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538B1 -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 - Google Patents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538B1
KR102403538B1 KR1020210163427A KR20210163427A KR102403538B1 KR 102403538 B1 KR102403538 B1 KR 102403538B1 KR 1020210163427 A KR1020210163427 A KR 1020210163427A KR 20210163427 A KR20210163427 A KR 20210163427A KR 102403538 B1 KR102403538 B1 KR 102403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surface
support
support curved
shelt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형원
박찬희
Original Assignee
손형원
박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형원, 박찬희 filed Critical 손형원
Priority to KR1020210163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특장차의 쉘터가 승하강 작동되고 지지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차체프레임; 및 수하물이 적재되어 저장되는 쉘터; 을 포함하고 상기 차체프레임은 결합되는 소정 두께의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차체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의 외측에 대칭으로 배치되는 외측프레임; 상기 외측프레임과 대응되도록 한쌍이 대칭으로 구비되어 일측면이 접촉되어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 상기 한쌍의 보강플레이트에 연결되어 배치되는 바형태의 리프트바지지프레임; 상기 리프트바지지프레임의 중심측에 2 쌍이 대칭형태로 형성되어 리프트바가 힌지결합으로 연결되는 힌지플레이트; 및 상기 힌지플레이트와 연결되어 회전동작가능하게 형성되는 리프트바;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측의 차량 후측 방향에 'U'자형 곡면의 형태로 형성되어 제 1지지곡면높이의 높이와 제 1지지곡면너비의 크기로 형성되는 제 1지지곡면; 상기 제 1지지곡면에 연결되어 'U'자형 곡면의 형태로 제 2지지곡면높이와 제 2지지곡면너비로 형성되는 제 2지지곡면; 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지지곡면높이는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전체 높이(H)의 15% ~ 20%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 1지지곡면너비는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전체너비의 30% ~ 45% 비율로 형성되고 상기 제 2지지곡면높이는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전체 높이의 15% ~ 20%로 형성되는 상기 제 2지지곡면너비는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전체 너비의 55% ~ 70% 비율로 형성되는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A trailer system for special-car}
본 발명은 특장차에 적용되는 트레일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를 이용한 물류 이동의 경우 물류이송에 있어서 많은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화물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화물차는 적재함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떠있기 때문에 화물을 상, 하차하기 위해서는 인력이 동원되거나 지게차 등의 장비를 동원하여 화물을 올리고 내리는 작업을 하여야만 하였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화물차의 트레일러의 쉘터부분이 승하강 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 특장차가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특장차에 적재되는 화물은 2축지지구조인 경우 약 2.5톤이며, 3축지지구조인 경우 약 2.3톤가량이다. 한편, 이와 같은 크 중량의 화물이 실리게 될 경우, 지지축에 많은 부하가 발생되어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사례들이 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많은 양의 화물을 싣기 위해 크레인과 같은 운송수단을 사용하게 되는데, 적재과정에서 트레일러의 일측과 접촉되어 쉘터가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 또한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트레일러 지지구조의 보강 또는 쉘터의 구조를 변화하는 연구가 필요시 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 제10-2021-0063583호 (2021.06.02. 공개) 등록특허 제10-2318944호 (2021.10.22.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물의 적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화물 하중에 대한 안정성 및 크레인과 같은 이송장비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파손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트레일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특장차의 트레일러가 지지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차체프레임; 및 수하물이 적재되어 저장되는 쉘터; 을 포함하고 상기 차체프레임은 결합되는 소정 두께의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차체프레임의 양측 외측 대칭으로 배치되는 외측프레임; 상기 외측프레임과 대응되도록 한쌍이 대칭으로 구비되어 일측면이 접촉되어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 상기 한쌍의 보강플레이트에 연결되어 배치되는 바형태의 리프트바지지프레임; 상기 리프트바지지프레임의 중심측에 2 쌍이 대칭형태로 형성되어 리프트바가 힌지결합으로 연결되는 힌지플레이트; 및 상기 힌지프레이트와 연결되어 회전동작가능하게 형성되는 리프트바; 를 포함하는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트레이러 시스템은 보강된 구조로 형성된 차체프레임과 쉘터를 통해 화물이 적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의 트레일러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외측프레임에 결합된 보강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리프트바지지프레임과 일측을 확대한 확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의 쉘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회전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의 트레일러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은 쉘터가 승하강 작동되고 지지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차체프레임(1000)과, 좌측 및 우측의 문이 개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수하물이 적재되어 저장되는 쉘터(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본 실시예의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은 차체프레임(1000)을 포함할 수 있다.
