 윙개폐보조장치이다.
출원번호 20200135011에는 윙바디 트럭용 윙바디 구조에 관한 것이 개시되어 있고, 특히 소규모의 윙바디 트럭에 설치하기 용이한 윙바디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윙바디 트럭은 적재함의 양측면에 윙(wing)을 형성하므로써 화물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지금까지의 모든 윙바디 트럭은 여러 가지 이유로 대개 5톤 이상의 차량에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날개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대개 유압시스템만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윙바디는 윙을 지탱하기 위한 축이 윙의 양단부에만 힌지에 의해서 결합된 구조이므로 결국 윙의 전방과 후방 양쪽에 모두에 윙을 들어주기 위한 4개의 구동수단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는 필연적으로 윙바디 트럭의 제작비용을 상승시키게 되어 소형트럭에는 설치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소형트럭에는 윙바디를 적용시킨 예가 전혀 없다.
그리고 종래의 윙바디 트럭의 윙은 적재함 전면판과 후면판을 연결하는 윙지지대에 마주댄 상태로 힌지부에 의해 결합된 구조를 갖는 것이어서 윙과 윙지지대 사이에 커버를 씌우기는 하나 커버의 노후로 또는 윙과 윙 사이의 틈새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에는 곤란한 구조이다.
또한 출원번호 실1989-0020023에는 통상적으로 차량에 있어서 윙바디 장치란, 적재함을 덮고 있는 구조로서 우천 및 외부의 상태로부터 화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물이 적하차시 적재함 측면을 개방하여 이러한 윙바디 장치를 장착한 차량, 즉 트럭에서는 주로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거나 스프링을 사용하여 차량의 적재함 윙바디를 열거나 닫히도록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출원번호 20200220320에는 후문 쪽 대들보기둥과 윙하부 사이에 경첩으로 고정되면서 축에 지지되 있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장력이 열리는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져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스크류 상승 차량용 적재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윙바디에 사용되는 유압시스템은 파워가 크고 구동이 섬세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설치비용이 고가이고, 또한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압시스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스댐퍼 및 감속모터를 구동수단으로 사용하는 고안이 안출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종래 윙바디 트럭에 있어서 윙(wing)은 그대로 두고 구동수단만을 보다 저렴한 것으로 개선하려는 노력에 불과한 것이어서 윙의 하중과 동작에 대해 많은 고려가 없어 고장 및 원활한 구동이 곤란한 단점을 갖는다. 특히 감속모터를 구동수단으로 사용하는 윙바디는 감속 모터와 윙 사이에 많은 부가수단을 형성하므로써 고장 및 파손의 우려가 매우 높은 단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경우, 작동은 우수하나 복잡한 기구의 사용으로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복잡함으로 인해 제조가격이 상승되어지는 요인이 있었으며, 후자인 스프링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장시간 사용할 때 스프링의 소성변형으로 인해 윙바디가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압축코일스프링 및 접시스프링이 설치된 회전보조장치가 설치되어, 윙이 닫힐 때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접시스프링의 힘으로 천천히 닫기게 되고, 열릴 때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접시스프링의 힘으로 보다 적은 힘으로 열리게 되며, 지지로드의 고정돌기가 가이드본체의 가이드홈을 따라 활주이동하는 방식으로 윙을 개폐함에 따라 윙의 개폐가 용이하고 원활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옆으로 윙이 각각 설치되는 윙바디 차량용 윙바디 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윙은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각각의 회전축은 차량 적재함의 상부면에 차량 전면에서 후부로 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양단부가 차량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된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한 쌍의 윙의 회전이 용이하게 적재함에는 회전보조장 치가 설치되되, 상기 회전보조장치는 일측에 볼트가 체결되고 볼트와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부재가 체결되고 고정부재에는 압축코일스프링이 접촉되며,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윙에 접촉되며, 또한 압축코일스프링과 인접되게 접시스프링이 설치되며, 접시스프링에 접촉되게 스토퍼부재돌기가 설치되며, 스토퍼부재돌기는 위에 접촉되거나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에 고정되며, 또한, 스토퍼부재돌기에 접촉되게 스토퍼부재가 설치되며, 스토퍼부재와 접촉되게 너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의 회전보조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보조장치는 일측에 볼트가 체결되고 볼트와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부재가 체결되고 고정부재에는 압축코일스프링이 접촉되며,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윙에 접촉되며, 또한 압축코일스프링과 인접되게 