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244B1 -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244B1
KR101218244B1 KR1020100123412A KR20100123412A KR101218244B1 KR 101218244 B1 KR101218244 B1 KR 101218244B1 KR 1020100123412 A KR1020100123412 A KR 1020100123412A KR 20100123412 A KR20100123412 A KR 20100123412A KR 101218244 B1 KR101218244 B1 KR 101218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vehicle
connector
door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2230A (ko
Inventor
박원석
Original Assignee
유운모
박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운모, 박원석 filed Critical 유운모
Priority to KR1020100123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244B1/ko
Publication of KR20120062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럭, 트럭 등을 개조한 특장차 등의 적재함 측면 하부도어를 효율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하부에 구비된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외부에 로드(210)가 구비된 실린더(200);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는 제1연결부(310), 상기 실린더(200)에 구비된 로드(210)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연결부(320) 및 제1연결부(310) 및 제2연결부(320)와 이격되어 구비된 제3연결부(330)를 더 포함하는 제1링크(300); 및 일측은 상기 제1링크(300)의 제3연결부(330)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은 회동 가능하도록 차량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적재함도어(500)와 연결되는 제2링크(40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Opening apparatus of trucks' doors}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럭, 트럭 등을 개조한 특장차 등의 적재함 측면 하부도어를 효율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럭 또는 특장차 등의 적재함을 형성하는 윙도어, 측면도어 및 측면센터도어를 개폐하는데 있어서 종래 공개특허 2002-8208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정측판 측에 별도의 측판고정편을 두어 상기 측판고정편에 형성된 결합공을 개재하여 일측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고정머리부와 손잡이고리가 형성된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였다.
트럭 또는 특장차 등의 측면도어는 화물을 적재하는데 필수적인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적재할 때 측면도어를 열어놓은 상태에서 화물을 적재하고, 적재된 후 닫는다. 이렇듯 측면도어의 개폐의 횟수는 빈번하다 할 수 있다.
빈번히 개폐되는 측면도어를 위 공개특허 2002-82080호와 같은 개폐수단을 사용하다보면, 그 불편함으로 인하여 측면도어를 닫지 않은 상태 즉, 체결하지 않은 상태로 운행하는 경우도 있고, 제대로 닫히지 않은 상태로 운행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트럭 또는 특장차가 커브길을 운행하는 도중 적재함에 실린 화물이 일측으로 쏠리면서 도로로 떨어질 수 있어,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KR 10-0802346 B1 KR 10-2002-0082080 A KR 10-2009-0114584 A KR 10-2010-0077130 A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즉, 볼트, 나사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체결수단과 측면 하부도어를 체결하거나, 래치(latch) 타입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트럭 또는 특장차의 적재함도어가 기구학적으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서로 연결되어 자동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하부에 구비된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외부에 로드(210)가 구비된 실린더(200);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는 제1연결부(310), 상기 실린더(200)에 구비된 로드(210)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연결부(320) 및 제1연결부(310) 및 제2연결부(320)와 이격되어 구비된 제3연결부(330)를 더 포함하는 제1링크(300, 300a); 및 일측은 상기 제1링크(300, 300a)의 제3연결부(330)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은 회동 가능하도록 차량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적재함도어(500)와 연결되는 제2링크(4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링크(300)는 삼각형 형상의 두 개의 제1 및 제2판(301, 302)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303)을 개재하여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링크(300)의 제2연결부(320)는 상기 로드(210)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홀(321)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돌출부(322)가 제1 및 제2판(301, 302)의 내측면 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링크(300a)는 삼각형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으며, 상기 제1링크(300)의 제2연결부(320)는 상기 로드(210)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홀(321)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돌출부(322)가 제1 및 제2판(301, 302)의 내측면 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2 링크(40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상기 제2링크(400)의 일측 및 타측은 핀이 개재되어 상기 제1링크(300)의 제3연결부(330)와 회동 가능하도록 홀(41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링크(400)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상기 적재함도어(500)에는 상기 제2링크(400)와 연결되는 연결부(520)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520)는 상부에 홀(521)이 형성된 각각 형성된 두 개의 격판(522)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돌출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520)의 내측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된 사이드프레임(110)의 상면에 탄성 지지되는 돌기(810) 및 상기 돌기(810)를 사이드프레임(110) 상면으로 밀어내도록 일측에 마련된 탄성기구(820)를 포함하는 개폐보조기구(8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적재함도어(500)의 하측에는 상기 적재함도어(500)의 내측으로 빗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패킹(900)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화물의 적재시 사용자의 힘으로 트럭 또는 특장차의 적재함도어를 개폐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적재함도어가 기구학적으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서로 연결되어 자동적으로 개폐될 수 있는 작용 효과가 있다.