차체프레임(1000)은 특장차의 트레일러 부분의 외관을 형성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차체프레임(1000)은 수하되는 화물과 같은 적재물들을 실을 수 있는 충분한 강성 및 강도로 형성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체프레임(1000)은 트레일러에 실리는 쉘터(200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트레일러 좌측 및 우측의 외측에 대칭으로 외측프레임(1100)이 배치될 수 있다.
차체프레임(1000)은 외측프레임(1100)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프레임(1100)은 차체프레임(1000)에서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프레임이 될 수 있다. 외측프레임(1100)은 차체프레임(1000)의 전체길이를 형성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외측프레임(1100)은 차체프레임(1000)의 구성이 모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외측프레임(1100)은 차체프레임(1000)의 양측의 외측에 대칭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차체프레임(1000)은 외측프레임(1100)의 일측에 접촉되어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1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외측프레임(1100)에 결합된 보강플레이트(1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강플레이트(1200)는 외측프레임(1100)에 접촉되어 배치되는 소정 두께의 플레이트가 될 수 있다. 또한, 보강플레이트(1200)는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되는 외측프레임(1100)에 대응되어 한쌍이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강플레이트(1200)의 재질은 외측프레임(110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플레이트(1200)는 하측에 수직으로 절곡된 소정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플레이트(1200)는 차량 후측방향에 복수개의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플레이트(1200)는 제 1지지곡면(12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지지곡면(1210)은 보강플레이트(1200)의 상측의 차량 후측 방향 (도면상 우측)에 형성된 'U'자형 곡면의 형태로 형성된 곡면이 될 수 있다. 제 1지지곡면(1210)은 보강플레이트(1200)의 차량 후측방향에 형성된 복수개의 곡면에 형성되는 골의 위치를 상하로 연장한 가상선(S)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상선(S)와 제 1지지곡면(1210)에서 가장 크게 이격된 거리는 제 1지지곡면높이(H1)가 될 수 있다. 이때, 제 1지지곡면높이(H1)는 제 1지지곡면(1210)의 형태가 형성되는 높이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지지곡면높이(H1)는 보강플레이트(1200)의 전체 높이(H)의 10% ~ 15%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제 1지지곡면(1210)은 제 1지지곡면너비(W1)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지지곡면너비(W1)는 보강플레이트(1200)의 전체너비(W)에 30% ~ 45%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강플레이트(1200)는 제 2지지곡면(12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지지곡면(1220)은 보강플레이트(1200)의 하측의 우측에 제 1지지곡면(1210)과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지지곡면(1220)은 제 1지지곡면(1210)과 상이한 크기로 형성된 파형형태가 될 수 잇다. 제 2지지곡면(1220)이 형성하는 마루 형태는 제 2지지곡면높이(H2)가 될 수 있다. 이 때, 제 2지지곡면높이(H2)는 보강플레이트(1200)의 전체 높이(H)의 15% ~ 20%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지지곡면(1220)의 폭의 크기는 제 2지지곡면너비(W2)이 될 수 있다. 제 2지지곡면너비(W2)는 보강플레이트(1200)의 전체 너비(W)의 55% ~ 70%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지지곡면(1210) 및 제 2지지곡면(1220)은 보강플레이트(1200)의 전체 단면적을 증가시켜 종래보다 하중분산이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플레이트(1200)는 제 1지지곡면(1210) 및 제 2지지곡면(1220)이 형성되는 반대측면에 보강삼각면(1230)이 형성될 수 있다. 보강삼각면(1230)은 제 1지지곡면(1210) 및 제 2지지곡면(1220)에 형성된 골에 의해 감소된 단면적을 보강하도록 형성된 보강면이 될 수 있다. 보강삼각면(1230)은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강삼각면(1230)의 꼭지점의 위치는 제 1지지곡면(1210) 및 제2지지곡면(1220)의 골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플레이트(1200)는 형상적 특징에 의해 골 위치에서 크랙이 발생될 확률이 높게 될 수 있다.