접시스프링이 설치되며, 접시스프링에 접촉되게 너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의 회전보조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윙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대응하게 윙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가이드본체와, 상기 윙을 차체에 대해 회동시키도록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핀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며 충격완화부재가 외삽되는 지지로드와, 일단부는 상기 브라켓에 힌지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본체에 힌지고정되는 링크로 구성되는 차량의 윙링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본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절취형성되고, 상기 지지로드의 타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본체의 가이드홈에 활주가능하게 삽설되는 고정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본체에는 윙의 과도한 폐쇄 시 상기 윙의 내부와 접촉하는 충격완화편이 돌출형 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의 회전보조장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압축코일스프링 및 접시스프링이 설치된 회전보조장치가 설치되어, 윙이 닫힐 때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접시스프링의 힘으로 천천히 닫기게 되고, 열릴 때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접시스프링의 힘으로 보다 적은 힘으로 열리게 되며, 지지로드의 고정돌기가 가이드본체의 가이드홈을 따라 활주이동하는 방식으로 윙을 개폐함에 따라 윙의 개폐가 용이하고 원활하게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차량의 윙개폐보조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차량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압축코일스프링 및 접시스프링이 설치된 회전보조장치의 상세도면(제 1 실시예)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옆으로 윙(2)이 각각 설치되는 윙바디 차량용 윙바디 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윙은 각각의 회전축(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각각의 회전축은 차량 적재함의 상부면에 차량 전면에서 후부로 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양단부가 차량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된 프레임(6)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윙의 회전이 용이하게 적재함에는 회전보조장치(10)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보조장치는 일측에 볼트(11)가 체결되고 볼트와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부재(12)가 체결되고 고정부재에는 압축코일스프링(13)이 접촉되며,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윙(2)에 접촉되며, 또한 압축코일스프링과 인접되게 접시스프링(14)이 설치되며, 접시스프링에 접촉되게 스토퍼부재돌기(15)가 설치되며, 스토퍼부재돌기는 위에 접촉되거나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에 고정되며, 또한, 스토퍼부재돌기에 접촉되게 스토퍼부재(16)가 설치되며, 스토퍼부재와 접촉되게 너트(1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의 회전보조장치이다. 그러므로 윙이 닫힐 때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접시스프링의 힘으로 천천히 닫기게 되고, 열릴 때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접시스프링의 힘으로 보다 적은 힘으로 열리게 된다.
[제 2 실시예]
또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회전보조장치(10)는 일측에 볼트(11)가 체결되고 볼트와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부재(12)가 체결되고 고정부재에는 압축코일스프링(13)이 접촉되며,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윙(2)에 접촉되며, 또한 압축코일스프링과 인접되게 접시스프링(14)이 설치되며, 접시스프링에 접촉되게 너트(1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의 회전보조장치이다.
또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윙(2)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는 브라켓(20)과, 상기 브라켓에 대응하게 윙의 회전축(3)에 장착되는 가이드본체(50)와, 상기 윙을 차체에 대해 회동시키도록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핀(22)에 의해 상 기 브라켓에 고정되며 충격완화부재(40)가 외삽되는 지지로드(30)와, 일단부는 상기 브라켓에 힌지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본체에 힌지고정되는 링크(70)로 구성되는 차량의 윙링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본체(5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52)이 절취형성되고, 상기 지지로드(30)의 타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본체의 가이드 홈에 활주가능하게 삽설되는 고정돌기(3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본체에는 윙(2)의 과도한 폐쇄 시 상기 윙의 내부와 접촉하는 충격완화편(60)이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의 회전보조장치이다.