도 1은 차량에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도어 개폐장치가 체결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재함도어 개폐장치가 장착된 부분을 도시한 부분 절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재함도어 개폐장치가 장착된 부분을 도시한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절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재함도어 개폐장치로 인하여 적재함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재함도어 개폐장치로 인하여 적재함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재함도어 개폐장치의 제1링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재함도어 개폐장치의 또 다른 제1링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재함도어 개폐장치의 제2링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또는 제3실시예에 따른 적재함도어 개폐장치의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차량에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도어 개폐장치가 체결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도어 개폐장치가 장착된 부분을 도시한 부분 절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도어 개폐장치가 장착된 부분을 도시한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절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도어 개폐장치로 인하여 적재함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도어 개폐장치로 인하여 적재함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도어 개폐장치의 제1링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도어 개폐장치의 또 다른 제1링크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도어 개폐장치의 제2링크의 사시도이다.
제1실시예
이러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적재함도어 개폐장치는 차량의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에 고정되는 실린더(200), 차량의 베이스프레임(100)의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200)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링크(300), 및 상기 제1링크(300)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적재함도어(500)와 연결된 제2링크(400) 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실린더(200)에 대하여 상술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5를 참고하여, 상기 실린더(200)는 차량의 하부에 구비된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외부에 로드(210)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200)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상기 로드(210)를 왕복 운동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실린더(200)는 엑츄에이터 특히, 리니어 엑츄에이터(linear actuato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실린더(200)의 일단은 차량의 하부에 위치한 베이스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도 2를 참고하여, 홀이 형성된 스테이터(220)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고정시킨 후, 실린더(200)의 일단에 구비된 홀에 핀 등을 삽입하여 스테이터(220)와 체결한다. 이에 따라 실린더(200)의 로드(210)의 왕복운동에 따라 적재함도어(500)가 개폐됨에 있어서, 스테이터(220)와 고정된 실린더(200)의 일단부가 일정 각도를 회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도 4는 적재함도어(500)가 닫힌 상태를 도 5는 적재함도어(500)가 열린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 실린더(200)의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제1링크(300) 및 제2링크(400)가 회동하며, 이에 따라 적재함도어(500)가 개폐될 수 있는 것이다.
제1링크(300, 300a)를 상술한다.
도 2 및 도 6을 참고하여, 제1링크(300)는 제1연결부(310), 제2연결부(320) 및 제3연결부(330)를 구비한다. 상기 제1연결부(310)는 베이스프레임(100)의 타측에 힌지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연결부(310)는 베이스프레임(100)의 타측에 위치한 고정자(340)에 체결된다. 상기 고장자(340)에 형성된 홀과 상기 제1연결부(310)에 형성된 홀이 서로 핀 등으로 체결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부(320)는 실린더(200)에 구비된 로드(210)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3연결부(330)는 후술하는 제2링크(400)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위와 같은 연결에 따라 상기 실린더(200)의 로드(210)가 제2연결부(320)를 밀고 당김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310)에 연결된 고정자(34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연결부(310) 측을 중심으로 제3연결부(330)가 회동하게 되며 이에 연동하여 제2링크(400)가 회동하는 것이다.
도 6을 참고하여, 상기 제1링크(300)는 삼각형 형상의 두 개의 제1 및 제2판(301, 302)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303)을 개재하여 상호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1링크(300)의 제2연결부(320)는 상기 로드(210)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홀(321)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돌출부(322)가 제1 및 제2판(301, 302)의 내측면 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322)는 상기 로드(210)의 단부 형상을 고려하여 내측으로 돌출 형성하여, 제1링크(300)의 회전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연결부(310) 및 제3연결부(330)는 제2연결부(320)의 돌출부(322)와는 달리 돌출된 높이가 낮으며, 이는 고정자(340) 및 제2링크(400)의 단부의 형상을 고려한 것이다.
도 3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제1링크(300a)에 대하여 상술한다. 상기 제1링크(300a)는 두께 약 30mm 정도로 대략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1링크(300)와 마찬가지로 제1연결부(310), 제2연결부(320) 및 제3연결부(330) 등을 구비한다.
도 3 및 도 7을 참고하여, 제1링크(300a)의 제1연결부(310)와 고정자(340)가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부(310)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제1링크(300a)의 제2연결부(320)에는 상기 피스톤(200)의 로드(210)와 연결하여 상기 제1링크(300a)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였다. 마찬가지로 제1링크(300a)의 제3연결부(330)와 제2링크(400)를 연결하여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300a)가 판형상임을 고려하여, 각 단부 즉, 제1 내지 제3연결부(310, 320, 33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고정자(340) 및 로드(210)의 단부는 대략 디귿자형이다. 제2링크(400)의 단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부분에 상기 제3연결부(330)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도 8의 도면번호 410a 부분)되어 있다.