한편, 보강플레이트(1200)는 크랙확산방지홈(1200a)이 형성될 수 있다. 크랙확산방지홈(1200a)은 보강플레이트(1200)의 골의 위치에서 발생되는 크랙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크랙확산방지홈(1200a)은 보강플레이트(1200)의 골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동일한 횡방향 위상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크랙확산방지홈(1200a)이 골에서 이격된 거리는 보강플레이트(1200)의 전체높이(H)의 20% ~ 30%로 이격된 위치가 될 수 있다. 또한, 크랙확산방지홈(1200a)은 장공홈 또는 원형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형태와 크기는 필요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또한, 보강플레이트(1200)는 하측절곡면(12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절곡면(1240)은 보강플레이트(1200)의 저면에 'ㄴ'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 소정면적의 면부분이 될 수 있다. 하측절곡면(1240)의 크기는 차체프레임(100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차체프레임(1000)은 리프트바지지프레임(1300)을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바지지프레임(1300)은 보강플레이트(1200)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된 양단지지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리프트바지지프레임(1300)의 길이는 차체프레임(1000)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프트바지지프레임(1300)의 단면은 유선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하중 분산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프트바지지프레임(1300)은 복수개의 지지리브 및 리브브릿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발명의 리프트바지지프레임(1300)과 일측을 확대한 확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리프트바지지프레임(1300)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지지리브(1300a) 및 복수개의리브브릿지(1300b)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리브(1300a)는 리프트바지지프레임(1300)의 외측면에서 수평형태로 연장된 단부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지지리브(1300a)의 외측끝단은 소정 벌어져 부채형태로 접촉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리브(1300a) 끝단은 내측보다 10% 증가된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리브(1300a)와 리프트바지지프레임(1300)의 접촉면 저면은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리브(1300a)는 트러스구조로 지지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리브(1300a)는 균일한 간격으로 리프트바지지프레임(1300)의 외측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지지리브(1300a)의 사이에는 리브브릿지(1300b)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브릿지(1300b)는 지지리브(1300a)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력을 보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브브릿지(1300b)는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리브브릿지(1300b)는 직육면체 형태의 블럭과 같이 형성되어 외측에'U'형태로 골의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브브릿지(1300b)는 지지리브(1300a)와 접촉되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리프트바지지프레임(1300)은 무게중심 기준 대칭으로 복수개의 힌지플레이트(1310)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플레이트(1310)는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2쌍이 형성되어 총 4 개의 힌지플레이트(1310)가 배치될 수 있다. 힌지플레이트(1310)는 반원형태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소정두께의 판이 될 수 있다, 또한, 힌지플레이트(1310)는 일측에 원형의 힌지홀(1310a)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플레이트(1310)에 형성된 힌지홀(1310a)에는 후술할 리프트바(140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차체플레이트(1000)는 리프트바(140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바(1400)는 쉘터(2000)의 움직임이 형성되도록 회전동작되는 바(bar)가 될 수 있다. 또한, 리프트바(1400)는 유압실린더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프트바(1400)는 일측에 연결된 공압조절기(미도시)에 의해 유압이 조절되어 끝단의 결합부분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프트바(1400)는 쉘터연결프레임(1500)과 교차형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쉘터연결프레임(1500)은 일측이 외측프레임(1100)에 고정되고 타측이 쉘터(2000)와 연결되는 프레임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프트바(1400)의 끝단의 길이가 연장될 경우, 쉘터연결프레임(1500)은 소정각도로 기울어지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도조절은 쉘터(2000)를 함께 기울어지게 하여 쉘터의 화물을 외측으로 배출하는 것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체프레임(1000)이 구비된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은 쉘터(20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의 쉘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쉘터(2000)는 상측 및 좌우측면에 개폐도어(2100)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도어(2100)는 쉘터(2000)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어 수하물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벽이 될 수 있다. 