그러므로 지지로드(30)의 고정돌기(32)가 가이드본체(50)의 가이드홈(52)을 따라 활주이동하는 방식으로 윙을 개폐함에 따라 개폐가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차량의 회전보조장치로서, 상기 압축코일스프링(13)과 접시스프링(14)이 설치된 것과 더불어 링크(70)장치를 함께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윙바디 차량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압축코일스프링 및 접시스프링이 설치된 회전보조장치의 상세도면(제 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압축코일스프링 및 접시스프링이 설치된 회전보조장치의 상세도면(제 2 실시예)
도 4는 링크장치가 설치된 회전보조장치의 상세도면
도 5는 윙바디에 회전보조장치가 설치된 조립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윙 3 : 회전축
6 : 프레임 10 : 회전보조장치
11 : 볼트 12 : 고정부재
13 : 압축코일스프링 14 : 접시스프링
15 : 스토퍼부재돌기 16 : 스토퍼부재
17 : 너트 20 : 브라켓
22 : 핀 30 : 지지로드
32 : 고정돌기 34 : 축
40 : 충격완화부재 50 : 가이드본체
52 : 가이드홈 60 : 충격완화편
70 : 링크 80 : 경첩

Claims (4)

  1. 양옆으로 윙(2)이 각각 설치되는 윙바디 차량용 윙바디 적재함에 있어서, 윙은 각각의 회전축(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각각의 회전축은 차량 적재함의 상부면에 차량 전면에서 후부로 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양단부가 차량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된 프레임(6)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한 쌍의 윙의 회전이 용이하게 적재함에는 회전보조장치(1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의 회전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보조장치는 일측에 볼트(11)가 체결되고 상기 볼트와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부재(12)가 체결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압축코일스프링(13)이 접촉되며,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윙(2)에 접촉되며, 또한 압축코일스프링과 인접되게 접시스프링(14)이 설치되며, 상기 접시스프링에 접촉되게 스토퍼부재돌기(15)가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부재돌기는 위에 접촉되거나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에 고정되며, 또한, 스토퍼부재돌기에 접촉되게 스토퍼부재(16)가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부재와 접촉되게 너트(1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의 회전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보조장치(10)는 일측에 볼트(11)가 체결되고 상기 볼트와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부재(12)가 체결되고 고정부재에는 압축코일스프링 (13)이 접촉되며,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윙(2)에 접촉되며, 또한 압축코일스프링과 인접되게 접시스프링(14)이 설치되며, 상기 접시스프링에 접촉되게 너트(1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의 회전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보조장치(10)는 윙(2)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는 브라켓(20)과, 상기 브라켓에 대응하게 윙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가이드본체(50)와, 상기 윙(2)을 차체에 대해 회동시키도록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핀(22)에 의해 상기 브라켓(20)에 고정되며 충격완화부재(40)가 외삽되는 지지로드(30)와, 일단부는 상기 브라켓(20)에 힌지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본체(50)에 힌지고정되는 링크(70)로 구성되는 차량의 윙링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본체(5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52)이 절취형성되고, 상기 지지로드(30)의 타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본체(50)의 가이드홈(52)에 활주가능하게 삽설되는 고정돌기(3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본체(50)에는 상기 윙(2)의 과도한 폐쇄 시 상기 윙의 내부와 접촉하는 충격완화편(60)이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의 회전보조장치.
KR1020090066600A 2009-07-20 2009-07-20 윙바디 차량의 윙개폐보조장치 KR101082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600A KR101082540B1 (ko) 2009-07-20 2009-07-20 윙바디 차량의 윙개폐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600A KR101082540B1 (ko) 2009-07-20 2009-07-20 윙바디 차량의 윙개폐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992A true KR20110008992A (ko) 2011-01-27
KR101082540B1 KR101082540B1 (ko) 2011-11-10

Family

ID=43614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600A KR101082540B1 (ko) 2009-07-20 2009-07-20 윙바디 차량의 윙개폐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5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003B1 (ko) * 2015-02-11 2015-07-15 이명진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745B1 (ko) * 2013-07-11 2014-12-08 김창남 차량의 적재함 덮개장치
KR101655886B1 (ko) 2015-10-15 2016-09-08 김국희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장치 및 방법
KR102105195B1 (ko) 2019-11-08 2020-04-27 유휘영 화물 적재 차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309B1 (ko) * 2007-10-09 2008-05-06 (주)탑월드특장차 윙바디용 개폐 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003B1 (ko) * 2015-02-11 2015-07-15 이명진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2540B1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2519C (zh) 车辆的开闭部结构
US6707173B2 (en) Linear actuator for a powered vehicle lift gate
KR101082540B1 (ko) 윙바디 차량의 윙개폐보조장치
US20140203591A1 (en) Motor Vehicle Liftgate
CN101952534B (zh) 机动车的白车身与后挡板的总成
US7533922B1 (en) Vehicle endgate counterbalance
KR100980669B1 (ko) 윙바디 개폐 장치
JPH1054172A (ja) ヒンジ装置
CN105658481A (zh) 具有冲击保护装置的鸥翼门
CN201224405Y (zh) 底开门车开门碰头装置
KR100878599B1 (ko)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
KR101218244B1 (ko)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
KR200327332Y1 (ko) 윙 바디 트럭의 개폐장치
JP3913422B2 (ja) バン型トラックの荷箱ドアはね上げ装置
JP4312311B2 (ja) バン型トラック
KR0130282Y1 (ko)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
JP4130708B2 (ja) バン型トラック
KR100921109B1 (ko) 테일게이트 구조
JPS6135448Y2 (ko)
CN116160830A (zh) 一种汽车加强尾门结构
KR20040045125A (ko)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
KR19980043689U (ko) 화물차용 사이드 게이트 개폐 보조장치
KR100301639B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힌지구조
KR20020086453A (ko) 날개형 구조체의 특장차 적재함
KR100215665B1 (ko) 도어 첵 취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