도 3과 같은 제1링크(300)의 형상으로 인하여 피스톤(200)에서 발생하는 힘을 로드(210)에 전달하며, 로드(210)에서 제1링크(300a)의 제2연결부(320)에 힘을 골고루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연결부(320)에 전달된 힘이 제3연결부(330)에 동시에 전달되어 제2링크(400) 측으로 전달가능하다. 또한, 도 2 및 도 6과 같은 형상의 제1링크(300)보다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채택하여 제조비의 절감효과를 누릴 수 있다.
제2링크(400)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2, 3 및 도 8을 참고하여, 상기 제2링크(400)는 양측 단부에 홀(410a, 410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링크(400)의 어느 하나의 홀(410a)은 상기 제1링크(300)의 제3연결부(330)와 회동 가능하도록 핀 등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2링크(400)의 다른 하나의 홀(410b)은 상기 적재함도어(500)에 결합된 연결부(420)와 회동 가능하도록 핀 등으로 결합된다.
제2링크(400)의 경우 상기 제1링크(300) 및 적재함도어(500)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것으로 적재함도어(5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판상으로 구비하였으며, 또한 제1링크(300)가 로드(210)에서 작용하는 힘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제2링크(40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상기 제2링크(400)의 일측 및 타측은 핀이 개재되어 상기 제1링크(300)의 제3연결부(330)와 회동 가능하도록 홀(4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여, 상기 제2링크(400)의 홀(410b)과 연결하기 위한 적재함도어(500)에는 연결부(5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520)는 상부에 홀(521)이 형성된 각각 형성된 두 개의 격판(522)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도어(500)는 차량의 베이스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사이드프레임(1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적재함도어(500)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도어(500)의 좌우측에 별도의 사이드 도어(600)를 구비한 경우 상기 적재함도어(500)는 상기 사이드 도어(60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린더(200)에 작용하는 압력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적재함도어(500)의 효율적인 회동운동을 하기 위하여 적재함도어(500)의 상면측에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은 두 개의 격판(522)을 일정 거리 이격하여 설치하며, 상기 격판의 상부측에 형성된 홀(521)과 제2링크(400)를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이와 같은 연결부(520)의 형상으로 인하여 적재함도어(500)의 좌우측에 구비된 사이드도어(600)의 두께와 보조를 맞추어 외측으로 적재함도어(500)가 상대적으로 지나치게 돌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도어(500)의 상부에 대략 기역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510)를 구비하였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윙도어(700)와 적재함도어(500)가 서로 접할 때 차량의 적재함 측으로 빗물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 것으로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이 2010.07.30. 특허출원 제10-2010-74162호 ‘차량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에 상술된 바 있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적재함도어 개폐장치는 차량의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에 고정되는 실린더(200), 차량의 베이스프레임(100)의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200)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링크(300), 및 상기 제1링크(300)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적재함도어(500)와 연결된 제2링크(400)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9를 참고하여 적재함도어(500)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부(520)의 측에 개폐보조기구(800)가 구비된다. 개폐보조기구(800)는 실린더(200)에 걸리는 부하를 완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개폐보조기구(800)는 돌기(810) 및 탄성기구(820)를 포함한다. 연결부(520)의 내측에는 스프링 등 탄성기구(820)가 마련된다. 탄성기구(820)의 일측은 연결부(520)의 일단에 지지되며, 타측은 돌기(810)를 지지한다. 적재함도어(500)가 닫힌 상태에서 돌기(810)는 연결부(52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사이드프레임(110)의 상면에 접촉된다. 적재함도어(500)가 닫힌 상태에서 돌기(510)는 탄성기구(820)의 복원력의 작용으로 사이드프레임(110)을 밀게 된다. 적재함도어(500)를 열 때 실린더(200)의 작용으로 로드(210)의 길이가 짧아지며, 이로 인하여 적재함도어(500)가 열린다. 이때, 탄성기구(820)의 복원력이 사이드프레임(110)측에 작용하고 있으므로, 돌기(510)가 사이드프레임(110)을 밀게되어 적재함도어(500)가 쉽게 열리게 된다.
기타 다른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에 준한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적재함도어 개폐장치는 차량의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에 고정되는 실린더(200), 차량의 베이스프레임(100)의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200)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링크(300), 및 상기 제1링크(300)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적재함도어(500)와 연결된 제2링크(400)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9를 참고하여, 적재함도어(500)의 하측에는 패킹(900)이 구비된다. 패킹(900)은 적재함도어(500)의 내측으로 빗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운행 중 진동 등으로 적재함도어(500)가 사이드프레임(1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기타 다른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에 준한다.
이로서 차량의 운행도중에 외부 장애물과 충돌을 피할 수 있음은 물론 정해진 특장차의 규격과 관련된 법규를 만족할 수 있게 하였다.