또한, 쉘터(2000)의 상측에 배치되는 개폐도어는 한개 또는 두개가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쉘터(2000)의 측면에 배치되는 개폐도어는 상측단을 축으로 회전되어 개폐되는 형태로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폐도어(2100)는 회전수단(2200)에 의해 회전 개폐동작이 될 수 있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회전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단(2200)은 쉘터(20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되는 지지브라켓(2210)과, 지지브라켓(2210)에 결합되는 메인힌지(2220)와, 메인힌지(2220)에서 회전 작동되는 복수개의 링크(2230)와, 링크(2230)의 끝단에 상기 개폐도어(2100)와 결합되는 서브힌지(2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구성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단(2200)은 지지브라켓(221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브라켓(2210)은 회전수단(2200)이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브라켓(2210)은 쉘터(2000)에 일측이 접촉되어 지지된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브라켓(2210)의 위치는 쉘터(2000)의 상측면(2000a)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지지브라켓(2210)이 쉘터(2000)의 상측면(2000a)으로 부터 이격된 거리는 메인힌지(2220)가 쉘터(2000)의 상측면(2000a)보다 돌출되지 않는 위치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단(2200)은 메인힌지(22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힌지(2220)는 상부 및 측면에 배치된 개폐도어(2100)의 완전 개방동작을 위해 회전되는 회전축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인힌지(2220)는 지지브라켓(2210)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메인힌지(2220)은 쉘터(2000)의 상측면(2000a)에서 하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힌지(2220)는 쉘터(2000)의 상측면(2000a)보다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메인힌지(2220)는 원통형의 샤프트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힌지(2220)의 길이는 쉘터(2000)의 일측변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수단(2200)은 링크(223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2230)는 메인힌지(2220)와 개폐도어(2100)를 연결하는 부재가 될 수 있다. 링크(2230)는 쉘터(2000)의 상측 개폐도어(2100a)와 연결되는 상측링크(2230a)와, 쉘터(2000)의 측면 개폐도어(2100)와 연결되는 하측링크(2230b)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링크(2230b)는 메인힌지(2220)와 측면 개폐도어(2100b)를 연결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하측링크(2230b)는 일측이 메인힌지(2220)와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반면, 하측링크(2230b)의 타측은 측면 개폐도어(2100b)의 끝단에 형성된 서브힌지(224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측링크(2230b)는 상측링크(2230a)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측링크(2230b)는 측면개폐도어(2100b)에 대칭형태로 복수개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링크(2230)는 상측링크(1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링크(1120a)는 일측이 메인힌지(2220)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측은 상측 개폐도어(2100a)에 형성된 서브힌지(224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측링크(2230a)는 메인힌지(2220)와 서브힌지(2240)를 직선형태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측링크(2230a)는 쉘터(2000)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측링크(2230a)는 외측에 노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회전수단(2200)은 메인힌지(2220)가 쉘터(2000)의 상측면보다 낮게 배치되어 크레인과 같은 운송장비로 부터 접촉되어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링크(2230)에 결합된 상측 개폐도어(2100a) 및 측면 개폐도어(2100b)는 메인힌지(2220) 및 서브힌지(2240)를 통해 회전동작되어 쉘터의 개폐동작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트레이러 시스템은 보강된 구조로 형성된 차체프레임과 쉘터를 통해 화물이 적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0 : 차체프레임 1100 : 외측프레임
1200 : 보강플레이트 1210 : 제 1 지지곡면
1300 : 지지프레임 1310 : 힌지플레이트
1400 : 리프트바

Claims (5)

  1. 특장차의 쉘터가 승하강 작동되고 지지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차체프레임(1000); 및
    수하물이 적재되어 저장되는 쉘터(2000); 을 포함하고
    상기 차체프레임(1000)은
    결합되는 소정 두께의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차체프레임(1000)의 좌측 및 우측의 외측에 대칭으로 배치되는 외측프레임(1100);
    상기 외측프레임(1100)과 대응되도록 한쌍이 대칭으로 구비되어 일측면이 접촉되어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1200);
    상기 한쌍의 보강플레이트(1200)에 연결되어 배치되는 바형태의 리프트바지지프레임(1300);
    상기 리프트바지지프레임(1300)의 중심측에 2 쌍이 대칭형태로 형성되어 리프트바가 힌지결합으로 연결되는 힌지플레이트(1310); 및
    상기 힌지플레이트(1310)와 연결되어 회전동작가능하게 형성되는 리프트바(1400);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1200)는
    상측의 차량 후측 방향에 'U'자형 곡면의 형태로 형성되어 제 1지지곡면높이(H1)의 높이와 제 1지지곡면너비(W1)의 크기로 형성되는 제 1지지곡면(1210);
    상기 제 1지지곡면(1210)에 연결되어 'U'자형 곡면의 형태로 제 2지지곡면높이(H2)와 제 2지지곡면너비(W2)로 형성되는 제 2지지곡면(1220); 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지지곡면높이(H1)는 상기 보강플레이트(1200)의 전체 높이(H)의 15% ~ 20%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 1지지곡면너비(W1)는 상기 보강플레이트(1200)의 전체너비(W)의 30% ~ 45% 비율로 형성되고
    상기 제 2지지곡면높이(H2)는 상기 보강플레이트(1200)의 전체 높이의 15% ~ 20%로 형성되는
    상기 제 2지지곡면너비(W2)는 상기 보강플레이트(1200)의 전체 너비(W)의 55% ~ 70% 비율로 형성되는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바지지프레임(1300)은
    상기 보강플레이트(1200)와 결합된 일측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리브(1300a); 및
    상기 복수개의 지지리브(1300a) 사이에 원호의 형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리브브릿지(1300b) 형성되는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쉘터(2000)는
    상측 및 좌우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쉘터의 입구를 차단하는 개폐도어(2100);
    상기 개폐도어(2100)가 회전동작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회전수단(2200);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단(2200)은
    상기 회전수단(2200)이 상기 쉘터(20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되는 지지브라켓(2210);
    상기 지지브라켓(2210)에 결합되는 메인힌지(2220);
    상기 메인힌지(2220)에서 회전 작동되는 복수개의 링크(2230);
    상기 링크(2230)의 끝단에 상기 개폐도어(2100)와 결합되는 서브힌지(224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힌지(2220)는 상기 쉘터(2000)의 상측면에서 소정간격 하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플레이트(1200)는
    상기 제 1지지곡면(1210) 및 제 2지지곡면(1220)이 형성되는 반대측면에 꼭지점의 위치가 상기 제 1지지곡면(1210) 및 제 2지지곡면의 골위치와 대응되는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보강삼각면(1230)이 형성되는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
KR1020210163427A 2021-11-24 2021-11-24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 KR102403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427A KR102403538B1 (ko) 2021-11-24 2021-11-24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427A KR102403538B1 (ko) 2021-11-24 2021-11-24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538B1 true KR102403538B1 (ko) 2022-05-30

Family

ID=81800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427A KR102403538B1 (ko) 2021-11-24 2021-11-24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5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2421U (ko) * 1995-12-30 1997-07-26 화물차용 안전장치
KR20120062230A (ko) * 2010-12-06 2012-06-14 박원석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
KR20200047946A (ko) * 2018-10-26 2020-05-08 동해금속 주식회사 버스 프레임 장치
KR20210063583A (ko) 2019-11-25 2021-06-02 이완재 2중 x자 리프트
KR102318944B1 (ko) 2020-02-19 2021-10-27 장정일 특장차용 리프트 게이트의 게이트 판넬 개폐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2421U (ko) * 1995-12-30 1997-07-26 화물차용 안전장치
KR20120062230A (ko) * 2010-12-06 2012-06-14 박원석 차량의 적재함도어 개폐장치
KR20200047946A (ko) * 2018-10-26 2020-05-08 동해금속 주식회사 버스 프레임 장치
KR20210063583A (ko) 2019-11-25 2021-06-02 이완재 2중 x자 리프트
KR102318944B1 (ko) 2020-02-19 2021-10-27 장정일 특장차용 리프트 게이트의 게이트 판넬 개폐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98552A1 (en) Freight container and lift casting therefore and method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same
WO2017059749A1 (zh) 一种铁路货车及其车体总成
US4489975A (en) Support apparatus for a raised side panel of a truck or trailer
US4682811A (en) Van body used with container car, freight car and truck
RU2556769C2 (ru) Грузов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KR102403538B1 (ko)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
CN111775981A (zh) 铁路侧翻车
CN201023916Y (zh) 一种垃圾运输箱
NL2004268A (en) Trailer for the transportation by road of containers.
RU191211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сыпучих и штучных грузов
CN107672956A (zh) 双层可折叠的框架箱
AU2009347009A1 (en) Container loa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005630B1 (ko) 트럭용 적재함 덤프 장치
GB2472730A (en) Large container loading
KR100837780B1 (ko) 윙바디 차량의 윙 지지구조
US3106900A (en) Special purpose railway car
CN106379655B (zh) 集装箱
CN219905497U (zh) 边开门可升降底板式集装箱
CN217625282U (zh) 散货集装箱
CN113233029B (zh) 一种新型轻量化自卸集装箱
CN219947859U (zh) 自卸车尾门
KR102261714B1 (ko) 이중 적재함을 구비한 윙바디 화물차
CN214450534U (zh) 一种自卸车用箱体结构及自卸车
JP3892174B2 (ja) 貨物コンテナ
KR101313076B1 (ko)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