100 : 베이스프레임
200 : 실린더 210 :로드
300 : 제1링크 310 : 제1연결부
320 : 제2연결부 330 : 제3연결부
400 : 제2링크 410a, 410b : 홀
500 : 적재함도어 520 : 연결부
800 : 개폐보조기구 900 : 패킹

Claims (7)

  1. 삭제
  2. 차량의 하부에 구비된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외부에 로드(210)가 구비된 실린더(200);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는 제1연결부(310), 상기 실린더(200)에 구비된 로드(210)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연결부(320) 및 제1연결부(310) 및 제2연결부(320)와 이격되어 구비된 제3연결부(330)를 더 포함하는 제1링크(300, 300a); 및
    일측은 상기 제1링크(300, 300a)의 제3연결부(330)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은 회동 가능하도록 차량의 일측에 구비된 적재함도어(500)와 연결되는 제2링크(4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링크(300)는 삼각형 형상의 두 개의 제1 및 제2판(301, 302)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303)을 개재하여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링크(300)의 제2연결부(320)는 상기 로드(210)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홀(321)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돌출부(322)가 제1 및 제2판(301, 302)의 내측면 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300a)는 삼각형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으며,
    상기 제1링크(300)의 제2연결부(320)는 상기 로드(210)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홀(321)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돌출부(322)가 제1 및 제2판(301, 302)의 내측면 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
  4.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40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상기 제2링크(400)의 일측 및 타측은 핀이 개재되어 상기 제1링크(300)의 제3연결부(330)와 회동 가능하도록 홀(4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400)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상기 적재함도어(500)에는 상기 제2링크(400)와 연결되는 연결부(520)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520)는 상부에 홀(521)이 형성된 각각 형성된 두 개의 격판(522)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520)의 내측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된 사이드프레임(110)의 상면에 탄성 지지되는 돌기(810) 및 상기 돌기(810)를 사이드프레임(110) 상면으로 밀어내도록 일측에 마련된 탄성기구(820)를 포함하는 개폐보조기구(8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도어(500)의 하측에는 상기 적재함도어(500)의 내측으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패킹(90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
KR1020100123412A 2010-12-06 2010-12-06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 KR101218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412A KR101218244B1 (ko) 2010-12-06 2010-12-06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412A KR101218244B1 (ko) 2010-12-06 2010-12-06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230A KR20120062230A (ko) 2012-06-14
KR101218244B1 true KR101218244B1 (ko) 2013-01-08

Family

ID=46683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412A KR101218244B1 (ko) 2010-12-06 2010-12-06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2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4896A1 (ko) * 2019-03-14 2020-09-17 김정인 자동 전개 가능한 양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538B1 (ko) * 2021-11-24 2022-05-30 손형원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689U (ko) * 1996-12-26 1998-09-25 박병재 화물차용 사이드 게이트 개폐 보조장치
KR19980046722U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트럭의 적재함 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689U (ko) * 1996-12-26 1998-09-25 박병재 화물차용 사이드 게이트 개폐 보조장치
KR19980046722U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트럭의 적재함 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4896A1 (ko) * 2019-03-14 2020-09-17 김정인 자동 전개 가능한 양봉 장치
US11812729B2 (en) 2019-03-14 2023-11-14 Jungin Kim Automatically unfoldable beekeep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230A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48678B (zh) 惯性驱动锁定装置
KR102208371B1 (ko) 자동차 잠금 조립체
US8826708B2 (en) Locking mechanism
CN110273601B (zh) 用于机动车辆的具有线性致动器的打开装置
JP4789642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JP4084330B2 (ja) 制動減衰装置用アダプタ
US10208525B2 (en) Assembly for a vehicle
US20150137531A1 (en) Piezo based energy harvesting for e-latch systems
EP2030873A2 (en) A hinge mechanism for a vehicle
CN103510782B (zh) 两阶段混合型止动连杆组件
US10920463B2 (en) Side door occupant latch with manual release and power lock
KR101218244B1 (ko)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
US20100314890A1 (en) Power cinching striker
WO2011125535A1 (ja) 車両用ロック装置、車両用リッドロック装置および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CN105658481A (zh) 具有冲击保护装置的鸥翼门
CA3005833A1 (en) Grain bin cover opening system
KR102538461B1 (ko)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
KR101082540B1 (ko) 윙바디 차량의 윙개폐보조장치
US20120175895A1 (en) Closing device for vehicle flap, method for the assembly of a flap arrangement
KR102466977B1 (ko) 완충기능이 있는 특장차의 도어 개폐장치
KR101140183B1 (ko) 차량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
CN111793946B (zh) 衣物处理设备
KR100878599B1 (ko) 화물차용 적재함 사이드 게이트의 개폐 보조장치
CN114575686B (zh) 侧取货门锁装置及其装配方法和车辆
KR100598683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가스리프터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